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4.18 20:06

나도고사리삼

조회 수 12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학명 Ophioglossum vulgatum L.
과명 고사리삼과(Ophioglossaceae)
속명 나도고사리삼속(Ophioglossum)
이명 메고사리삼줄고사리 줄고사리삼
1개의 잎이 나와 길이 15-30cm정도 자라고 털이 없다. 영양엽은 길이 6-12㎝ 나비 3-7㎝로서 대가 없으며 밑부분이 갑자기 좁아져서 포자낭수의 대를 반쯤 감싼다. 잎은 넓은 난형 또는 신장형이고 끝이 둔하며 그물맥이 발달하고 가장자리가 밋밋하거나 파상이다.
열매 포자낭수는 잎보다 높이 자라며 선형으로서 줄칼같이 되고 길이 2-4㎝이다. 포자는 6월에 익으며 겉에 그물맥이 발달하여 가장자리에 돌기가 있는것처럼 보임.
뿌리 근경은 짧고 곧으며 밑에서 약간 굵은 뿌리가 퍼지고 위에서 매년 잎이 1개씩 나온다.
분포 제주도와 남해 도서 등지에 분포한다.
형태 다년초
국명출전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1)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1. No Image

    좀나도고사리삼

    학명 : Ophioglossum thermale Ko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3%A0%EC%82%AC%EB%A6%AC%EC%82%BC%EA%B3%BC(Ophioglossaceae) target=_blank>고사리삼과(Ophiogloss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나도고사리삼속(Ophioglossum) target=_blank>나도고사리삼속(Ophioglossum)</a>
    이명 : 갯줄고사리 좀줄고사리
    잎 : 영양엽은 단엽이며 길이 2.5-5㎝ 너비 0.8-2㎝로서 중앙보다 밑부분이 넓고 긴 타원형 넓은 피침형 또는 난형이며 끝이 뾰족.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엽병이 없고 밑부분이 좁아져 화경의 하반부에 달린다.

    열매 : 포자낭수는 선형이며 길이 2-4㎝로서 줄칼같이 발달하고 대는 길이 5-15㎝이며 엽맥의 그물눈이 잘고 제 2차 맥도 비교적 잘 발달한다. 포자는 표면에 다세포로 구성된 작은 그물눈이 많기 때문에 밋밋하게 보인다.
    줄기 : 높이 7-20cm이다.

    분포 : 서울


    특징 : 기본종과의 구별이 극히 어렵다.
    Read More
  2. No Image

    자루나도고사리삼

    학명 : Ophioglossum petiolatum Hook.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3%A0%EC%82%AC%EB%A6%AC%EC%82%BC%EA%B3%BC(Ophioglossaceae) target=_blank>고사리삼과(Ophiogloss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나도고사리삼속(Ophioglossum) target=_blank>나도고사리삼속(Ophioglossum)</a>
    이명 : 나도고사리삼 좀줄고사리 줄고사리
    잎 : 공통 자루는 길이 2~10cm이다. 영양엽은 넓은 난형 삼각상 난형 또는 난형 긴 타원형 등 여러 가지가 있으며 길이 1.5cm 너비 1~3cm 기부가 갑자기 좁아지고 엽병이 있거나 없다. 영양엽의 기부가 포자엽의 자루를 둘러싸지 않는다. 잎은 막질이고 잎맥은 그물맥이 뚜렷하나 작은 맥은 발달하지 않는다. 포자엽은 길이 6~16cm 포자낭 이삭은 길이 2~4cm 끝이 뾰족하다.



    뿌리 : 땅속줄기는 짧고 지름 3mm정도이다.
    분포 : 한국(제주도) 일본 타이완 등 열대
    형태 : 하록성 다년초이다.


    Read More
  3. No Image

    다시마고사리삼

    학명 : Ophioglossum pendulum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3%A0%EC%82%AC%EB%A6%AC%EC%82%BC%EA%B3%BC(Ophioglossaceae) target=_blank>고사리삼과(Ophiogloss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나도고사리삼속(Ophioglossum) target=_blank>나도고사리삼속(Ophioglossum)</a>
    이명 : 다시마고사리
    잎 : 잎은 짧은 근경에서 뭉쳐나며 짙은 녹색으로 윗부분일수록 넓다. 잎 길이는 30∼100㎝ 나비 1.5∼5㎝인데 잎은 다소 두껍고 발육이 좋으면 끝에서 1∼2회 Y자 모양으로 갈라지며 잎 전체는 비틀린 것처럼 된다. 잎맥은 가늘고 아랫부분에서는 평행하며 작은 맥은 서로 연결되어 그물맥을 형성한다. 포자낭이 달리는 잎은 길이 10∼20㎝로 중앙 부근의 표면에서 1개의 대가 나와 길이 1∼4㎝로 자라며 끝에서 포자낭이삭이 발달한다. 포자낭이삭은 줄모양




    분포 : 한국(대둔산)·일본·타이완·필리핀·말레이시아·인도·폴리네시아·오스트레일리아 등지에 분포한다.
    형태 : 상록초본이다.


    Read More
  4. No Image

    나도고사리삼

    학명 : Ophioglossum vulgatum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3%A0%EC%82%AC%EB%A6%AC%EC%82%BC%EA%B3%BC(Ophioglossaceae) target=_blank>고사리삼과(Ophiogloss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나도고사리삼속(Ophioglossum) target=_blank>나도고사리삼속(Ophioglossum)</a>
    이명 : 메고사리삼줄고사리 줄고사리삼
    잎 : 1개의 잎이 나와 길이 15-30cm정도 자라고 털이 없다. 영양엽은 길이 6-12㎝ 나비 3-7㎝로서 대가 없으며 밑부분이 갑자기 좁아져서 포자낭수의 대를 반쯤 감싼다. 잎은 넓은 난형 또는 신장형이고 끝이 둔하며 그물맥이 발달하고 가장자리가 밋밋하거나 파상이다.

    열매 : 포자낭수는 잎보다 높이 자라며 선형으로서 줄칼같이 되고 길이 2-4㎝이다. 포자는 6월에 익으며 겉에 그물맥이 발달하여 가장자리에 돌기가 있는것처럼 보임.

    뿌리 : 근경은 짧고 곧으며 밑에서 약간 굵은 뿌리가 퍼지고 위에서 매년 잎이 1개씩 나온다.
    분포 : 제주도와 남해 도서 등지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