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4.18 20:06

두잎약난초

조회 수 9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학명 Cremastra unguiculata (Finet) Finet
과명 난초과(Orchidaceae)
속명 약난초속(Cremastra)
이명 종덕이난초
잎은 1-2개씩 나오며 길이 10-15cm 나비 3-5cm로서 긴 타원형이고 엽병은 길이 4-6cm로서 3개의 주맥이 있다.
꽃은 5-6월에 피며 황갈색으로서 비스듬히 서고 반 쯤 벌어지며 화경(花莖)은 길이 25-40cm로서 2개의 초상엽이 있고 포는 피침형이며 길이 4-6mm로서 막질이다. 꽃받침잎은 선상 도피침형이고 길이 18-20mm로서 갈황색 바탕에 자주색 반점이 있으며 꽃잎은 길이 14-16mm로서 선형이고 중앙부의 꽃받침잎에 닿는다. 순판은 선형이며 꽃잎과 길이가 비슷하고 예주를 감싸며 밑부분이 거의 부풀지 않고 백색으로서 끝부분이 갑자기 젖혀져서 3개로 갈라진다
열매 열매는 타원형의 삭과이다.
줄기 위경이 발달하였다.
뿌리 위인경(僞鱗莖)은 난상 구형이며 녹색이고 길이 1-1.5㎝이다.
분포 제주도에서 자란다.
형태 다년생 초본
유사종 ▶약난초(C. appendiculata Makino): 잎은 보통 1장이고 긴 타원형 길이 20-30cm 나비 4-8cm 3맥이 뚜렷하다.
특징 세계에 약 5종 우리 나라에는 2종이 분포한다. 지상에 나는 포복성 난이며 위경이 발달하고 대형인 잎이 밑동에 붙고 세로로 주름이 진다.
국명출전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Bull. Soc. Bot. France. 47:269 (1900)
참고문헌 1) 한국동식물도감 제18권 식물편(계절식물) (이영노, 1976)

  1. No Image

    약난초

    학명 : Cremastra variabilis (Blume) Nakai ex Shibata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B%82%9C%EC%B4%88%EA%B3%BC(Orchidaceae) target=_blank>난초과(Orchid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약난초속(Cremastra) target=_blank>약난초속(Cremastra)</a>
    이명 : 약란 정화난초
    잎 : 잎은 1-2개가 인경 끝에서 나와 겨울이 지나면 마르며 긴 타원형이고 길이 25-40cm 나비 4-5cm로서 3맥이 있으며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이 좁아져서 엽병과 연결된다.
    꽃 : 개화기는 5-6월로 잎 옆에서 길이 30-50cm정도의 화경이 나와 곧추 자라며 15-20개의 연한 자줏빛이 도는 갈색 꽃이 한쪽으로 치우쳐서 밑을 향해 달린다. 엽신이 없는 초상엽이 있고 화서는 길이 10-20㎝이며 포는 길이 7-10mm로서 선상 피침형이고 예두이다. 화피열편은 선상 도피침형이며 길이 3-3.5㎝ 나비 4-5mm이고 순판은 윗부분이 3개로 갈라지며 기부에 육질의 부속체가 있고 거(距)가 없다. 암술은 길이 2.5cm로서 윗부분이 약
    열매 : 삭과는 타원형으로 대가 없고 길이 2-2.5cm로서 밑을 향한다.
    줄기 : 위경이 발달하였다.
    뿌리 : 위인경(僞鱗莖)은 난상 원형이고 땅속으로 얕게 들어가며 높이 3㎝이고 옆으로 염주같이 연결된다.
    분포 : 내장산 이남 및 해안 도서 지역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감자난(Oreorchis patens Lindl.) ▶두잎약난초(C. unguiculata Finet): 약난초와 닮았으나 잎이 2장이다.
    특징 : ▶환경부에서 희귀종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지정번호 식-39) ▶뿌리에 항생물질이 존재하여 약제로 절리 사용한다. 9월경에 새로운 잎이 나오 상록인 상태로 월동하고 5월경에 묵은 잎이 고사한 후에 개화하는 특성이 있다.
    Read More
  2. No Image

    두잎약난초

    학명 : Cremastra unguiculata (Finet) Finet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B%82%9C%EC%B4%88%EA%B3%BC(Orchidaceae) target=_blank>난초과(Orchid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약난초속(Cremastra) target=_blank>약난초속(Cremastra)</a>
    이명 : 종덕이난초
    잎 : 잎은 1-2개씩 나오며 길이 10-15cm 나비 3-5cm로서 긴 타원형이고 엽병은 길이 4-6cm로서 3개의 주맥이 있다.
    꽃 : 꽃은 5-6월에 피며 황갈색으로서 비스듬히 서고 반 쯤 벌어지며 화경(花莖)은 길이 25-40cm로서 2개의 초상엽이 있고 포는 피침형이며 길이 4-6mm로서 막질이다. 꽃받침잎은 선상 도피침형이고 길이 18-20mm로서 갈황색 바탕에 자주색 반점이 있으며 꽃잎은 길이 14-16mm로서 선형이고 중앙부의 꽃받침잎에 닿는다. 순판은 선형이며 꽃잎과 길이가 비슷하고 예주를 감싸며 밑부분이 거의 부풀지 않고 백색으로서 끝부분이 갑자기 젖혀져서 3개로 갈라진다
    열매 : 열매는 타원형의 삭과이다.
    줄기 : 위경이 발달하였다.
    뿌리 : 위인경(僞鱗莖)은 난상 구형이며 녹색이고 길이 1-1.5㎝이다.
    분포 : 제주도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약난초(C. appendiculata Makino): 잎은 보통 1장이고 긴 타원형 길이 20-30cm 나비 4-8cm 3맥이 뚜렷하다.
    특징 : 세계에 약 5종 우리 나라에는 2종이 분포한다. 지상에 나는 포복성 난이며 위경이 발달하고 대형인 잎이 밑동에 붙고 세로로 주름이 진다.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