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4.18 20:06

뚝새풀

조회 수 6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학명 Alopecurus aequalis Sobol.
과명 벼과(Gramineae)
속명 뚝새풀속(Alopecurus)
이명 개풀독개풀 독새 독새기 독새풀 둑새풀 산독새풀
잎은 편평하며 길이 5~15cm 폭 1.5~5mm로서 백록색이고 털이 없으며 엽설은 색이 연하고 막질이며 뚜렷하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반원형 또는 난형으로서 길이 2-5mm이다.
꽃은 5~6월에 피며 화수(花穗)는 길이 3-8cm 폭 3-5mm로서 연한 녹색이고 가지에 털이 약간 있다. 소수(小穗)는 1개의 꽃으로 되며 좌우로 납작하고 짧은 대가 있다. 포영은 좌우 2개로서 기부에 붙어 있고 좁은 도란형이며 둔두로서 3맥이 있으며 바깥쪽 맥 밑부분에 복모가 있고 중륵에 백색털이 있다. 호영은 포영과 길이가 비슷하며 난형이고 털이 없으며 가장자리의 중앙까지 붙고 둔두로서 희미한 5맥이 있다. 까락은 뒷면 중앙이하에서 돋으며 길이
열매 길이 1mm의 영과이다.
줄기 높이 30cm이고 털이 없으며 밑에서 여러 갈래로 뭉쳐 난다.
분포 전국 각처에 분포한다.
형태 1~2년생 초본이다.
국명출전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Fl. petrop. 16 (1799)
참고문헌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1. No Image

    털뚝새풀

    학명 : Alopecurus japonicus Steud.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벼과(Gramineae) target=_blank>벼과(Gramin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뚝새풀속(Alopecurus) target=_blank>뚝새풀속(Alopecurus)</a>

    잎 : 잎새는 선형(線形)이고 백녹색이며 길이 4-15㎝ 폭 5-8㎜이며 엽초는 보통 잎새보다 길고 엽설릉 백색의 막질이며 높이 2-4㎜이다.
    꽃 : 꽃은 5월에 피며 화서는 원주형이고 줄기 끝에 달리는데 길이 3-6㎝ 지름 5-8㎜으로 재래종의 뚝새풀보다 굵다. 소수는 납작하고 길이 5-6㎜ 1소화이다. 호영은 2개 같은 모양 같은 크기이며 소수와 길이가 같고 분리되었으며 3맥이 있고 중앙맥을 경계로 강하게 접혀져 용골 위에 긴 털이 난다. 호영은 5맥이 있고 중앙맥 기부 근처에서부터 긴 까락이 생기며 까락은 길이 10-12㎜이다. 수술은 3개 꽃밥은 백색 길이 1㎜정도이다.

    줄기 : 줄기는 곧추 서며 뭉쳐서 나고 높이 20-60㎝이며 3개의 마디가 있다.

    분포 : 일본의 남부와 중국의 남부에 분포한다. ▶경남 하동군 고전면 신월리와 하동군 북천면 직전리 보리밭에서 채집하였다.
    형태 : 1년생 초본이다.
    유사종 : ▶뚝새풀
    특징 : ▶출전: Kor.J.Plant Tax.vol.24(2) ▶까락이 긴 것을 표현하여 털뚝새풀이라 칭하였다.
    Read More
  2. No Image

    큰뚝새풀

    학명 : Alopecurus pratensis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벼과(Gramineae) target=_blank>벼과(Gramin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뚝새풀속(Alopecurus) target=_blank>뚝새풀속(Alopecurus)</a>

    잎 : 잎은 길이 20-40㎝ 폭 3-5㎜로 털이 없으며 백록색이다. 엽초는 엷은 녹색으로 때로는 아래쪽이 자갈색을 띠기도 하며 엽설(葉舌)은 높이 1-2㎜정도이다.
    꽃 : 화서(花序)는 원주형(圓柱形) 길이 5-8㎝ 폭 6-10㎜ 엷은 초록색이거나 보라색을 띠기도 한다. 5-7월에 꽃이 핀다. 소수(小穗)는 길이 4-5㎜로 납작한 1소화로 되며 포영(苞潁)은 같은 크기이고 3맥 중앙맥을 경계로 접혀져 있고 중앙맥에 길고 연한 털이 밀생한다. 호영은 4맥이 있고 등쪽기부 근처에서 1㎝ 내외의 까락(芒)이 1개 있다. 꽃밥은 외부로 돌출되며 길이 2-3㎜로 진한 황색이거나 자색이다.

    줄기 : 짧은 뿌리줄기가 있고 줄기는 높이 50-100㎝로 곧게 서며 여러 개가 뭉쳐난다.


    형태 : 다년생 초본

    특징 : 우리 나라에는 목초로 재배되던 것이 일출(逸出)되어 야생 상태로 되었다.
    Read More
  3. No Image

    쥐꼬리뚝새풀

    학명 : Alopecurus myosuroides Huds.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벼과(Gramineae) target=_blank>벼과(Gramin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뚝새풀속(Alopecurus) target=_blank>뚝새풀속(Alopecurus)</a>

    잎 : 엽초는 둥글며 녹색이고 간혹 담자색을 띠기도 한다. 엽설은 백색 막질로 2-4㎜이며 잎새는 길이 5-15㎝ 폭 3-6㎜로 털이 없고 녹색이다.
    꽃 : 꽃은 5-6월에 피며 원추화서는 원주형으로 끝쪽이 가늘게 되며 길이 3-10㎝ 폭 3-6㎜ 담록색으로 가끔 담자색을 띤다. 소수는 납작하고 1개의 소화로 되며 길이 5㎜내외이다. 제1 포영과 제2 포영은 같은 크기 같은 모양이며 기부로부터 1/2길이에 이르기까지 융합되어 있어 3맥이며 중앙맥을 경계로 강하게 접혀서 용골을 이루며 용골위에 좁은 날개와 미세한 털이 열지어 난다. 호영은 포영과 같은 길이이며 5맥이 있고 중앙맥을 그 기부에서부터 까락으로

    줄기 : 줄기는 모여서 나며 높이 20-50㎝이며 4개내외의 마디가 있다.

    분포 : ▶일본과 북아메리카에 귀화되었다. ▶인천의 남항 바닷가에서 채집하였다.
    형태 : 1년생 초본이다.

    특징 : ▶출전: Kor.J.Plant Tax.vol.24(2)
    Read More
  4. No Image

    뚝새풀

    학명 : Alopecurus aequalis Sobo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벼과(Gramineae) target=_blank>벼과(Gramin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뚝새풀속(Alopecurus) target=_blank>뚝새풀속(Alopecurus)</a>
    이명 : 개풀독개풀 독새 독새기 독새풀 둑새풀 산독새풀
    잎 : 잎은 편평하며 길이 5~15cm 폭 1.5~5mm로서 백록색이고 털이 없으며 엽설은 색이 연하고 막질이며 뚜렷하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반원형 또는 난형으로서 길이 2-5mm이다.
    꽃 : 꽃은 5~6월에 피며 화수(花穗)는 길이 3-8cm 폭 3-5mm로서 연한 녹색이고 가지에 털이 약간 있다. 소수(小穗)는 1개의 꽃으로 되며 좌우로 납작하고 짧은 대가 있다. 포영은 좌우 2개로서 기부에 붙어 있고 좁은 도란형이며 둔두로서 3맥이 있으며 바깥쪽 맥 밑부분에 복모가 있고 중륵에 백색털이 있다. 호영은 포영과 길이가 비슷하며 난형이고 털이 없으며 가장자리의 중앙까지 붙고 둔두로서 희미한 5맥이 있다. 까락은 뒷면 중앙이하에서 돋으며 길이
    열매 : 길이 1mm의 영과이다.
    줄기 : 높이 30cm이고 털이 없으며 밑에서 여러 갈래로 뭉쳐 난다.

    분포 : 전국 각처에 분포한다.
    형태 : 1~2년생 초본이다.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