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명 | Cephalotaxus harringtonia var. nana (Nakai) Rehder |
|---|---|
| 과명 | 개비자나무과(Cephalotaxaceae) |
| 속명 | 개비자나무속(Cephalotaxus) |
| 이명 | 누운개비자나무눈꺼비자나무 |
| 잎 | 잎은 길이 5㎝내외의 선형으로 침엽수이지만 약간 넓적하고 길어서 중앙맥이 두드러지며 뒷면에 2줄의 백색 기공조선(氣孔條線)이 있다. 과지의 것은 길이가 짧으며 4-5년만에 떨어진다. |
| 꽃 | 꽃은 이가화이며 녹색으로서 4월에 핀다. 수꽃은 길이 5mm 내외로서 편구형이며 10여개의 포로 싸인 것이 한 화경에 20-30개씩 달린다. 암꽃은 2개씩 한군데에 달리고 10여개의 뾰족한 녹색 포로 싸이며 길이 5mm이다. 배주(胚珠)는 한 꽃에 8-10개씩 있다. |
| 열매 | 육질의 종의(種衣)로 싸인 열매는 둥글며 지름 1.7-1.8㎝로 다음해 8-9월에 적색으로 익고 종자는 장타원형이며 길이 15mm 폭 10mm로서 갈색이다. |
| 줄기 | 많은 줄기를 내어 우산모양을 이룬다. |
| 뿌리 | 뿌리에서 맹아가 돋는다. |
| 분포 | 경기도와 충북 이남의 표고 100-1 300m의 계곡과 산기슭에서 자생하며 중국과 일본에도 분포한다. |
| 형태 | 상록침엽관목 |
| 특징 | 잎의 질감이 좋고 빨간 열매가 아름다워 관상가치가 있으며 생장이 빠른 편이다. |
|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
|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
-
Read MoreNo Image
큰개비자나무
학명 : Cephalotaxus harringtonia (Knight) K.Koch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0%9C%EB%B9%84%EC%9E%90%EB%82%98%EB%AC%B4%EA%B3%BC(Cephalotaxaceae) target=_blank>개비자나무과(Cephalotax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개비자나무속(Cephalotaxus) target=_blank>개비자나무속(Cephalotaxus)</a>
잎 : 소지는 잎이 2열로 배열하며 잎은 선형으로 편평하고 길이 1.5~4cm 나비 2.5~3mm이다. 표면은 암록색이고 중륵이 도드라지며 뒷면은 중륵 양측에 백색 기공대가 있고 끝은 뾰족하며 기부는 둥글고 거의 자루가 없다.
꽃 : 자웅이주로 꽃은 4~5월에 피고 수꽃은 묵은 가지에 군생하며 이삭은 구형이다. 암꽃이삭은 전년지 끝부분에 난다.
열매 : 10월에 1화서에서 1~2개 성숙한다.
줄기 : 가지는 퍼지고 수피는 회갈색이며 세로로 얕게 갈라지고 벗겨지며 어린가지는 엷은 녹색이고 동안느 좁은 난형이다.
분포 : 일본 중국 원산으로 중부 이남에 식재한다.
형태 : 상록소교목이다.
-
Read MoreNo Image
눈개비자나무
학명 : Cephalotaxus harringtonia var. nana (Nakai) Rehder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0%9C%EB%B9%84%EC%9E%90%EB%82%98%EB%AC%B4%EA%B3%BC(Cephalotaxaceae) target=_blank>개비자나무과(Cephalotax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개비자나무속(Cephalotaxus) target=_blank>개비자나무속(Cephalotaxus)</a>
이명 : 누운개비자나무눈꺼비자나무
잎 : 잎은 길이 5㎝내외의 선형으로 침엽수이지만 약간 넓적하고 길어서 중앙맥이 두드러지며 뒷면에 2줄의 백색 기공조선(氣孔條線)이 있다. 과지의 것은 길이가 짧으며 4-5년만에 떨어진다.
꽃 : 꽃은 이가화이며 녹색으로서 4월에 핀다. 수꽃은 길이 5mm 내외로서 편구형이며 10여개의 포로 싸인 것이 한 화경에 20-30개씩 달린다. 암꽃은 2개씩 한군데에 달리고 10여개의 뾰족한 녹색 포로 싸이며 길이 5mm이다. 배주(胚珠)는 한 꽃에 8-10개씩 있다.
열매 : 육질의 종의(種衣)로 싸인 열매는 둥글며 지름 1.7-1.8㎝로 다음해 8-9월에 적색으로 익고 종자는 장타원형이며 길이 15mm 폭 10mm로서 갈색이다.
줄기 : 많은 줄기를 내어 우산모양을 이룬다.
뿌리 : 뿌리에서 맹아가 돋는다.
분포 : 경기도와 충북 이남의 표고 100-1 300m의 계곡과 산기슭에서 자생하며 중국과 일본에도 분포한다.
형태 : 상록침엽관목
특징 : 잎의 질감이 좋고 빨간 열매가 아름다워 관상가치가 있으며 생장이 빠른 편이다.
-
Read MoreNo Image
개비자나무
학명 : Cephalotaxus koreana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0%9C%EB%B9%84%EC%9E%90%EB%82%98%EB%AC%B4%EA%B3%BC(Cephalotaxaceae) target=_blank>개비자나무과(Cephalotax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개비자나무속(Cephalotaxus) target=_blank>개비자나무속(Cephalotaxus)</a>
이명 : 누은개비자나무 눈꺼비자나무 좀개비자나무
잎 : 잎은 선형으로 길이 4cm정도이지만 맹아의 것은 7.5cm에 달하는 것도 있고 과지의 것은 길이 2-2.5cm이며 4-5년만에 떨어진다. 중앙의 엽맥이 두드러지며 뒷면에 2줄로 된 기공선이 있다. 엽병이 없고 2열로 배열되며 비자나무에 비하여 부드러우며 잎끝이 예리하나 만져도 찌르지 않는다.
꽃 : 꽃은 이가화로서 4월에 녹색으로 피고 수꽃은 길이 5mm내외로 편구형이며 10여개의 포로 싸인 것이 한 화경에 20-30송이씩 달린다. 암꽃은 길이 5mm이며 2송이씩 한군데에 달리고 10여개의 뾰족한 녹색 포로 싸여 있다.
열매 : 배주는 한 꽃에 8-10개씩 있고 육질의 종의로 싸인 열매는 둥글며 지름 1.7-1.8cm로서 다음해 8-9월에 적색으로 익고 종자는 장타원형이며 길이 15mm 폭 10mm로서 갈색이다.열매에는 짧은 자루가 달려있다.
줄기 : 높이가 3m에 달하며 수피는 암갈색이 나고 세로로 갈라져 있다. 가지는 횡장성이며 어린 가지는 녹색이다.
뿌리 : 잔뿌리가 많이 내리고 잔근성이다.
분포 : ▶중국 일본 등의 동부아시아와 히말라야에도 5종이 자란다. ▶경기도와 충북 이남지역(북위 38˚이남)의 표고 100~1 300m지역에 분포한다.
형태 : 상록침엽관목 수형: 자생상태에서는 수형이 안잡히나 인위적으로 재배시 원추형이다.
유사종 : ▶눈개비자나무(var. nana Nak.): 뿌리에서 맹아가 돋아 나오는 종류를 눈개비자나무라고 하지만 이는 개암나무의 특성인 것과 같다.
특징 : ▶수형이 깨끗하고 엽폭이 넓어서 다른 침엽수에 비해 부드러운 질감을 가지며 생장이 빠른 특성 때문에 쉽게 녹화가 가능하다. ▶경남 통영군 한산면 비진도 수포마을앞에 서 있는 것: 수고 6m 흉고직경 22㎝로서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개비자나무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