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명 | Sedum japonicum Siebold ex Miq. |
|---|---|
| 과명 | 돌나물과(Crassulaceae) |
| 속명 | 돌나물속(Sedum) |
| 이명 | 넓은잎기린초 암채송화 |
| 잎 | 잎은 호생하고 육질이며 원주형이고 길이 5~12mm 지름 2mm로서 끝이 둥글거나 둔하며 중앙 윗부분이 가장 넓고 전체가 적색으로 되는 수도 있다. 잎의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
| 꽃 | 꽃은 5-6월에 피며 황색이고 3-4개로 갈라진 화서에 많은 꽃이 달리며 5수성이다. 꽃받침잎은 선상 긴 타원형으로서 끝이 둔하며 크기가 다르다. 꽃잎은 5개이며 피침형이고 길이 6~7mm로서 끝이 뾰족하다. 수술은 10개이며 꽃잎보다 짧고 꽃밥은 난상 원형으로서 밑부분이 심장저이며 심피는 5개이고 성숙함에 따라 옆으로 벌어진다. |
| 열매 | 열매는 골돌로서 5개이다. |
| 줄기 | 원줄기는 밑부분이 옆으로 비스듬히 자라며 윗부분이 곧게 서고 높이 10-15cm이며 밑부분에서 꽃이 달리지 않는 가지가 뻗으면서 번식한다. |
| 분포 | 우리 나라 중부 이남의 산지에서 자란다. |
| 형태 | 다년생 초본. |
| 유사종 | ▶가는기린초(S. aizoon): 잎은 호생 잎자루가 없고 긴 타원상 피침형 난상 피침형이다. ▶꿩의비름(S. erythrostichum): 전체가 분백색 잎은 털이 없으며 잎자루는 짧다. ▶기린초(S. kamtschaticum): 잎은 도란형 넓은 피침형 양면에 털이 없고 잎자루가 없다. |
|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
| 학명출전 | Ann. Mus. Bot. Lugd-Bat. 2: 156 (1865) |
| 참고문헌 | 1)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2) 한국쌍자엽식물지(초본편) (박만규, 1974) |
-
Read MoreNo Image
세잎꿩의비름
학명 : Hylotelephium verticillatum (L.) H.Ohba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B%8F%8C%EB%82%98%EB%AC%BC%EA%B3%BC(Crassulaceae) target=_blank>돌나물과(Crass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꿩의비름속(Hylotelephium) target=_blank>꿩의비름속(Hylotelephium)</a>
이명 : 제주꿩의비름
잎 : 잎은 육질로 분백색이 돌며 보통 3엽윤생이나 드물게 대생 또는 호생이고 타원형 또는 피침형으로 길이 3~13cm 나비 1~3cm이며 끝이 둔하고 밑부분이 뾰족하며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고 마르면 세 맥이 뚜렷해지며 갈색이 돌고 흔히 부분적으로 흑갈색 반점이 있으며 엽병은 길이 2~10mm이다.
꽃 : 꽃은 8∼9월에 누른빛이 도는 녹백색으로 피며 상부의 잎짬과 줄기 끝에 산방상으로 빽빽이 난다. 꽃받침조각은 난형으로 길이 1mm 꽃잎은 5개로 피침형이며 길이 4mm 수술은 10개로 길이는 꽃잎과 비슷하고 꽃밥은 흑갈색이다.
열매 : 과실은 골돌로 5개이다.
줄기 : 암자색을 띤다.
분포 : 거의 전도에 드물게 나며 일본 만주 사할린 캄차카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이다.
-
Read MoreNo Image
섬꿩의비름
학명 : Hylotelephium viridescens (Nakai) H.Ohba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B%8F%8C%EB%82%98%EB%AC%BC%EA%B3%BC(Crassulaceae) target=_blank>돌나물과(Crass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꿩의비름속(Hylotelephium) target=_blank>꿩의비름속(Hylotelephium)</a>
이명 : 녹색꿩의비름 )
잎 : 잎은 어긋나거나 마주나거나 돌려나며 동일한 줄기에서도 변이가 심하다. 잎은 달걀형 내지 타원형으로 밑부분이 둥글며 엽병이 없다. 잎은 녹색으로 가장자리는 예리한 톱니를 갖고 한쪽 가장자리에 4~6개의 톱니를 갖는다.
꽃 : 꽃은 녹색을 띠며 지름이 8~9mm이다.
열매 : 열매는 직립하며 5mm 정도 길다.
줄기 : 줄기는 1~4개가 뿌리에서 나오며 높이 10~50cm 정도로 꽃차례 아래 줄기에 15~20개의 돌출된마디를 갖는다.
뿌리 : 뿌리는 5mm 정도로 굵고 다육질이다.
분포 : 한반도(제주도 한라산 전라남도 무등산 지리산)
-
Read MoreNo Image
섬기린초
학명 : Sedum takesimense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B%8F%8C%EB%82%98%EB%AC%BC%EA%B3%BC(Crassulaceae) target=_blank>돌나물과(Crass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돌나물속(Sedum) target=_blank>돌나물속(Sedum)</a>
이명 : 울릉기린초 )
잎 : 잎은 호생하고 피침형 둔두이며 좁은 예저이고 길이 5~6cm 폭1.0-1.4cm로서 양쪽 가장자리에 6-7쌍의 둔한 톱니가 있으며 표면은 황록색 뒷면은 회록색으로 양면에 털이 없다.
꽃 : 꽃은 7월경에 피고 지름 13mm로서 황색이며 산방화서에 20~30송이가 달린다. 꽃받침은 선형이며 꽃잎도 피침형이고 길이 6~7mm로서 각각 5개이다. 수술은 10개이며 꽃밥은 황적색이고 수술대는 황록색이며 암술은 5개이고 암술머리는 가늘며 황록색으로서 길고 뾰족하다.
열매 : 열매는 골돌 5개이고 끝이 가시같이 뾰족하다.
줄기 : 높이가 50cm에 달하고 기부 30cm정도가 겨울동안 살아 남아 있다가 다음해 봄에 다시 싹이 나와서 자라며 줄기가 옆으로 비스듬히 뻗으면서 자란다.
분포 : 경북 울릉도와 독도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가는기린초(S. aizoon): 잎은 호생 잎자루가 없고 긴 타원상 피침형 난상 피침형이다. ▶넓은잎기린초(S. ellacombianum): 잎은 호생 다육질 타원형이다. ▶꿩의비름(S. erythrostichum): 전체가 분백색 잎은 털이 없으며 잎자루는 짧다. ▶기린초(S. kamtschaticum): 잎은 도란형 넓은 피침형 양면에 털이 없고 잎자루가 없다.
특징 : 줄기 밑부분 30cm 정도가 겨울에 살아 있다가 다음 해 봄에 싹이 나온다.
-
Read MoreNo Image
새끼꿩의비름
학명 : Hylotelephium viviparum (Maxim.) H.Ohba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B%8F%8C%EB%82%98%EB%AC%BC%EA%B3%BC(Crassulaceae) target=_blank>돌나물과(Crass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꿩의비름속(Hylotelephium) target=_blank>꿩의비름속(Hylotelephium)</a>
이명 : 비위채송화 싹눈꿩의비름
잎 : 잎은 대생 또는 3장씩 윤생하며 엽병이 짧고 넓은 피침형이며 톱니가 없거나 약간 있고 길이 3~6cm 폭1-2cm이다.
꽃 : 꽃은 8-9월에 피고 지름 1cm정도로서 황백색이며 원줄기 끝의 산방상 취산화서에 많은 꽃이 달리고 소화경이 짧다. 꽃잎과 꽃받침잎은 각 5개이며 피침형이고 꽃잎은 긴 타원상 피침형으로서 끝이 뾰족하며 수술은 10개이고 꽃잎과 길이가 비슷하다.
열매 : 열매는 골돌로서 5개이다. 엽액과 화서에 생기는 육아(肉芽)로 번식한다.
줄기 : 높이가 60cm에 달한다.
뿌리 : 뿌리는 비대.
분포 : 전국 각지의 산지에 난다.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가는기린초(S. aizoon): 잎은 호생 잎자루가 없고 긴 타원상 피침형 난상 피침형이다. ▶넓은잎기린초(S. ellacombianum): 잎은 호생 다육질 타원형이다. ▶꿩의비름(S. erythrostichum): 전체가 분백색 잎은 털이 없으며 잎자루는 짧다. ▶기린초(S. kamtschaticum): 잎은 도란형 넓은 피침형 양면에 털이 없고 잎자루가 없다.
특징 : 세잎꿩의비름과 비슷하지만 잎겨드랑이와 화서의 육아로 번식하는 특색이 있으므로 새끼꿩의비름이라고 한다.
-
Read MoreNo Image
바위채송화
학명 : Sedum polytrichoides Hems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B%8F%8C%EB%82%98%EB%AC%BC%EA%B3%BC(Crassulaceae) target=_blank>돌나물과(Crass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돌나물속(Sedum) target=_blank>돌나물속(Sedum)</a>
이명 : 개돌나물 대마채송화
잎 : 잎은 호생하며 피침상 선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길이 6-15mm 폭 1.2-2.5mm로서 편평한 육질이고 밑부분은 자주색이며 엽병이 없다.
꽃 : 꽃은 8-9월에 피고 황색이며 화경(花梗)이 없고 가지 끝에서 가지가 갈라지며 취산화서에 약간 달리고 포엽이 꽃보다 다소 길다. 꽃받침잎은 5개이며 길이 2mm정도로서 서로 다르고 선형 또는 선상 침형이며 꽃잎은 5개이고 피침형이며 길이 5-6mm로서 끝이 뾰족하다. 수술은 10개로서 꽃잎보다 짧고 심피는 5개이며 밑부분이 약간 붙어 있다.
열매 : 열매는 5개이고 길이 8-9mm로서 둥근 피침형인 골돌이다.
줄기 : 원줄기는 밑부분이 옆으로 뻗고 윗부분이 가지와 더불어 곧추서서 높이가 10cm에 달하며 밑부분에 갈색이 돌고 꽃이 달리지 않는 가지에는 잎이 밀생한다.
분포 : 전국 각처의 산지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
특징 : 보통 때는 지상부가 고사한 듯이 보이나 비가 온 후에 생육과 개화가 급속도로 이루어지고 목색의 관상가치가 높은 식물체가 된다.
-
Read MoreNo Image
바위솔
학명 : Orostachys japonica (Maxim.) A.Berger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B%8F%8C%EB%82%98%EB%AC%BC%EA%B3%BC(Crassulaceae) target=_blank>돌나물과(Crass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바위솔속(Orostachys) target=_blank>바위솔속(Orostachys)</a>
이명 : 넓은잎바위솔 )넓은잎지붕지기 오송 와송 지붕직이
잎 : 근생엽은 로제트형으로 납작하게 퍼져 자라며 끝이 굳어져 가시처럼 된다. 원줄기에 잎이 다닥다닥 달리며 엽병이 없고 여름철에 나오는 근생엽과 더불어 끝이 굳어지지 않고 다만 뾰족해질 뿐이며 피침형으로서 주로 녹색이지만 때로 자주색 또는 흰분을 바른 듯한 백색을 띤다.
꽃 : 꽃은 9월에 피고 백색이며 총상화서는 길이 6-15cm로서 화병이 없는 꽃이 밀착하고 포는 피침형이며 끝이 뾰족하다. 꽃받침잎은 5개로서 피침형이고 연한 녹색이며 꽃잎도 5개로서 피침형 예두이고 길이 6mm정도이다. 수술은 10개이며 꽃잎보다 길고 자방은 5개이며 꽃밥은 적색이지만 점차 흑색으로 된다.
열매 : 열매는 골돌로 5개이다.
분포 : ▶일본 만주에 분포한다. ▶전국 각지에 야생한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둥근바위솔(Orstachys malacophyllus Fisch)은 동해안과 남해안의 해안가 바위나 모래밭에 자생한다. ▶애기바위솔(Orstachy minutus A. Berger)은 중북부 지역의 깊은 산 속 바위 위에 주로 자생한다. ▶바위연꽃(Orstachys iwarenge Hara)은 제주도 해안가의 절벽이나 암석 위에서 자생한다.
특징 : ▶다육질 식물로 꽃이 피고 열매가 맺으면 죽어 버린다. 예전에는 기와지붕 위에 널리 자생하였으므로 와송(瓦松)이라 부르기도 했다. ▶꽃이 피고 열매를 맺으면 죽는다.
-
Read MoreNo Image
민말똥비름
학명 : Sedum alfredii Hanc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B%8F%8C%EB%82%98%EB%AC%BC%EA%B3%BC(Crassulaceae) target=_blank>돌나물과(Crass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돌나물속(Sedum) target=_blank>돌나물속(Sedum)</a>
이명 : 말똥비름 알돌나물 )
잎 : 잎은 호생하고 대개 낙엽성이고 엽신은 주걱형 또는 도란형이며 길이 1.2~3cm 너비 0.2~0.6cm이고 엽저는 편평한 쐐기꼴이며 엽두는 둔두이거나 때때로 엽연이 거치로 갈라져 있다.
꽃 : 산방상 취산화서는 직경 5~8cm이고 많은 꽃이 달리며 포는 잎과 같다. 꽃은 화병이 없으며 5갈래로 갈라지고 직경 1mm이다. 꽃받침잎은 긴 주걱모양이며 길이 3~5mm 너비 1~1.5mm이고 화판은 황색이며 피침형에서 긴 피침형으로 길이 4~6mm 너비 1.6~1.8mm로서 아랫부분은 합생하고 미철두이다. 수술은 10개이고 꽃받침의 앞에 있는 것은 길이 약 4mm 화판 아래에 있는 것은 길이 1~1.5mm이다. 밀선은 주걱모양의 4
열매 : 골돌과는 비대칭적으로 분지하였으며 종자는 다수이고 갈색이며 약 0.6 mm이다.
줄기 : 줄기는 분지하지 않거나 윗부분에서 분지한다.
분포 : 중국 대만 일본 한국.
형태 : 다년초이다.
-
Read MoreNo Image
모란바위솔
학명 : Orostachys saxatilis (Nakai)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B%8F%8C%EB%82%98%EB%AC%BC%EA%B3%BC(Crassulaceae) target=_blank>돌나물과(Crass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바위솔속(Orostachys) target=_blank>바위솔속(Orostachys)</a>
잎 : 밑부분 잎은 뚜렷한 로제트형을 하고 있으며 잎은 연변이 밋밋하며 흰색의 골질의 부속지를 가지고 있고 크기는 3~6cm×3~6mm이다. 경생엽의 경우 타원형이고 주걱형이며 연변이 밋밋한 흰색의 테두리를 갖고 있으며 끝에 뾰족한 부속지가 있다.
꽃 : 꽃은 5수성으로 녹색을 띠고 있고 타원형으로 밑부분이 붙어 있으며 길이는 2mm이다.
줄기 : 다육질이고 수염뿌리를 갖고 있으며 전체 크기가 30cm 정도이다.
분포 : 한반도(평안남북도 북부 지역)
형태 : 여러해살이풀이다.
특징 : ※ 북한에만 분포하는 종.
-
Read MoreNo Image
멕시코돌나물
학명 : Sedum mexicanum Britton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B%8F%8C%EB%82%98%EB%AC%BC%EA%B3%BC(Crassulaceae) target=_blank>돌나물과(Crass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돌나물속(Sedum) target=_blank>돌나물속(Sedum)</a>
잎 : 잎은 어긋나고 돌려난다.
꽃 : 화서는 3개 내외의 가지 옆으로 펼친다. 꽃받침은 5개 꽃잎은 5개이며 길이 4mm이다. 수술 10개로 길이 2mm이고 꽃밥 길이는 0.3mm이다.
열매 : 열매는 5~6개로 길이5mm이다. 종자는 여러 개로 종자길이 0.7mm이며 미세한 돌기가 줄지어 난다.
줄기 : 줄기는 원통형으로 털이 없고 다육질이다. 기부에서 가지치고 위쪽으로 곧게 선다.
분포 : 멕시코
-
Read MoreNo Image
말똥비름
학명 : Sedum bulbiferum Makino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B%8F%8C%EB%82%98%EB%AC%BC%EA%B3%BC(Crassulaceae) target=_blank>돌나물과(Crass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돌나물속(Sedum) target=_blank>돌나물속(Sedum)</a>
이명 : 싹눈돌나물 알돌나물 )알돌나물아재비
잎 : 잎은 원줄기 밑부분의 것은 대생하고 엽병이 짧으며 난형이지만 윗부분의 것은 호생하고 주걱형이며 밑부분이 점차 좁아져서 엽병이 없어지고 길이 10~15mm 폭 2-4mm로서 끝이 둔하다. 엽액에 생기는 2쌍의 잎이 달려있는 둥근 육아로 번식한다.
꽃 : 꽃은 6-8월에 피며 지름 10~14mm로서 황색이고 화경(花梗)이 없으며 원줄기 끝에서 가지가 갈라져서 취산화서가 발달하고 꽃이 한쪽으로 치우쳐서 달리며 꽃밑의 포엽이 1개씩 있다. 꽃받침잎은 녹색이고 긴 타원상 주걱형으로서 끝이 둔하고 크기가 각각 다르다. 꽃잎은 5개이며 피침형이고 길이 5mm정도로서 끝이 뾰족하다. 수술은 10개이며 꽃잎보다 짧고 심피는 5개로서 밑부분이 합생하며 비스듬히 서고 열매를 맺지 않는다.
열매 : 열매는 5개이며 골돌이다.
줄기 : 높이 7-22cm이며 전체가 부드럽고 약하며 원줄기 밑부분이 옆으로 뻗으면서 마디에서 뿌리가 내리고 털이 없다.
분포 : 전국에 걸쳐 분포한다.
형태 : 2년생 초본.
유사종 : ▶가는기린초(S. aizoon): 잎은 호생 잎자루가 없고 긴 타원상 피침형 난상 피침형이다. ▶넓은잎기린초(S. ellacombianum): 잎은 호생 다육질 타원형이다. ▶꿩의비름(S. erythrostichum): 전체가 분백색 잎은 털이 없으며 잎자루는 짧다. ▶기린초(S. kamtschaticum): 잎은 도란형 넓은 피침형 양면에 털이 없고 잎자루가 없다.
특징 : 전체가 부드럽고 연하며 원줄기 밑부분이 옆으로 뻗으면서 마디에서 뿌리가 나옴.
-
Read MoreNo Image
땅채송화
학명 : Sedum oryzifolium Makino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B%8F%8C%EB%82%98%EB%AC%BC%EA%B3%BC(Crassulaceae) target=_blank>돌나물과(Crass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돌나물속(Sedum) target=_blank>돌나물속(Sedum)</a>
이명 : 갯채송화 제주기린초
잎 : 잎은 호생하고 길이 3-6mm 지름 1.5-2.5mm로서 원주상 도란형 또는 타원형이며 끝이 둥글다.
꽃 : 꽃은 5~7월에 피고 원줄기 끝에는 꽃이 달리지 않으며 줄기 상단에서 갈라진 가지 끝에 3~10개의 노란 꽃이 집산화서로 달린다. 꽃받침조각은 길이 3~4mm로서 난상 타원형이고 끝이 둥글다. 꽃잎은 길이 4~5mm로서 넓은 피침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황색이며 꽃받침과 더불어 각각 5개이다. 수술은 10개이며 꽃잎보다 짧고 안쪽의 5개는 꽃잎 밑에 달리며 심피는 5개로서 다소 곧추서지만 성숙함에 따라 비스듬히 눕는다. 심피 밑부분에 있는 인편은 짧고 도란
열매 : 열매는 골돌로 5개이며 곧게 서지만 익으면 옆으로 비스듬히 퍼진다.
줄기 : 줄기가 옆으로 뻗고 가지가 갈라지며 원줄기 윗부분과 가지가 모여 곧게 서고 높이 5-12cm이며 군생한다.
분포 : 중부 이남의 바닷가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가는기린초(S. aizoon): 잎은 호생 잎자루가 없고 긴 타원상 피침형 난상 피침형이다. ▶넓은잎기린초(S. ellacombianum): 잎은 호생 다육질 타원형이다. ▶꿩의비름(S. erythrostichum): 전체가 분백색 잎은 털이 없으며 잎자루는 짧다. ▶기린초(S. kamtschaticum): 잎은 도란형 넓은 피침형 양면에 털이 없고 잎자루가 없다.
특징 : 다육질 식물로 다양한 용도의 관상식물로 개발 가능성이 높다.
-
Read MoreNo Image
둥근잎꿩의비름
학명 : Hylotelephium ussuriense (Kom.) H.Ohba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B%8F%8C%EB%82%98%EB%AC%BC%EA%B3%BC(Crassulaceae) target=_blank>돌나물과(Crass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꿩의비름속(Hylotelephium) target=_blank>꿩의비름속(Hylotelephium)</a>
잎 : 잎은 길이와 폭이 각각 2.5-4.5cm로 난상 원형 또는 타원형이고 엽병은 없으며 대생한다. 가장자리에 불규칙하고 둔한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7-8월에 피며 짙은 홍자색으로서 원줄기 끝에 둥글게 모여 달린다. 꽃받침은 끝이 5개로 갈라지며 열편은 피침형이고 녹색이다. 꽃잎은 5개로서 자홍색이 돌며 배모양이고 수술은 10개로서 그 중 5개는 꽃잎과 대생하며 수술대는 꽃잎과 길이가 비슷하고 꽃밥은 적색이며 꽃가루는 황색이다. 암술은 5개가 서로 떨어지고 꽃잎과 대생하며 암술대는 길이 1mm정도이다.
열매 : 열매는 골돌로서 5개이다.
줄기 : 높이 15-25cm이며 밑으로 처지고 붉은빛이 돈다.
뿌리 : 몇 개의 굵은 뿌리가 있다.
분포 : 중국 / 한국(경상북도 청송군, 포항시)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자주꿩의비름(S. telephium var. purpurem L.)
큰꿩의비름(S. spectabile Boreau)
꿩의비름(S. erythrostichum Miq.)
세잎꿩의비름(S. verticillatum L.)
특징 : ▶잎과 화서가 둥글고 꽃이 자홍색인 것이 큰꿩의비름과 다르다.
▶속명 Sedum은 라틴어 sedere(앉는다)에서 유래한 것으로 바위겉에 붙어서 자라는 형태에서 기인한 것이다.
-
Read MoreNo Image
둥근바위솔
학명 : Orostachys malacophylla (Pall.) Fisch.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B%8F%8C%EB%82%98%EB%AC%BC%EA%B3%BC(Crassulaceae) target=_blank>돌나물과(Crass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바위솔속(Orostachys) target=_blank>바위솔속(Orostachys)</a>
이명 : 응달바위솔
잎 : 근생엽은 총생하고 육질이며 주걱형 비슷하고 둔두(鈍頭) 또는 원두(圓頭)이며 길이 3-7cm 폭 7-28mm로서 연한 녹색이다.
꽃 : 원주형 수상화서는 길이 5-20cm로서 짧은 화경(花莖)이 있는 백색 꽃이 9-12월에 다닥다닥 달리고 포는 난형 예두이다. 꽃받침잎과 꽃잎은 각각 5개이고 꽃잎은 길이 5-7mm로서 꽃받침보다 2배 정도 길다. 수술은 10개로서 꽃잎보다 약간 길고 꽃밥은 자줏빛이 도는 적색이며 자방은 5개이다.
열매 : 골돌은 5개이며 난형이고 길이 4.5mm가량이다.
줄기 : 이듬해에 줄기와 화경이 나온다.
뿌리 : 근경은 짧고 굵으며 끝에서 잎이 총생한다.
분포 : ▶한국 중국 몽골 시베리아에 분포한다. ▶전국 각지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애기바위솔(Orstachy minutus A. Berger)은 중북부 지역의 깊은 산 속 바위 위에 주로 자생한다. ▶바위연꽃(Orstachys iwarenge Hara)은 제주도 해안가의 절벽이나 암석 위에서 자생한다.
특징 : 꽃이 피고 열매가 맺으면 지상부는 마른다.
-
Read MoreNo Image
돌채송화
학명 : Sedum japonicum Siebold ex Miq.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B%8F%8C%EB%82%98%EB%AC%BC%EA%B3%BC(Crassulaceae) target=_blank>돌나물과(Crass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돌나물속(Sedum) target=_blank>돌나물속(Sedum)</a>
이명 : 넓은잎기린초 암채송화
잎 : 잎은 호생하고 육질이며 원주형이고 길이 5~12mm 지름 2mm로서 끝이 둥글거나 둔하며 중앙 윗부분이 가장 넓고 전체가 적색으로 되는 수도 있다. 잎의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5-6월에 피며 황색이고 3-4개로 갈라진 화서에 많은 꽃이 달리며 5수성이다. 꽃받침잎은 선상 긴 타원형으로서 끝이 둔하며 크기가 다르다. 꽃잎은 5개이며 피침형이고 길이 6~7mm로서 끝이 뾰족하다. 수술은 10개이며 꽃잎보다 짧고 꽃밥은 난상 원형으로서 밑부분이 심장저이며 심피는 5개이고 성숙함에 따라 옆으로 벌어진다.
열매 : 열매는 골돌로서 5개이다.
줄기 : 원줄기는 밑부분이 옆으로 비스듬히 자라며 윗부분이 곧게 서고 높이 10-15cm이며 밑부분에서 꽃이 달리지 않는 가지가 뻗으면서 번식한다.
분포 : 우리 나라 중부 이남의 산지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가는기린초(S. aizoon): 잎은 호생 잎자루가 없고 긴 타원상 피침형 난상 피침형이다. ▶꿩의비름(S. erythrostichum): 전체가 분백색 잎은 털이 없으며 잎자루는 짧다. ▶기린초(S. kamtschaticum): 잎은 도란형 넓은 피침형 양면에 털이 없고 잎자루가 없다.
-
Read MoreNo Image
돌나물
학명 : Sedum sarmentosum Bung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B%8F%8C%EB%82%98%EB%AC%BC%EA%B3%BC(Crassulaceae) target=_blank>돌나물과(Crass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돌나물속(Sedum) target=_blank>돌나물속(Sedum)</a>
이명 : 돈나물
잎 : 잎은 3개씩 윤생하며 엽병이 없으며 긴 타원형 또는 도피침형이고 윗부분이 다소 넓어졌다가 좁아져 둔하게 끝나며 밑부분은 점점 좁아져서 직접 원줄기에 달리고 길이 1.5-2cm 폭 3-6mm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황록색이다.
꽃 : 꽃은 5-6월에 피며 지름 6-10mm로서 5수이고 높이 15cm정도의 화경(花梗)이 곧추 자라 그 끝에 많은 황색꽃이 취산화서로 달린다. 꽃받침잎은 타원상 침형이며 둔두로서 꽃받침보다 길며 황색이고 수술은 10개이다.
열매 : 골돌은 비스듬히 벌어진다.
줄기 : 길이는 15cm가량되며 줄기는 땅 위로 뻗고 밑에서 가지가 갈라져서 지면으로 뻗고 마디에서 뿌리가 내린다.
뿌리 : 지면으로 뻗은 줄기의 마디에서 뿌리가 내린다.
분포 : 전국 각지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가는기린초(S. aizoon): 잎은 호생 잎자루가 없고 긴 타원상 피침형 난상 피침형이다. ▶넓은잎기린초(S. ellacombianum): 잎은 호생 다육질 타원형이다. ▶꿩의비름(S. erythrostichum): 전체가 분백색 잎은 털이 없으며 잎자루는 짧다. ▶기린초(S. kamtschaticum): 잎은 도란형 넓은 피침형 양 면에 털이 없고 잎자루가 없다.
특징 : `돈나물`이라고도 하며 산림경제(숙종 때 박세당저)의 산야채품부에 `石菜(석경)`이라 하여 수록되어 있을 정도로 식용한 역사가 오랜 우리의 고유 식품재료이면서도 재배 채소화 되지 못한 들풀이다. 종명 sarmentosum은 덩굴줄기를 뜻한다.
-
Read MoreNo Image
돌꽃
학명 : Rhodiola elongata (Ledeb.) Fisch. & Mey.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B%8F%8C%EB%82%98%EB%AC%BC%EA%B3%BC(Crassulaceae) target=_blank>돌나물과(Crass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돌꽃속(Rhodiola) target=_blank>돌꽃속(Rhodiola)</a>
이명 : 가는잎돌꽃
잎 : 잎은 호생하며 엽병이 없고 피침형 또는 도란상 선형으로서 끝은 뾰족하며 상반부에 톱니가 있고 가장자리가 투명하다.
꽃 : 꽃은 이가화로서 7-8월에 피며 붉은빛이 도는 황백색이고 원줄기 꼭대기의 산방상 취산화서에 밀착한다. 꽃받침잎은 4개로 피침형이고 길이 1mm이며 황록색이다. 꽃잎은 4개로서 긴 타원상 피침형이고 길이 3mm가량으로 꽃받침보다 2배 정도 길다. 수꽃은 수술이 8개로서 꽃잎보다 다소 길며 꽃밥은 노란색이고 퇴화된 암술이 있다. 암꽃에는 4개의 암술이 있으며 서로 떨어져서 선다.
열매 : 골돌은 타원형이고 길이 7-10mm이며 끝이 뾰족하고 뒤로 젖혀지며 8월에 익는다. 종자는 피침형으로 길이 2mm 폭 0.5mm가량이다.
줄기 : 높이가 10cm에 달하고 밑부분이 비늘같은 잎으로 싸여 있다.
뿌리 : 근경은 짧다.
분포 : ▶중국 일본 러시아(시베리아극동부) 지방에 분포한다. ▶낭림산 및 북부 고산지대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바위솔(O. japonicus): 꽃이 피고 열매가 맺으면 지상부는 마른다. 근생엽은 로제트 모양 피침형이다. ▶둥근바위솔(O. malacophyllus): 근경은 짧고 비대 잎은 주걱모양 끝이 둔하거나 둥근 모양이다. ▶좀바위솔(O. minutus): 잎은 비늘 모양 긴 타원형 끝이 송곳 끝 같고 밑동 잎에는 손톱 모양의 부속물이 붙어 있다.
-
Read MoreNo Image
대구돌나물
학명 : Tillaea aquatica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B%8F%8C%EB%82%98%EB%AC%BC%EA%B3%BC(Crassulaceae) target=_blank>돌나물과(Crass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대구돌나물속(Tillaea) target=_blank>대구돌나물속(Tillaea)</a>
이명 : 가시돌나물 각시돌나물 바눌돌나물 비늘돌나물
잎 : 잎은 대생하며 선상 피침형이고 길이 5~8mm 폭1mm로서 밑부분이 서로 합쳐지며 끝이 뾰족하다.
꽃 : 꽃은 5-6월에 피고 엽액에 1개씩 좌우교대로 달리며 화경(花莖)이 없고 꽃받침은 깊게 4개로 갈라지며 꽃잎은 4개이고 난형이며 길이 1.5mm로서 백색이다. 4개의 수술은 꽃잎과 호생하고 꽃잎보다 짧으며 자방 밑에 선상의 인편이 4개 있고 자방은 4개로서 서로 떨어져 있다.
열매 : 열매는 골돌로서 속에 10개의 종자가 들어 있으며 종자는 긴 타원형이다.
줄기 : 높이 2-6cm이고 밑에서 가지가 갈라진다.
분포 : 대구 근처에서 자란다.
형태 : 1년초.
특징 : 겉으로 보기에는 개미자리와 비슷하다.
-
Read MoreNo Image
다북바위솔
학명 : Orostachys japonica f. polycephala (Makino) H.Ohba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B%8F%8C%EB%82%98%EB%AC%BC%EA%B3%BC(Crassulaceae) target=_blank>돌나물과(Crass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바위솔속(Orostachys) target=_blank>바위솔속(Orostachys)</a>
잎 : 근생엽으로 로제트 모양이고 피침형이며 퍼지고 끝이 가시처럼 날카롭고 원줄기에 다닥다닥 붙은 잎은 엽병이 없다.
꽃 : 이삭화서를 이룬다. 화서의 길이 6~15cm 꽃자루는 없다. 포는 피침형으로 끝이 뾰족하다. 꽃받침은 5갈래이고 피침형이다. 꽃잎은 5장이고 끝이 뾰족한 피침형이며 길이 6mm 정도 이다.
열매 : 열매는 골돌로 5개이다.
분포 : 한국(전남 흑산도)
형태 : 다년초로 다육질이다.
특징 : 바위솔과 닮았으나 가지를 친다. 꽃이 피고 열매를 맺으면 지상부는 마른다.
-
Read MoreNo Image
난쟁이바위솔
학명 : Meterostachys sikokiana (Makino)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B%8F%8C%EB%82%98%EB%AC%BC%EA%B3%BC(Crassulaceae) target=_blank>돌나물과(Crass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난쟁이바위솔속(Meterostachys) target=_blank>난쟁이바위솔속(Meterostachys)</a>
잎 : 잎은 선형으로 다소 편평하고 육질이며 길이 7~12cm 나비 1.5~2mm이고 끝에 바늘모양의 소돌기가 있다. 경엽은 근엽보다 약간 짧고 하부의 것은 3엽윤생하나 상부의 것은 호생하며 가시 끝이 희미해진다.
꽃 : 꽃은 8∼9월에 피며 백색 바탕에 다소 붉은빛이 돌며 취산화서로 달린다. 꽃받침조각은 5개로 장 타원형 꽃잎은 5개로 피침형이고 등쪽에 융기하는 1맥이 있으며 길이 3~4mm이다. 수술은 10개로 꽃잎보다 짧고 자방은 5개이다.
열매 : 과실은 골돌로 난형이며 10~11월에 성숙한다.
뿌리 : 근경은 짧고 굵으며 선단에서 많은 잎과 줄기가 총생하다.
분포 : 강원(금강산) 이남에 나며 일본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이다.
-
Read MoreNo Image
낙지다리
학명 : Penthorum chinense Pursh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B%8F%8C%EB%82%98%EB%AC%BC%EA%B3%BC(Crassulaceae) target=_blank>돌나물과(Crass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낙지다리속(Penthorum) target=_blank>낙지다리속(Penthorum)</a>
이명 : 낙지다리풀 )
잎 : 잎은 호생하며 엽병이 없고 길이 3-11cm 폭 1cm이내로서 양끝이 좁으며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고 털이 없으며 막질이다.
꽃 : 7월경에 원줄기 끝에서 가지가 사방으로 갈라져서 황백색 꽃이 총상화서로 달리지만 위쪽으로 치우쳐서 달리기 때문에 낙지다리처럼 보이며 화서에 짧은 선모(腺毛)가 있다. 꽃받침은 담록색으로 종모양이며 끝이 5개로 갈라지고 열편은 난형 예두이다. 꽃잎은 없고 10개의 수술은 꽃받침밖으로 솟으며 약은 노란색이다. 심피는 5개로서 중부까지 합쳐지고 암술대는 5개로 짧다.
열매 : 삭과는 홍갈색이고 9월에 익어 심피가 붙어 있는 부분의 위쪽이 떨어져 벌어져서 자질구레한 많은 종자를 떨어낸다.
줄기 : 높이 30-70cm이고 줄기는 곧추서며 홍자색을 띠고 털이 없으며 상부에서 가지를 친다.
뿌리 : 땅속으로 기는 가지가 길게 뻗는다.
분포 : ▶한국 중국 일본에 분포한다. ▶전국 각지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특징 : 세계에 2종 우리 나라에는 1종이 분포한다. 줄기 윗부분에 열매가 붙은 모양이 낙지의 다리를 닮았다하여 낙지다리라고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