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명 | Arabis lyrata L. |
|---|---|
| 과명 | 십자화과(Cruciferae) |
| 속명 | 장대나물속(Arabis) |
| 이명 | 멧장대 |
| 잎 | 근생엽은 총생하며 도피침형이고 엽병과 더불어 길이 2~5cm 폭 1-5cm로서 우상으로 깊게 갈라지며 양면에 2~3개로 갈라진 털이 있다. 경생엽은 넓은 피침형 또는 선형이고 밑부분이 좁으며 길이 1~4cm 폭 1-10mm로서 밑부분의 것은 치아상의 톱니가 있으나 윗부분의 것은 밋밋하고 양면에 털이 없다. |
| 꽃 | 꽃은 4-8월에 피며 총상화서에 달리고 꽃받침잎은 녹색이며 길이 2-3.5mm로서 타원형이고 꽃잎은 백색 또는 연홍색이며 도란형이고 길이 4-6mm이다. |
| 열매 | 열매는 장각으로 길이 3-4cm 폭 1mm로서 위를 향하며 소과경은 길이 6-10mm로서 퍼지고 암술대는 길이 0.5mm정도이다. 종자는 편평한 타원형이며 길이 1-1.2mm로서 끝 부근에 좁은 날개가 있다. |
| 줄기 | 높이 15-35cm이며 밑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진다. |
| 분포 | 전국 각처의 산지에서 자란다. |
| 형태 | 다년생 초본 |
| 특징 | 큰산장대와 비슷하지만 각과가 길고 꽃이 핀 다음에서 곧추서서 새싹이 생기지 않는 것이 다르다. |
|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
| 학명출전 | Syst. veg. 2: 231 (1821) |
| 참고문헌 | 1)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TAG •
-
Read MoreNo Image
무궁화
학명 : Hibiscus syriacus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아욱과(Malvaceae) target=_blank>아욱과(Malv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무궁화속(Hibiscus) target=_blank>무궁화속(Hibiscus)</a>
이명 : 목근화 무궁화나무
잎 : 잎은 호생하며 난형 또는 능형 비슷한 난형이고 다소 3개로 갈라져서 첨두로 되며 넓은 예저 또는 원저이고 표면에 털이 없으며 기부에 3개의 큰 맥이 있고 길이 4-8cm 너비 2-5cm로서 뒷면 맥 위에 털이 있으며 가장자리는 둔한 또는 예리한 톱니가 있고 엽병은 길이 5-15mm이며 탁엽은 선형으로 길이 6mm이다.
꽃 : 꽃은 8-9월에 피며 1개씩 달리고 짧은 화경이 있으며 지름 6-10cm로서 보통 분홍색 내부에 짙은 홍색이 도는 것이 흔하나 개량된 것에는 순백색 분홍 등도 있고 겹꽃의 순백색과 청색에 가까운 것도 있다. 꽃은 정단에 단생 또는 액생하고 화경은 길이 4-14mm이며 소포편은 6-8개로 선형이고 화통은 종 모양으로 길이 15-20mm이다. 꽃받침잎은 난상 피침형이고 성모가 있으며 외부에 꽃받침보다 짧은 선상의 외악이 있고 꽃잎은 도란형이며 5개가
열매 : 열매는 삭과로 긴 타원형으로서 둔두이며 5실이고 포배개열되어 5개로 갈라지며 지름 1.2cm로서 황색의 성상모가 밀생하고 10월에 성숙한다. 종자는 편평하며 긴 털이 있다.
줄기 : 수피는 회색이며 어린 가지에 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지고 섬유질로 되어 질기며 잘 꺾여지지 않는 특색이 있다.
분포 : ▶중국 인도 시베리아에 분포한다. ▶깊은 심산을 제외한 전지역에 식재하고 있다.
형태 : 낙엽활엽소교목
유사종 : 꽃색에 따라 흰무궁화 단심무궁화 등이 있고 꽃잎의 수에 따라 여러 품종으로 나뉜다.
특징 : 우리나라 국화이다. 아침이슬을 머금고 청초하게 피는 5개의 붉고 하얀 꽃잎과 자방으로부터 흘러나오는 정열적인 붉은색은 세계속으로 발전하는 우리 민족의 기상을 상징한다고 할 수 있다.
-
Read MoreNo Image
무
학명 : Raphanus sativus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십자화과(Cruciferae) target=_blank>십자화과(Crucifer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무속(Raphanus) target=_blank>무속(Raphanus)</a>
이명 : 갯무 무시 무아재비 무우
잎 : 근생엽은 장타원형의 1회 우상복엽이며 털이 있고 정생열편이 가장 크다.
꽃 : 화경(花莖)은 길이 1m정도 자란 다음에 가지를 치며 그 밑에서 총상화서가 발달하고 꽃은 4-5월에 피며 연한 자주색 또는 거의 백색이고 십(十)자형으로 배열되며 소화경이 있다. 꽃받침잎은 길이 7mm로서 선상 긴 타원형이고 꽃잎은 넓은 도란상 쐐기형이며 꽃받침보다 2배 정도 길며 1개의 암술과 4강웅예(4强雄蘂)가 있으며 수술대 밑에 소선체(小腺體)가 있다.
열매 : 각과는 길이 4-6cm로서 터지지 않으며 그 안에 적갈색의 종자가 들어 있다. 종자를 내복자라고 한다.
줄기 : 뿌리의 윗부분은 줄기이지만 경계가 뚜렷하지 않다.
뿌리 : 뿌리는 비대한 원주형이다. 뿌리가 디아스타제가 들어 있다.
분포 : 한국 일본 중국 기타 세계 각국에 분포한다.
형태 : 1년초 또는 2년초이다.
유사종 : ▶갯무(for. raphanistroides MAKINO) : 뿌리가 보다 가늘고 딱딱하며 잎도 보다 작으며 바닷가에서 자란다.
-
Read MoreNo Image
묘향분취
학명 : Saussurea myokoensis Kita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취나물속(Saussurea) target=_blank>취나물속(Saussurea)</a>
이명 : 묘향산분취
잎 : 근엽은 화시에 마르고 경엽은 호생하며 하엽은 난형 또는 난상 장 타원형으로 길이 6.5~9cm이고 밑이 심형이고 중앙부 이하는 우상으로 깊이 갈라지나 윗부분은 치아상 톱니가 있으며 엽병은 길이 3.5~11cm이다. 위로 올라갈수록 점차 작아지며 엽병이 없어진다.
꽃 : 꽃은 8월에 자색으로 피고 지름 15mm의 두화가 총상 또는 2~3회 총상으로 달리며 화경은 길이 1.5~4cm이다. 총포는 길이 18~20mm이고 포편은 4열이며 외편은 피침상 선형으로 꼬리처럼 길다. 통상화는 길이 11~12mm이다.
열매 : 수과는 길이 5mm이며 관모는 2열이다.
줄기 : 줄기는 곧추 서며 능선과 거미줄 같은 털이 있다.
뿌리 : 근경은 목질이다.
분포 : 함북
형태 : 다년초이다.
특징 : 잎이 많이 달리고 3각형으로 끝이 매우 뾰족하며 두화가 1~2개이다.
-
Read MoreNo Image
묏황기
학명 : Hedysarum alpinum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콩과(Leguminosae) target=_blank>콩과(Leguminos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묏황기속(Hedysarum) target=_blank>묏황기속(Hedysarum)</a>
이명 : 멧황기시베리아황기자주나도황기
잎 : 잎은 호생하고 1회우상복엽이며 소엽은 9-17개이고 난상 피침형 또는 긴 타원형이며 길이 1-3cm 나비 5-8mm로서 털이 없고 탁엽이 원줄기를 감싸며 2개로 갈라진다.
꽃 : 꽃은 8월에 피고 연한 자주색이며 총상화서에 달리고 소포는 길이 3mm 나비 1mm로서 소화경보다 짧으며 끝까지 남아 있다.
열매 : 열매는 협과로 납작한 선형이지만 잘록하게 마디가 지고 털이 없으며 길이 1~3cm 나비 5mm로서 짧은 과병이 있고 마디사이가 타원형이며 종자가 1개씩 들어 있다.
분포 : 백두산 지역에서부터 북부지방에 걸쳐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특징 : 묏황기란 산에서 자라는 황기라는 뜻이고 미국에서는 관상용으로 심고 있다.
-
Read MoreNo Image
묏풀사초
학명 : Carex capillaris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사초과(Cyperaceae) target=_blank>사초과(Cyper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사초속(Carex) target=_blank>사초속(Carex)</a>
이명 : 메풀사초 뫼폴사초
잎 : 잎은 화경보다 짧고 편평하며 폭 1-1.5㎜이다. 밑부분의 엽초는 갈색이고 일부분에 자줏빛이 돌며 섬유상으로 갈라진다.
꽃 : 화경(花莖)은 높이 10-20cm로서 둔한 삼각형이고 밋밋하며 끝이 밑으로 처진다. 소수(小穗)는 3-4개이고 웅화수(雄花穗)는 끝에 달리며 선상 피침형으로서 실같은 대가 있고 자화수는 옆에 달리며 긴 타원형이고 많은 꽃이 드물게 달리며 길이 8-20mm 지름 2.5mm로서 실같은 대가 있어 밑으로 처지고 윗부분의 1-2개는 웅화수보다 길게 자라 서로 접근하지만 밑부분의 것은 떨어져 있다. 첫째 포에는 긴 엽초가 있으며 자화영(雌花穎)은 난형 또는 도
열매 : 과포는 포영보다 길며 곧추서고 막질이며 둔하게 세모진 좁은 난형이고 길이 3-3.5mm로서 녹색이며 2개의 늑맥외에는 맥이 없고 윤채가 있으며 밑부분이 짧은 대로 되고 부리끝은 투명한 막질로 약간 파진다. 수과는 밀착하며 길이 1.7㎜정도로서 세모진 타원형이다.
뿌리 : 근경이 짧다.
분포 : 북부 고산지역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
Read MoreNo Image
묏장대
학명 : Arabis lyrata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십자화과(Cruciferae) target=_blank>십자화과(Crucifer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장대나물속(Arabis) target=_blank>장대나물속(Arabis)</a>
이명 : 멧장대
잎 : 근생엽은 총생하며 도피침형이고 엽병과 더불어 길이 2~5cm 폭 1-5cm로서 우상으로 깊게 갈라지며 양면에 2~3개로 갈라진 털이 있다. 경생엽은 넓은 피침형 또는 선형이고 밑부분이 좁으며 길이 1~4cm 폭 1-10mm로서 밑부분의 것은 치아상의 톱니가 있으나 윗부분의 것은 밋밋하고 양면에 털이 없다.
꽃 : 꽃은 4-8월에 피며 총상화서에 달리고 꽃받침잎은 녹색이며 길이 2-3.5mm로서 타원형이고 꽃잎은 백색 또는 연홍색이며 도란형이고 길이 4-6mm이다.
열매 : 열매는 장각으로 길이 3-4cm 폭 1mm로서 위를 향하며 소과경은 길이 6-10mm로서 퍼지고 암술대는 길이 0.5mm정도이다. 종자는 편평한 타원형이며 길이 1-1.2mm로서 끝 부근에 좁은 날개가 있다.
줄기 : 높이 15-35cm이며 밑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진다.
분포 : 전국 각처의 산지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특징 : 큰산장대와 비슷하지만 각과가 길고 꽃이 핀 다음에서 곧추서서 새싹이 생기지 않는 것이 다르다.
-
Read MoreNo Image
묏억새
학명 : Miscanthus sinensis var. ionandros (Nakai) Y.N.Le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벼과(Gramineae) target=_blank>벼과(Gramin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억새속(Miscanthus) target=_blank>억새속(Miscanthus)</a>
꽃 : 화서는 부채 모양이고 원추화서의 가지는 길이 30-40㎝이며 작은이삭은 길이 6-8㎜이다. 제1호영은 좁고 3맥이다. 등에 긴 연모가 있다. 제2호영은 등에 털이 없다.
줄기 : 키는 3-3.6m이고 마디에 긴 연모가 있다.
-
Read MoreNo Image
묏미나리
학명 : Ostericum sieboldii (Miq.)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산형과(Umbelliferae) target=_blank>산형과(Umbellifer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묏미나리속(Ostericum) target=_blank>묏미나리속(Ostericum)</a>
이명 : 메미나리멧미나리
잎 : 잎은 호생하고 2~3회 3출 우상복엽이며 길이 10~40cm이고 엽병은 위로 갈수록 짧아지며 밑부분이 넓어져 줄기를 감싸고 윗부분의 잎은 퇴화되고 엽병이 엽초로 된다. 소엽은 난형으로 끝이 뾰족하고 간혹 2~3개로 깊이 갈라지며 가장자리에 거치가 있다.
꽃 : 꽃은 8~9월에 흰색으로 피고 가지와 줄기 끝에 복산형화서로 달리며 소산경은 15~20개이고 소화경과 더불어 안쪽에 잔돌기가 있다. 총포는 없거나 1~2개이고 소총포는 5~6개로 피침형이며 가장자리는 막질이다.
열매 : 열매는 분과로 편평한 타원형이다.
형태 : 다년초이다.
-
Read MoreNo Image
묏대추나무
학명 : Zizyphus jujuba Mill. var. jujuba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0%88%EB%A7%A4%EB%82%98%EB%AC%B4%EA%B3%BC(Rhamnaceae) target=_blank>갈매나무과(Rhamn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대추나무속(Zizyphus) target=_blank>대추나무속(Zizyphus)</a>
이명 : 메대추묏대추 산대추산대추나무 살매나무
잎 : 잎은 호생하고 난형(卵形)이며 윤채가 있고 예두 또는 둔두이며 원저이고 길이 2~6cm 나비 1-2.5cm로서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으며 기부에서 3개의 큰 맥이 발달한다. 엽병은 길이 1-5mm이고 탁엽은 흔히 길이 3cm의 가시로 변한다.
꽃 : 꽃은 양성으로서 5-6월에 피며 지름 5-6mm이고 5수이며 연한 녹색이고 액생하는 취산화서에 2-3개씩 달리며 잔꽃이고 화경이 짧다.
열매 : 핵과는 구형(球形) 또는 타원형이고 길이 1.5-2.5cm로서 9-10월에 암갈색으로 익는다. 열매는 먹을 수 있으나 대추나무에 비하여 과육이 적다.
줄기 : 가지 끝과 잎 뒷면에 털이 약간 있고 소지는 한군데에서 여러 개가 나오며 일부가 떨어진다. 수피는 회색으로 평활하며 대추나무처럼 표피가 벗겨지지 않는다.
분포 : 표고 100~500m 수평적으로 전남 전북 강원 충남 경기 황해 평남 함남 함북에서 재배한다. ▶남유럽 중국 만주 몽고에 분포한다.
형태 : 낙엽 활엽 소교목
유사종 : ▶대추나무(var.inermis Rehder) : 키가 크고 탁엽이 변한 가시는 흔적 뿐이며 열매는 길이 2.5-3.5cm로서 타원형이고 과육이 많다. ▶보은대추(var.hoonensis T.Lee)(Zizyphus vulgaris var. hoonensis kawamota) : 외관상 대추와 다름 없으나 종자에 인이 없다. ▶갯대추(Paliurus ramosissimus Poir.): 제주도에서 자라는 낙엽교관으로 꽃은 8-9월에 피며 열매는 반
-
Read MoreNo Image
묏꿩의다리
학명 : Thalictrum sachalinense Lecoy.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target=_blank>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꿩의다리속(Thalictrum) target=_blank>꿩의다리속(Thalictrum)</a>
이명 : 갈미꿩의다리 멧꿩의다리 뫼가락풀 )산꿩의다리
잎 : 잎은 호생하고 2~3회 3출엽이며 상부로 갈수록 엽병이 짧아져 없어진다. 탁엽은 밋밋하고 제1 제2 마디에 소탁엽이 있다. 소엽은 쐐기모양의 넓은 도란형 또는 능상원형으로 길이 1.7~4cm이고 2~3개로 얕게 갈라진다.
꽃 : 꽃은 6~7월에 백색으로 피고 줄기 끝에 산방상 총상화서로 달리며 소화경은 10~15mm로 가늘다. 꽃잎은 없고 꽃받침조각은 3~4개로 타원형이며 수술은 많다.
열매 : 과실은 수과로 8~15개이며 좁은 난형이고 8개의 능선이 있다.
줄기 : 줄기는 곧추 서고 종선은 분명치 않다.
분포 : 황해(강계) 함북(관모봉)에 나며 일본(북해도) 사할린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이다.
-
Read MoreNo Image
뫼족제비고사리
학명 : Dryopteris sabaei (Franch. & Sav.) C.Chr.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면마과(Dryopteridaceae) target=_blank>면마과(Dryopterid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관중속(Dryopteris) target=_blank>관중속(Dryopteris)</a>
이명 : 산족제비고사리
잎 : 엽병은 길이 15~25cm이고 진한 갈색이며 광택이 난다. 인편은 연한 갈색 또는 중앙이 진한 갈색이고 크고 넓은 피침형으로 난형이다. 길이 1~1.3cm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끝이 뾰족하다. 잎몸은 2~3회 깃꼴로 갈라지며 긴 타원상 난형이며 끝이 날카롭게 뾰족하고 길이 35~45cm 너비 15~25cm 우편은 5~7쌍 다섯째 번부터 갑자기 좁아지며 기부의 우편이 가장 크고 길이 10~15cm 짧은 자루가 있다. 맨 아래 소우편이
열매 : 포자낭군은 소우편의 가장자리와 소우축의 중간 열편의 기부에 달린다. 포막은 둥근 신장형이고 가장자링는 밋밋하다.
뿌리 : 땅속줄기는 굵고 덩이 모양이며 잎이 다보록이 난다.
분포 : 한국(중부 북부) 일본
형태 : 상록 다년초이다.
-
Read More
뫼제비꽃
학명 : Viola selkirkii Pursh ex (Goldie) f. selkirki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제비꽃과(Violaceae) target=_blank>제비꽃과(Vio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제비꽃속(Viola) target=_blank>제비꽃속(Viola)</a>
이명 : 메오랑캐 메제비꽃 멧제비꽃 뫼오랑캐 묏오랑캐 산제비꽃 알록뫼제비꽃 알룩메제비꽃
잎 : 잎은 2-3장이 밑부분에 밀생하며 난상 심장형이고 녹색이며 밑부분이 깊은 심장저이고 끝이 뾰족하며 길이와 폭이 각 2-3cm이지만 과시(果時)에는 5cm에 달하고 가장자리에 파상의 톱니가 있으며 표면 또는 뒷면에 털이 있거나 없다. 엽병은 길이 3-10cm이고 윗부분에 털이 있거나 없다.
꽃 : 화경은 길이 5-8cm로서 잎과 길이가 다소 비슷하고 꽃은 4-5월에 피며 연한 자주색이다. 꽃받침잎은 피침형이고 길이 5-7mm이며 부속체는 난상 삼각형으로서 끝에 뾰족한 톱니가 있고 꽃잎은 길이 12-15mm이며 측판에 털이 없고 순판에 자주색 줄이 있으며 다화성이다. 거(距)는 짧은 원통형이며 길이 6-8mm이다.
열매 : 삭과는 난형으로 세모지다.
줄기 : 길이는 6cm정도이다.
뿌리 : 근경은 짧고 가늘며 꽃이 진 후 땅속에 포복지가 생긴다.
분포 : 전국의 높은 산에서 표고 800m이상되는 지역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메알록제비꽃은 잎에 흰 무늬가 있으며 메제비꽃과 섞여 자란다.
특징 : 고산성 식물
-
Read MoreNo Image
몽울풀
학명 : Elatostema densiflorum Franch. & Sav.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쐐기풀과(Urticaceae) target=_blank>쐐기풀과(Urtic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모시풀속(Elatostema) target=_blank>모시풀속(Elatostema)</a>
이명 : 멍울물통이 멍울풀 복천물통이 북천물통이
잎 : 잎은 호생하고 2줄로 배열되어 있으며 비대칭의 도란상 긴 타원형으로 길이 4-8cm 폭 2-3cm이고 상반부의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은 예저이고 엽병은 없다.
꽃 : 꽃은 암수한그루로 8-9월에 피며 잎겨드랑이에 둥글게 모여 달리고 포 가장자리에 잔털이 있다. 수꽃은 암꽃에 섞여 있고 꽃자루가 없으며 포에는 강모가 있고 화피는 4장 수술은 4개이다. 암꽃은 화피가 3-5장 암술머리는 붓털모양이다.
열매 : 열매는 처음에는 녹색이지만 붉게 익고 타원형이며 작고 길이가 0.5mm정도 자라며 종선이 있다.
줄기 : 높이 10-25cm이고 퍼진 털이 있다.
분포 : 속리산 복천암 앞에서 자란다.
형태 : 일년생 초본
유사종 : ▶우산물통이(E. umbellata Blume): 전체에 털이 없고 잎은 찌그러진 긴 타원형 길이 2-7㎝ 양 면에 짧은 털이 드물게 난다.
특징 : 몸 전체에 털이 퍼져 있다.
-
Read MoreNo Image
몽울토현삼
학명 : Scrophularia cephalantha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현삼과(Scrophulariaceae) target=_blank>현삼과(Scrophular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현삼속(Scrophularia) target=_blank>현삼속(Scrophularia)</a>
이명 : 몽울개현삼 미륵개현삼
잎 : 잎은 대생하고 장란형 또는 난상 피침형으로 길이 10~15cm 나비 4~7cm이며 끝은 뾰족하고 밑은 둥글며 엽병은 짧다. 잎에 짧은 3각형의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7월에 암자색으로 피고 취산화서가 모여 원추화서를 이루며 소화경에 선모가 있고 화서는 짧고 거의 두상으로 모인다.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고 화관은 단지모양이며 끝이 순형이고 수술은 2강웅예이다.
열매 : 과실은 삭과로 난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2개로 갈라진다.
줄기 : 줄기는 곧추서고 네모지며 털이 없다.
분포 : 서울(남산) 강원(금강산) 함남(원산 장진) 평북(낭림산 묘향산)에 나며 일본 우수리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이다.
-
Read MoreNo Image
몽고뽕나무
학명 : Morus mongolica (Bureau) C.K.Schneid.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뽕나무과(Moraceae) target=_blank>뽕나무과(Mor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뽕나무속(Morus) target=_blank>뽕나무속(Morus)</a>
이명 : 왕뽕나무 큰몽고뽕나무
잎 : 잎은 넓은 난형이며 점참두이지만 흔히 꼬리처럼 길어지고 절저 또는 아심장저이며 갈라지기도 하고 길이 5-10cm로서 가장자리의 톱니가 매우 날카로우며 양면에 털이 거의 없으나 표면은 가장자리 부근이 거칠고 뒷면 주맥에 털이 산생한다. 엽병은 길이 2-3cm로서 털이 없다.
꽃 : 꽃은 자웅이주로 5월에 피고핀다. 웅화수(雄花穗)는 꽃핀 뒤 지며 화피는 4갈래이고 수술도 4개이다. 암꽃도 화피편이 4개이며 암술대가 짧으며 밑에서 2개로 갈라진다.
열매 : 취과는 길이 2-2.5cm되는 원주형으로 7-8월에 홍색 또는 흑자색으로 익는다.
줄기 : 소지는 갈색이며 긴 타원형의 피목이 있고 털이 있거나 없다.
분포 : ▶한국 중국에 분포한다. ▶황해도 앞바다에 있는 섬에서부터 북부지방에까지 자란다.
형태 : 낙엽 활엽 관목.
유사종 : ▶왕뽕나무 (var. diabolica Koidz.): 어린 가지는 처음에 짧은 털이 있고 엽병에도 털이 있으며 잎 표면은 털이 있어 거칠고 뒷면에 털이 밀생하며 석도 진남포 및 영흥에서 자란다.
-
Read MoreNo Image
몬트부레치아
학명 : Tritonia crocosmaeflora Lemoin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붓꽃과(Iridaceae) target=_blank>붓꽃과(Irid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몬트부레치아속(Tritonia) target=_blank>몬트부레치아속(Tritonia)</a>
이명 : 애기범부채
잎 : 잎은 어긋나고 길이 20~50cm 너비 2cm 정도이다. 기부에서 겹쳐진다.
꽃 : 꽃대는 1개이고 2~4개의 가지로 갈라졌다. 가지 끝에 지름 2~3cm 정도의 꽃이 수상화서를 이루며 꽃자루는 매우 짧고 포엽은 2개이다. 화피는 주홍색으로 6개 긴 타원형이며 아래쪽에는 2개의 진한 반점이 있다.
열매 : 열매는 삭과이다.
줄기 : 여러 개의 줄기가 다수 모여난다.
분포 : 유럽
형태 : 다년생 식물
-
Read MoreNo Image
목화
학명 : Gossypium indicum La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아욱과(Malvaceae) target=_blank>아욱과(Malv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목화속(Gossypium) target=_blank>목화속(Gossypium)</a>
이명 : 면화 미영
잎 : 잎은 호생하며 엽병이 길고 3-5개로 갈라지며 열편 끝이 뾰족하고 탁엽은 삼각상 피침형으로서 엽병 및 소화경과 더불어 털이 있다.
꽃 : 꽃은 8~9월에 피며 액생하는 소화경 끝에 1개씩 달리고 지름 4cm 내외이다. 꽃밑에 엽상의 소포가 3개 있으며 삼각상 난형으로서 자줏빛이 돌고 날카로운 톱니가 있다. 꽃받침잎은 술잔 같으며 녹색 잔점이 있고 작으며 꽃잎은 5개가 복와상으로 나열되고 연한 황색 바탕에 밑부분이 흑적색이며 수술은 많고 단체(單體)이다.
열매 : 삭과는 포로 싸여 있으며 난상 원형이고 익으면 3개로 갈라지며 백면(白綿)이 나타난다.
줄기 : 원줄기는 높이가 60cm에 달하고 곧게서서 가지가 다소 갈라진다.
분포 : 중부지방 및 남부지방에 분포한다.
형태 : 일년생 초본
특징 : ▶목화꽃은 대개 아침에 황백색의 꽃이 피었다가 오후가 되면 자주색이 돌면서 시든다.
-
Read MoreNo Image
목형
학명 : Vitex negundo var. cannabifolia (Siebold & Zucc.) Hand.-Mazz.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마편초과(Verbenaceae) target=_blank>마편초과(Verben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순비기나무속(Vitex) target=_blank>순비기나무속(Vitex)</a>
이명 : 목향 애기순비기나무
잎 : 잎은 대생하며 5개 때로는 3개의 소엽으로 구성딘 장상복엽이다. 소엽은 긴 타원형 또는 타원상 피침형이고 첨두 예저이며 길이 2-8cm로서 뒷면에 짧은 털이 있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거나 있으며 엽병은 길이 3-4cm이다.
꽃 : 꽃은 7-9월에 피고 총상 원추화서는 가지 끝이나 끝부분의 엽액에 달리며 꽃받침잎은 선점이 있고 끝이 뾰족하다. 화관은 표면에 털이 있으며 자주색이고 후부(喉部)에 융모가 있다. 화관의 길이는 꽃받침의 2배이다.
열매 : 열매는 지름 약 5mm의 도란형으로 9-10월에 검게 익는다. 과실을 모형자(牡荊子)라 한다.
분포 : 남부지방의 정원에서 재배한다.
형태 : 낙엽 관목.
유사종 : ▶좀목형(V. negundo var. incisa C.B. Clarke): 소엽은 피침형이고 길이 2-8㎝ 잎의 가장자리에는 큰 톱니가 있거나 결각상이며 엽병은 길이 3-4㎝이다.
특징 : 밀원식물로 으뜸가는 수목이며 향기가 있다.
-
Read MoreNo Image
목향장미
학명 : Rosa banksiae Aiton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장미과(Rosaceae) target=_blank>장미과(Ros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장미속(Rosa) target=_blank>장미속(Rosa)</a>
이명 : 넉줄장미덩굴장미 목향
잎 : 잎은 호생하며 기수1회우상복엽이고 엽병과 엽축에 구자가 있다. 소엽은 5-7개이며 난형 또는 도란형이고 길이 3-9㎝ 폭 5-28mm로서 표면은 녹색이며 뒷면은 연녹색 또는 회록색이고 털이 없는 것이 많으나 비교적 털이 많은 것도 있으며 가장자리에 뾰족한 톱니가 있다. 탁엽은 녹색이고 질이 얇으며 엽병 기부에 붙어서 한쪽이 빗살같이 깊게 갈라지고 끝이 뾰족하다.
꽃 : 꽃은 5-7월에 새가지 끝에 산방화서로 피며 흔히 적색이지만 그 밖에 여러가지 색이 있고 화경과 소화경에 선모가 있거나 없다. 꽃받침잎은 끝이 뾰족하며 안쪽과 가장자리에 털이 있고 꽃잎은 겹 또는 만첩이며 수술은 꽃잎보다 짧고 암술대는 합쳐져서 하나로 되며 수술대와 길이가 비슷하다.
열매 : 열매는 없다.
줄기 : 가정에서 울타리로 심고있는 덩굴성 낙엽관목으로서 길이가 5m에 달하고 전체에 밑을 향한 가시가 드문드문 있다. 수피는 소나무의 수피모양으로 벗겨진다. 보통 가지에는 털과 가시가 없으나 드물게 있을 수도 있다.
분포 : ▶세계적으로 널리 분포한다. ▶전국 각지에 식재한다.
형태 : 덩굴성 낙엽관목
유사종 : ▶흰덩굴장미(for. albo-plena Rehder): 흰꽃이 핀다. ▶노랑덩굴장미(for. lutea Rehder): 노랑꽃이 핀다.
특징 : ▶기원전 200년경부터 여러 원종들이 복잡하게 교배되어 이루어진 잡종성 화훼관상용 식물을 모두 지칭한다. 대개 온대와 아한대 지역에 자라는 장미속의 50-60종이 원종으로 이용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덩굴찔레라는 이름이 적합하지만 일반적으로 덩굴장미라고 한다.
-
Read MoreNo Image
목향
학명 : Inula helenium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금불초속(Inula) target=_blank>금불초속(Inula)</a>
잎 : 잎은 호생하며 넓은 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밑부분이 좁아져서 엽병으로 흐르고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으며 밑부분의 잎은 길이 50cm로서 엽병이 있으나 위로 가면서 없어지고 밑부분으로 원줄기를 감싼다.
꽃 : 꽃은 7~8월에 피며 지름 5-10cm로서 황색이고 윗부분에 달리며 총포는 반구형이고 길이 24mm이며 바깥 포편은 난형이고 잎같으며 짧은 털이 밀생한다.
열매 : 수과는 연한 적갈색 관모가 있다.
줄기 : 높이 0.8-2m이고 전체에 짧은 털이 밀생되어 있다.
분포 : 약초로 재배한다.
형태 : 다년초
특징 : 유럽이 원산으로 고대 로마에서 중국을 거쳐 우리 나라에 들어와 재배하게 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