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4.18 20:06

뚝지치

조회 수 13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학명 Hackelia deflexa (Wahlenb.) Opiz
과명 지치과(Boraginaceae)
속명 뚝지치속(Hackelia)
이명 뚝돌지치북개지치산개지치 산들지치
잎은 호생하고 선상 피침형이며 밑부분의 것은 엽병이 있고 길이 2-5(9)cm 폭 3-10(20)mm로서 양면에 강모가 밀생하며 끝이 둔하거나 뾰족하다.
꽃은 7-8월에 피고 연한 하늘색으로 지름 3-5mm이며 가지끝의 총상화서에 달리고 소화경은 길이 2-5mm로서 꽃이 진 다음 처지며 포는 피침형이고 소화경보다 짧다. 꽃받침은 5개로 깊게 갈라지며 열편은 피침형이고 길이 1-3mm로서 꽃이 진 다음 젖혀지며 화관 후부가 황색이다.
열매 열매는 소견과이다. 분과는 사면체이고 가장자리에 자모가 줄로 돋아 있으며 길이 2mm정도로서 표면에 잔돌기가 있다.
줄기 높이 20-80cm이고 가지가 갈라지며 전체에 강모가 밀생한다.
분포 함경도의 고원지대 및 백두산지역에서 자란다.
형태 1년 또는 2년초
특징 뚝지치란 일본이름을 잘못 번역한 것으로서 산지에서 자란다는 것을 잘못 번역하였다.
국명출전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Oekon.-techn. Fl. Bohm. 2(1): 147 (1838)
참고문헌 1)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1. No Image

    대청지치

    학명 : Thyrocarpus glochidiatus Maxi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지치과(Boraginaceae) target=_blank>지치과(Boragin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대청지치속(Thyrocarpus) target=_blank>대청지치속(Thyrocarpus)</a>

    잎 : 근생엽은 주걱형으로 엽신이 좁아지면서 엽병처럼 되고 길이는 4.5-6.0cm 너비는 5-8.5cm 이다
    경생엽은 일반적으로 장타원형 무병이다. 무병성 혹은 짧은 엽병이 있으며 주걱형 혹은 장타원형이다.

    꽃 : 화서는 총상화서로 1-2분지하기도하며 , 꽃은 4-6월에 피며 액상 혹은 정생한다. 정화서에는 포엽이 있고, 꽃받침은 5개이며 열매보다 약간 더 커진다. 화관은 종모양으로 하늘색 혹은 하얀색이다. 수술은 화관 중간 내부에 위치하며 수술대는 짧고 약은 난형에서 장타원형이다.
    자방은 4개로 나누어진다.

    열매 : 견과는 타원형이며 복면이 평행해지고 작은 돌기가 밀생한다. 견과의 가장자리는 2개의 층으로 이루어진 부속체가 있으며 안쪽 층은 막질이며 전연이고, 바깥층은 가죽질이며 빗살모양 혹은 치아상으로 갈라진다.
    줄기 : 크기는 10-50cm정도이며 전체적으로 털이 밀생한다.
    줄기는 보통 밑에서 여러 개로 갈라져 사방으로 뻗는다.


    분포 : 한국(대청도),중국, 베트남에 3종이 분포한다.
    형태 : 일년생 초본


    Read More
  2. No Image

    흰참꽃받이

    학명 : Bothriospermum secundum f. albiflorum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지치과(Boraginaceae) target=_blank>지치과(Boragin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꽃받이속(Bothriospermum) target=_blank>꽃받이속(Bothriospermum)</a>






    분포 : 한반도(평양)

    유사종 : 참꽃받이
    특징 : 기본종인 참꽃받이에 비해 꽃이 백색이다.
    Read More
  3. No Image

    컴프리

    학명 : Symphytum officinale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지치과(Boraginaceae) target=_blank>지치과(Boragin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컴프리속(Symphytum) target=_blank>컴프리속(Symphytum)</a>
    이명 : 콤푸레
    잎 : 잎은 호생하며 난상 피침형으로서 끝이 길게 뾰족해지고 밑부분의 것은 엽병이 있으나 윗부분의 것은 엽병이 없으며 잎이 달린 곳에서 밑으로 흘러 날개처럼 된다.
    꽃 : 꽃은 6-7월에 피고 자주색 연한 홍색 및 백색이며 화축은 1-2회 갈라지고 화서의 끝부분은 태엽처럼 감겨서 아래로 드리운다. 꽃받침은 짙은 녹색이며 5개로 갈라지고 화관은 넓은 통형으로서 윗부분이 종처럼 다소 벌어지며 얕게 5개로 갈라진다. 수술은 5개로서 통부에 붙어 있고 암술은 1개이며 통부 밖으로 뻗어난다.
    열매 : 열매는 4개의 분과로 되며 분과는 난형이다.
    줄기 : 높이 60-90cm이며 줄기는 곧게 서고 짧은 털이 있으며 가지가 갈라지고 날개가 다소 있다. 전체에 거친 털이 밀생한다.

    분포 : 지중해 연안이 분포중심지이다. 재배한다.
    형태 : 다년초

    특징 : 컴프리란 영명 comfrey 에서 온 이름이고 약용으로 하였으나 사료작물로 심기도 하며 분포중심지는 지중해 연안으로서 17종이 있다.
    Read More
  4. No Image

    참꽃받이

    학명 : Bothriospermum secundum Maxi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지치과(Boraginaceae) target=_blank>지치과(Boragin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꽃받이속(Bothriospermum) target=_blank>꽃받이속(Bothriospermum)</a>
    이명 : 왕꽃마리왕꽃받이 참꽃마리참꽃바지 참꽃받이풀큰꽃마리 평양꽃바지
    잎 : 잎은 호생하며 근생엽에만 엽병이 있고 길이 15-35mm 폭 5mm이며 양끝이 좁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며 밑부분이 특히 굵어진 백색 강모가 거의 밀생한다.
    꽃 : 꽃은 7-8월에 피고 연한 남색이며 줄기끝의 총상화서에 성기게 달리고 밑부분에 잎같은 큰 포가 있으나 위로 갈수록 작아지며 소화경은 밑부분의 것은 길이 5.5mm정도이지만 윗부분의 것은 길이 2mm정도이고 원줄기와 더불어 백색 강모가 밀생한다. 꽃받침은 5개로 깊게 갈라지며 길이 3mm정도이고 열편은 난상 피침형으로서 강모로 덮여 있으며 화관 끝이 5개로 갈라져서 수평으로 퍼진다.
    열매 : 열매는 소견과로 타원형이며 표면에 거칠거칠하다. 종자 겉에 혹같은 돌기가 있다.
    줄기 : 높이가 25cm에 달하며 전체에 긴 털이 다소 밀생하고 밑부분이 다소 비스듬히 자란다.

    분포 : 제주 한라산 단양근처의 한강연안 평안도 및 함경도의 산지에서 자란다.
    형태 : 1년 또는 2년초
    유사종 : 꽃바지
    특징 : 꽃바지와 비슷하나 보다 굵고 억세며 퍼진 백색 강모와 더불어 잔털이 밀생하는 것이 다르다.
    Read More
  5. No Image

    참꽃마리

    학명 : Trigonotis radicans var. sericea (Maxim.) H. Hara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지치과(Boraginaceae) target=_blank>지치과(Boragin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꽃마리속(Trigonotis) target=_blank>꽃마리속(Trigonotis)</a>
    이명 : 뿌리꽃마리 왕꽃마리 조선꽃마리 좀꽃마리 참꽃말이털꽃마리
    잎 : 근엽은 총생 경엽은 호생하고 심상 난형 또는 난형으로 길이 1.5~4cm이며 끝은 뾰족하고 밑은 둥글거나 심형이며 엽병은 위로 갈수록 짧아진다.
    꽃 : 꽃은 5∼7월에 연한 남색으로 피고 상부의 잎짬에 달리며 소화경은 길이 1~2cm이고 꽃이 필 때는 비스듬히 섰다가 다소 밑으로 처진다. 꽃받침은 5열하고 열편은 피침형이며 꽃이 진 뒤 자라 길이 2.5~7mm로 된다. 화관은 5열하고 지름이 7~10mm이며 5개의 수술이 통부에 달린다.
    열매 : 과실은 분과이다.
    줄기 : 줄기는 처음에는 곧추서나 높이 10~15cm 정도 자란 다음 지면을 따라 뻗으며 전체에 압모가 있다.

    분포 : 전도에 나며 일본 만주 아무르 우수리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이다.

    특징 : 정이나 이의 도감의 거센털꽃마리는 그림이 기재와 다른 별품이다.
    Read More
  6. No Image

    지치

    학명 : Lithospermum erythrorhizon Siebold & Zucc.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지치과(Boraginaceae) target=_blank>지치과(Boragin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지치속(Lithospermum) target=_blank>지치속(Lithospermum)</a>
    이명 : 자초 지초지추
    잎 : 잎은 호생하며 엽병이 없고 후질(厚質)이며 피침형으로 양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이 좁아져서 엽병처럼 되며 톱니가 없고 지맥(枝脈)은 비스듬히 뻗는다.
    꽃 : 꽃은 5-6월에 피고 백색으로서 정생하는 총상화서에 달리며 잎모양의 포가 있고 꽃받침잎은 5개로 깊게 갈라지며 열편은 녹색이고 선형이며 둔두이고 화관통부보다 길다. 화관은 길이 6-7mm 지름 4mm로서 후부에 5개의 인편이 있고 복상(輻狀)으로 5열한다.
    열매 : 분과는 회색이며 윤채가 있다.
    줄기 : 높이 30-70cm이고 곧게 자라며 원줄기는 가지가 갈라지고 잎과 더불어 털이 많다.
    뿌리 : 뿌리가 땅속 깊이 들어가며 비후하고 자주색이다. 뿌리를 자근(紫根)이라 한다.
    분포 : 만주 일본 중국 아무르에 분포한다. 전국 각지에 야생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


    Read More
  7. No Image

    자반풀

    학명 : Omphalodes krameri Franch. & Sav.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지치과(Boraginaceae) target=_blank>지치과(Boragin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자반풀속(Omphalodes) target=_blank>자반풀속(Omphalodes)</a>
    이명 : 털개지치
    잎 : 근생엽은 엽병이 길며 개화시 없어지고 경생엽은 긴 타원형 피침형 또는 도피침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이 점차 좁아져서 엽병처럼 되며 길이 7-15cm 폭 1-2cm로서 양면과 가장자리에 털이 산생한다.
    꽃 : 꽃은 7월에 피고 지름이 3mm정도이며 총상화서는 원줄기끝에 달리며 밑부분에서 2개로 갈라지며 잎이 있고 꽃이 성기게 달리며 소화경은 길이 5-10mm로서 꽃이 핀 다음 밑으로 처진다. 꽃받침은 5개로 깊게 갈라지고 꽃이 진 다음 길이가 5mm에 달하며 좁은 난형이고 겉에 털이 있다.
    열매 : 열매는 소견과로 분과는 4개이며 편평한 원형이고 지름 2-3mm로서 중앙부가 들어가며 가장자리에 구자(鉤刺)가 줄로 돋아 있다.
    줄기 : 화서와 더불어 길이 20-40cm이고 전체에 퍼진 털이 난다.

    분포 : 전라남도 지리산 피아골
    형태 : 다년초


    Read More
  8. No Image

    왜지치

    학명 : Myosotis sylvatica Ehrh. ex Hoff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지치과(Boraginaceae) target=_blank>지치과(Boragin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개꽃마리속(Myosotis) target=_blank>개꽃마리속(Myosotis)</a>
    이명 : 숲꽃마리 숲물망초
    잎 : 근생엽은 주걱모양이며 밑부분이 길게 엽병처럼 길어지고 끝이 둥글며 경생엽은 호생하고 도피침형이며 길이 2-6cm 폭 7-12mm로서 엽병이 없다.
    꽃 : 꽃은 7-8월에 피며 연한 하늘색이고 지름 6-8mm이며 총상화서는 흔히 밑부분에서 2개로 갈라지고 길이 10-25cm로서 포가 없으며 밑부분에 잎이 달린다. 꽃받침은 소화경보다 짧고 퍼진 털이 있으며 깊게 5갈래로 갈라지고 열편은 길이 2-3mm에서 5mm로 자라며 끝이 둔하고 화관은 지름 6-8mm이며 통부가 짧고 통부 윗부분에 황색 소돌기가 있다.
    열매 : 소견과이고 분과는 난형이고 밋밋하며 길이 1.5mm로서 복면에 1개의 능선이 있고 짙은 갈색이다.
    줄기 : 높이 20-40cm이고 곧게 서며 퍼진 털이 산생한다.

    분포 : 평북 및 함북의 고산지대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

    특징 : 전체에 강모가 있다.
    Read More
  9. No Image

    왕꽃마리

    학명 : Cynoglossum asperrimum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지치과(Boraginaceae) target=_blank>지치과(Boragin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섬꽃마리속(Cynoglossum) target=_blank>섬꽃마리속(Cynoglossum)</a>
    이명 : 섬꽃마리 왕꽃말이제주꽃마리
    잎 : 근엽은 화시에는 마르고 경엽은 호생하며 장 타원상 피침형으로 길이 3~20cm 나비 7~30mm이고 양끝이 뾰족하며 엷고 엽병은 위로 갈수록 짧아져서 없어지며 가지의 잎은 소형이다.
    꽃 : 꽃은 6~8월에 하늘색으로 피고 가지 끝에 총상화서로 달리며 화서는 길이 15~20cm로 꽃이 드문드문 달린다.

    줄기 : 줄기는 가지가 많이 갈라져 비스듬히 뻗으며 하부에는 길이 2mm 정도의 퍼지는 털이 있으며 윗부분에는 잎과 화서와 더불어 길이 1mm정도의 눕거나 비스듬히 선 털이 있다.

    분포 : 제주 전남(보길도 백양산 대둔산) 전북(내장산)에 나며 일본에 분포한다.
    형태 : 2년초


    Read More
  10. No Image

    송양나무

    학명 : Ehretia acuminata var. obovata (Lindl.) I.M.Johnst.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지치과(Boraginaceae) target=_blank>지치과(Boragin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송양나무속(Ehretia) target=_blank>송양나무속(Ehretia)</a>

    잎 : 잎은 호생하고 도란형 또는 도란상 타원형으로 길이 3~18cm 나비 3~10cm이며 끝은 급히 뾰족해지고 밑은 둥글거나 넓게 뾰족하며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고 표면에는 털이 있거나 없으며 뒷면 잎짬에만 털이 있고 엽병은 길이 1~5cm이다.
    꽃 : 꽃은 6~7월에 백색으로 피고 새 가지 끝에 원추화서로 달리며 화서는 길이 8~20cm이고 잔털이 있다. 꽃받침은 거의 중앙까지 5열하고 열편은 넓은 타원형이며 화관은 5개로 깊게 갈라지고 열편은 수평으로 퍼지며 지름은 약 5mm이고 수술은 5개이다.
    열매 : 과실은 핵과로 구형이고 8월에 황색으로 익는다.
    줄기 : 줄기는 평활하고 거의 털이 없다. 가지는 약간 가늘다.

    분포 : 제주 전남(거문 서도)에 나며 일본 대만 중국에 분포한다.
    형태 : 낙엽활엽 교목이다.


    Read More
  11. No Image

    섬꽃마리

    학명 : Cynoglossum zeylanicum (Vahl ex Hornem.) Thunb. ex Leh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지치과(Boraginaceae) target=_blank>지치과(Boragin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섬꽃마리속(Cynoglossum) target=_blank>섬꽃마리속(Cynoglossum)</a>
    이명 : 남왕꽃말이민꽃말이잔섬꽃마리 제주꽃말이큰꽃마리 큰꽃말이
    잎 : 잎은 밑부분의 것은 엽병이 길며 위로 올라갈수록 짧아져서 없어지고 긴 타원상 피침형 또는 피침형이며 길이 10-20cm 폭 2-3cm로서 양끝이 좁고 양면에 털이 있으며 가지의 잎은 길이 3-10cm 폭 7-20mm이다.
    꽃 : 꽃은 8월에 피고 지름 3mm정도로서 하늘색이며 정생하는 총상화서에 달리고 화서는 길이 15-20cm이며 섬꽃마리와 달리 꽃이 다소 밀착하여 달린다.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며 꽃이 진 다음의 길이가 4-5mm로서 과시(果時)에는 젖혀진다. 꽃받침 열편은 결실시에 펼쳐진다.
    열매 : 과병은 길이 5-6mm이며 열매는 타원형으로서 갈고리같은 가시가 있고 긴 가시를 제외한 길이는 3.5mm정도이다.
    줄기 : 높이 40-100cm이고 굳센 털이 있으며 가지가 많이 갈라지고 비스듬히 위로 퍼지며 털은 섬꽃마리와 달리 1mm미만으로서 눕거나 비스듬히 선다.

    분포 : 내장산 이남의 산지에 분포한다.
    형태 : 2년초


    Read More
  12. No Image

    산지치

    학명 : Eritrichium sichotense M.Popov.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지치과(Boraginaceae) target=_blank>지치과(Boragin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산지치속(Eritrichium) target=_blank>산지치속(Eritrichium)</a>
    이명 : 돌지치
    잎 : 근생엽은 총생 경생엽보다 짧다. 잎은 두껍고 딱딱하며 엽병은 없고 선상 피침형으로 끝이 다소 둔하고 양면에 털이 밀생하며 밑부분에 강모가 군데군데 섞여 있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꽃 : 꽃은 5월에 피고 자주색이며 총상화서는 줄기 끝에 달리고 꽃봉우리 소화경 및 화경에 긴 백색털이 밀생한다. 꽃받침은 5개로 깊게 갈라지며 녹색이고 길이 3mm정도로서 내외에 털이 있으며 겉에 강모가 섞여 있고 열편은 피침형이며 길이 2mm 정도이다. 화관은 끝이 5개로 갈라지고 수술은 5개로서 화관통부에 달리며 포는 소형으로 선형이고 소화경보다 짧다.
    열매 : 열매는 소견과 4개의 분과.
    줄기 : 높이가 30cm에 달하고 곧게 자라며 전체에 복모가 밀생한다.

    분포 : 중부 이북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Read More
  13. No Image

    반디지치

    학명 : Lithospermum zollingeri A.DC.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지치과(Boraginaceae) target=_blank>지치과(Boragin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지치속(Lithospermum) target=_blank>지치속(Lithospermum)</a>
    이명 : 깔깔이풀억센털개지치
    잎 : 잎은 호생하고 엽병이 없으며 길이 2.5-6cm 폭 1-2cm로서 긴 타원형 또는 도피침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밑부분이 좁아져서 직접 원줄기에 달리고 기부에 밑부분이 굵은 강모가 있으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나 양면이 거센 털로 인해 껄끄럽다.
    꽃 : 꽃은 5-6월에 피며 지름 15-18mm로서 벽자색이고 줄기 상부의 엽액에 꽃이 1개씩 달린다. 꽃받침은 녹색이며 5개로 깊게 갈라지고 선상 피침형이며 길이 5-6mm로서 끝이 뾰족하다. 화관 기부는 통모양이고 상부는 깊게 5개로 갈라져 수평으로 퍼지며 지름 약 15mm이고 겉에 복모가 있으며 안쪽에 5개의 모열(毛列)이 있고 각 조각의 중앙부는 백색으로 융기되어 있다. 수술은 5개이며 통부에 달려있다.
    열매 : 분과로서 지름이 2.5-3mm이며 매끄럽고 백색이다.
    줄기 : 높이 15-25cm이며 원줄기에 퍼진 털이 있고 다른 부분에는 비스듬히 선 털이 있으며 꽃이 핀 후 옆으로 뻗는 가지가 자라서 뿌리가 내리고 다음해에 싹이 돋는다.

    분포 : 제주도와 영·호남 지방에 분포한다. 국외로는 일본 중국 대만 등에 널리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


    Read More
  14. No Image

    미국꽃말이

    학명 : Amsinckia lycopsoides Leh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지치과(Boraginaceae) target=_blank>지치과(Boragin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미국꽃말이속(Amsinckia) target=_blank>미국꽃말이속(Amsinckia)</a>

    잎 : 잎은 엽병(葉柄)이 없으며 엽신(葉身)은 피침형(披針形) 또는 타원상 피침형으로 양면에 백색모가 밀포하며 잎가장자리는 전녹(全綠) 또는 파상(波狀) 주름이 생긴다.
    꽃 : 꽃은 6-7월에 피며 가지끝에 태엽처럼 말린 수상화서(穗狀花序)가 생기며 꽃이 필 때는 화서가 짧으나 열매가 되면 화서가 신장(伸張)하여 길이가 20㎝에 이른다. 꽃은 짙은 황색으로 꽃받침은 5개의 열편이 깊게 갈라지고 표면에 잔털과 기부가 사마귀모양으로 팽대된 부분에서 생긴 긴 털이 함께 난다. 화관(花冠)은 길이가 8㎜내외로 꽃받침보다 길며 하반부는 통상(筒狀)이고 끝은 5열(裂)되며 열편(裂片)은 원형(圓形)이다.
    열매 : 꽃이 지고 나면 꽃받침 속에 4개의 분과(分果)가 생기며 분과는 길이가 2-3㎜로 등쪽에 1개의 굵은 능선(稜線)이 만들어지며 사마귀 모양의 돌기물(突起物)이 덮이고 회색이다.
    줄기 : 줄기는 높이가 30-60㎝이고 가지를 치며 곧게 자라고 표면에 거친 백색털(白色毛)가 있다.


    형태 : 1년생 초본

    특징 : "▶일본에도 귀화되었으며 국내에서는 1998년 6월 경기도 안산시 수인 산업 도로변과 아산호 방조제에서 채집 확인하였다. ▶화서의 모습을 참고하여 `미국꽃말이`로 국명을 명명하였다. ▶미국꽃말이속(屬)(Amsinckia)은 우리 나라에 처음 알려지는 속으로 아래와 같은 특징이 있다. """"1년생 초본으로 식물체에 거친 털이 덮이고 좁은 잎으로 이루어지며 황색 꽃이 모여 끝이 태엽처럼 말린 수상화서(穗狀花序)를 이룬다. 꽃받침은 5열(裂)되며 열편은 선형"
    Read More
  15. No Image

    물망초

    학명 : Myosotis alpestris F.W.Schmidt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지치과(Boraginaceae) target=_blank>지치과(Boragin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개꽃마리속(Myosotis) target=_blank>개꽃마리속(Myosotis)</a>

    잎 : 잎은 어긋나고 긴 타원형이다.
    꽃 : 봄 여름에 남색의 작은 꽃이 줄기 끝에 총상(總狀) 꽃차례로 핀다.







    Read More
  16. No Image

    모래지치

    학명 : Argusia sibirica (L.) Dandy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지치과(Boraginaceae) target=_blank>지치과(Boragin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모래지치속 (Argusia) target=_blank>모래지치속 (Argusia)</a>
    이명 : 갯모래지치
    잎 : 잎은 호생하고 도피침형 또는 장타원상 피침형으로 길이 4~10cm 나비 7~3mm이며 끝은 둔하고 밑은 좁아져 엽병이 없으며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질이 두껍다.
    꽃 : 꽃은 5~8월에 백색으로 피고 줄기 끝과 잎짬에 취산화서로 달리며 소화경은 짧다. 꽃받침은 중앙까지 5열하고 열편은 피침형이며 길이 3~5mm이다. 화관은 5개로 갈라지고 열편은 수평으로 퍼지며 후부가 황색이고 수술은 5개이며 자방은 4실이고 갈라지지 않는다.
    열매 : 과실은 핵과로 넓은 타원상이고 4개의 둔한 능선이 있다.
    줄기 : 줄기는 곧추서고 때로 가지가 갈라지며 전주에 백모가 밀생한다.
    뿌리 : 지하경이 옆으로 길게 뻗는다.
    분포 : 전도에 나며(충북 제외) 일본 만주 중국 우수리 몽고 시베리아 중앙아시아 유럽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이다.

    특징 : 자방이 갈라지지 않고 암술대는 정생하며 핵과가 생기고 해안에 난다.
    Read More
  17. No Image

    뚝지치

    학명 : Hackelia deflexa (Wahlenb.) Opiz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지치과(Boraginaceae) target=_blank>지치과(Boragin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뚝지치속(Hackelia) target=_blank>뚝지치속(Hackelia)</a>
    이명 : 뚝돌지치북개지치산개지치 산들지치
    잎 : 잎은 호생하고 선상 피침형이며 밑부분의 것은 엽병이 있고 길이 2-5(9)cm 폭 3-10(20)mm로서 양면에 강모가 밀생하며 끝이 둔하거나 뾰족하다.
    꽃 : 꽃은 7-8월에 피고 연한 하늘색으로 지름 3-5mm이며 가지끝의 총상화서에 달리고 소화경은 길이 2-5mm로서 꽃이 진 다음 처지며 포는 피침형이고 소화경보다 짧다. 꽃받침은 5개로 깊게 갈라지며 열편은 피침형이고 길이 1-3mm로서 꽃이 진 다음 젖혀지며 화관 후부가 황색이다.
    열매 : 열매는 소견과이다. 분과는 사면체이고 가장자리에 자모가 줄로 돋아 있으며 길이 2mm정도로서 표면에 잔돌기가 있다.
    줄기 : 높이 20-80cm이고 가지가 갈라지며 전체에 강모가 밀생한다.

    분포 : 함경도의 고원지대 및 백두산지역에서 자란다.
    형태 : 1년 또는 2년초

    특징 : 뚝지치란 일본이름을 잘못 번역한 것으로서 산지에서 자란다는 것을 잘못 번역하였다.
    Read More
  18. No Image

    돌지치

    학명 : Lappula heteracantha (Ledeb.) Guerk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지치과(Boraginaceae) target=_blank>지치과(Boragin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들지치속(Lappula) target=_blank>들지치속(Lappula)</a>

    잎 : 잎은 호생하고 엽병이 없으며 피침형이고 양끝이 좁으며 길이 2-3cm 폭 3-5mm로서 끝이 둥글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양면과 가장자리에 강모가 밀생한다.
    꽃 : 꽃은 6월에 피고 벽자색으로서 윗부분에 1개씩 달려 총상화서를 이루며 포는 잎같고 작으며 소화경은 털이 있고 대개 포보다 짧다. 꽃받침은 깊게 5개로 갈라지며 열편은 선상 피침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길이 4mm로서 긴 털이 있고 화관 윗부분이 5개로 갈라져 거의 수평으로 퍼지며 끝이 둥글다.
    열매 : 4개로 갈라진 분과이다. 열매는 뒷면과 가장자리에 줄로 돋아 있는 긴 돌기 사이에 두드러기 같은 돌기가 있다.
    줄기 : 높이가 40cm에 달하며 곧게 서고 밑에서부터 가지가 많이 갈라지며 전체적으로 밑부분이 넓은 굳센 털이 많다.

    분포 : 태백산이나 황해도 이북으로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


    Read More
  19. No Image

    덩굴꽃마리

    학명 : Trigonotis icumae (Maxim.) Makino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지치과(Boraginaceae) target=_blank>지치과(Boragin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꽃마리속(Trigonotis) target=_blank>꽃마리속(Trigonotis)</a>
    이명 : 덩굴꽃말이
    잎 : 잎은 호생하고 난형이며 예두 원저이고 길이 3-5cm 폭 1.5-2.5cm로서 가장자리는 밋밋하며 밑부분의 잎은 엽병이 길지만 위로 갈수록 짧아진다.
    꽃 : 5-6월에 개화하는 연한 하늘색의 꽃은 지름 10mm이고 가지옆에서 7-10개가 총상화서로 달린다. 포엽은 없으며 소화경은 길이 1-1.5mm로서 비스듬히 선다. 꽃받침은 녹색이고 5개로 갈라지며 화관은 통모양이고 화관통부는 길이 2mm정도이며 수술은 5개로서 통부의 중앙보다 위에 달린다.
    열매 : 소견과의 열매는 끝이 뾰족한 삼각형이고 잔털이 있다.
    줄기 : 높이 7-20cm이고 전체에 복모가 있으며 옆으로 눕고 엽액에서 나온 가지가 길게 자라 덩굴성이 된다.

    분포 : 중부 지방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

    특징 : 전체에 거칠고 긴 누운 털이 밀생한다.
    Read More
  20. No Image

    당개지치

    학명 : Brachybotrys paridiformis Maxim. ex Oliv.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지치과(Boraginaceae) target=_blank>지치과(Boragin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당개지치속(Brachybotrys) target=_blank>당개지치속(Brachybotrys)</a>
    이명 : 당꽃마리
    잎 : 잎은 호생하며 밑부분의 것은 막질의 초엽같고 위로 가면서 긴 엽병 끝에서 엽신이 자라기 시작하며 엽병 밑부분이 넓어져서 원줄기를 감싸고 표면과 가장자리에 긴 백색털이 있으며 끝에서는 마디사이가 짧아져서 5-7개의 잎이 밀생하여 윤생한 것처럼 보인다. 정엽은 긴 타원형 도피침상 타원형 또는 방추형이고 양끝이 좁지만 특히 선단이 바늘같이 뾰족한 급첨두에 예저이며 길이 5-12cm 폭 2-6cm로서 짧은 엽병과 복모가 있다.
    꽃 : 꽃은 5-6월에 피고 자주색이며 지름 1cm정도이며 5-7개송이가 줄기끝의 총상화서에 달리고 화경은 길이 4cm정도이며 소화경은 길이 5-20mm이다. 꽃받침은 5개로 깊게 갈라지며 열편은 피침형이고 점첨두이며 길이 8mm정도로서 털이 있다. 화관은 길이가 꽃받침과 비슷하며 5개로 갈라지고 열편은 둔두이며 길이 4.5mm이고 화관통은 길이 2.5mm이며 후부에 5개 부속물이 있다. 수술은 5개로서 짧으며 암술대는 1개로서 길게 화관밖으로 빠져나온다. 열
    열매 : 소견과는 삼각추형으로 길이 3mm가량이며 흑색으로 익고 짧은 털이 있으며 과경이 밑으로 처진다.
    줄기 : 높이가 40cm에 달하고 가지가 없으며 줄기는 곧추서고 잎과 더불어 짧은 털이 복생한다.
    뿌리 : 근경이 땅속에서 옆으로 길게 뻗으면서 움이 돋아 군락을 이룬다.
    분포 : 한국 중국 동북 러시아 극동부에 분포한다. 중부 이북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Next
/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