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명 | Fagus engleriana Seemen ex Diels |
|---|---|
| 과명 | 참나무과(Fagaceae) |
| 속명 | 너도밤나무속(Fagus) |
| 잎 | 잎은 호생하며 난형 타원형 또는 긴 난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원저 넓은 예저 또는 아심장저이고 길이 6-12cm로서 표면에 백색 털이 있거나 없으며 뒷면은 중륵 기부에만 털이 있고 황록색이며 가장자리는 엽맥 끝이 오므라져서 파상 또는 얕은 치아상의 톱니로 되고 9-13쌍의 측맥이 있으며 엽병에 털이 있다. |
| 꽃 | 꽃은 일가화로서 5월에 피고 새가지에 달리며 수꽃은 두상으로 모여 달리고 화경은 길이 2.5㎝로서 털이 나 있다. 암꽃은 2개씩 피는데 4-6개의 화피가 합쳐져 있고 암술대는 3개이며 자방은 3실로서 각각 2개의 배주(胚珠)가 들어 있으나 1개만 익는다. |
| 열매 | 견과는 난상 원형으로서 세모가 지고 목질의 총포 중에 1-2개씩 들어 있으며 각두총포(殼斗總苞)는 가시 같고 열매는 10월에 익는다. |
| 줄기 | 높이가 20m에 달하고 곧게 자라며 원추형의 수형을 이루고 수피는 회백색이며 평활하다. 어린가지에 털이 있고 2년지가 회갈색이다. |
| 분포 | 울릉도의 표고 300~900m 지대에서 자란다. |
| 형태 | 낙엽활엽교목. 수형은 난형(가지의 신장은 정자형) |
| 특징 | ▶울릉도 대하동의 너도밤나무 솔송나무 및 섬잣나무 군락이 천연기념물 제50호로 지정되었다. ⓐ지정사유 : 학술연구자원 ⓑ면적 : 145 786㎡ ▶일본산 Fagus japonicus 와 많이 닯았으나 잎이 약간 좁고 화서가 약간 짧으며 잎의 측맥 수의 통계값은 거의 같다.울릉도의 특산으로 울릉도의 선인봉 중턱에 원시림으로 남아있다. 내륙 동해안지역에서 화석으로 발견되었다. 인위적으로 식재시에는 속초 이남지역과 인천까지도 자란다. ▶울릉도의 |
|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
| 학명출전 | Bot. Jahrb. 29:28 (1900) |
| 참고문헌 |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
Read MoreNo Image
떡신졸참나무
학명 : Quercus xdentatoserratoides T.B.Le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참나무과(Fagaceae) target=_blank>참나무과(Fag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참나무속(Quercus) target=_blank>참나무속(Quercus)</a>
잎 : 잎은 대체적으로 졸참나무와 비슷하지만 하아지(夏芽枝)에서는 갈참나무같이 보이고 도란형 또는 긴 타원형으로서 예두 예저이지만 흔히 왜저이며 7-17쌍의 예리한 톱니가 있고 졸참나무처럼 선두예치(腺頭銳齒)이며 길이 7-13cm 나비1.8-3.6cm로서 표면은 주맥 기부를 제외하고는 털이 없고 뒷면은 떡갈나무의 긴 성모와 졸참나무의 단모가 밀생하여 처음에는 회청색이지만 점차 떨어져 갈졸참나무의 잎처럼 된다. 엽병은 길이 3-10mm이다.
열매 : 각두는 반구형이고 깊이 1cm 지름 18mm로서 신갈나무와 비슷한 포린으로 덮여 있다. 열매는 견과로 타원형이며 끝을 제외하고는 털이 없고 길이 16mm 지름14mm로서 갈참나무와 비슷하다.
줄기 : 긴 단모와 성모가 밀생하지만 점차 없어져서 졸참나무와 비슷해지고 동아는 난상 구형이며 털이 없다.
형태 : 낙엽활엽 교목 또는 소교목
유사종 : ▶붉가시나무(Q. acuta Thunberg): 잎은 난형 또는 타원형 길이 8-20㎝ 폭 3-6㎝ 표면은 반들반들한 짙은 녹색 뒷면은 연둣빛 어릴 때에는 적갈색의 털이 덮인다. ▶갈참나무(Q. aliena Bl.): 잎은 타원형 길이 5-30㎝ 뒷면은 회백색 별 모양의 털 가장자리는 물결 모양 또는 굵은 이 모양의 톱니가 있다. ▶떡갈나무(Q. dentata Thunberg): 소지에 황갈색의 굵은 별 모양의 털 밀생한다. 잎은
특징 : 외부형태는 물참나무와 비슷하지만 떡갈나무의 털과 같은 털이 잎 뒷면에 돋는 것이 다르다.
-
Read MoreNo Image
떡신갈참나무
학명 : Quercus × mccormickomongolica T.B.Le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참나무과(Fagaceae) target=_blank>참나무과(Fag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참나무속(Quercus) target=_blank>참나무속(Quercus)</a>
잎 : 잎은 도란형이고 길이가 2-20cm 나비2.5-12cm로서 둔두 이저(鈍頭 耳底)이며 예리한 톱니 또는 둔한 톱니가 5-10쌍 있다. 잎 표면은 주맥 기부에만 털이 있고 뒷면의 털은 갈참나무와 떡갈나무의 중간형이 대부분이지만 간혹 단모가 나타나며 맥 위에 단모 또는 갈참나무의 성모와 비슷한 털이 있다. 엽병은 길이 5mm정도로서 주맥처럼 털이 있으나 떨어진다.
열매 : 각두는 깊은 또는 얕은 반구형이고 포린은 신갈나무와 갈참나무 또는 신갈나무와 떡갈나무의 중간형이며 깊이 5-10mm 나비 10-17mm이다. 열매는 떡갈나무 갈참나무 및 신갈나무의 중간형으로서 끝부분에 털이 있고 길이 20mm 지름 10-15mm이다.
줄기 : 소지에 짧은 성모가 밀생하지만 점차 떨어지고 동아는 난형이며 떡갈나무와 같은 털이 있다.
형태 : 낙엽활엽 교목 또는 소교목
유사종 : ▶붉가시나무(Q. acuta Thunberg): 잎은 난형 또는 타원형 길이 8-20㎝ 폭 3-6㎝ 표면은 반들반들한 짙은 녹색 뒷면은 연둣빛 어릴 때에는 적갈색의 털이 덮인다. ▶갈참나무(Q. aliena Bl.): 잎은 타원형 길이 5-30㎝ 뒷면은 회백색 별 모양의 털 가장자리는 물결 모양 또는 굵은 이 모양의 톱니가 있다. ▶떡갈나무(Q. dentata Thunberg): 소지에 황갈색의 굵은 별 모양의 털 밀생한다. 잎은
특징 : ▶떡갈나무 신갈나무 갈참나무의 잡종으로 본다. ▶전체적으로 볼 때 잎과 가지는 떡갈나무 각두와 포린은 신갈나무에 가까우나 잎 뒷면의 털이 갈참나무와 떡갈나무의 중간형이다. ▶교목 또는 소교목이지만 대개 관목상태이다.
-
Read MoreNo Image
떡신갈나무
학명 : Quercus × dentatomongolica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참나무과(Fagaceae) target=_blank>참나무과(Fag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참나무속(Quercus) target=_blank>참나무속(Quercus)</a>
이명 : 신떡갈나무
잎 : 잎은 호생하고 도란형 긴 도란형 또는 피침형이며 둔두 이저이고 길이 7.5-28.5cm 나비 3.5-18cm로서 3-12쌍의 예리한 톱니 또는 둔한 톱니가 있으며 표면은 주맥 기부에 긴 털이 있고 뒷면은 성모와 단모가 있으나 첨차 떨어지며 처음부터 털이 없는 것도 있다. 엽병은 길이 2-3mm 지름 1-3mm로서 털이 있거나 없다.
꽃 : 꽃은 암수한그루 수꽃 이삭은 밑으로 처지고 암꽃 이삭은 짧다.
열매 : 각두는 반구형이고 깊이 4-12mm 지름11-23mm로서 포린으로 덮여 있다. 열매는 견과로 길이 14-23mm 지름 11-18mm이며 3-4개의 암술대가 있다. 총포 비늘잎은 곧게 선다.
줄기 : 소지에 짧은 털이 있거나 없으며 지름 3-7mm이다.
분포 : 우리 나라 중부 산지에 분포한다.
형태 : 낙엽 활엽 교목
유사종 : ▶붉가시나무(Q. acuta Thunberg): 잎은 난형 또는 타원형 길이 8-20㎝ 폭 3-6㎝ 표면은 반들반들한 짙은 녹색 뒷면은 연둣빛 어릴 때에는 적갈색의 털이 덮인다. ▶갈참나무(Q. aliena Bl.): 잎은 타원형 길이 5-30㎝ 뒷면은 회백색 별 모양의 털 가장자리는 물결 모양 또는 굵은 이 모양의 톱니가 있다. ▶떡갈나무(Q. dentata Thunberg): 소지에 황갈색의 굵은 별 모양의 털 밀생한다. 잎은
특징 : 신갈나무와 떡갈나무의 잡종이다.
-
Read MoreNo Image
떡속소리나무
학명 : Quercus fabri Hanc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참나무과(Fagaceae) target=_blank>참나무과(Fag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참나무속(Quercus) target=_blank>참나무속(Quercus)</a>
잎 : 잎은 호생하며 도란형 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이고 길이 4.5-22cm 나비 2.5-16cm로서 표면은 주맥 기부를 제외하고는 털이 없으며 뒷면은 떡갈나무와 졸참나무의 털로 덮여 있고 빨리 떨어지기 때문에 없는 것처럼 보인다. 잎 가장자리의 톱니는 뾰족하지만 둔두 또는 원두인 것도 있으며 이저 예저 아심장저 또는 원저이다. 엽병은 길이 1-15mm 지름 1-3mm로서 털이 있으나 떨어지는 것도 있다.
꽃 : 꽃은 암수한그루로서 4-5월에 피며 수꽃 이삭은 길게 늘어져 처지고 암꽃 이삭은 꽃이 1송이이며 암술대는 2-6개이다.
열매 : 각두는 얕거나 깊은 반구형이고 깊이 3-11mm 지름7-21mm로서 중간형의 포린으로 덮여있다. 열매는 중간형의 견과로 긴 타원형이고 길이 11-28mm 지름6-17mm이며 10월에 성숙한다.
줄기 : 소지는 지름 1-7mm이고 대부분 떡갈나무와 졸참나무의 털로 덮여 있으나 빨리 떨어지기 때문에 없는 것 처럼 보인다.
분포 : 전라 남도 황해도에 분포한다.
형태 : 낙엽활엽교목
유사종 : ▶붉가시나무(Q. acuta Thunberg): 잎은 난형 또는 타원형 길이 8-20㎝ 폭 3-6㎝ 표면은 반들반들한 짙은 녹색 뒷면은 연둣빛 어릴 때에는 적갈색의 털이 덮인다. ▶갈참나무(Q. aliena Bl.): 잎은 타원형 길이 5-30㎝ 뒷면은 회백색 별 모양의 털 가장자리는 물결 모양 또는 굵은 이 모양의 톱니가 있다. ▶떡갈나무(Q. dentata Thunberg): 소지에 황갈색의 굵은 별 모양의 털 밀생한다. 잎은
특징 : 떡갈나무와 졸참나무의 잡종으로 졸참나무보다 잎이 뭉뚝하며 물결 모양의 톱니가 있고 가지는 모가 난다.
-
Read MoreNo Image
떡갈참나무
학명 : Quercus × mccormickii Carruth.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참나무과(Fagaceae) target=_blank>참나무과(Fag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참나무속(Quercus) target=_blank>참나무속(Quercus)</a>
이명 : 개떡갈나무 개소리나무 개졸참나무 떡졸참나무 졸참나무
잎 : 잎은 호생하고 긴 타원형 타원형 도란형 도란상 타원형이며 길이 5.5-32cm 나비 3-20cm로서 끝이 둔하고 깊은 물결 모양의 톱니가 있으며 표면은 주맥 기부에만 털이 있고 뒷면은 보통 떡갈나무와 갈참나무의 털이 같이 있으나 빨리 떨어지는 경향이 있어 털이 없는 것이 나타나며 때로는 단모가 있다.
꽃 : 암꽃의 암술대는 3개이다.
열매 : 열매는 견과로 각두는 반구형이며 깊이 4-12mm 지름8-25mm로서 떡갈나무와 갈참나무의 중간형인 포린으로 덮여 있다. 견과는 중간형이며 길이 12-27mm 지름7-20mm이고 2-5개의 암술머리가 있다.
줄기 : 소지는 지름 2-7mm이며 떡갈나무와 같이 털이 있는 것과 갈참나무와 같이 털이 없는 것 및 이의 중간형이 있다.
형태 : 낙엽 활엽 교목
유사종 : ▶붉가시나무(Q. acuta Thunberg): 잎은 난형 또는 타원형 길이 8-20㎝ 폭 3-6㎝ 표면은 반들반들한 짙은 녹색 뒷면은 연둣빛 어릴 때에는 적갈색의 털이 덮인다. ▶갈참나무(Q. aliena Bl.): 잎은 타원형 길이 5-30㎝ 뒷면은 회백색 별 모양의 털 가장자리는 물결 모양 또는 굵은 이 모양의 톱니가 있다. ▶떡갈나무(Q. dentata Thunberg): 소지에 황갈색의 굵은 별 모양의 털 밀생한다. 잎은
특징 : 갈참나무와 떡갈나무의 잡종으로 본다.
-
Read MoreNo Image
떡갈졸참나무
학명 : Quercus × mccormickoserrata T.B.Le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참나무과(Fagaceae) target=_blank>참나무과(Fag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참나무속(Quercus) target=_blank>참나무속(Quercus)</a>
잎 : 잎은 길이 4-22cm 나비 12-13cm로서 긴 타원형이며 예두이고 예저 또는 원저이며 다소 안으로 꼬부라진 7-11쌍의 선두예치(腺頭銳齒)가 있고 표면은 주맥 기부에 털이 있으며 뒷면은 갈참나무 및 졸참나무와 같은 털과 떡갈나무의 성모가 있고 주맥 위에 단모가 밀생하여 회청색으로 보이지만 곧 떨어진다. 엽병은 길이 5mm정도로서 처음에는 주맥의 털과 같은 털이 있다.
열매 : 각두의 포는 떡갈참나무와 비슷하며 졸참나무와 같은 포린이 떡갈나무의 것처럼 길어지고 각두는 깊이 5mm 지름5-10mm로서 깊은 반구형이다. 도토리는 긴 타원형이며 암술대에 털이 있고 길이 18mm 지름 12mm이며 암술머리는 3개이다.
줄기 : 길고 짧은 단모와 성모가 밀생하여 떡갈나무와 비슷하지만 점차 털이 없어진다. 동아는 갈참나무 및 졸참나무와 비슷하지만 떡갈나무같은 것도 있다.
형태 : 낙엽활엽 교목 또는 소교목
특징 : 외관상 떡갈참나무와 비슷하지만 잎 뒷면의 털은 떡갈나무 갈참나무 및 졸참나무의 털이 섞여 있고 열매가 없는 것은 갈졸참나무와 비슷하다.
-
Read MoreNo Image
떡갈나무
학명 : Quercus dentata Thunb.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참나무과(Fagaceae) target=_blank>참나무과(Fag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참나무속(Quercus) target=_blank>참나무속(Quercus)</a>
이명 : 가나무 가랑닢나무 선떡갈나무 왕떡갈 참풀나무
잎 : 잎은 호생이고 혁질이며 도란형이고 둔두 이저(耳低)가 보통이지만 심장저 원저를 거쳐 둔저인 것도 있으며 길이 5-42(보통 9-22)cm 나비 3.5-27(보통 5-17)cm로서 가장자리에 3-17쌍의 측맥이 뚜렷하고 큰 치아상의 톱니가 있다. 양면에 갈색의 성상모가 있으나 없어지고 중륵 위에만 남으며 뒷면에는 끝까지 긴 성모가 남고 엽병은 길이 1-16mm로서 갈색의 성모가 있다. 참나무과의 수목 중에서는 잎이 제일 크다.
꽃 : 꽃은 일가화 또는 양성화로서 4-5월에 피고 웅화서는 새가지 밑의 엽액에서 밑으로 처지고 자화서는 위에서 곧추나와 몇개의 암꽃이 달린다. 수꽃은 4-20개의 수술과 5-11개의 화피열편이 있으며 꽃밥에 털이 있고 암꽃은 6개의 화피열편과 2-4개의 암술머리가 있다.
열매 : 견과는 긴 타원형이며 길이 10-27mm 지름 7-19mm로서 각두(殼斗)이고 깊게 총포에 싸여 있는 반구형이고 인편은 길고 뒤소 젖혀지며 10월에 익는다. 열매를 곡실이라 하며 껍질을 목골피(木骨皮)라 한다.
줄기 : 높이 20m 지름 70cm에 달하며 가지는 굵고 넓게 퍼지며 수피는 회갈색이고 깊게 갈라지며 소지는 갈색이며 굵고 황갈색의 성모가 밀포하며 동아는 각추상(角錐狀) 난형이고 털이 있다.
분포 : 일본과 대만 중국 만주 몽고에 분포한다. 전국 표고 800m이하의 산지에서 자란다. (경기도 강원도 황해도 지역에 많다.)
형태 : 낙엽 활엽 교목.
유사종 : ▶청떡갈(var. fallax Nak.): 잎 뒷면에 털이 없다. ▶깃떡갈(var.pinnatifida Matsum.): 잎이 거의 중륵까지 갈라진다.
특징 : 어린 잎으로 떡을 싸 먹는다 하여 떡갈이란 이름이 붙여졌고 재질이 거칠며 단단하고 무거우나 잘 갈라진다. 목재는 나이테가 뚜렷하고 심재는 암적갈색 변재는 회백색 또는 황갈색이다. 재면은 참나무 특유의 아름다운 호랑이 무늬를 가지고 있으며 비틀림은 크나 강도가 높다.
-
Read MoreNo Image
둥근잎구실잣밤나무
학명 :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boldii f. latifolia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참나무과(Fagaceae) target=_blank>참나무과(Fag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구실잣밤나무속(Castanopsis) target=_blank>구실잣밤나무속(Castanopsis)</a>
잎 : 잎은 호생하고 2줄로 배열되고 타원형 또는 원형에 가까우며 둔두 원저이고 상반부에 톱니가 있다. 길이 7-12㎝로서 표면은 녹색이고 광채가 있으며 털이 없고 뒷면은 인모로 덮여 있어 대개 연한 갈색이지만 흔히 흰빛이 도는 것도 있고 엽병은 길이 1㎝이다.
꽃 : 꽃은 1가화로서 6월에 피며 웅화수는 새가지 윗부분의 엽액에서 자화수는 밑부분의 엽액에서 나오고 수꽃은 5-6개로 갈라진 화피열편과 15개 정도의 수술이 있다. 암꽃은 각각 3개의 암술대가 있다.
열매 : 견과는 난형이고 길이 15-20㎜로서 대가 없으며 열매는 다음해 1월에 익는다.
줄기 : 줄기는 곧고 가지가 많다.
분포 : 남해안 섬에서 자란다.
형태 : 상록활엽교목
유사종 : ▶구실잣밤나무(C. cuspidata var. sieboldii Nakai) ▶모밀잣밤나무(var. thunbergii Nakai)
-
Read MoreNo Image
넓은잎참가시나무
학명 : Quercus salicina f. latifolia (Nakai) W.T.Le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참나무과(Fagaceae) target=_blank>참나무과(Fag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참나무속(Quercus) target=_blank>참나무속(Quercus)</a>
이명 : 너른닢참가시나무 쇠가시나무
잎 : 잎은 호생하며 피침형 또는 긴 타원상 피침형이고 점첨두 예저이며 길이 10-14cm로서 상반부에 참가시나무보다 예리한 톱니가 있고 양면에 처음에는 털이 있으며 특히 뒷면에 처음에는 융모가 있으나 모두 없어지고 납질이 생겨 백색으로 되며 10-12쌍의 측맥이 있다. 엽병은 길이 1cm정도이다. 잎 뒷면이 참가시나무에 비해 보다 희다.
꽃 : 꽃은 일가화로서 5월에 피고 웅화서(雄花序)는 새가지의 기부에서 밑으로 처지며 자화서(雌花序)는 새가지의 엽액에서 3-4개의 꽃이 달린 수상화서처럼 곧추선다. 수꽃은 3-4개의 화피열편과 4-6개의 수술이 있고 암꽃은 총포로 싸여 있으며 3개의 암술머리가 있다.
열매 : 각두는 7-9개의 동심윤층(同心輪層)이 있고 겉에 밀모가 있으며 견과는 타원형 또는 넓은 타원형이고 길이 18mm정도로서 끝부분에 잔털이 있으며 10월에 짙은 갈색으로 익는다.
줄기 : 높이가 10m에 달하고 소지는 처음에는 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진다.
분포 : 보길도 및 대흑산도에서 자란다.
형태 : 상록활엽교목
-
Read MoreNo Image
너도밤나무
학명 : Fagus engleriana Seemen ex Diels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참나무과(Fagaceae) target=_blank>참나무과(Fag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너도밤나무속(Fagus) target=_blank>너도밤나무속(Fagus)</a>
잎 : 잎은 호생하며 난형 타원형 또는 긴 난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원저 넓은 예저 또는 아심장저이고 길이 6-12cm로서 표면에 백색 털이 있거나 없으며 뒷면은 중륵 기부에만 털이 있고 황록색이며 가장자리는 엽맥 끝이 오므라져서 파상 또는 얕은 치아상의 톱니로 되고 9-13쌍의 측맥이 있으며 엽병에 털이 있다.
꽃 : 꽃은 일가화로서 5월에 피고 새가지에 달리며 수꽃은 두상으로 모여 달리고 화경은 길이 2.5㎝로서 털이 나 있다. 암꽃은 2개씩 피는데 4-6개의 화피가 합쳐져 있고 암술대는 3개이며 자방은 3실로서 각각 2개의 배주(胚珠)가 들어 있으나 1개만 익는다.
열매 : 견과는 난상 원형으로서 세모가 지고 목질의 총포 중에 1-2개씩 들어 있으며 각두총포(殼斗總苞)는 가시 같고 열매는 10월에 익는다.
줄기 : 높이가 20m에 달하고 곧게 자라며 원추형의 수형을 이루고 수피는 회백색이며 평활하다. 어린가지에 털이 있고 2년지가 회갈색이다.
분포 : 울릉도의 표고 300~900m 지대에서 자란다.
형태 : 낙엽활엽교목. 수형은 난형(가지의 신장은 정자형)
특징 : ▶울릉도 대하동의 너도밤나무 솔송나무 및 섬잣나무 군락이 천연기념물 제50호로 지정되었다. ⓐ지정사유 : 학술연구자원 ⓑ면적 : 145 786㎡ ▶일본산 Fagus japonicus 와 많이 닯았으나 잎이 약간 좁고 화서가 약간 짧으며 잎의 측맥 수의 통계값은 거의 같다.울릉도의 특산으로 울릉도의 선인봉 중턱에 원시림으로 남아있다. 내륙 동해안지역에서 화석으로 발견되었다. 인위적으로 식재시에는 속초 이남지역과 인천까지도 자란다. ▶울릉도의
-
Read MoreNo Image
깃참나무
학명 : Quercus mongolica var. liaotungensis (Koidz.)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참나무과(Fagaceae) target=_blank>참나무과(Fag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참나무속(Quercus) target=_blank>참나무속(Quercus)</a>
이명 : 깃신갈나무 깃옷신갈나무
잎 : 잎은 호생하지만 가지 끝에서 총생한 것처럼 보이고 참나무 중에서 가장 일찍 나오며 타원형이고 둔두이며 갑자기 이저로 끝나고 길이 5-9㎝로서 5-7쌍의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잡성1가화로서 4월에 피고 웅화서(雄花序)는 새가지 기부의 엽액에서 밑으로 처지며 자화서(雌花序)는 윗부분에서 곧추 자라고 모두 털이 없으나 잡종성의 것은 털이 있다. 수꽃은 1-17개의 수술과 3-12개의 화피열편이 있으며 암꽃은 1개 또는 여러 개가 수상(穗狀)으로 달리고 6개의 화피열편과 1-5개의 암술머리가 있다.
열매 : 열매는 길이 6-25㎜ 지름 6-21㎜인 타원형의 견과로서 9월에 익으며 각두의 포린은 구부러지며 등이 툭 튀어나온다.
줄기 : 높이 30m 지름 1m로 자란다. 새가지에 간혹 털이 있으나 곧 없어지며 동아는 난형이다. 종자에서 자란 나무는 줄기가 하나이지만 맹아로부터는 여러 개의 줄기가 뻗어 나온다.
분포 : 전국의 표고 100-1 800m의 산중턱 위쪽에서 자라며 중국과 시베리아에도 분포한다.
형태 : 낙엽활엽교목
유사종 : ▶신갈나무(Q. mongolica Fisch.)
특징 : 맹아력이 강해 산지에서는 흔히 맹아갱신(萌芽更新)이 일어난다. 노랗고 빨간 가을 단풍이 아름다우며 낙엽이 썩으면서 땅을 비옥하게 만든다.
-
Read MoreNo Image
깃떡갈나무
학명 : Quercus dentata var. pinnatifida Matsu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참나무과(Fagaceae) target=_blank>참나무과(Fag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참나무속(Quercus) target=_blank>참나무속(Quercus)</a>
이명 : 깃떡갈
잎 : 잎은 혁질이고 광도란형이며 밑은 귀뿌리(耳狀)로 늘어지고 끝은 둥글며 가장자리에 파상의 톱니가 있고 뒷면에 성상모가 빽빽이 난다. 길이 5-42(보통9-22)cm 나비 3.5-27(보통5-17)cm이다. 엽병은 길이 1-16mm로서 갈색의 성모가 있다. 잎은 거의 중늑(中肋)까지 갈라져 있다.
꽃 : 자웅동주로서 4-5월에 피고 웅화서는 새가지 밑의 엽액에서 밑으로 처지고 자화서는 위에서 곧추나와 몇개의 암꽃이 달린다. 수꽃은 4-20개의 수술과 5-11개의 화피열편이 있으며 꽃밥에 털이 있고 암꽃은 6개의 화피열편과 2-4개의 암술머리가 있다.
열매 : 견과로서 거의 구형이며 길이 10-27mm 지름 7-19mm이고 각두(殼斗)는 반구형이고 인편은 길고 뒤로 젖혀지며 10월에 익는다. 열매를 곡실이라 하며 껍질을 목골피(木骨皮)라 한다.
줄기 : 수피는 회갈색이고 가지는 굵고 넓게 퍼지고 소지는 갈색이며 굵고 황갈색의 성모가 밀포하며 동아는 각추상(角錐狀) 난형이고 털이 있다.
분포 : 전국 표고 800m이하의 산기슭과 산중턱에서 많이 자라며 해변의 야산이나 섬에서도 볼 수 있으며 일본과 대만 중국 만주 몽고에 분포한다.
형태 : 낙엽 활엽 교목.
유사종 : ▶청떡갈(var.fallax): 잎 뒷면에 털이 없다.
특징 : 어린 잎으로 떡을 싸 먹는다 하여 떡갈이란 이름이 붙여졌고 재질이 거칠며 단단하고 무거우나 잘 갈라진다. 목재는 나이테가 뚜렷하고 심재는 암적갈색 변재는 회백색 또는 황갈색이다. 재면은 참나무 특유의 아름다운 호랑이 무늬를 가지고 있으며 비틀림은 크나 강도가 높다.
-
Read MoreNo Image
굴참나무
학명 : Quercus variabilis Blum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참나무과(Fagaceae) target=_blank>참나무과(Fag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참나무속(Quercus) target=_blank>참나무속(Quercus)</a>
이명 : 구도토리나무 물갈참나무 부업나무
잎 : 잎은 호생하고 긴 타원형 타원형 또는 긴 타원상 피침형이며 길이 8-15cm로서 점첨두이고 아심장저 또는 원저이며 침상의 예리한 톱니와 9-16쌍의 측맥이 있고 표면에 털이 없으며 엽병은 길이 1-3cm이다. 잎 뒷면은 회백색 성상모가 밀생한다.
꽃 : 꽃은 일가화로서 4-5월에 잎과 더불어 피며 웅화서는 새가지 밑에서 처지고 자화서는 위에서 곧추서며 보통 1개씩 달린다. 수꽃은 3-5개의 화피열편과 4-5개의 수술이 있고 14cm 정도 아래로 늘어진다. 암꽃은 총포로 싸이며 암술대 3개로 새가지 엽액에서 나온다.
열매 : 견과는 구형이고 뒤로 젖혀진 많은 긴 포린으로 싸이며 다음해 10월에 성숙하고 상반부가 총포(總苞)에서 튀어나와 있다. 총포는 반구형이고 총포편은 나선상으로 짧은 털이 밀생하고 피침형이며 중하부의 것은 뒤로 쏠리고 상부의 것은 선다. 상수리나무의 견과와 구별하기 어렵다.
줄기 : 높이 25m 지름 1m이고 줄기는 직립하며 수피는 두꺼운 코르크질이 발달하여 깊이 갈라지고 회갈색이며 손가락으로 누르면 연한 탄력성을 느끼게 한다. 소지에 털이 약간 있다.
분포 : ▶중국과 대만 일본에도 분포한다. ▶전국의 표고 50-1 200m 지역에서 자란다.(중부 이남 특히 경상도 강원도에 많다.)
형태 : 낙엽활엽교목 수형:원개형(가지의 신장은 분산형)
유사종 : ▶정릉참나무(Q. acutissisma X variabilis Nakai): 잎의 뒷면에는 대부분 단모가 나 있으나 때로 성상모가 밀생한 것도 있으며 줄기의 코르크가 별로 발달하지 않았다.
특징 : ▶굴참나무는 활엽수종으로 천연기념물 제 96호 271호 288호로 지정되어 있다. *제96호 - ⓐ소재지: 경상북도 울진군 근남면 ⓑ면적:2 132㎡ ⓒ지정사유:노거수 ⓓ수령:300년. *제271호 - ⓐ소재지:서울특별시 관악구 신림동 ⓑ면적:1주 324㎡ ⓒ지정사유:노거수 ⓓ수령:1 000년 ⓔ나무높이:17m *제288호 - ⓐ소재지:경상북도 안동군 임동면 ⓑ면적:1주 314㎡ ⓒ지정사유:노거수 ⓓ수령:400~500년 ▶잎뒷면이 희고 수피의 콜
-
Read MoreNo Image
구실잣밤나무
학명 : Castanopsis sieboldii (Makino) Hatus.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참나무과(Fagaceae) target=_blank>참나무과(Fag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구실잣밤나무속(Castanopsis) target=_blank>구실잣밤나무속(Castanopsis)</a>
이명 : 구슬잣밤나무 새불잣밤나무
잎 : 잎은 호생하고 2줄로 배열되며 길이 7-12㎝의 피침형 도피침형 또는 긴 타원형이고 첨두이지만 끝이 둥글며 예저이고 파상의 톱니가 있으며 표면은 녹색으로서 윤채가 있고 털이 없으며 뒷면은 인모(鱗毛)로 덮여 있어 대개 연한 갈색이지만 흔히 흰빛이 도는 것도 있고 엽병은 길이 1cm이다.
꽃 : 꽃은 일가화이며 황색이고 5-6월에 피며 웅화서의 길이 8-12㎝이고 새가지 윗부분의 엽액에서 나오고 색은 노란색이다. 수꽃은 5-6개로 갈라진 화피열편과 15개 정도의 수술이 있다. 자화서는 길이 6-10㎝로서 윗부분에 달린다. 암꽃은 각각 3개의 암술대가 있으며 밑부분의 엽액에 달리고 총포는 난형이다.
열매 : 견과는 난형이고 길이 1.5-2㎝로서 대가 없으며 열매는 다음해 10월에 익는다. 열매는 총포로 쌓여 있으며 원추상 난형으로 모밀잣밤나무보다 크고 익으면 3갈래로 벌어진다.
줄기 : 높이 15m 지름 1m이며 줄기는 곧고 가지가 많으며 잎이 치밀하게 난다. 가지가 거칠고 크며 수피는 흑회색이고 세로로 할렬이 있으나 평활하다.
뿌리 : 직근과 측근이 있다.
분포 : ▶중국 일본 대만등에도 분포한다. ▶제주도 완도 등 남부 지방과 섬의 표고 200~700m 지역에서 자란다.
형태 : 성상 : 상록활엽교목 수형 : 원개형
유사종 : ▶모밀잣밤나무(var. thunbergii Nak.) ▶둥근잎구실잣밤나무(for. latifolia Nak.) : 나무의 높이가 7-8m이고 잎이 타원형 또는 원형에 가까우며 둔두 원저이고 상반부에 톱니가 있으며 남해도에서 자란다.
특징 : 꽃에 향기가 강하고 아름답다.
-
Read MoreNo Image
개붉가시나무
학명 : Quercus acuta f. subserra (Uyeki) T.B.Le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참나무과(Fagaceae) target=_blank>참나무과(Fag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참나무속(Quercus) target=_blank>참나무속(Quercus)</a>
잎 : 잎은 호생하며 긴 타원형 또는 긴 난형이고 점첨두이며 끝이 둥글고 길이 7-13㎝로서 원저 또는 예저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지만 잎 윗부분에 파상의 톱니가 약간 있고 측맥은 9-13쌍이며 표면은 녹색이고 뒷면은 황록색이며 어릴 때는 갈색 면모로 덮여 있으나 없어진다. 엽병은 길이 1-3cm로서 털이 없다.
꽃 : 꽃은 일가화로서 5월에 피고 웅화서(雄花序)는 새가지의 기부에서 밑으로 처지며 갈황색의 털이 있고 자화서(雌花序)는 윗부분에서 곧추 나와 2-5개의 꽃이 달리며 웅화서처럼 털이 있다. 수꽃은 6개의 화피열편과 많은 수술이 있고 암꽃은 털로 덮여 있는 총포로 싸여 있으며 3개의 암술머리가 있다.
열매 : 각두는 반구형이고 5-6개의 동심윤층(同心輪層)이 있으며 견과는 길이 2cm로서 타원형이고 다음해 10월에 익는다.
줄기 : 높이 20m 지름 60cm이고 줄기는 곧게 자라며 많은 가지와 무성한 잎이 있어 장대한 수형을 이룬다. 어린 가지에 갈색 털이 밀포한다.
분포 : 완도에서 자란다.
형태 : 상록활엽교목
유사종 : ▶붉가시나무(Q. acuta Thunb.): 잎의 가장자리는 매끈하나 윗부분이 약간 톱니모양인 것도 있다. 붉가시나무라는 이름은 목재의 색깔이 붉은 데서 비롯되었다.
특징 : 목재의 색이 붉고 무겁고 잘 쪼개지지 않을 뿐 아니라 보존성이 좋다.
-
Read MoreNo Image
개가시나무
학명 : Quercus gilva Blum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참나무과(Fagaceae) target=_blank>참나무과(Fag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참나무속(Quercus) target=_blank>참나무속(Quercus)</a>
이명 : 돌가시나무 돌종가시나무 힌가시나무
잎 : 잎은 호생하며 도피침형 또는 넓은 도피침형이고 첨두이며 넓은 예저이고 길이 5-12cm 너비 2-3.5cm로서 상반부에 예리한 톱니가 있으며 표면은 털이 없고 뒷면은 황갈색의 성모가 밀포하며 10-14쌍의 측맥이 있다. 엽병은 길이 1cm정도로서 잎 뒷면과 더불어 털이 있다.
꽃 : 꽃은 일가화로서 4월에 피고 수꽃 화서는 길이 5-10cm로서 새가지의 기부에서 밑으로 처지며 암꽃 화서는 윗부분의 엽액에서 발달하고 길이 1cm로 2개의 암꽃이 달리며 화서축은 융모가 있다. 수꽃은 5개의 화피열편과 7-8개의 수술이 있으며 암꽃은 밀모로 덮여 있는 총포로 싸여 있고 3개의 암술머리가 있다.
열매 : 각두는 견과를 1/4 정도 둘러싸고 길이 6-8mm로서 6-7개의 윤층(輪層)과 밀모가 있으며 얕고 견과는 넓은 타원형 또는 난상 타원형이며 길이 14-18mm로서 끝부분에 털이 있고 11월에 성숙한다.
줄기 : 높이가 20m에 달하고 수피는 암갈색이며 다소 조각으로 벗겨지고 소지는 황갈색 밀모로 덮여있다.
분포 : 중국 일본 우리나라는 제주도에 자생한다.
형태 : 상록 활엽 교목.
유사종 : ▶붉가시나무(Q. acuta Thunberg): 잎은 난형 또는 타원형 길이 8-20㎝ 폭 3-6㎝ 표면은 반들반들한 짙은 녹색 뒷면은 연둣빛 어릴 때에는 적갈색의 털이 덮인다. ▶갈참나무(Q. aliena Bl.): 잎은 타원형 길이 5-30㎝ 뒷면은 회백색 별 모양의 털 가장자리는 물결 모양 또는 굵은 이 모양의 톱니가 있다. ▶떡갈나무(Q. dentata Thunberg): 소지에 황갈색의 굵은 별 모양의 털 밀생한다. 잎은 넓은 타원형 길이 10-30㎝ 잎몸 밑동은 귓볼 모양이다. ▶신갈나무(Q. mongolica Fischer): 잎은 난형 타원형 가장자리는 물결 모양이거나 이 모양의 톱니 길이 7-20㎝이다. ▶졸참나무(Q. serrata Thunberg): 잎은 난형 또는 타원형 길이 6-15㎝ 잎몸 밑동은 뾰족하고 잎의 가장자리에 날카로운 톱니가 있다.
-
Read MoreNo Image
갈참나무
학명 : Quercus aliena Blum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참나무과(Fagaceae) target=_blank>참나무과(Fag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참나무속(Quercus) target=_blank>참나무속(Quercus)</a>
이명 : 재잘나무 큰갈참나무 톱날갈참나무 홍갈참나무
잎 : 잎은 호생하며 타원상 도란형 또는 타원형이고 길이 5~30cm 나비 3-19cm로서 둔두 또는 예두이며 예저가 보통이지만 원저 또는 심장저도 있고 끝이 둔하며 4-8쌍의 치아상 또는 뾰족한 톱니가 있고 표면은 광택이 나는 녹색이며 뒷면은 회백색이고 2-17개로 갈라진 성모가 있으며 주맥 위의 단모는 곧 떨어지고 엽병은 길이 1-36mm이며 가장자리에 파상 또는 굵은 모양의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일가화 또는 양성화로서 5월에 피며 웅화서는 새가지의 기부 엽액에서 밑으로 처지고 자화서는 윗부분의 엽액에서 곧추선다. 수꽃은 6-14개의 수술과 5-9개의 화피열편이 있으며 암꽃은 6개의 화피열편과 2-4개의 암술머리가 있다.
열매 : 각두는 삼각형의 포린으로 덮이고 긴 타원형의 견과는 10월에 익는다. 견과는 길이 6-23mm 지름 7-16mm로서 끝부분에 털이 있다.
줄기 : 수고 25m 지름 1m에 달하고 수피는 약간 거칠게 그물처럼 갈라지며 동아와 소지는 담록색으로 처음에는 털이 있지만 곧 없어진다.
뿌리 : 심근성이다.
분포 : ▶일본 중국 만주 인도 등지에도 분포한다. ▶전국의 표고 50~1 000m에서 자생한다.
형태 : 낙엽활엽교목 수형:원개형(가지의 신장은 수평형)
유사종 : ▶청갈참나무(Q. aliena BL. var. pellucid Blume) : 잎 뒷면에 털이 없다. ▶졸갈참나무(Q. aliena BL. var. qcuteserrata Max.) : 톱니가 졸참나무와 같다. ▶청졸갈참나무(Q.aliena Blume. var.acuteserrata for.calvescens Rehder) : 톱니가 졸참나무와 같고 잎 뒷면에 털이 없다. ▶상수리나무(Q. acutissima Carryth.) ▶굴참나무(Q.
특징 : ▶갈참나무는 천연기념물 제 285(영풍 단산면)호로 지정되어 있다. ⓐ소재지:경상북도 영풍군 단산면 ⓑ면적:1주 400㎡ ⓒ지정사유:노거수 ⓓ수령:300년 ⓔ나무높이:15m ▶맹아력이 강하고 생장속도가 빨라 재배가 손쉽다. ▶목재는 나이테가 뚜렷하고 심재는 암적갈색 변재는 회백색 또는 황갈색이다. 재면은 참나무 특유의 아름다운 호랑이 무늬를 가지고 있으며 비틀림은 크나 강도가 높다.
-
Read MoreNo Image
갈졸참나무
학명 : Quercus xurticaefolia Blum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참나무과(Fagaceae) target=_blank>참나무과(Fag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참나무속(Quercus) target=_blank>참나무속(Quercus)</a>
이명 : 섬속소리나무 속소리나무졸참나무 털속소리나무 흰속소리나무
잎 : 잎은 호생하며 도란상 타원형 또는 타원형이고 길이 4.5-24cm 나비2-17cm로서 표면은 주맥 기부에만 털이 약간 있으며 뒷면은 갈참나무와 졸참나무의 털이 있거나 전혀 없고 주맥에 단모가 있으나 나중에 떨어지는 것도 있다. 엽병은 길이 1-28mm 지름 1-3mm로서 털이 뒷면 주맥의 털과 같다. 가장자리에 약간 얕은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암수한그루이다. 수꽃 이삭은 밑으로 늘어지고 암꽃 이삭은 꽃 1송이가 총포 속에 있다. 2-5개의 암술머리가 있다.
열매 : 각두는 얕은 또는 깊은 반구형이며 깊이 2-9mm 지름 6-21mm로서 중간형의 포린으로 덮여 있으나 떡갈나무와 비슷해지는 것도 있다. 견과는 길이 5-27mm 지름 6-7mm이다.
줄기 : 소지는 지름 1-6mm이며 털이 있거나 없고 어린 가지에 짧은 성모가 밀생하는 것이 있다.
분포 : 중부 이남에 분포한다.
형태 : 낙엽 활엽 교목
유사종 : ▶붉가시나무(Q. acuta Thunberg): 잎은 난형 또는 타원형 길이 8-20㎝ 폭 3-6㎝ 표면은 반들반들한 짙은 녹색 뒷면은 연둣빛 어릴 때에는 적갈색의 털이 덮인다. ▶갈참나무(Q. aliena Bl.): 잎은 타원형 길이 5-30㎝ 뒷면은 회백색 별 모양의 털 가장자리는 물결 모양 또는 굵은 이 모양의 톱니가 있다. ▶떡갈나무(Q. dentata Thunberg): 소지에 황갈색의 굵은 별 모양의 털 밀생한다. 잎은
특징 : 갈참나무와 졸참나무의 잡종이다.
-
Read MoreNo Image
가시나무
학명 : Quercus myrsinaefolia Blum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참나무과(Fagaceae) target=_blank>참나무과(Fag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참나무속(Quercus) target=_blank>참나무속(Quercus)</a>
이명 : 정가시나무 참가시나무
잎 : 잎은 호생하며 피침형 또는 긴 타원상 피침형이고 점첨두 예저이며 상반부 또는 가장자리에 예리한 잔톱니가 있고 길이 7-12cm 폭 2-3cm로서 측맥은 11-15쌍(보통 12쌍 이상)이며 표면은 털이 없으나 녹색에 광택이 있고 뒷면은 엽맥이 튀어 나와 있으며 회백색이고 털이 없다. 엽병은 길이가 1-2cm이다. 손으로 문지르면 약간의 흰가루가 닥여지면서 녹색면을 드러낸다.
꽃 : 꽃은 일가화로서 4-5월에 피고 웅화서는 길이 10cm 정도로서 전년도 가지에서 밑으로 늘어지며 많은 수꽃이 피고 자화서는 새 가지에서 곧게 위로 향해 핀다. 수꽃의 화피는 4-5개로 갈라지며 4-5개의 수술이 있고 암꽃은 총포로 싸여 있으며 4-5개로 갈라진 화피와 3개로 갈라진 암술대가 있다.
열매 : 각두는 반구형이고 6-7층의 동심원층(同心圓層)이 있으며 견모가 있다. 견과는 각두로 쌓여 있고 길이 1.5-1.7cm로서 난상 타원형 또는 타원형이고 10월에 익는다.
줄기 : 높이가 15m에 달하고 줄기가 곧게 자라 둥근 수형을 이루며 수피는 회흑색이고 평활하다. 어린가지는 털이 있으나 곧 없어진다.
뿌리 : 직근과 측근이 있다.
분포 : ▶일본 중국 남부 지역에도 분포한다. ▶제주도에서는 표고 700m 이하 지역과 전남 경남의 해안 및 도서지방에서 자란다.
형태 : 상록활엽 교목 수형:넓은 난형
유사종 : ▶붉가시나무(Q. acuta Thunb.) ▶종가시나무(Q. glauca Thunb.) ▶참가시나무(Q. salicina Blume):가시나무와 비슷하나 잎뒷면은 처음부터 털이 있고 백분으로 덮였으며 측맥의 수가 10-12쌍이고 잎가장자리는 예리한 거치와 함께 우그러진 모양을 보인다. 제주도 울릉도 및 남쪽 섬에 자란다. ▶개가시나무(Q. gilva Blume):돌가시나무라고도 하며 잎이 도란형 또는 도피침형으로 잎의 뒷면에 황갈색털이 밀생한다.
특징 : 심 변재 모두 황갈색 또는 홍갈색으로 심 변재의 경계가 불분명하다. 방사공재로 나무갗이 거칠며 무겁고 단단하며 약간의 향기가 있으며 내구성이 크고 할열 도장성은 보통이며 건조속도가 느리고 절삭가공 접착성은 불량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