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명 | Xanthium strumarium L. |
|---|---|
| 과명 | 국화과(Compositae) |
| 속명 | 도꼬마리속(Xanthium) |
| 이명 | 창이자 |
| 잎 | 잎은 호생하며 엽병이 길고 넓은 삼각형이며 예두 아심장저이고 길이 5-15cm로서 흔히 3개로 갈라지며 가장자리에 결각상의 톱니가 있고 3개의 큰 맥이 뚜렷하게 나타나며 양면이 거칠다. |
| 꽃 | 꽃은 8~9월에 피며 황색으로서 원줄기 끝과 가지 끝에 원추상으로 달리며 암꽃과 수꽃이 있고 수꽃의 두상화는 둥글며 끝에 달리고 암꽃의 두상화는 밑부분에 달리며 2개의 돌기가 있다. 총포는 갈고리같은 돌기가 있고 타원형이며 길이 1cm정도이고 그 속에 2개의 수과가 들어 있다. 갈고리같은 돌기로 다른 물체에 잘 붙는다. |
| 열매 | 총포의 갈고리 같은 돌기 속에 2개의 수과가 들어 있다. |
| 줄기 | 높이가 1m에 달하고 잎과 더불어 털이 있다. 단모(短毛)가 많으며 보통 엷은 녹색으로 흑자색의 반문(班紋)이 산재한다. |
| 분포 | 한국 중국 몽골 일본 러시아 중앙아시아 북아메리카에 분포한다. 전국에서 흔히 자라지만 북부지방에 많다. |
| 형태 | 1년생 초본이다. |
| 유사종 | 큰도꼬마리(X. canadense) |
|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
|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3)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4) 한국귀화식물원색도감 (박수현, 1995) 5)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6) 한국쌍자엽식물지(초본편) (박만규, 1974) |
TAG •
-
Read MoreNo Image
떡쑥
학명 : Gnaphalium affine D.Don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왜떡쑥속(Gnaphalium) target=_blank>왜떡쑥속(Gnaphalium)</a>
이명 : 괴쑥 솜쑥흰떡쑥
잎 : 근생엽은 꽃이 필 때 쓰러지며 경생엽은 호생하고 주걱형 또는 도피침형이며 끝이 둥글거나 뾰족하고 길이 2-6cm 나비 4-12mm로서 밑부분이 좁아져 원줄기로 흐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 : 꽃은 5-7월에 피고 원줄기 끝의 산방화서에 쌀알같은 황색의 꽃이 달리며 총포는 구상 종형이고 길이 3mm 나비 3.5mm정도이며 포린은 3줄로 달리고 누른빛이 돌며 길이 0.5mm정도로서 난형 또는 긴 타원형이다.
열매 : 열매는 수과이고 관모는 길이 2.5mm정도로서 황백색이고 밑부분이 완전히 합쳐지지 않는다.
줄기 : 높이 15-40cm이고 전체가 백색 털로 덮여 있어 흰빛이 돌며 곧게 서고 땅 가까이에서 많은 가지가 갈라져 포기를 이룬다.
분포 : 전국 각지의 들과 산에 야생한다.
형태 : 이년초
특징 : 떡쑥은 잎이 부옇게 털로 덮여 있고 쥐의 귀를 닮고 있으며 꽃이 황색의 쌀알 같은 粒狀(입상)이라 누룩을 닮았다고 해서 서국초라 하는데 옛날에 이 풀로 떡을 만들어 먹어 떡쑥으로 불린다고 전한다.
-
Read MoreNo Image
등골나물아재비
학명 : Ageratum conyzoides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등골나물아재비속(Ageratum) target=_blank>등골나물아재비속(Ageratum)</a>
잎 : 잎은 마주나기(對生) 잎차례이며 윗부분에서 어긋나기(互生) 잎차례가 되기도 한다. 잎새는 난형(卵形)-장타원형(長楕圓形) 길이 2-6㎝ 폭 1-4㎝ 끝이 둔두(鈍頭)이며 기부는 원저(圓底) 또는 심장저(心臟底)이고 잎 가장자리는 끝이 둥근 거치(鋸齒)가 있으며 잎자루는 길이 1-3㎝로 털이 있다.
꽃 : 꽃은 7-10월에 피며 두화(頭花)는 다수이며 백색 또는 담자색으로 산방화서를 만든다. 총포(總苞)는 종형(鐘形)으로 총포편은 2열(列)로 배열하며 선형(線形) 또는 피침형(披針形)으로 끝이 예첨두(銳尖頭)이고 동형(同形)이며 3맥이 있고 거의 털이 없다. 설상화(舌狀花)는 없고 통상화(筒狀花)는 끝이 5열(裂)되고 암술머리는 깊게 2열되어 화관(花冠) 밖으로 초출(超出)된다.
열매 : 수과(瘦果)는 5각(角)이 지며 길이 2㎜ 흑색이고 관모(冠毛)는 5개 까락 모양이다.
줄기 : 식물 전체에 털이 있다. 줄기는 곧추 서며 높이 30-60㎝ 가지를 친다.
분포 : ▶세계의 열대지방에 널리 분포한다. ▶국내에서는 제주도에서 1993년 10월에 채집되었다.
형태 : 1년생 초본
특징 : 일본과 대만에도 귀화되었으며 국내에서는 金東成 씨에 의하여 제주도에서 1993년 10월에 채집되었다. 꽃이 `등골나물` 비슷하여 `등골나물아재비`로 명명하였다.
-
Read MoreNo Image
등골나물
학명 : Eupatorium japonicum Thunb.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등골나물속(Eupatorium) target=_blank>등골나물속(Eupatorium)</a>
이명 : 벌등골나물 새등골나물
잎 : 밑부분의 잎은 작으며 꽃이 필 때 쯤되면 없어지고 중앙부의 큰 잎은 대생하며 엽병이 짧고 난상 긴 타원형 또는 타원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길이 10-18cm 나비 3-8cm로서 밑부분에 길이 1-2mm의 비교적 규칙적인 뾰족한 톱니가 있으며 양면에 털이 있고 뒷면에 선점이 있으며 엽맥은 6-7쌍으로서 위로 갈수록 길어지고 좁아진다.
꽃 : 꽃은 7-10월에 피며 원줄기 끝의 산방화서에 달리고 총포는 원통형이며 길이 5-6mm이고 소화는 5개씩이며 포린은 2줄로 배열되고 바깥 것이 훨씬 짧으며 끝이 둥글다.
열매 : 수과는 길이 3mm정도로서 원통형이고 선과 털이 있으며 관모는 길이 4mm정도로서 백색이다.
줄기 : 높이가 2m에 달하며 가지에 꼬부라진 털이 있고 원줄기에 자줏빛이 도는 점이 있으며 분지하지 않는다.
뿌리 : 지하경은 옆으로 뻗고 다시 지하경에서 뿌리가 성글게 내린다.
분포 :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전국에 분포한다.
형태 : 숙근성 다년초로 관화식물이다.
유사종 : ▶골등골나물(E. lindleyanum DC.) ▶향등골나물(E. chinensis L. for. tripatitum Hara) : 잎이 3개로 갈라지고 정열편은 크며 긴 타원형이지만 측열편이 작고 피침형이다. ▶벌등골나물(E. fortunei Turez.)
-
Read MoreNo Image
들떡쑥
학명 : Leontopodium leontopodioides (Willd.) Beauverd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솜다리속(Leontopodium) target=_blank>솜다리속(Leontopodium)</a>
이명 : 들괴쑥들솜다리 산푸솜나물
잎 : 근생엽과 밑부분의 잎은 꽃이 필 때 없어지며 줄기 중앙부의 잎은 선형 이고 엽병이 없으며 예두 또는 둔두이고 설저로서 다소 줄기를 감싸며 길이 2.5-4.5cm 폭 4.5mm로서 표면은 녹색이고 면모가 있으며 뒷면은 회백색 면모로 덮여 있고 가장자리는 뒤로 말리거나 파상이다. 근생엽은 2-4개로서 경생엽보다 작으며 표면에 축모(縮毛)가 밀생한다.
꽃 : 꽃은 7-8월에 황갈색으로 피며 이가화 또는 잡성화이고 두화는 1-4개가 모여 달리며 때로는 짧은 화경이 있고 자성두화(雌性頭花)에 때로 수꽃이 섞여 있으며 꽃이 핀 다음 길어져서 길이와 지름이 각 1cm정도로 된다. 총포는 둥글고 길이 5mm 지름 6-8mm이며 총포편은 3줄로 배열되고 피침형이며 끝이 둔하거나 뾰족하고 막질이며 가장자리는 흑색이고 뒷면에 축모가 있으며 화관은 길이 5mm정도이다.
열매 : 수과는 편평한 긴 타원형이며 길이 1.3mm정도이고 관모는 백색이며 기부는 다소 누렇고 길이 4-6mm이다. 웅성두화(雄性頭花)는 꽃이 진 다음 자라지 않는다.
줄기 : 높이 15-45cm이고 여러대가 뭉쳐나며 간혹 가지가 갈라지며 회백색 털로 덮여 있고 잎이 밀생한다.
분포 : 한국 중국 몽골 러시아에 분포한다.
전국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
-
Read MoreNo Image
둥근잎돼지풀
학명 : Ambrosia trifida f. integrifolia (Muhl.) Fernald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돼지풀속(Ambrosia) target=_blank>돼지풀속(Ambrosia)</a>
잎 : 잎은 대생하며 단풍잎돼지풀과 달리 잎이 갈라지지 않고 밑부분이 갑자기 엽병으로 흐르며 양면에 강모가 있고 열편은 타원상 피침형으로서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으며 끝이 밋밋하지만 길게 뾰족해지고 엽병은 길이가 6cm정도로서 표면에 홈이 지며 가장자리와 더불어 백색털이 있고 밑부분이 넓어져서 원줄기를 감싼다.
꽃 : 7~9월에 개화하며 총상화서에 달리고 암꽃은 1개 내지 여러 개가 두상으로 뭉쳐서 밑부분에 달리며 많은 수꽃이 핀다. 수꽃의 포는 접시모양이고 화경이 있으며 규칙적이고 한쪽에 3개의 능선이 있으며 암꽃의 포는 뾰족한 타원체로서 1개의 꽃이 들어 있고 갈라진 암술대가 밖으로 나온다. 암·수 두상화의 총포는 컵모양이다.
열매 : 수과는 난형이며 길이 6-12mm로서 능선에 4-10개의 잔돌기가 있다.
줄기 : 거센 털이 있다.
분포 : 춘천 근처에 분포한다.
형태 : 일년초
유사종 : ▶단풍잎돼지풀 : 기본종
특징 : 기본종과 달리 잎이 갈라지지 않는다.
-
Read MoreNo Image
두메취
학명 : Saussurea triangulata Trautv. & Mey.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취나물속(Saussurea) target=_blank>취나물속(Saussurea)</a>
이명 : 높산분취뿔끝분취 뿔분취세뿔두메취좀두메취 큰분취 큰산분취
잎 : 근생엽은 개화시에 없어지거나 남아 있으며 밑부분의 잎보다 작다. 경생엽은 긴 3각형 긴 타원형 또는 난형이고 점첨두이며 심장저 절저 또는 예저이고 밑으로 흐르며 길이 4~10cm로서 양면에 털이 약간 있고 가장자리에 치아상의 거치가 있으며 엽병은 길이 14cm로서 위로 올라갈수록 짧아지거나 없어지고 날개가 다소 있다.
꽃 : 두화는 지름 11~15mm로서 엉성하게 산방상으로 달리며 총포는 길이 13~16mm 지름 7~12mm로서 적자색이고 거미줄같은 털이 약간 있으며 4줄이다. 통상화는 길이 6~12mm로서 자주색이고 관모는 2줄이며 길이 9~10mm로서 갈색이다.
줄기 : 높이 12-70cm이고 능선이 있으며 윗부분에 흔히 굽은 털이 있다.
분포 : 북부지방의 고산지대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좀두메취 (var.alpina Nak.): 높이가 8-10cm이며 백두산에서 자란다.
-
Read MoreNo Image
두메분취
학명 : Saussurea tomentosa Ko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취나물속(Saussurea) target=_blank>취나물속(Saussurea)</a>
이명 : 두메은분취 멧분취 묏분취묏솜분취
잎 : 근생엽과 밑부분의 잎은 개화시까지 남아 있고 긴 타원상 피침형이며 점첨두이고 예저·원저 또는 절저이며 길이 3.5~7.5cm로서 표면에 거미줄같은 털이 약간 있고 뒷면에 백색 면모가 밀생하며 때로는 붉은빛이 돌고 가장자리에 치아상의 톱니가 있으며 엽병은 길이 2~7cm로서 거미줄같은 털이 있다. 경생엽은 2~6개가 호생하고 점차 작아져서 직접 원줄기에 달린다.
꽃 : 꽃은 8월에 피며 두화는 끝에 1개가 달리고 1~5개의 선상엽으로 둘러싸이며 마른 것은 지름 23~30cm이고 화서에 침상의 털이 있다. 총포편은 4줄로 배열되며 외포편은 난형 예두이고 내포편은 긴 타원상 선형으로서 털이 밀생한다. 화관은 자주색이며 길이 13~15mm이고 관모는 2줄이며 길이 11~12mm로서 갈색이고 털이 있다.
열매 : 수과이다.
줄기 : 높이 10-20cm이고 면모로 덮여 있다.
뿌리 : 근경이 옆으로 길게 자란다.
분포 : 낭림산 이북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
-
Read MoreNo Image
두메담배풀
학명 : Carpesium triste Maxi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담배풀속(Carpesium) target=_blank>담배풀속(Carpesium)</a>
이명 : 산담배풀 왕담배풀
잎 : 근생엽은 개화시에도 남이 있고 꽃무늬처럼 퍼지거나 발달하지 않으며 밑부분의 잎과 더불어 길이 13-20cm 폭 3-5cm로서 난상 긴 타원형이고 밑부분이 둥글며 양면에 털이 밀생하고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으며 엽병에 넓은 날개가 있다. 중앙부의 잎은 좁고 끝이 뾰족하며 위로 갈수록 점점 작아져서 피침형 또는 선상 피침형으로 되고 양끝이 좁으며 포엽은 많고 선상 피침형으로서 두화와 길이가 비슷하거나 보다 길며 젖혀진다.
꽃 : 꽃은 7-9월에 피고 황색이며 지름 1cm가량으로서 두상화서가 줄기끝의 엽액에서 1개씩 아래로 향하여 핀다. 총포는 종꼴로서 길이 5-6mm이며 총포편은 끝이 둥글고 중편은 흔히 짧아진다.
열매 : 수과는 도란형이고 길이 3.5mm가량이며 선점이 있다.
줄기 : 높이 40-100cm이고 줄기는 곧게서며 밑부분에 벌어진 털이 밀생하고 윗부분에서 가지를 낸다.
분포 : 한국 우수리에 분포한다. 전국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기본종은 포편의 길이가 비슷하고 끝이 뾰족하다.
-
Read MoreNo Image
두메고들빼기
학명 : Lactuca triangulata Maxi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왕고들빼기속(Lactuca) target=_blank>왕고들빼기속(Lactuca)</a>
이명 : 두메왕고들빼기산씀바귀
잎 : 밑부분의 잎은 일찍 쓰러진다. 잎은 호생하며 삼각형 또는 삼각상 심장형이고 예두로서 가장자리가 불규칙하게 치아상으로 갈라지며 밑부분이 얕은 심장저 또는 절저이고 표면은 녹색이며 뒷면은 흰빛이 돌고 일부분이 둥근 심장형으로 되어 원줄기를 감싸며 엽병에 날개가 있다. 위로 올라갈수록 잎이 작아지고 엽병이 원줄기를 감싸지 않는다.
꽃 : 꽃은 7-8월에 피며 황색이고 원줄기 끝에 큰 원추화서가 발달하여 많은 두화가 달리며 두화는 15개 정도의 설상화로 구성된다. 총포는 통상종꼴로 길이 0.8-1.1mm 지름 5-8mm이며 총포편은 2-3층으로 배열되고 뒷면에 짧은 선모와 털이 약간 있으며 끝이 뾰족하고 외편은 난상피침형이며 내편은 선상피침형이다.
열매 : 수과는 타원형 또는 넓은 난형으로서 길이 4mm 넓이 2mm이며 납작스름하고 흑색 또는 암적색이며 관모는 길이 6-7mm의 백색이며 8-9월에 익는다.
줄기 : 높이가 1m에 달하고 원줄기는 곧게서며 둥글고 털이 없으며 밑부분이 자주빛을 띠고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진다.
분포 : 한국 중국 일본 러시아에 분포한다. 전국의 심산지역에서 자란다.
형태 : 이년생 초본
-
Read MoreNo Image
돼지풀아재비
학명 : Parthenium hysterophorus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돼지풀아재비속(Parthenium) target=_blank>돼지풀아재비속(Parthenium)</a>
잎 : 잎은 호생하며 윤곽이 난형 또는 타원형으로 2회 우상복엽으로 길이 8-20㎝ 나비 4-5㎝ 위쪽의 것은 점차 작아진다.
꽃 : 9-11월에 꽃이 피며 조밀한 산방화서를 이룬다. 두화(頭花)는 백색이며 지름 3-6㎜ 총포(總苞)는 차잔 꼴이며 총포편은 능형(陵形)이다. 두화의 중앙에 40개 내외의 관상화(管狀花)는 수꽃이며 가장자리에 5개의 설상화(舌狀花)는 암꽃이다.
열매 : 수과(瘦果)는 도란형(倒卵形)으로 길이 1-15㎜로 납작하며 위쪽에 스푼 모양의 부속체가 2개 있고 흑색이다.
줄기 : 줄기는 곧게 자라며 높이 30-90㎝ 상반부에서 분지(分枝)되며 털이 있다.
분포 : ▶북미 호주 일본에 귀화하였다. ▶경남 충무시에서 3년간 연속 채집 더욱 번져가고 있음을 확인되었다.
형태 : 1년생 초본
유사종 : ▶돼지풀
특징 : ▶국내에서는 고려대학교 강병화 박사에 의하여 경남 충무시에서 3년간 연속 채집 더욱 번져가고 있음을 확인하였고 1995년 11월 7일 채집된 표본을 받아 동정하였다. ▶잎의 모습이 `돼지풀`과 비슷하여 국명을 `돼지풀아재비`로 하였다. ▶본속(本屬)(Parthenium L.)은 한국에 처음 등록되는 식물이며 식물분류학상의 위치는 국화과의 Tubuliflorae 아과 Heliantheae 족에 속한다.
-
Read MoreNo Image
돼지풀
학명 : Ambrosia artemisiifolia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돼지풀속(Ambrosia) target=_blank>돼지풀속(Ambrosia)</a>
이명 : 두두러기풀 쑥잎풀
잎 : 잎은 밑부분에서는 대생하며 상부에서는 호생하고 2-3회 우상으로 갈라지며 길이 3-11cm로서 표면은 짙은 녹색이고 털이 있으며 뒷면은 잿빛이 돌고 연모(軟毛)가 밀생한다.
꽃 : 꽃은 8~9월에 피며 원줄기와 가지 끝에 수상으로 달리고 두화는 단성이며 자성두화(雌性頭花)는 는 1개 또는 여러 개가 모여서 웅성두화로 된 수상화서 밑에 달리고 웅성두화는 지름 2-3mm로서 10-15개의 꽃으로 된다. 총포는 녹색이며 도원추형이고 포편은 서로 붙어 있으며 소화는 모두 관상화이고 자성두화는 1개의 꽃과 2개의 포편으로 되며 도란형으로서 녹색이고 암술대가 2개로 갈라진다.
열매 : 수과는 딱딱한 총포(과포)에 싸여 있다.
줄기 : 높이가 1m이상에 달하고 전체에 짧은 강모가 있으며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분포 : ▶지리적으로 유럽과 아시아 등지에 분포 ▶전국 각처에 분포한다.
형태 : 1년생 초본이다.
특징 : 돼지풀이란 영명의 hogweed에서 온 이름이며 화분병(花粉病)을 일으키는 가장 악질종으로 알려져 있고 소가 먹지 않는다.
-
Read More
동래엉겅퀴
학명 : Cirsium toraiense Nakai ex Kita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엉겅퀴속(Cirsium) target=_blank>엉겅퀴속(Cirsium)</a>
이명 : 동내엉겅퀴
잎 : 밑부분의 잎은 긴 타원형이고 양끝이 좁으며 가시가 있고 밑으로 흐르지 않으며 길이 14-17㎝ 나비는 4-6㎝로서 털이 없고 가장자리가 우상으로 갈라지며 열편은 3-4쌍으로서 서로 떨어져 있고 가시같은 톱니가 있다.
꽃 : 두화는 꽃이 필 때 곧추서고 가지나 줄기끝에 1개씩 곧게 달린다. 총포는 편평한 구형이고 길이 16mm 나비 30mm로서 밑부분이 들어가며 부분적으로 거미줄같은 털이 있고 포편은 6줄로 배열되며 외편은 피침형으로서 끝이 중앙까지 닿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끝이 뾰족하고 중편은 긴 타원상 피침형이며 뒷면에 점질이 있고 검은빛이 돌며 외편과 더불어 곧추 퍼진다.
열매 : 수과는 긴 타원형이고 길이 4mm 지름 2mm로서 끝이 볏짚색이며 밑부분이 흑자색이고 관모는 길이 2mm로서 다소 갈색이 돈다.
줄기 : 높이가 35cm에 달하고 골이 진 줄이 있으며 털이 약간 있다.
분포 : 부산 및 동래 근처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
Read MoreNo Image
도꼬마리
학명 : Xanthium strumarium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도꼬마리속(Xanthium) target=_blank>도꼬마리속(Xanthium)</a>
이명 : 창이자
잎 : 잎은 호생하며 엽병이 길고 넓은 삼각형이며 예두 아심장저이고 길이 5-15cm로서 흔히 3개로 갈라지며 가장자리에 결각상의 톱니가 있고 3개의 큰 맥이 뚜렷하게 나타나며 양면이 거칠다.
꽃 : 꽃은 8~9월에 피며 황색으로서 원줄기 끝과 가지 끝에 원추상으로 달리며 암꽃과 수꽃이 있고 수꽃의 두상화는 둥글며 끝에 달리고 암꽃의 두상화는 밑부분에 달리며 2개의 돌기가 있다. 총포는 갈고리같은 돌기가 있고 타원형이며 길이 1cm정도이고 그 속에 2개의 수과가 들어 있다. 갈고리같은 돌기로 다른 물체에 잘 붙는다.
열매 : 총포의 갈고리 같은 돌기 속에 2개의 수과가 들어 있다.
줄기 : 높이가 1m에 달하고 잎과 더불어 털이 있다. 단모(短毛)가 많으며 보통 엷은 녹색으로 흑자색의 반문(班紋)이 산재한다.
분포 : 한국 중국 몽골 일본 러시아 중앙아시아 북아메리카에 분포한다. 전국에서 흔히 자라지만 북부지방에 많다.
형태 : 1년생 초본이다.
유사종 : 큰도꼬마리(X. canadense)
-
Read More
도깨비엉겅퀴
학명 : Cirsium schantarense Trautv. & Mey.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엉겅퀴속(Cirsium) target=_blank>엉겅퀴속(Cirsium)</a>
이명 : 부전엉겅퀴 수그린엉겅퀴 큰엉겅퀴
잎 : 근생엽은 꽃이 필 때까지 남아 있거나 없어지며 밑부분의 잎보다 작다. 경생엽은 호생하고 밑부분의 것은 타원형 또는 피침상 타원형이며 길이는 20-40㎝로서 밑으로 흘러 엽병의 날개로 되거나 원줄기를 약간 감싸고 우상으로 깊게 갈라지며 가시가 있다. 중앙부의 잎은 긴 타원형으로서 밑부분이 귀처럼 되어 원줄기를 둘러싸고 가장자리가 우상으로 깊게 갈라지며 열편은 흔히 뒤로 젖혀지고 윗부분의 잎은 점차 작아져서 난상 피침형으로 된다.
꽃 : 꽃은 7-9월에 피며 두상화는 지름 4-5㎝로서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1개씩 밑으로 처지고 총포는 둥글며 길이 15-20mm 나비 30-40mm이고 포편은 6줄로 배열되며 끝이 뾰족하고 뒷면에 점질이 있거나 없다. 화관은 자주색이며 길이 18-22mm이다.
열매 : 수과는 긴 타원형이며 길이 4mm정도이고 털이 없으며 칙칙한 갈색이고 관모는 길이 16-18mm로서 갈색이 돈다.
줄기 : 높이 50-150cm이고 원줄기에 홈이 파진 줄이 있으며 윗부분에 거미줄 같은 털이 있다.
분포 : 전국의 심산지역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
Read MoreNo Image
도깨비바늘
학명 : Bidens bipinnata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도깨비바늘속(Bidens) target=_blank>도깨비바늘속(Bidens)</a>
이명 : 좀도개비바늘좀도깨비바늘 좀독개비바눌
잎 : 잎은 대생하며 중앙부의 것은 길이 11-19로서 양면에 털이 다소 있고 2회 우상으로 갈라지며 위로 올라갈수록 작아지고 첫째 열편은 2-3개이거나 우상으로 갈라지며 정열편은 선형으로서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에 치아상의 톱니가 약간 있으며 엽병은 길이 3.5-5cm이다.
꽃 : 꽃은 8~9월에 피고 지름 6-10mm로서 줄기나 가지 끝에 1개씩 달리며 화경은 길이 1.8-8.5cm이다. 총포는 통형이고 포편은 5-7개로서 선상 긴 타원형이며 양면에 털이 있고 길이 2.5mm이던 것이 열매가 달릴 때는 길이 5mm정도로 된다. 화상花床의 인편은 길이 3.5-4mm에서 6-8mm로 자라며 설상화는 황색이고 1-3개이며 길이 5-6mm로서 중성이다.
열매 : 수과는 선형이고 길이 12-18mm 나비 1mm로서 3-4개의 능선과 짧은 털이 있으며 편평하고 상단의 관모는 3-4개이며 길이 3-4mm로서 밑을 향한 가시같은 털이 있어 물체에 잘 붙는다. 수과의 가시털은 위를 향하고 관모의 가시털은 밑을 향한다.
줄기 : 높이가 25-85cm에 달하며 원줄기는 네모지고 거의 털이 없다.
분포 : 전국에 걸쳐 분포한다.
형태 : 일년생 초본이다.
-
Read MoreNo Image
데이지
학명 : Bellis perennis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데이지속(Bellis) target=_blank>데이지속(Bellis)</a>
이명 : 밸리스 애기국화
잎 : 잎은 모두 근생엽이고 주걱같은 도란형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거나 닷 톱니가 있고 밑부분이 밑으로 흘러 엽병 윗부분의 날개로 된다.
꽃 : 꽃은 봄부터 가을까지 피며 백색 연한 홍색 홍색 또는 홍자색이고 뿌리에서 길이 6-9cm의 화경이 나와 그 끝에 1개의 두화가 달리며 밤에는 오그라든다. 두화는 설상화가 1줄인 것에서부터 전체가 설상화로 된 것 등 변종에 따라 가지각색이다. 화관의 지름이 2.5-5㎝이다.
뿌리 : 수염같은 뿌리가 사방으로 퍼진다.
분포 : 관상용으로 널리 재배한다.
형태 : 다년생초본
특징 : ▶데이지란 영어의 true daisy English daisy 에서 온 것으로서 영국데이지라고 하여 구별하기도 한다.
-
Read MoreNo Image
덤불취
학명 : Saussurea manshurica Ko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취나물속(Saussurea) target=_blank>취나물속(Saussurea)</a>
이명 : 만주솜나물 민서덜취
잎 : 잎은 두메취와 비슷하다. 긴 엽병이 있으며 잎몸은 3각형으로 끝이 길게 뾰족하고 털이 없다.
꽃 : 꽃은 7-8월에 피고 자줏빛이 돌며 두화는 많고 원추상 산방화서로 배열되며 마른 것은 지름 10mm이다. 총포는 좁고 길이 14mm 지름 5-6mm이며 총포편은 7줄로 배열되고 외포편은 내포편 길이의 1/8-1/6정도이며 모두 뒷면에 점질이 있다.
열매 : 길이 4~5mm이고 갈색이며 관모는 깃털모양이고 백색이다.
줄기 : 높이 70-90cm이고 곧게 서며 털이 없고 가지가 사방으로 퍼진다.
분포 : 주로 북부지방(표고 1 500m이상)에서 자라지만 한라산 덕유산 및 소요산에서도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유사종 : ▶깃덤불취 (var.pinnatifida Kitam.): 잎이 6-7쌍의 우상으로 갈라지고 우편은 긴 타원형이며 서로 접근해 있고 만부(灣部)가 둥글며 함북의 고산지대에서 자란다.
특징 : 두메취와 비슷하지만 보다 크며 잎은 두메취와 비슷하다.
-
Read MoreNo Image
덤불쑥
학명 : Artemisia rubripes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쑥속(Artemisia) target=_blank>쑥속(Artemisia)</a>
이명 : 왕참쑥 큰몽고쑥털쑥
잎 : 잎은 호생하며 근생엽과 밑부분의 잎은 꽃이 필 때 쓰러지고 중앙부의 잎은 가탁엽(假托葉)이 있으며 길이 12-21cm 나비 9-12cm로서 2회 우상으로 갈라진다. 열편은 끝이 뾰족하고 나비 5-7mm로서 표면 중륵에 털이 있으며 뒷면에 거미줄같은 백색 털이 밀생하고 가장자리에 드문드문 톱니가 있다. 위로 올라갈수록 잎이 작아지며 바깥 것이 선형으로 된다.
꽃 : 꽃은 8-10월에 피고 두화이며 연한 갈색이고 길이 2-2.5mm로서 구상 종형이며 원줄기 끝에 총상 또는 수상화서가 모여서 전체가 원추화서로 된다. 총포는 부분적으로 거미줄같은 털로 덮여 있고 포편은 3줄로 배열되며 외편은 긴 타원형 또는 난형으로서 둔두이고 내편은 긴 타원형으로서 원두이며 화상(花床)에 털이 없다.
열매 : 수과이다.
줄기 : 높이 1-2m이다.
뿌리 : 굵은 뿌리가 옆으로 벋는다.
분포 : 중부 이북지역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
Read MoreNo Image
더위지기
학명 : Artemisia gmelini Weber ex Stech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쑥속(Artemisia) target=_blank>쑥속(Artemisia)</a>
이명 : 부덕쑥사철쑥산쑥생댕쑥애기바위쑥인진고흰더위지기흰사철쑥
잎 : 근생엽은 호생하고 난형이며 2회우상(二回羽狀)으로 깊게 갈라지고 열편은 선형이며 끝이 날카롭고 톱니가 없거나 또는 얕은 톱니가 있다. 경생엽은 피침형이며 처음에는 양면에 거미줄같은 털이 있고 표면은 녹색으로서 잔털과 오목한 점이 있으며 뒷면에 잔털과 선점이 있고 대개 톱니가 있으며 엽병은 길이 2-3cm이다.
꽃 : 꽃은 황색으로 8월에 피고 두화는 엽액에서 총상으로 달리며 반구형이고 총포편은 2-3줄로 배열되며 털이 있거나 없다. 화관은 종상 원통형으로서 겉에 선점이 있고 모두 열매를 맺는다.
열매 : 열매는 수과로서 둥글고 길며 1-1.5mm로 관모가 없고 11월에 성숙한다.
줄기 : 높이가 1m에 달하고 총생하며 곧게 서고 기부가 목질화되며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진다. 줄이 있으며 암자색을 띠고 어린 부분에 거미줄털이 있다.
분포 : ▶일본 사할린 알타이 지방 시베리아 다후리아 몽고 만주에 분포한다. ▶전국의 표고 100~1 800m지역에 분포한다.
형태 : 낙엽 활엽 관목.
유사종 : ▶흰더위지기(for. discolor T. Lee): 잎 뒷면에 백색털이 밀생하고 전초(全草)는 소염성 이뇨제로 사용한다. ▶개사철쑥 사철쑥 털산쑥 맑은대쑥 흰사철쑥 참쑥 등이 있다.
특징 : 밑부분은 목질화되며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지고 맹아력이 강하다.
-
Read MoreNo Image
담배풀
학명 : Carpesium abrotanoides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담배풀속(Carpesium) target=_blank>담배풀속(Carpesium)</a>
이명 : 담배나물 학슬
잎 : 근생엽은 긴 엽병이 있고 개화기가 되면 없어진다. 잎은 호생하며 밑부분의 것은 넓은 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이고 끝이 둔하며 밑부분이 엽병으로 흘러서 날개로 되고 길이 20-28cm 폭 8.5-15cm로서 양면 특히 맥 위에 털이 있으며 뒷면에 선점이 있고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치아상의 톱니가 있으며 위로 가면서 작아지고 엽병이 없어지며 긴 타원형으로 된다.
꽃 : 꽃은 8~9월에 피고 지름 6-8cm로서 엽액에 수상으로 달리며 보통 포가 없고 총포는 길이 7~8mm 지름 1~1.5mm로서 종형이며 포린은 3줄로 배열되고 겉의 것이 짧으며 난형 예첨두로서 짧은 털이 있고 중앙의 것과 안쪽의 것은 긴 타원형이며 원두이다. 수꽃과 양성의 통꽃이 혼생한다. 소화는 130-300개이다.
열매 : 수과는 길이 3.5mm로서 선점과 길이 0.7mm정도의 부리가 있으며 관모가 없고 끈끈하다.
줄기 : 높이 50-100cm이며 곧게 서고 상부에서 가지가 갈라지며 잔털이 밀생한다.
뿌리 : 뿌리는 방추형이며 목질이다.
분포 : 울릉도 제주도를 포함하여 전국 각처에 분포한다.
형태 : 2년생 초본이다.
특징 : 전체에 가는털이 있으며 냄새가 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