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명 | Rosa xanthina Lindl. |
|---|---|
| 과명 | 장미과(Rosaceae) |
| 속명 | 장미속(Rosa) |
| 잎 | 잎은 호생하고 5-9개의 소엽으로 구성된 우상복엽이며 소엽은 타원형 도란형이고 원두 예저로 길이 0.8-1.5cm 폭 0.5-1cm 로서 표면에 털이 없으며 뒷면에 잔털이 있고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다. 탁엽은 피침형이다. |
| 꽃 | 꽃은 5월에 피며 지름 4-5cm로서 황색이고 많첩이며 짧은 가지끝에 1개씩 피고 화경에 털이 없으며 꽃받침통이 둥글다. 꽃받침 열편은 좁고 피침형이며 길이 1.5cm로서 안쪽에 융모가 있다. 꽃잎은 도란형으로 수가 많다. 꽃이 황색이기 때문에 노란해당화라고 한다. |
| 열매 | 열매는 구형으로 지름 1.2cm이며 꽃받침이 숙존하고 홍갈색으로 8-9월에 성숙한다.자방과 꽃잎이 겹으로 되어 종자가 결실할 수 없다. |
| 줄기 | 가지는 아래로 처지고 곧은 가시와 굽은 가시가 있고 소지는 암갈색이며 가시가 많다. |
| 분포 | ▶중국 몽고 터키 아프가니스탄에 분포한다. ▶전국의 정원과 사찰에 식재하고 있다. |
| 형태 | 낙엽활엽관목 |
| 특징 | 국내에는 중국으로부터 도입되었다. |
|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
| 학명출전 | Ros. monogr. 132 (1820) |
| 참고문헌 |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2) 한국수목도감 (이창복, 1966) |
TAG •
-
Read MoreNo Image
돌가시나무
학명 : Rosa wichuraiana Crep. ex Franch. & Sav.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장미과(Rosaceae) target=_blank>장미과(Ros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장미속(Rosa) target=_blank>장미속(Rosa)</a>
이명 : 긴돌가시나무 대도가시나무 대마도가시나무 반들가시나무 붉은돌가시나무 홍돌가시나무
잎 : 잎은 호생하고 우상복엽이며 소엽은 7~9개이다. 소엽은 타원형 또는 넓은 도란형으로 길이 1~2.5cm이며 양면에 털이 없고 광택이 나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고 엽축과 중륵에 선모가 있다.
꽃 : 꽃은 5~6월에 백색으로 피고 향기가 있으며 가지 끝에 1~5개씩 달리고 화경에 선모가 있다. 꽃받침조각은 피침형 꽃잎은 도란상 원형으로 끝이 오목하다.
열매 : 과실은 난상 원형으로 가을에 붉게 익는다.
줄기 : 가지를 많이 치고 가시가 많으며 털이 없다.
분포 : 제주 전남북 함남북에 나며 일본 대만 중국에 분포한다.
형태 : 반상록 포복성 관목
-
Read MoreNo Image
대청가시나무
학명 : Rosa taisensis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장미과(Rosaceae) target=_blank>장미과(Ros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장미속(Rosa) target=_blank>장미속(Rosa)</a>
이명 : 대청장미
분포 : 한반도(황해 대청도)
특징 : 반들가시나무에 비해 잎에 털이 잇고 암술대가 이생한다.
-
Read MoreNo Image
노랑해당화
학명 : Rosa xanthina Lind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장미과(Rosaceae) target=_blank>장미과(Ros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장미속(Rosa) target=_blank>장미속(Rosa)</a>
잎 : 잎은 호생하고 5-9개의 소엽으로 구성된 우상복엽이며 소엽은 타원형 도란형이고 원두 예저로 길이 0.8-1.5cm 폭 0.5-1cm 로서 표면에 털이 없으며 뒷면에 잔털이 있고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다. 탁엽은 피침형이다.
꽃 : 꽃은 5월에 피며 지름 4-5cm로서 황색이고 많첩이며 짧은 가지끝에 1개씩 피고 화경에 털이 없으며 꽃받침통이 둥글다. 꽃받침 열편은 좁고 피침형이며 길이 1.5cm로서 안쪽에 융모가 있다. 꽃잎은 도란형으로 수가 많다. 꽃이 황색이기 때문에 노란해당화라고 한다.
열매 : 열매는 구형으로 지름 1.2cm이며 꽃받침이 숙존하고 홍갈색으로 8-9월에 성숙한다.자방과 꽃잎이 겹으로 되어 종자가 결실할 수 없다.
줄기 : 가지는 아래로 처지고 곧은 가시와 굽은 가시가 있고 소지는 암갈색이며 가시가 많다.
분포 : ▶중국 몽고 터키 아프가니스탄에 분포한다. ▶전국의 정원과 사찰에 식재하고 있다.
형태 : 낙엽활엽관목
특징 : 국내에는 중국으로부터 도입되었다.
-
Read MoreNo Image
민생열귀
학명 : Rosa silenidiflora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장미과(Rosaceae) target=_blank>장미과(Ros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장미속(Rosa) target=_blank>장미속(Rosa)</a>
-
Read MoreNo Image
긴생열귀
학명 : Rosa davurica var. ellipsoidea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장미과(Rosaceae) target=_blank>장미과(Ros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장미속(Rosa) target=_blank>장미속(Rosa)</a>
이명 : 긴생열귀장미긴여름해당화긴열매해당화
잎 : 잎은 호생하고 5-9개의 소엽으로 구성된 기수우상복엽이다. 소엽은 타원형 또는 장타원형으로 예두 원저이며 양끝이 뾰족하고 길이 1~3cm로서 표면에 털이 없고 뒷면은 회록색이고 작은 선점이 밀생하며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다. 엽축 및 탁엽에 선모가 있다.
꽃 : 꽃은 양성화로 5월에 피고 지름 4-5cm로서 새가지 끝에 1개 또는 몇개가 달리며 화경에 선모가 있고 꽃받침열편은 5개이고 길이 2cm이며 겉에 선점이 있고 털이 없거나 안쪽에 털이 있으며 꽃잎은 5개로 넓은 도란형으로서 끝이 오므라지고 홍자색이다. 수술은 많은데 이들은 모두 단지모양의 꽃받침통 변두리에 붙는다. 암술은 여럿으로 꽃받침통속 바닥에 붙어 있다.
열매 : 열매는 크기 1.0-1.3㎝로 타원형이고 선형의 꽃받침이 달려 있으며 6월에 황홍색으로 익는다.
줄기 : 원줄기는 적갈색이며 털이 없고 가지가 많이 갈라지며 탁엽 밑에 가시가 있다.
분포 : 강원도 이북의 표고 200-1 200m의 산록이나 계곡에서 자란다.
형태 : 낙엽활엽관목
유사종 : ▶흰생열귀(for. alba Nakai): 꽃이 흰색이며 북한에 나는데 드물다. ▶생열귀나무(R. davurica Pall.): 지름 1.0-1.4㎝정도의 둥근 열매가 달리며 선형의 꽃받침이 달려 있다. ▶민생열귀(R. silenidiflora Nakai): 잎의 뒷면에 선점이 거의 없다.
-
Read MoreNo Image
긴돌가시나무
학명 : Rosa wichuraiana f. ellipsoidea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장미과(Rosaceae) target=_blank>장미과(Ros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장미속(Rosa) target=_blank>장미속(Rosa)</a>
잎 : 잎은 호생하고 우상복엽이며 소엽은 7~9개이다. 소엽은 타원형 또는 넓은 도란형으로 길이 1~2.5cm이며 양면에 털이 없고 광택이 나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고 엽축과 중륵에 선모가 있다.
꽃 : 꽃은 5∼6월에 백색으로 피고 향기가 있으며 가지 끝에 1~5개씩 달리고 화경에 선모가 있다. 꽃받침조각은 피침형 꽃잎은 도란상 원형으로 끝이 오목하다.
열매 : 과실은 난상 원형으로 가을에 붉게 익는다.
줄기 : 가지를 많이 치고 가시가 많다. 털이 없다.
분포 : 제주 전남북 함남북에 나며 일본 대만 중국에 분포한다.
형태 : 반상록 포복성 관목이다.
특징 : 긴돌가시나무는 반들가시나무에 비하여 과실이 타원형이다.
-
Read MoreNo Image
국경찔레
학명 : Rosa jaluana Ko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장미과(Rosaceae) target=_blank>장미과(Ros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장미속(Rosa) target=_blank>장미속(Rosa)</a>
잎 : 잎은 호생하며 5-9개의 소엽으로 구성된 우상복엽이며 소엽은 타원형 또는 도란형이고 첨두 원저이며 길이2-3cm 폭 1-2cm로서 표면에 털이 없고 뒷면에 잔털이 있으며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다. 탁엽의 가장자리가 거의 밋밋하고 밑부분이 엽병과 합쳐진다.
꽃 : 꽃은 새가지 끝에 원추화서를 이루며 꽃은 5월에 피고 지름 2cm정도로서 적색이며 소화경에 털이 없거나 선모가 약간 있고 꽃받침잎은 피침형으로 뒤로 젖혀지며 안쪽에 융모가 있다. 꽃잎은 도란형이고 미요두이며 향기가 있다. 암술대에 털이 있다.
열매 : 열매는 둥글고 지름 8mm정도로 9월경에 적색으로 익는다. 종자는 길이 3㎜정도로서 백색이며 털이 나 있다.
줄기 : 가지끝이 밑으로 처지고 흔히 덩굴성으로 되며 소지에 가시가 있고 털이 있는 것도 있다.
분포 : 전국 산야의 표고 50-1 900m 사이의 산기슭과 계곡에서 흔히 볼 수 있으며 일본에도 분포한다.
형태 : 낙엽활엽관목
유사종 : ▶털찔레(=털가시나무 var. adenochaeta Ohwi): 잎과 화서에 선모가 많다. ▶좀찔레(=좀가시나무 var. quelpaetensis Nakai): 소엽의 길이가 1-2cm이고 꽃이 작다. ▶제주찔레꽃(R. luciae Fr. et Rockheb.): 소엽은 길이 2-3㎝의 타원형 또는 도란형이며 탁엽은 거의 밋밋하다.
-
Read MoreNo Image
개해당화
학명 : Rosa rugosa var. kamtschatica (Vent.) Rege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장미과(Rosaceae) target=_blank>장미과(Ros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장미속(Rosa) target=_blank>장미속(Rosa)</a>
잎 : 잎은 호생하고 7-9개의 소엽으로 구성된 기수우상복엽이며 소엽은 타원형 또는 타원상 도란형이고 예두 또는 둔두 넓은 예저이며 길이 2-5cm 폭 1.2cm로서 얇고 표면은 주름이 적으며 광택이 있다. 가장자리에는 잔 톱니가 있고 잎 뒷면에는 맥이 튀어나오고 잔털이 밀생하며 선점이 있다.
꽃 : 꽃은 5-7월에 피고 해당화보다 작으며 홍자색이고 화경에 자모가 있으며 꽃이 피면 매우 아름다우며 짙고 맑은 향기는 이꽃의 인상을 강하게 한다. 빛깔은 홍자색이 보통이나 흰빛깔과 분홍도 있고 겹꽃도 있다. 꽃받침통은 둥글고 털이 없으며 열편은 피침형이고 꽃잎은 넓은 도란형으로서 끝이 오목하고 꽃잎에 방향성 정유가 있어서 향수의 원료가 된다.
열매 : 열매는 편구형이며 적색으로 익고 광택이 있어 영롱하게 빛나므로 더욱 아름답다. 수과는 길이 4mm로서 털이 없다. 열매가 작다.
줄기 : 줄기에 가시 및 융모가 있으며 가시에도 융모가 있다. 해당화와 달리 줄기에 자모(刺毛)가 없거나 작으며 짧다.
분포 : 전국의 바닷가 모래밭이나 산기슭에서 자라며 중국과 일본에도 분포한다.
형태 : 낙엽활엽관목
유사종 : ▶많첩해당화(for. plena Byhouw): 꽃잎이 만첩인 것. ▶민해당화(var. chamissoniana C.A.Meyer): 가지에 가시가 거의 없고 소엽이 작고 좁으며 잎에 주름살이 적은 것.
특징 : 줄기에 짧은 가시가 없거나 드물게 있고 잎에 주름이 적으며 꽃과 열매가 해당화보다 작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