| 학명 | Betula davurica Pall. |
|---|---|
| 과명 | 자작나무과(Betulaceae) |
| 속명 | 자작나무속(Betula) |
| 이명 | 박달나무 사스래나무 째작나무 |
| 잎 | 잎은 호생하며 난형이고 첨두이며 예저 또는 아절저이고 길이 3-8cm 폭 3-5cm로서 불규칙한 톱니 또는 치아상의 복거치(復鋸齒)가 있으며 표면은 맥 위에 털이 있고 녹색이며 뒷면에는 지점(脂點)이 많고 맥위에 잔털이 있으며 황록색이고 6-8쌍의 측맥이 뚜렷하고 엽병은 길이 5-15mm로서 털이 있다. |
| 꽃 | 꽃은 자웅일가화이고 5월에 피며 수상화서로 웅화수는 아래로 처지고 수꽃이삭은 길이 6-7cm이며 밑으로 드리운다. 암꽃이삭은 곧게 서고 길이 2-3cm로서 긴 타원형이며 인편은 털이 없고 광택이 나며 윗부분이 얕게 3개로 갈라진다. 포는 갈색으로서 연모(緣毛)가 있고 자화수는 곧추서며 원통형으로 길이 4cm 폭 1.2-1.5cm이고 포는 갈색이다. |
| 열매 | 과수는 길이 3-4cm로서 원통형이며 실편(實片)은 길이와 직경이 각각 8mm로서 실편의 중앙열편은 긴 타원형 또는 넓은 피침형이고 측편은 신장형 난형 또는 원형이며 실편은 길이와 폭이 각각 7.5mm이다. 견과는 타원형이고 연갈색이며 길이 4mm 폭 2mm로서 날개와 더불어 폭 4mm이다. 열매는 9월 하순에 익으며 10월에 떨어진다. |
| 줄기 | 높이가 20m에 달하고 곧게 자라며 수피는 회갈색 또는 회색이고 흰 선점이 있고 잘게 갈라져 얇은 조각으로 떨어지며 물에 젖어도 불에 잘 탄다. 소지는 흑갈색으로서 털이 있으며 지점이 많다. |
| 뿌리 | 천근성(淺根性)이지만 넓게 신장하기 때문에 지지력이 좋다. |
| 분포 | ▶일본 만주 우수리 등에도 분포한다.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의 표고 900m이하에서 자란다.(경기 강원 이북에 주로 자라며 경북 문경새재까지 분포한다.) |
| 형태 | 낙엽활엽교목 |
| 유사종 | ▶자작나무(B. platyphylla Sukachev var. japonica Hara) : 수피가 백색이다. ▶사스래나무(B. ermanii Chamisso): 수피는 회적갈색 소지는 털이 있으나 차차 없어진다. 잎은 삼각상 난형 또는 삼각상 넓은 난형 길이 5-10㎝이다. ▶좀고채목(B. ermanii Chamisso var. saitoana Hatusima): 잎은 난형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으며 길이 5-10㎝ 뒷면 맥에 털이 |
| 특징 | 맹아력은 약하지만 햇빛이 잘 드는 곳에서는 천연하종발아가 잘 된다. |
|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
| 학명출전 | Reise Prov. Russ. Reich. 3:422 (1776) |
| 참고문헌 |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TAG •
-
Read MoreNo Image
물싸리풀
학명 : Potentilla bifurca var. glabrata Leh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장미과(Rosaceae) target=_blank>장미과(Ros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양지꽃속(Potentilla) target=_blank>양지꽃속(Potentilla)</a>
이명 : 풀매화 풀물싸리
잎 : 근생엽은 총생하며 엽병이 있고 1회우상복엽이며 소엽은 5-8쌍으로 길이 13-23mm 폭3-5mm로서 선형 또는 피침형이이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며 끝이 뾰족하다. 끝이 2가닥 난 것도 있으며 꼭대기 소엽은 3-5개로 갈라지고 표면은 털이 없거나 성글게 있으며 뒷면은 비단털이 성글게 있다. 경생엽은 어긋나며 탁엽은 엽병 밑부분에서 합착한다.
꽃 : 꽃은 6-7월에 피며 지름 1.5cm가량의 황색꽃이 줄기와 가지끝에서 취산화서로 핀다. 소화경은 길이 1.3-2.5cm로서 윗부분에서 털이 다소 밀생한다. 꽃받침잎은 5개로서 난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부악편은 피침형으로서 꽃받침보다 다소 짧고 꽃받침과 더불어 긴털이 다소 밀생하며 꽃잎은 5개이고 난원형으로 길이 4-5mm 폭 3-4mm이며 암술과 수술은 많다.
열매 : 수과에는 긴 털이 밀생한다.
줄기 : 줄기는 곧게 서거나 비스듬히 자라고 밑부분은 털이 없으나 윗부분은 다소 많다.
뿌리 : 근경은 갈색으로 가닥가닥나며 옆으로 뻗는다.
분포 : 한국 중국 몽골 러시아 극동부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
-
Read MoreNo Image
물싸리
학명 : Potentilla fruticosa var. rigida (Wall.) Th.Wolf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장미과(Rosaceae) target=_blank>장미과(Ros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양지꽃속(Potentilla) target=_blank>양지꽃속(Potentilla)</a>
잎 : 잎은 기수우상복엽이며 호생한다. 소엽은 길이 1~2cm로 긴 타원형이고 3~7개(보통5개)이며 양끝이 좁고 표면에 털이 없으며 뒷면은 회록색 잔털이 있고 가장자리가 뒤로 말리며 연모(緣毛)가 있다. 탁엽은 피침형이로서 연갈색이고 털이 있다.
꽃 : 꽃은 6-8월에 피며 지름 3cm정도로서 새가지 끝에 달리거나 2-3개가 액생하고 꽃받침열편은 난상 삼각형으로서 겉에 견모가 있으며 황록색이고 지름 1.5cm 정도로서 둥글다.
열매 : 수과는 난형으로 광택이 있으며 긴 털이 있는데 서울지방에서는 잘 결실하지 않는다.
줄기 : 높이가 1.5m에 달하고 밑에서 많은 줄기를 내어 큰 포기를 만든다. 수피는 회갈색이며 세로로 잘게 갈라지고 어린 가지에 잔털이 있다.
뿌리 : 잔근성의 뿌리가 있다.
분포 : ▶일본의 북해도 만주 시베리아 북아메리카 캐나다 등지에도 분포한다. ▶북부지방의 표고 900-2 300m에 이르는 고산지대에서 자란다.
형태 : 낙엽활엽성 관목 수형:반구형.
유사종 : ▶은물싸리(var. mandshurica Max.): 꽃이 하얗게 핀다.
특징 : 전세계적으로 많은 원예품종이 육성되어 이용되고 있고 우리 나라에서도 기본종을 이용하여 우수한 형질의 신품종 개발을 서두를 필요가 있다. 맹아력이 좋다.
-
Read MoreNo Image
물수세미
학명 : Myriophyllum verticillatum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0%9C%EB%AF%B8%ED%83%91%EA%B3%BC(Haloragaceae) target=_blank>개미탑과(Halorag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물수세미속(Myriophyllum) target=_blank>물수세미속(Myriophyllum)</a>
이명 : 금붕어풀붕어풀
잎 : 잎은 4개씩 윤생하고 우상으로 깊게 갈라지며 엽병이 없고 수중엽은 열편이 털처럼 가늘며 갈녹색이고 공기 중의 잎은 우편이 넓고 짧으며 흰빛이 도는 녹색이다.
꽃 : 꽃은 8월에 피고 연한 황색이며 물 위로 나온 엽액에 1송이씩 달려서 전체가 잎이 달린 총상화서처럼 되고 줄기 위에는 수꽃 밑에는 암꽃이 달린다. 수꽃은 꽃잎이 4장이며 길이 3mm정도로서 긴 타원형이고 수술은 8개이며 꽃잎 밖으로 나오고 꽃밥은 길이 1.5-2mm이고 암꽃의 꽃받침은 단지같으며 4개의 능선이 있고 끝이 4개로 갈라지며 자방은 하위이다.
열매 : 열매는 난상 구형이고 길이 2.5mm정도로서 꽃받침잎과 4개의 홈이 있다.
줄기 : 긴 것은 길이가 50cm에 달하고 밑부분이 땅속으로 들어가서 지하경으로 되며 위끝이 물 위로 뜨며 줄기는 길고 녹갈색이다.
분포 : 우리 나라 중부 이북
형태 : 다년생 수초
-
Read MoreNo Image
물쇠뜨기
학명 : Equisetum pratense Ehrh.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속새과(Equisetaceae) target=_blank>속새과(Equiset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속새속(Equisetum) target=_blank>속새속(Equisetum)</a>
이명 : 묏속새
잎 : 엽초의 열편끝이 투명한 막질이고 엽초의 열편은 인접열편과 연결되지 않으며 열편과 더불어 길이 6~9mm이고 열편은 긴 삼각형이다. 생식경의 엽초는 길이 5-10mm로서 연한 황록색이고 열편은 10-20개이며 피침형이고 투명한 막질이다.
열매 : 포자낭수는 길이 1.5-4cm로서 대가 있다.
줄기 : 높이 20-60cm 지름 2-3mm이며 쇠뜨기와 비슷하지만 능선위에 가지같은 잔돌기가 있고 가지는 가늘며 다시 가닥나지 않는다. 가지는 원줄기 윗부분에서 윤생하고 길이 3-10cm로서 가지가 없거나 때로 짧은 가지가 있다. 생식경은 높이 10-20cm로서 가지가 없거나 때로 짧은 가지가 있다. 생식경은 엽록소가 없이 황갈색을 띠나 포자 성숙후 녹색의 영양경으로 된다.
분포 : ▶한국 일본 중국 소련 연해주에 분포한다. ▶강원도 이북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
Read MoreNo Image
물솜방망이
학명 : Tephroseris pseudosonchus (Vaniot) C.Jeffrey & Y.L.Chen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솜방망이속(Tephroseris) target=_blank>솜방망이속(Tephroseris)</a>
이명 : 물방망이솜쑥방망이쑥방망이
잎 : 근생엽은 꽃이 필 때까지 남아 있으며 사방으로 퍼지고 선상 주걱형 또는 피침형이며 길이 8-17cm 나비 6-18mm로서 밑부분이 좁아져서 엽병의 날개로 되고 양면에 거미줄 같은 털이 있으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거나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밑부분의 잎은 근생엽과 같고 중앙부의 잎은 선형이며 밑부분이 좁아지지 않는다.
꽃 : 꽃은 5-6월에 피고 황색이며 두화는 7-30개가 산방상으로 달리고 화경은 길이 3-9cm로서 포가 없다. 총포는 컵모양이며 길이 6-7mm이고 포편은 1줄로 배열되며 피침형이고 녹색으로서 털이 없으며 가장자리가 막질이다.
열매 : 수과는 원추형이고 10개의 능선이 있으며 길이 3.5mm정도로서 털이 없다.
줄기 : 높이 55-65cm이고 곧추 자라며 가지가 없고 처음에는 거미줄 같은 털이 있다.
뿌리 : 짧고 굵은 근경 끝에서 잔뿌리가 나와 사방으로 퍼진다.
분포 : 한라산 지리산 및 높은 지대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본이다.
특징 : "습지에서 주로 자라고 잎과 줄기에 흰털이 밀생하므로 ""물솜방망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
Read MoreNo Image
물속새
학명 : Equisetum fluviatile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속새과(Equisetaceae) target=_blank>속새과(Equiset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속새속(Equisetum) target=_blank>속새속(Equisetum)</a>
이명 : 개물쇠뜨기
잎 : 엽초는 녹색으로 줄기를 단단히 싸고 열편은 침상 피침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흑색이고 끝까지 남는다.
줄기 : 줄기는 짙은 녹색이며 10~30개의 능선이 있고 줄기 속에 구멍이 지름의 4/5에 이르므로 줄기의 벽이 얇다. 가지는 전혀 없거나 짧은 가지 또는 긴 가지에 불규칙하게 나온다. 포자낭 이삭은 줄기 끝에 나고 1~2cm이며 대가 있다.
분포 : 함북(서수라 무산) 평북(강계 최가령)에 나며 일본 사할린 만주 소련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이다.
특징 : 가지의 길이 20cm 내외의 것이 불규칙하게 나는 것을 쇠물속새루 구별하기도 한다.
-
Read MoreNo Image
물석송
학명 : Lycopodium cernuum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석송과(Lycopodiaceae) target=_blank>석송과(Lycopod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석송속(Lycopodium) target=_blank>석송속(Lycopodium)</a>
이명 : 땅석송
잎 : 잎은 밀생하고 침형으로 비스듬히 처진다.
열매 : 8~9월경에 담황갈색의 포자를 형성한다.
줄기 : 지면으로부터 길게 뻗으면서 약 15~25cm 곧추 선다.
분포 : 한라산 흑산도 울릉도 일본 중국 아프리카 등지에서 자란다.
-
Read MoreNo Image
물삿갓사초
학명 : Carex rostrata var. borealis Kuk.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사초과(Cyperaceae) target=_blank>사초과(Cyper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사초속(Carex) target=_blank>사초속(Carex)</a>
이명 : 물사갓사초
분포 : 한반도(북부) 일본 러시아 유럽
특징 : 기본종인 큰물삿갓사초에 비하여 암소수는 보다 가늘며 자화영은 색이 더 진하고 끝은 뾰족하며 과포는 보다 더 작다(길이 약 3mm).
-
Read MoreNo Image
물사초
학명 : Carex oligosperma Michx.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사초과(Cyperaceae) target=_blank>사초과(Cyper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사초속(Carex) target=_blank>사초속(Carex)</a>
잎 : 잎은 안으로 접히며 폭 1-1.5㎜이고 잿빛이 돈다.
꽃 : 소수는 2-3개이고 웅소수는 정생하며 선형이고 길이 2-3㎝로서 흑색이며 화경이 길다. 자소수는 1-2개이고 옆에 달리며 긴 타원형 또는 구형이고 길이 7-13mm로서 서로 떨어지며 곧추선다. 포는 잎같고 초가 없으며 암꽃의 포영은 넓은 타원형이고 흑색이며 가장자리가 백색 막질이고 끝이 둥글다. 암술대는 꾸불꾸불하며 암술머리는 3개이다.
열매 : 포과는 포영보다 길며 비스듬히 퍼지고 막질로서 황록색이며 난상 원형이고 부풀며 흑색점이 있고 털이 없으며 윤채가 있고 맥이 거의 없으며 밑부분은 둥글고 부리는 짧으며 끝이 파진다. 수과이며 삼각상 넓은 도란형이다.
줄기 : 높이 20-30cm이다.
뿌리 : 근경은 옆으로 뻗는다.
분포 : 북부지역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
Read MoreNo Image
물부추
학명 : Isoetes japonica A.Braun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물부추과(Isoetaceae) target=_blank>물부추과(Isoet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물부추속(Isoetes) target=_blank>물부추속(Isoetes)</a>
이명 : 물솔
잎 : 잎은 총생하고 짙은 녹색이며 사각상 원주형이고 길이 10-30cm로서 잔잔한 물속에서는 곧추선다. 잎의 밑부분은 흰색이고 넓으며 난형으로 퍼지고 큰 잎은 길이 15mm 폭 10mm이며 가장자리가 얇은 막질이다.
열매 : 근경의 홈 안쪽에 포자낭이 달리고 바로 위에 피침형의 설엽(舌葉)이 있다. 큰 포자낭은 바깥쪽 잎에 작은 포자낭은 안쪽 잎에 달리며 모두 피막이 없고 큰 포자낭 밖에는 규칙적인 구멍이 있어 벌집같이 보인다.
뿌리 : 근경은 짧고 흑색이며 지름 1-5cm되는 덩어리이고 밑이 3개로 갈라져서 홈이 지는데 홈에서 백색 뿌리가 내린다.
분포 : 경기도 평택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수생식물).
특징 : 양치식물이지만 잎이 부추 속 식물을 닮았다.
-
Read MoreNo Image
물봉선
학명 : Impatiens textori var. textor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봉선화과(Balsaminaceae) target=_blank>봉선화과(Balsamin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물봉선속(Impatiens) target=_blank>물봉선속(Impatiens)</a>
이명 : 물봉숭아불봉숭
잎 : 잎은 호생하며 넓은 피침형이고 끝은 뾰족하고 기부는 좁아져서 엽병에 이르며 엽병을 제외한 길이 6~15cm 폭은 3~7cm로서 가장자리에 예리한 톱니가 있고 화서의 잎은 엽병이 거의 없다.
꽃 : 총상화서는 가지 윗부분에 달리며 소화경은 화서축과 더불어 밑으로 굽고 붉은빛이 도는 육질의 털이 있으며 꽃은 8-9월에 피고 홍자색이며 꽃잎은 모두 3개인데 양쪽에 있는 큰 꽃잎은 길이 3cm이고 거는 넓으며 자주색 반점이 있고 끝이 안으로 말린다. 꽃받침 잎은 3개 수술은 5개이며 꽃밥은 합쳐지고 암술은 1개이다. 꽃 아래 1편은 주머니 모양이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 피침형이고 길이 1-2cm로서 익으며 탄력적으로 터지면서 종자는 튀어 나가고 과피가 말린다.
줄기 : 높이가 60cm에 달하고 털이 없으며 유연하고 원줄기는 곧추 자라며 육질에 가깝고 마디는 불룩하게 나온다.
뿌리 : 마디 뿌리가 있다.
분포 : 한국 일본 중국 러시아연해주 등에 분포한다. 전국 각처에서 자란다.
형태 : 일년생 초본으로 관화식물이다.
유사종 : ▶노랑물봉선(I. nolitangere L.) ▶미색물봉선(I. noli-tangere L. for. pallida Herman) ▶가야물봉선(I. texrorii Miq. for. atrosanguinea T. Lee ) : 흑자색 꽃이 핀다. ▶흰물봉선(I. textorii Miq. pallescens Hara)
-
Read MoreNo Image
물별이끼
학명 : Callitriche palustris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별이끼과(Callitrichaceae) target=_blank>별이끼과(Callitrich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별이끼속(Callitriche) target=_blank>별이끼속(Callitriche)</a>
이명 : 긴잎별이끼 물자리풀
잎 : 잎은 대생하고 수중엽은 선형으로 길이 7~15mm 나비 1~1.5mm이며 1맥이 있고 수상엽은 주걱상 도란형 또는 장 타원형으로 길이 6~12mm 나비 3~5mm이며 끝은 둥글거나 파지고 밑은 좁아지며 3맥이 있다.
꽃 : 꽃은 7~8월에 백색으로 피고 잎짬에 1개씩 달리며 양측에 1쌍의 막질인 포가 있다. 꽃받침과 꽃잎은 없으며 수꽃은 수술 1개 암꽃은 암술 1개로 되고 암술대는 2개이다.
열매 : 과실은 삭과로 타원형이고 끝이 약간 파지며 가장자리에 좁은 날개가 있다.
줄기 : 줄기는 가늘다.
분포 : 제주 강원(강릉) 함북에 나며 일본 만주 사할린 캄차카에서부터 북반구에 분포한다.
형태 : 1년초
특징 : 줄기는 물속에서 길게 자라서 잎이 물 위에 뜬다.
-
Read MoreNo Image
물벼룩이자리
학명 : Elatine triandra Schkuhr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물별과(Elatinaceae) target=_blank>물별과(Elatin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물별속(Elatine) target=_blank>물별속(Elatine)</a>
이명 : 개물별꽃 물별
잎 : 잎은 대생하고 넓은 피침형 또는 좁은 난형이며 길이 5~10mm 폭 2~3mm 로서 끝이 둔하고 밑부분이 좁아져서 짧은 엽병처럼 되며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측맥은 2-3쌍이며 끝까지 닿고 탁엽은 막질 삼각상 난형 결각상 톱니가 있고 소형이다.
꽃 : 꽃은 6-8월에 피며 연한 홍색이고 지름 1mm로서 엽액에 1개씩 달리며 화경이 짧다. 꽃받침잎은 3개 또는 1개이고 난형으로서 끝이 둔하며 밑부분이 합쳐지고 꽃잎은 3개이며 타원형으로서 끝이 둔하고 꽃받침보다 길며 수술과 암술대는 각 3개이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 납작한 구형이고 3실이며 지름 2mm정도이고 막질이며 종자는 다수이고 긴 타원형으로서 약간 굽으며 길이 0.5mm정도이고 그물같은 무늬가 있다. 전체가 물 속에 잠긴 것은 다소 대형 폐쇄화로 결실.
줄기 : 길이 3-10cm 이며 원줄기는 원주형이고 옆으로 뻗으면서 군데군데 뿌리가 내리며 가지가 갈라진다.
분포 : 부산 경상 북도 일월산 경기도 주안
형태 : 1년초.
-
Read MoreNo Image
물뱀고사리
학명 : Athyrium fallaciosum Mild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C%AC%EB%A6%AC%EA%B3%A0%EC%82%AC%EB%A6%AC%EA%B3%BC(Aspleniaceae) target=_blank>꼬리고사리과(Asplen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꼬리고사리속(Asplenium) target=_blank>꼬리고사리속(Asplenium)</a>
이명 : 북도뱀고사리 산뱀고사리
잎 : 엽병은 길이 7~15cm로 표면에 홈이 파지고 녹색이며 밑부분은 흑색이고 기부에 선형의 인편이 밀생한다. 엽신은 길이 12~17cm로 장타원형이며 1회 우상으로 째지고 중앙부가 가장 넓다. 우편은 가장 긴 것이 2.5~3cm이고 대가 없으며 우상으로 깊이 갈라지고 끝이 뾰족하다. 열편은 난형 또는 타원형이고 가장자리에 겹톱니가 있으며 맥이 우상으로 갈라진다.
열매 : 포자낭군은 열편 뒤에 나며 포막은 길거나 갈고리형 등 변이가 있다.
분포 : 함북(주을 관모봉)에 나며 만주 중국 몽고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이다.
-
Read MoreNo Image
물방동사니
학명 : Cyperus glomeratus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사초과(Cyperaceae) target=_blank>사초과(Cyper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방동사니속(Cyperus) target=_blank>방동사니속(Cyperus)</a>
이명 : 물방동산이 진들방동사니 흐리방동사니
잎 : 엽초는 헐겁게 줄기를 감싸며 막질이고 황갈색이다. 엽신은 선형으로 길이 5-10cm 폭 3-6mm이다.
꽃 : 꽃은 9-10월에 피며 포는 3-4개로서 잎같고 화서보다 훨씬 길어 10cm에 이르는 것도 있으며 가지는 3-5개로서 긴 것은 길이가 10cm에 달한다. 화수는 긴 난형이고 길이 3-4cm로서 3-5개의 소수가 가지끝에 모여 달리며 소수는 비스듬히 서고 짙은 구릿빛이 도는 갈색이며 길이 5-10mm 폭 1.5mm정도로서 편평한 선형이고 10-20개의 꽃이 달린다. 인편은 긴 타원형이며 끝이 다소 둔하고 뒷면의 능선이 약간 뾰족하다. 수술은 3개이다.
열매 : 수과는 피침상 3능형으로 길이 1mm 폭 0.5mm 정도이고 다소 편평하며 회갈색으로 익는다.
줄기 : 높이 30-90cm이며 둔하게 세모지고 곧추서며 털이 없다.
뿌리 : 근경은 다소 총생하며 수염뿌리가 있다.
분포 : ▶한국 중국 일본 러시아 유럽에 분포한다. ▶전국에 분포한다.
형태 : 1년초이다.
-
Read MoreNo Image
물박달나무
학명 : Betula davurica Pal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자작나무과(Betulaceae) target=_blank>자작나무과(Bet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자작나무속(Betula) target=_blank>자작나무속(Betula)</a>
이명 : 박달나무 사스래나무 째작나무
잎 : 잎은 호생하며 난형이고 첨두이며 예저 또는 아절저이고 길이 3-8cm 폭 3-5cm로서 불규칙한 톱니 또는 치아상의 복거치(復鋸齒)가 있으며 표면은 맥 위에 털이 있고 녹색이며 뒷면에는 지점(脂點)이 많고 맥위에 잔털이 있으며 황록색이고 6-8쌍의 측맥이 뚜렷하고 엽병은 길이 5-15mm로서 털이 있다.
꽃 : 꽃은 자웅일가화이고 5월에 피며 수상화서로 웅화수는 아래로 처지고 수꽃이삭은 길이 6-7cm이며 밑으로 드리운다. 암꽃이삭은 곧게 서고 길이 2-3cm로서 긴 타원형이며 인편은 털이 없고 광택이 나며 윗부분이 얕게 3개로 갈라진다. 포는 갈색으로서 연모(緣毛)가 있고 자화수는 곧추서며 원통형으로 길이 4cm 폭 1.2-1.5cm이고 포는 갈색이다.
열매 : 과수는 길이 3-4cm로서 원통형이며 실편(實片)은 길이와 직경이 각각 8mm로서 실편의 중앙열편은 긴 타원형 또는 넓은 피침형이고 측편은 신장형 난형 또는 원형이며 실편은 길이와 폭이 각각 7.5mm이다. 견과는 타원형이고 연갈색이며 길이 4mm 폭 2mm로서 날개와 더불어 폭 4mm이다. 열매는 9월 하순에 익으며 10월에 떨어진다.
줄기 : 높이가 20m에 달하고 곧게 자라며 수피는 회갈색 또는 회색이고 흰 선점이 있고 잘게 갈라져 얇은 조각으로 떨어지며 물에 젖어도 불에 잘 탄다. 소지는 흑갈색으로서 털이 있으며 지점이 많다.
뿌리 : 천근성(淺根性)이지만 넓게 신장하기 때문에 지지력이 좋다.
분포 : ▶일본 만주 우수리 등에도 분포한다.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의 표고 900m이하에서 자란다.(경기 강원 이북에 주로 자라며 경북 문경새재까지 분포한다.)
형태 : 낙엽활엽교목
유사종 : ▶자작나무(B. platyphylla Sukachev var. japonica Hara) : 수피가 백색이다. ▶사스래나무(B. ermanii Chamisso): 수피는 회적갈색 소지는 털이 있으나 차차 없어진다. 잎은 삼각상 난형 또는 삼각상 넓은 난형 길이 5-10㎝이다. ▶좀고채목(B. ermanii Chamisso var. saitoana Hatusima): 잎은 난형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으며 길이 5-10㎝ 뒷면 맥에 털이
특징 : 맹아력은 약하지만 햇빛이 잘 드는 곳에서는 천연하종발아가 잘 된다.
-
Read MoreNo Image
물미나리아재비
학명 : Ranunculus gmelini DC.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target=_blank>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미나리아재비속(Ranunculus) target=_blank>미나리아재비속(Ranunculus)</a>
이명 : 구베리미나리아재비
잎 : 잎은 줄기 마디에 1장씩 달리고 엽병은 2cm가량이며 엽신은 3-5개로 가늘게 갈라져 장상으로 이룬다.
꽃 : 꽃은 6-7월에 피고 황색이다. 꽃받침은 5개이고 난형이며 길이 3mm이고 꽃잎은 긴 타원형이며 길이 4mm이다. 수술과 암술은 다수이다.
줄기 : 줄기는 가늘고 가지를 치며 땅 속을 기고 군생한다.
분포 : 북부 지방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
Read MoreNo Image
물머위
학명 : Adenostemma lavenia (L.) Kuntz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물머위속(Adenostemma) target=_blank>물머위속(Adenostemma)</a>
이명 : 진득찰아재비
잎 : 잎은 대생하며 밑부분의 것은 작고 중앙부의 것은 난형 또는 난상 타원형이며 길이 4-20cm 나비 3-12cm로서 양면에 잔털이 있고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으며 엽병은 길이 1-6cm이다.
꽃 : 꽃은 9-10월에 피고 백색이며 두화는 원줄기와 가지 끝에 취산상으로 달리고 화경이 있으며 총포는 길이 4mm이고 포편은 2줄로 배열되며 밑부분이 합쳐지고 비슷한 길이로서 긴 타원형이며 끝이 둥글고 나중에 젖혀진다.
열매 : 수과는 길이 4mm 지름 1mm정도로서 도피침형이며 끝이 둥글고 선점이 있다.
줄기 : 높이 30-100cm이고 원줄기는 밑부분이 굽어서 뿌리가 내리며 윗부분에 잔털이 있고 다소 가지가 갈라진다.
분포 : 남부 해안 근처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초본
-
Read More
물매화
학명 : Parnassia palustris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범의귀과(Saxifragaceae) target=_blank>범의귀과(Saxifrag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물매화속(Parnassia) target=_blank>물매화속(Parnassia)</a>
이명 : 물매화풀 풀매화
잎 : 근생엽은 엽병이 길고 원심형이며 길이와 폭이 각각 10-35mm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경생엽은 기부에 엽병이 없으며 원줄기를 감싼다.
꽃 : 화경(花莖)은 길이 7-45cm로서 털이 없고 능선이 다소 있으며 중앙부에는 1개의 잎 끝에는 1개의 꽃이 달린다. 꽃은 7-8월에 피고 지름 2-2.5cm로서 백색이며 꽃은 하늘을 향하여 핀다. 꽃받침잎은 5개로서 녹색이고 긴 타원형이다. 꽃잎은 넓은 난형 또는 타원형이며 길이 7-10mm로서 수평으로 퍼진다. 수술은 5개이며 밖을 향한 꽃밥이 달리고 수술대는 처음에는 자방에 기대었다가 교대로 밖으로 굽으며 헛수술은 5개로서 끝이 12-22개로 갈라
열매 : 삭과는 길이 10-12mm로서 넓은 난형이고 8월부터 익어 4조각으로 갈라져 많은 종자를 쏟아낸다.
줄기 : 경생엽은 기부에 엽병이 없고 꽃대 줄기를 싸고 붙어있다.
뿌리 : 잔뿌리가 사방으로 뻗는다.
분포 : ▶한국 일본 중국 북아메리카 유럽 몽고 등지에 분포한다. ▶전국 산지의 산록에서 자라고 고산지대에서도 자란다.
형태 : 숙근성 다년초
유사종 : 애기물매화(P. alpicola Makino)는 한라산 중턱 이상의 습지에서 자생한다.
특징 : 산챠도 애호가들에 의해 재배 관상한다.
-
Read MoreNo Image
물망초
학명 : Myosotis alpestris F.W.Schmidt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지치과(Boraginaceae) target=_blank>지치과(Boragin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개꽃마리속(Myosotis) target=_blank>개꽃마리속(Myosotis)</a>
잎 : 잎은 어긋나고 긴 타원형이다.
꽃 : 봄 여름에 남색의 작은 꽃이 줄기 끝에 총상(總狀) 꽃차례로 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