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4.18 20:06

댕댕이덩굴

조회 수 20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학명 Cocculus trilobus (Thunb.) DC.
과명 방기과(Menispermaceae)
속명 댕댕이덩굴속(Cocculus)
이명 끗비돗초 댕강덩굴
잎은 호생하며 난형 또는 난상 원형이지만 윗부분이 3개로 갈라지기도 하고 첨두 또는 둔두이며 아심장저이고 길이 3-12cm 폭 2-10cm이며 양면 특히 뒷면에 잔털이 많고 3-5출맥이 있다. 엽병은 길이 1-3cm이다. 거치가 없지만 얕은 결각이 있는 경우도 있다.
꽃은 이가화로서 5-6월에 피며 황백색이고 원추화서는 액출(腋出)한다. 꽃받침열편과 꽃잎은 각각 6개 수꽃의 수술이 6개이고 암꽃에는 6개의 헛수술 3개의 심피와 1개 암술이 있다. 암술대는 원주형으로서 갈라지지 않는다.
열매 핵과는 거의 구형이고 지름은 5-8mm이며 10월에 흑색으로 익는다. 종자는 지름 4㎜정도의 편평한 원형에 가까우며 중앙에 구멍이 있고 많은 환상선(環狀線)이 있다.
줄기 길이가 3m에 달하고 줄기와 잎에 털이 있다. 줄기가 어릴 때는 녹색이지만 오래되면 회색으로 된다.
분포 ▶일본 대만 중국 필리핀에도 분포한다. ▶전국의 표고 50-700m사이에 자란다.
형태 낙엽활엽 만목
특징 ▶댕댕이덩굴은 경상남도 남해군 삼동면 미조리의 상록수림에서 자라며 천연기념물 제29호에 지정되어 있다. 이 숲에서 나는 수종에는 생달나무 육박나무 후박나무 보리밥나무 자금우 모람 송악등의 상록수종과 큰 느티나무와 팽나무가 있고 그 아래에 말채나무 산돌배나무 쉬나무 소사나무 이팝나무 쇠물푸레등이 있다. ▶목부(木部)를 목방기(木防己)라 한다.
국명출전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Syst. Nat. (Candolle). 1 : 522 (DC., 1818)
참고문헌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DSC09601.jpg

 

DSC09597.jpg

 


  1. No Image

    함박이

    학명 : Stephania japonica (Thunb.) Miers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방기과(Menispermaceae) target=_blank>방기과(Menisperm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함박이속(Stephania) target=_blank>함박이속(Stephania)</a>
    이명 : 함바기 함박이덩굴 함백이
    잎 : 잎은 호생하며 방패모양의 넓은 난형이고 둔두이며 원저 또는 절저이고 길이 6-15cm 폭 5-10cm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뒷면은 흰빛이 돈다. 엽병은 길이 3-12㎝이다.
    꽃 : 꽃은 일가화로서 6-7월에 피고 연녹색이며 복산형화서는 액생하고 많은 꽃이 달리며 수꽃은 꽃받침이 6-8장 꽃잎은 3-4장 수술은 6개이고 꽃밥이 옆으로 터진다. 암꽃은 꽃받침열편과 꽃잎이 각각 3-4개이며 1개의 자방에 여러개로 갈라진 암술대가 있다.
    열매 : 열매는 핵과로서 둥글며 지름 6mm정도이고 평활하며 10-11월에 주홍색으로 익는다. 종자는 갈색이며 말굽처럼 생겼고 돌기가 뚜렷하게 나타난다.
    줄기 : 기어오르면서 길게 자란다.

    분포 : ▶일본과 대만 중국 필리핀 인도 등지에도 분포한다. ▶홍도 제주도와 거제도에서 자란다.
    형태 : 상록 활엽 만경목


    Read More
  2. No Image

    털새모래덩굴

    학명 : Menispermum dauricum f. pilosum (Schneid) Kitag.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방기과(Menispermaceae) target=_blank>방기과(Menisperm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새모래덩굴속(Menispermum) target=_blank>새모래덩굴속(Menispermum)</a>
    이명 : 털모래덩굴
    잎 : 잎꼭지 윗부분에 털이 나 있다.
    꽃 : 꽃은 6월에 연한 노란색의 꽃이 원추(圓錐) 꽃차례로 피고 열매는 핵과(核果)로 9월에 익는다.



    분포 : 설악산 이북에 분포한다.
    형태 : 낙엽 활엽 덩굴 식물


    Read More
  3. No Image

    새모래덩굴

    학명 : Menispermum dauricum DC.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방기과(Menispermaceae) target=_blank>방기과(Menisperm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새모래덩굴속(Menispermum) target=_blank>새모래덩굴속(Menispermum)</a>

    잎 : 잎은 호생하며 첨두 심장저이고 3-7각이거나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길이와 폭이 각각 5-13cm로서 표면은 녹색이고 뒷면은 흰빛이 돌며 털이 없다. 엽병은 길이 3-10㎜로서 가장자리에서 6-10㎜ 떨어져 방패처럼 달려 있다.
    꽃 : 꽃은 일가화로서 6-7월에 피며 연한 황색이고 원추화서는 액출(腋出)한다. 수꽃은 꽃받침잎이 4-6개 꽃잎이 6-10개 수술은 12-20개이고 암꽃은 3개의 심피와 암술대가 2개로 갈라진 1개의 암술이 있다.
    열매 : 열매는 핵과로서 둥근 신장형이고 지름 7mm정도로서 요철(凹凸)이 심한 홈이 있으며 9월에 검게 익는다.
    줄기 : 줄기에 털이 없고 길이 1-3cm로서 길게 옆으로 뻗는다. 줄기는 녹색의 원주형이다.
    뿌리 : 뿌리를 만주방기(滿洲防己)라 한다.
    분포 : ▶일본과 중국 만주 시베리아에도 분포한다. ▶전국의 표고 50-900m에 이르는 각지에 자란다.
    형태 : 낙엽 활엽 만목
    유사종 : ▶털새모래덩굴(M. dauricum var. pilosum SCHNEID.): 중륵(中肋)기부와 엽병 상부에 털이 약간 있으며 설악산 이북에서 자란다.

    Read More
  4. No Image

    방기

    학명 : Sinomenium acutum (Thunb.) Rehder & E.H.Wilson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방기과(Menispermaceae) target=_blank>방기과(Menisperm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방기속(Sinomenium) target=_blank>방기속(Sinomenium)</a>
    이명 : 청등
    잎 : 잎은 호생하고 넓은 난형 또는 장상 다각형이며 길이 6-15cm 폭 3-12cm로서 점첨두이고 원저 또는 심장저이며 가장자리는 밋밋하거나 3-7개의 얕은 물결모양의 결각이 있다. 표면에 털이 없으며 뒷면은 회록색으로서 털이 없거나 잔털이 있고 장상의 맥이 있으며 엽병은 길이 5-10cm이다.
    꽃 : 꽃은 암수딴그루로 6-7월에 피고 연녹색이며 원추화서는 액생하고 화서는 길이 10-20cm이다. 꽃받침잎과 꽃잎은 각각 6개이며 수꽃은 9-12개의 수술이 있고 암꽃은 3개의 헛수술과 3개의 심피가 있다. 암술대는 젖혀지며 암술머리는 갈라지지 않는다.
    열매 : 열매는 핵과로서 흑색이며 6-7㎜로서 둥글고 10월에 익는다.
    줄기 : 길이가 7m에 달하고 소지에 털이 없으며 종선이 있다. 줄기는 다른 물체를 감고 자란다.

    분포 : ▶일본의 구주지방과 중국에도 분포한다. ▶우리나라 남쪽 섬에서 자란다.
    형태 : 낙엽 만경목

    특징 : 때로는 댕댕이와 비슷하지만 털이 없으므로 구별할 수 있다.
    Read More
  5. 댕댕이덩굴

    학명 : Cocculus trilobus (Thunb.) DC.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방기과(Menispermaceae) target=_blank>방기과(Menisperm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댕댕이덩굴속(Cocculus) target=_blank>댕댕이덩굴속(Cocculus)</a>
    이명 : 끗비돗초 댕강덩굴
    잎 : 잎은 호생하며 난형 또는 난상 원형이지만 윗부분이 3개로 갈라지기도 하고 첨두 또는 둔두이며 아심장저이고 길이 3-12cm 폭 2-10cm이며 양면 특히 뒷면에 잔털이 많고 3-5출맥이 있다. 엽병은 길이 1-3cm이다. 거치가 없지만 얕은 결각이 있는 경우도 있다.
    꽃 : 꽃은 이가화로서 5-6월에 피며 황백색이고 원추화서는 액출(腋出)한다. 꽃받침열편과 꽃잎은 각각 6개 수꽃의 수술이 6개이고 암꽃에는 6개의 헛수술 3개의 심피와 1개 암술이 있다. 암술대는 원주형으로서 갈라지지 않는다.
    열매 : 핵과는 거의 구형이고 지름은 5-8mm이며 10월에 흑색으로 익는다. 종자는 지름 4㎜정도의 편평한 원형에 가까우며 중앙에 구멍이 있고 많은 환상선(環狀線)이 있다.
    줄기 : 길이가 3m에 달하고 줄기와 잎에 털이 있다. 줄기가 어릴 때는 녹색이지만 오래되면 회색으로 된다.

    분포 : ▶일본 대만 중국 필리핀에도 분포한다. ▶전국의 표고 50-700m사이에 자란다.
    형태 : 낙엽활엽 만목

    특징 : ▶댕댕이덩굴은 경상남도 남해군 삼동면 미조리의 상록수림에서 자라며 천연기념물 제29호에 지정되어 있다. 이 숲에서 나는 수종에는 생달나무 육박나무 후박나무 보리밥나무 자금우 모람 송악등의 상록수종과 큰 느티나무와 팽나무가 있고 그 아래에 말채나무 산돌배나무 쉬나무 소사나무 이팝나무 쇠물푸레등이 있다. ▶목부(木部)를 목방기(木防己)라 한다.
    file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