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4.18 20:06

눈향나무

조회 수 20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학명 Juniperus chinensis var. sargentii Henry
과명 측백나무과(Cupressaceae)
속명 향나무속(Juniperus)
이명 누운향나무 눈상나무 참향나무
잎은 처음에는 침형이지만 섬향나무처럼 찌르지 않고 표면에는 중륵보다 넓은 2줄의 백선이 있어 향나무보다 전체적으로 희게 보인다. 뒷면은 녹색이고 길이 3-5mm 나비 0.6-0.8mm이다. 인엽은 능형이며 짙은 녹색이고 길이 1mm로서 거의 중앙에 지점이 있다. 잎은 대부분 인엽이며 밀생하고 아랫가지에는 침상의 잎이 섞여 있다. 침엽은 대생하고 갱생지에서는 3륜생한다.
암수딴그루로서 4-5월에 꽃이 핀다.수꽃은 난형으로 길이 2mm이며 인편은 황록색이지만 가장자리가 황색이다. 꽃은 전년 가을부터 형성된다.
열매 열매는 과경이 5mm로서 편구형이고 길이 5mm 나비 8mm이다. 종자는 1-3개씩 들어 있으며 난형이고 길이 5mm로서 약간 편평하며 짙은 갈색이 돌고 윤채가 있으며 제(臍)는 연한 갈색이다. 열매는 육질로 꽃이 핀 다음해의 9-10월에 흑자색으로 익는다.
줄기 눈향나무는 포복성으로 기울든가 바위에서 밑으로 처지며 자라든가 땅에 붙어 기어가듯 자라며 퍼진다.
분포 ▶일본 사할린 중국 북부 시베리아 등지에도 분포한다. ▶한라산 지리산 소백산 설악산 등 전국적으로 표고 700-2 300m에 이르는 고산지대에 자생한다.
형태 상록 침엽 관목
유사종 ▶섬향나무(J. chinensis L. var. procumbens Endl.): 남쪽 해안 지대에 자생하며 포복성이나 가지는 위를 향하며 잎이 대부분 침엽인 점이 다른데 눈향나무와 함께 정원수로 쓰인다. ▶향나무(J. chinensis L.) ▶단천향나무(J. davurica Pallas) : 우리 나라 북부에 나는 잎이 가지와 거의 직각이며 엽신이 곧고 엽서가 4줄이다.
특징 ▶국내에만 자생하는 특산 식물 희귀 및 멸종 위기식물로서 보호되어야 한다. ▶기본종인 향나무에 비하여 원대가 서지 않고 비스듬히 기우려지며 많은 가지을 내고 지면에 닿은 가지에서는 뿌리를 내린다. 바위틈에서 가지를 밑으로 처지면서 자라기도 한다.
국명출전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Trees Great Britain 6 : 1432 (Elwes & A.Henry, 1912)
참고문헌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1. No Image

    해변노간주

    학명 : Juniperus rigida var. conferta (Parl.) Patschk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측백나무과(Cupressaceae) target=_blank>측백나무과(Cupress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향나무속(Juniperus) target=_blank>향나무속(Juniperus)</a>










    Read More
  2. No Image

    향나무

    학명 : Juniperus chinensis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측백나무과(Cupressaceae) target=_blank>측백나무과(Cupress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향나무속(Juniperus) target=_blank>향나무속(Juniperus)</a>
    이명 : 노송나무
    잎 : 잎은 나무가 어릴 때에는 침엽이지만 10년만 되면 인엽이 불어나고 큰 나무가 되면 모두 인엽으로 되지만 오래 된 나무라 할지라도 돋아나는 힘찬 움가지 위에는 침엽이 흔히 나타난다. 따라서 향나무는 잎의 모양이 이형성(二型性)이다. 침엽은 흔히 3윤생 또는 대생하고 아랫가지에 많다. 엽서는 4-6줄로 배열되며 짙은 녹색이고 표면에 불규칙한 3줄의 백선이 있으며 오목하고 중륵이 도드라지며 뒷면도 녹색으로서 도드라진다. 인엽은 능형이고 끝이 둥글며 끝이 가
    꽃 : 자웅이주로서 수꽃은 지난해 동안 자란 가지의 끝쪽에 모여 나는데 길이 3mm 쯤 되는 타원형이며 엷은 자갈색이고 14개의 인편은 안쪽에 4-6개의 꽃밥이 있다. 암꽃도 지난해 가지의 끝에 모여나며 모양은 둥글고 길이 1.5mm쯤 로서 바깥쪽에 4장의 황록색의 인편이 있으며 안쪽에는 서로 마주보는 두쌍의 연한 보라색 실편이 있다. 배주는 보통 4(3-6)개이다. 4월에 개화한다.
    열매 : 구과는 구형 또는 편구형이며 지름 7.5-12mm로서 익으면 자흑색 장과와 비슷하지만 유합된 실편은 소돌기를 남긴다. 과린은 서로 붙어 있고 기부의 포는 6장으로 9장인 노간주나무와 서로 구별이 된다. 구과는 이듬해 10월에 성숙하고 한 구과에 평균 3개의 종자가 들어있다. 종자는 1-6개로서 희미한 2개의 능선이 있고 난형 둔두로서 길이 6mm 지름 3.7mm이며 다갈색이고 제는 연하다.
    줄기 : 높이 23m 지름 1m 에 달하고 가지가 상하로 향하며 오래되면 수피가 세로 방향으로 얇게 갈라진다. 1-2년생 가지는 녹색 3년생 가지는 암갈색이며 7-8년생부터 인엽이 생기지만 맹아에서는 침엽이 나온다. 가지에는 고사한 인엽이 붙어 있다. 원줄기가 상처를 받으면 뿌리목 부근에서 움싹이 잘 돋아난다.
    뿌리 : 뿌리는 깊게 들어가는 편이나 수평적으로도 넓게 확장된다.
    분포 : ▶일본과 중국에도 분포한다. ▶수평적으로는 흑산도에서 평안북도에 이르는 각지에 분포하고 울릉도에 가장 많다. 수직적으로는 해발 600m 이하에 자생한다.
    형태 : 상록침엽교목 또는 소교목
    유사종 : ▶눈향나무(J. c.var. sargentii) : 비스듬히 기울어지거나 밑으로 처지며 자란다. 인편은 황록색이나 가장자리가 황색이다. ▶품종; 줄기가 비스듬히 눕거나 바위에서 아래로 가지가 드리우는 것을 눈향나무(var. sargentii Henry)라 하는데 높은 산에서 자란다. 잎은 역시 이형성이다. 이것 외에도 몇가지 원예품종이 알려져 있다. ▶둥근향나무(var.globosa Hornib):관목으로서 수형이 둥글다. 정원수로 심고 있다.
    특징 : ▶변종과 교잡종이 많다. ▶천연기념물 *제48호 - ⓐ소재지:경북 울릉군 통구미 ⓑ지정사유:학술연구자원 ⓒ면적:24 132㎥*제49호 - ⓐ소재지:경북 울릉군 대풍감 ⓑ지정사유:학술연구자원 ⓒ면적:11 900㎥*제158호 - ⓐ소재지:경상북도 울진군 울진읍 ⓑ면적:1 243㎡ ⓒ지정사유:노거수 ⓓ수령:500년 ⓔ나무높이:11m(가슴높이지름 1.25m) *제232호 _ ⓐ소재지:경기도 남양주시 진건면 ⓑ면적:7 851㎡ ⓒ지정사유:노거수 ⓓ나무높이:1
    Read More
  3. No Image

    평강노간주

    학명 : Juniperus rigida var. modesta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측백나무과(Cupressaceae) target=_blank>측백나무과(Cupress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향나무속(Juniperus) target=_blank>향나무속(Juniperus)</a>
    이명 : 평강노가주 평강노가지나무
    잎 : 잎은 좁은 줄 모양으로 세모나고 3개가 돌려나며 끝쪽이 뭉뚝하고 겉면 가운데에 흰색의 좁은 홈이 있다. 잎 길이는 12~20mm이다.
    꽃 : 꽃은 5월에 피는데 초록빛을 띤 갈색 꽃이 묵은 가지의 잎겨드랑이에 달린다. 수꽃은 1~3개씩 피고 20개 정도의 비늘조각이 있으며 밑쪽에 4~5개의 꽃밥이 달린다. 암꽃은 1개씩 피고 둥근 모양이며 9개의 열매조각이 있고 3개의 심피로 되며 그 안에 3개의 밑씨가 있다.
    열매 : 과실은 구과로 다음해 10월에 검은빛을 띤 갈색으로 익는데 공 모양이며 지름 7~8mm이다. 흰 분비물이 남아 있고 3개의 돌기가 있으며 달콤한 맛이나 약간 쓰다.


    분포 : 강원도 평강
    형태 : 상록교목


    Read More
  4. No Image

    연필향나무

    학명 : Juniperus virginiana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측백나무과(Cupressaceae) target=_blank>측백나무과(Cupress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향나무속(Juniperus) target=_blank>향나무속(Juniperus)</a>

    잎 : 잎은 인엽과 침엽이 섞여나며 몇년간 달려 있는 침엽은 대생하거나 간혹 3개씩 달리며 길이 5-6mm로서 점첨두이고 표면은 회록색이며 오목하고 뒷면은 도드라지며 녹색이다. 인엽은 능상 원형이고 첨두로서 길이 1.5mm이며 윗부분은 떨어지고 보통 자록색이며 흔히 지점이 있다. 노목이 되면 인편엽이 많아진다.
    꽃 : 암수딴그루로서 꽃은 4-5월에 개화한다.
    열매 : 구과는 아구형 또는 난상 원형이고 지름 6mm 로서 자흑색으로 익으며 종자는 1-2개씩 들어 있고 난상 원형이며 길이 3mm로서 홈이 있고 다음해 10월에 성숙한다.
    줄기 : 원산지에서는 수고 30m 지름 1m이상 자라며 수피는 적갈색이고 세로로 터지며 소지는 향나무보다 가늘고 지름 1mm이하이다. 수관은 원추형이거나 좁은 타원형이다.

    분포 : ▶미국의 동부지역과 대서양 연안에 걸쳐 분포한다. ▶중부 이남에 식재한다.
    형태 : 상록 침엽 교목.
    유사종 : ▶노간주나무(J. rigida Seeb. & Zucc) ▶곱향나무(J. communis var. nipponica Wilson): 주간이 옆으로 자라고 열매가 잎보다 길며 북부 고산지대에서 볼 수 있는 것. ▶뚝향나무(J. chinensis L. var. horizontalis Nakai): 향나무에 비해 줄기는 똑바로 서지 않고 가지는 수평으로 퍼진다. ▶섬향나무(J. chinensis L. var. procumbens Endl.): 원줄기는
    특징 : ▶우리 나라에 1930년경에 도입되었다. ▶어릴 때의 생장이 본 속중에서 가장 빠르다.
    Read More
  5. No Image

    섬향나무

    학명 : Juniperus chinensis var. procumbens (Siebold) End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측백나무과(Cupressaceae) target=_blank>측백나무과(Cupress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향나무속(Juniperus) target=_blank>향나무속(Juniperus)</a>

    잎 : 잎은 침상 또는 피침상 선형으로서 흰빛이 도는 청녹색을 띄고 있으나 가을에서 겨울철에는 약간 자주빛이 도는 청녹색으로 특이하게 변한다. 잎은 대부분 잎 길이가 6-8mm 나비 1.5mm이며 예첨두 침형으로 인엽이 적고 안쪽으로 구부러진다. 과지에는 인엽이 있지만 열매는 침엽만 달린 가지에도 달리고 엽서는 6줄이다.
    꽃 : 개화기는 4월로 암수딴그루이다. 웅화수는 타원형 또는 난상 구형이며 길이 3-4mm이다.
    열매 : 열매는 육질로 직경이 7~8mm에 편구형이고 유합된 4개의 실편에 소돌기가 있다. 종자는 보통 3개이고 난상 원형으로서 2개의 능선이 있으며 길이 5-6mm이다. 열매는 다음해의 9~10월에 검은 자색으로 익는다.
    줄기 : 줄기는 길이 1~2m 정도이고 포복성이다. 가지는 위를 향하고 1년지는 녹색이 나며 2년지는 적갈색이 난다. 눈향나무에 비해 가지는 굵고 침엽은 찌르며 보통 3윤생한다.
    뿌리 : 천근성이다.
    분포 : 남쪽 해안지대에 분포한다.
    형태 : 상록침엽관목 수형:포복형
    유사종 : ▶향나무(J. chinensis L.) ▶뚝향나무(J. chinensis (L.) var. horizontalis Nakai) ▶단천향나무(J. davurica Pallas) : 잎이 가지와 거의 직각이며 엽신이 곧고 엽서가 4줄이며 함북 무산군 함남 갑산군 및 단천군의 숲속과 해안에서 자란다.
    특징 : ▶침엽과 인엽을 모두 지니고 있으나 대부분이 인엽으로 이루어져 있어 질감이 매우 부드럽다. ▶눈향나무와 비슷하지만 해안산인 것이 다르고 대흑산도 및 세포의 해안 모래땅에서 자란다.
    Read More
  6. No Image

    뚝향나무

    학명 : Juniperus chinensis var. horizontalis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측백나무과(Cupressaceae) target=_blank>측백나무과(Cupress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향나무속(Juniperus) target=_blank>향나무속(Juniperus)</a>
    이명 : 앉은향나무
    잎 : 잎은 대생 또는 3윤생이다. 침엽의 윗면은 들어가고 2줄의 흰색 기공대가 있으며 뒷면은 녹색 비늘잎은 난상 미름모꼴 윗면에 불분명한 선점(腺點)이 있다.
    꽃 : 꽃은 암수한그루로 가지 끝에 붙는다. 수꽃송이의 비늘잎은 14개 비늘잎 안에 4-5개의 꽃밥이 있다. 암꽃송이의 비늘잎은 4개 비늘잎 안에 배주가 보통 4개 들어있다.
    열매 : 구과는 육질로 된 구형이며 흑자색이다.
    줄기 : 1-2년생 가지는 녹색 3년생 가지는 암갈색이다. 줄기는 똑바로 서지 않고 가지는 수평으로 퍼진다.

    분포 : 경상 북도 안동군 와룡면에서 자란다.
    형태 : 상록 교목
    유사종 : ▶향나무(J. chinensis L.) ▶섬향나무(J. chinensis L. var. procumbens Endl.): 원줄기는 땅을 기고 잎은 대부분이 침엽 끝이 안으로 굽으며 6줄로 늘어선다. ▶단천향나무(J. davurica Pallas) : 우리 나라 북부에 나는 잎이 가지와 거의 직각이며 엽신이 곧고 엽서가 4줄이다.
    특징 : ▶경상 북도 안동군 와룡면에 있는 천연기념물 제 314호이다. ▶향나무에 비해 줄기는 똑바로 서지 않고 가지는 수평으로 퍼지는 것이 특징이다.
    Read More
  7. No Image

    두송

    학명 : Juniperus communis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측백나무과(Cupressaceae) target=_blank>측백나무과(Cupress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향나무속(Juniperus) target=_blank>향나무속(Juniperus)</a>

    잎 : 잎은 3개씩 윤생하며 3개의 능선이 있고 길이 12-20mm로서 표면에 좁은 백색 홈이 있다.
    꽃 : 꽃은 5월에 피고 전년지의 엽액에 달리며 수꽃은 1-3개씩 피고 20개 내외의 인편은 녹갈색이며 밑부분에 4-5개의 꽃밥이 달린다. 암꽃은 1개식 피고 9개의 실편이 있으며 배주(胚珠)는 각각 3-4개이다.
    열매 : 열매는 잎보다 짧으며 구형 또는 타원형으로서 지름 7-8(12)mm로서 이듬해 10월에 익는다. 유합된 실편은 끝이 3개로 갈라지며 밑부부네 9개의 포가 있다. 종자는 3-4(1)개씩이고 난형이며 길이 6.5mm로서 갈색이고 지점(脂點)이 있다.
    줄기 : 보통 높이 8m 지름 20cm에 달하고 수관이 비짜루처럼 되며 수피가 세로로 얕게 갈라지고 이년지는 다갈색이다.

    분포 : 북부 고산지대에서 자란다.
    형태 : 상록 침엽 교목

    특징 : 열매가 잎보다 짧다.
    Read More
  8. No Image

    단천향나무

    학명 : Juniperus davuricus Pal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측백나무과(Cupressaceae) target=_blank>측백나무과(Cupress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향나무속(Juniperus) target=_blank>향나무속(Juniperus)</a>
    이명 : 다우리아향나무
    잎 : 잎이 가지와 거의 직각이며 엽신이 곧고 엽서가 4줄이다. 잎은 침상 또는 피침상 선형으로서 표면은 매우 희며 중륵보다 백선이 넓고 길이 6-8㎜ 나비 1-1.5㎜이며 예첨두로서 안쪽으로 구부러진다.

    열매 : 열매는 편구형(扁球形)으로서 지름 10㎜이며 유합(癒合)된 4개의 실편에 소돌기가 있다. 종자는 보통 3개 이고 난상 원형으로서 2개의 능선이 있으며 길이 5-6㎜이다. 열매는 침엽만 다린 가지에도 달린다.
    줄기 : 가지가 위를 향하고 일년지는 녹색 이년지는 적갈색이다. 과지(果枝)에는 인엽(鱗葉)이 있다.

    분포 : 함북 무산군(茂山郡) 함남 갑산군(甲山郡) 및 단천군(端川郡)에서 자란다.
    형태 : 포복성상록수(匍匐性常綠樹)이다
    유사종 : ▶섬향나무(J. chinensis L. var. procumbens Endl.): 남쪽 해안 지대에 자생하며 포복성이나 가지는 위를 향하며 잎이 대부분 침엽인 점이 다른데 눈향나무와 함께 정원수로 쓰인다. ▶향나무(J. chinensis L.) ▶뚝향나무(J. chinensis L. var. horizontalis Nakai): 향나무에 비해 줄기는 똑바로 서지 않고 가지는 수평으로 퍼지는 것이 특징이다.

    Read More
  9. No Image

    눈향나무

    학명 : Juniperus chinensis var. sargentii Henry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측백나무과(Cupressaceae) target=_blank>측백나무과(Cupress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향나무속(Juniperus) target=_blank>향나무속(Juniperus)</a>
    이명 : 누운향나무 눈상나무 참향나무
    잎 : 잎은 처음에는 침형이지만 섬향나무처럼 찌르지 않고 표면에는 중륵보다 넓은 2줄의 백선이 있어 향나무보다 전체적으로 희게 보인다. 뒷면은 녹색이고 길이 3-5mm 나비 0.6-0.8mm이다. 인엽은 능형이며 짙은 녹색이고 길이 1mm로서 거의 중앙에 지점이 있다. 잎은 대부분 인엽이며 밀생하고 아랫가지에는 침상의 잎이 섞여 있다. 침엽은 대생하고 갱생지에서는 3륜생한다.
    꽃 : 암수딴그루로서 4-5월에 꽃이 핀다.수꽃은 난형으로 길이 2mm이며 인편은 황록색이지만 가장자리가 황색이다. 꽃은 전년 가을부터 형성된다.
    열매 : 열매는 과경이 5mm로서 편구형이고 길이 5mm 나비 8mm이다. 종자는 1-3개씩 들어 있으며 난형이고 길이 5mm로서 약간 편평하며 짙은 갈색이 돌고 윤채가 있으며 제(臍)는 연한 갈색이다. 열매는 육질로 꽃이 핀 다음해의 9-10월에 흑자색으로 익는다.
    줄기 : 눈향나무는 포복성으로 기울든가 바위에서 밑으로 처지며 자라든가 땅에 붙어 기어가듯 자라며 퍼진다.

    분포 : ▶일본 사할린 중국 북부 시베리아 등지에도 분포한다. ▶한라산 지리산 소백산 설악산 등 전국적으로 표고 700-2 300m에 이르는 고산지대에 자생한다.
    형태 : 상록 침엽 관목
    유사종 : ▶섬향나무(J. chinensis L. var. procumbens Endl.): 남쪽 해안 지대에 자생하며 포복성이나 가지는 위를 향하며 잎이 대부분 침엽인 점이 다른데 눈향나무와 함께 정원수로 쓰인다. ▶향나무(J. chinensis L.) ▶단천향나무(J. davurica Pallas) : 우리 나라 북부에 나는 잎이 가지와 거의 직각이며 엽신이 곧고 엽서가 4줄이다.
    특징 : ▶국내에만 자생하는 특산 식물 희귀 및 멸종 위기식물로서 보호되어야 한다. ▶기본종인 향나무에 비하여 원대가 서지 않고 비스듬히 기우려지며 많은 가지을 내고 지면에 닿은 가지에서는 뿌리를 내린다. 바위틈에서 가지를 밑으로 처지면서 자라기도 한다.
    Read More
  10. No Image

    노간주나무

    학명 : Juniperus rigida Siebold & Zucc.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측백나무과(Cupressaceae) target=_blank>측백나무과(Cupress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향나무속(Juniperus) target=_blank>향나무속(Juniperus)</a>
    이명 : 노가주나무 노가지나무 노간주향
    잎 : 잎은 침상으로 3개씩 윤생하며 3개의 능선이 있고 길이 12~20mm 폭 1mm로서 표면에 좁은 백색의 홈이 있다. 잎끝은 예리하고 딱딱하여 손을 갖다대면 통증을 느낄 정도이다.
    꽃 : 자웅이주이며 꽃은 전년지의 엽액에서 4-5월에 핀다. 수꽃은 1~3개씩 피고 20개 내외의 녹갈색 인편이 있고 밑 부분에 4~5개의 꽃밥이 있다. 암꽃은 1개씩 피고 9개의 실편이 있으며 배주는 각각 3~4개이다.
    열매 : 구과는육질 구형 또는 타원형으로서 지름 7-8(12)mm이고 두꺼운 육질로 되어 있다. 유합된 실편은 끝이 3개로 갈라지며 밑부분에 9개의 포가 있다. 처음에는 녹색이나 후에는 자흑색으로 된다. 종자는 3-4(1)개씩이고 난형이며 길이 6.5mm로서 갈색이고 지점이 있다. 열매는 꽃이 핀 다음해 10월에 익는다.
    줄기 : 높이 8m 지름 20cm에 달하고 수관이 비짜루처럼 되며 직립한다. 수피가 갈색으로 길게 세로로 얕게 갈라지고 2년지는 다갈색이다. 소지는 황갈색으로 노목에서는 드리워진다.
    뿌리 : 천근성이다.
    분포 : 전국 산야에 자생하며 일본과 중국에도 분포한다.
    형태 : 상록침엽교목 수형은 원주형의 로케트형
    유사종 : ▶해변노간주나무(var. koreana T. Lee) : 바닷가에서 옆으로 기면서 자라는 것을 말한다. ▶두송(I. communis L.): 북부고산지대 잎의 면이 오목하고 백색부가 녹색부보다 넓으며 열매가 잎보다 짧다. ▶곱향나무(J. communis var. nipponica Wilson): 주간이 옆으로 자라고 열매가 잎보다 길며 북부고산지대에서 볼 수 있다.
    특징 : "▶노간주 나무는 결실이 많이 된다. ▶일본에서는 가지를 꺽어 쥐구멍에 거꾸로 꽂아두면 바늘같은 잎 때문에 쥐가 침입할 수 없다 하여 """"네즈미나시""""(쥐를 찌른다는 뜻)라고 이름부를 정도다."
    Read More
  11. No Image

    곱향나무

    학명 : Juniperus sibirica Burgsd.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측백나무과(Cupressaceae) target=_blank>측백나무과(Cupress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향나무속(Juniperus) target=_blank>향나무속(Juniperus)</a>

    잎 : 잎은 3개씩 윤생하며 3개의 능선이 있고 길이 12-20mm로서 표면에 좁은 백색 홈이 있다. 단면은 V자형이다.
    꽃 : 꽃은 암수딴그루로서 5월에 피고 전년지의 엽액에 달린다. 수꽃은 1-3개씩 피고 20개 내외의 인편은 녹갈색이며 밑부분에 4-5개의 꽃밥이 달린다. 암꽃은 1개씩 피고 9개의 실편이 있으며 배주는 각각 3-4개이다.
    열매 : 열매가 잎보다 긴 구형의 구과로 지름 7-8(12)mm로서 다음해 10월에 검붉게 익는다. 유합된 실편은 끝이 3개로 갈라지며 밑부분에 9개의 포가 있다. 종자는 3-4(1)개씩이고 난형이며 길이 6.5mm로서 갈색이고 지점(脂點)이 있다.
    줄기 : 보통 높이 8m 지름 20cm에 달하고 수관이 비짜루처럼 되며 수피가 세로로 얕게 갈라지고 이년지는 다갈색이다.

    분포 : 북부 고산지대에서 볼 수 있으며 중국과 일본 등지에도 분포한다.
    형태 : 상록침엽소교목
    유사종 : ▶노간주나무(J. rigida Sieb. et Zucc.) ▶해변노간주나무(var. koreana T. Lee): 바닷가에서 옆으로 기면서 자라는 것.
    특징 : ▶전라남도 승주군에 곱향나무는 천연기념물 88호로 1962년 12월 3일 지정되었다. ⓐ면적:2주(株) 1 983㎡ ⓑ지정사유;노거수 ⓒ수령:800년 ⓓ나무높이:12.5m ⓔ가슴높이 줄기둘레 4.0m 3.24m - 고려시대 보조국사와 왕자의 몸으로 보조국사의 제자가 된 담당국사가 중국에서 수도를 마치고 돌아오면서 짚고 있던 지팡이를 나란히 꽂아 놓은 것이 뿌리를 내려 자랐다고 전해진다. 두 그루의 곱향나무가 크고 작게 나란히 서 있는 모습이 마치 스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