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명 | Azolla imbricata (Roxb.) Nakai |
|---|---|
| 과명 | 생이가래과(Salviniaceae) |
| 속명 | 물개구리밥속(Azolla) |
| 잎 | 잎은 엽병이 없고 2개로 갈라지며 줄기 뒷면 하반부와 더불어 소돌기가 많이 돋아 있고 열편은 가장자리가 반투명한 막질이며 삼각상 원두 또는 둔두이다. 잎표면이 붉고 특히 겨울철에는 그 색이 짙어 만강홍이라고도 한다. 뒷면 잎 사이에 작은 포자낭이 달리며 백색 바탕에 붉은 빛이 돈다. |
| 줄기 | 원줄기는 우상으로 갈라져 전체가 삼각형 비슷하게 되며 길이 1-1.5㎝이다. |
| 뿌리 | 물에 잠긴 원줄기에서는 많은 뿌리가 내리고 뿌리털이 있다. |
| 분포 | 남부 및 제주도 등지에 분포한다. |
| 형태 | 수생 상록 다년초 |
| 유사종 | ▶큰물개구리밥(A. japonica FR. et Sav.): 물개구리밥과 비슷하지만 보다 크고 적녹색이 돌며 엽면에 돌기가 적고 뿌리에 뿌리털이 없는 특징이 있다. |
|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
| 학명출전 | Bot. Mag. (Tokyo) 39 : 185 (1925) |
|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3) 한국동식물도감 제16권 식물편(양치식물) (박만규, 1975)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5) 한국양치식물지 (박만규, 1961) |
-
Read MoreNo Image
큰물개구리밥
학명 : Azolla japonica Franch. & Sav.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생이가래과(Salviniaceae) target=_blank>생이가래과(Salvin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물개구리밥속(Azolla) target=_blank>물개구리밥속(Azolla)</a>
이명 : 분개구리밥
잎 : 잎은 엽병이 없고 2개로 갈라지며 엽면에 돌기가 적다. 열편은 가장자리가 반투명한 막질이며 삼각상 원두 또는 둔두이다. 잎 표면이 붉고 특히 겨울철에는 그 색이 짙어 만강홍이라고도 한다.
열매 : 뒷면 잎 사이에 작은 포자낭이 달리며 백색 바탕에 붉은빛이 돈다.
줄기 : 원줄기는 우상으로 갈라져 전체가 삼각형 비슷하게 되며 길이가 1-1.5㎝이다. 물에 잠긴 원줄기에서는 많은 뿌리가 내린다. 줄기 뒷면 하반부에 많은 소돌기가 돋아 있다.
뿌리 : 실같은 뿌리가 생기며 뿌리에는 뿌리털이 없다.
분포 : 남부지방에서 자란다.
형태 : 상록다년초이다.
유사종 : ▶물개구리밥(A. imbricata (Roxb.) Nakai)
특징 : 물개구리밥보다 크고 적녹색이 돈다.
-
Read MoreNo Image
생이가래
학명 : Salvinia natans (L.) Al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생이가래과(Salviniaceae) target=_blank>생이가래과(Salvin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생이가래속(Salvinia) target=_blank>생이가래속(Salvinia)</a>
잎 : 마디에 잎이 3개씩 윤생하는데 그 중 2개는 대생하여 물위에 뜨는 부수엽(浮水葉)으로서 중륵과 측맥이 있으나 1개는 물속에 잠기며 잘게 갈라져서 양분을 흡수하는 뿌리의 역할을 한다. 부수엽은 엽병이 길이 2mm로 짧고 중축 좌우에 우상으로 배열되며 타원형으로서 길이 1-1.5cm 폭 6-10mm이고 끝이 둥글며 밑부분은 심장저 또는 원저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양면에 원줄기와 더불어 잔털이 있다. 표면은 녹색으로 측맥에 돌기가 있다. 잎 뒷면은 회갈색
열매 : 대소포자과(大小胞子果)는 침수엽의 목에 달린다. 대포자과는 보다 크고 그 속에서 많은 소포자낭이 생긴다.
줄기 : 수면 전체를 덮어버릴 정도로 퍼지며 줄기는 가늘고 길이 7~10cm이며 털이 많고 가지가 다소 갈라진다.
뿌리 : 뿌리는 없다.
분포 : ▶한국 중국 일본 중앙아시아 동남아 유럽 등지에 분포한다. ▶중부 남부 및 제주도 등지에 분포한다.
형태 : 1년초이다.
-
Read MoreNo Image
물개구리밥
학명 : Azolla imbricata (Roxb.)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생이가래과(Salviniaceae) target=_blank>생이가래과(Salvin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물개구리밥속(Azolla) target=_blank>물개구리밥속(Azolla)</a>
잎 : 잎은 엽병이 없고 2개로 갈라지며 줄기 뒷면 하반부와 더불어 소돌기가 많이 돋아 있고 열편은 가장자리가 반투명한 막질이며 삼각상 원두 또는 둔두이다. 잎표면이 붉고 특히 겨울철에는 그 색이 짙어 만강홍이라고도 한다. 뒷면 잎 사이에 작은 포자낭이 달리며 백색 바탕에 붉은 빛이 돈다.
줄기 : 원줄기는 우상으로 갈라져 전체가 삼각형 비슷하게 되며 길이 1-1.5㎝이다.
뿌리 : 물에 잠긴 원줄기에서는 많은 뿌리가 내리고 뿌리털이 있다.
분포 : 남부 및 제주도 등지에 분포한다.
형태 : 수생 상록 다년초
유사종 : ▶큰물개구리밥(A. japonica FR. et Sav.): 물개구리밥과 비슷하지만 보다 크고 적녹색이 돌며 엽면에 돌기가 적고 뿌리에 뿌리털이 없는 특징이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