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명 | Leersia japonica Makino |
|---|---|
| 과명 | 벼과(Gramineae) |
| 속명 | 겨풀속(Leersia) |
| 이명 | 거신털피 겨풀 물겨풀 |
| 잎 | 잎은 호생하며 편평하고 길이 5~15cm 폭 5~8mm로서 털이 없으며 연질이고 연한 녹색이며 엽설은 길이 2~2.5mm이다. |
| 꽃 | 꽃은 8~9월에 피고 화서는 총상으로 몇 개의 가지가 갈라지며 가지는 1개씩 달리고 비스듬히 퍼지며 거의 밑부분에서부터 소수가 달린다. 소수는 긴 타원상 피침형이고 길이 5-6mm로서 가장자리에 거센 털이 있으며 연한 녹색이지만 때로는 연한 자줏빛이 돌고 1개의 꽃이 들어 있다. 포영은 흔적이 있을 뿐이며 호영은 배같고 길이 5mm정도로서 3-5맥이 있으며 윗부분과 가장자리에 잔돌기가 있고 내영은 호영과 길이가 비슷하며 모두 까락이 없다. 수술은 6개이고 꽃밥은 길이 2.5-3.5mm이며 자방에 털이 없다. |
| 줄기 | 물 위로 나온 줄기는 높이 30-50cm이며 곧게 서고 마디마다 짧은 털이 밀생한다. |
| 뿌리 | 근경에서 몇 개의 줄기가 옆으로 뻗다가 윗부분이 물위로 나온다. |
| 분포 | 울릉도 제주도를 포함하여 전국 각지에 분포한다. |
|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
| 유사종 | ▶겨풀(var. japonica Hack.): 소수가 길이 5-6.5㎜ 폭 1.5㎜이고 가장자리에 짧은 털이 있다. |
| 특징 | 원추화서를 이루는 가지는 겨풀은 2갈래로 갈라진다. |
|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
| 학명출전 | Bot. Mag. (Tokyo) 6 : 48 (1892) 1) Grass. Jap. Neighb. Reg. (T.Koyama, 1987) |
|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도감(하권 초본부) (정태현, 1956)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TAG •
-
Read MoreNo Image
좀겨풀
학명 : Leersia oryzoides (L.) Sw. var. oryzoides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벼과(Gramineae) target=_blank>벼과(Gramin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겨풀속(Leersia) target=_blank>겨풀속(Leersia)</a>
이명 : 개빕새피 겨풀 쌀겨풀
잎 : 잎은 편평하지만 마르면 오그라들고 길이 15-25㎝ 나비 8-12mm이며 엽설은 길이 1-1.5mm이다.
꽃 : 꽃은 8-10월에 피고 화서는 원추형이며 밑부분이 엽초에 들어있고 가지는 옆으로 퍼지며 다시 갈라지고 밑부분에 소수가 달리지 않는다. 소수는 백녹색이며 가장자리와 맥위에 거센 털이 있고 길이 4.5-6mm 나비 1.5-2mm이다. 수술은 3개이며 꽃밥은 길이 1.5mm정도이다.
줄기 : 밑부분이 옆으로 뻗다가 윗부분이 일어서서 가지가 갈라지고 높이가 50cm에 달하며 마디에 밑을 향한 거센 털이 있다.
분포 : 전국적으로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겨풀(var. japonica Hack.): 소수가 길이 5-6.5mm 나비 1.5mm이고 가장자리에 짧은 털이 있다.
-
Read MoreNo Image
나도겨풀
학명 : Leersia japonica Makino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벼과(Gramineae) target=_blank>벼과(Gramin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겨풀속(Leersia) target=_blank>겨풀속(Leersia)</a>
이명 : 거신털피 겨풀 물겨풀
잎 : 잎은 호생하며 편평하고 길이 5~15cm 폭 5~8mm로서 털이 없으며 연질이고 연한 녹색이며 엽설은 길이 2~2.5mm이다.
꽃 : 꽃은 8~9월에 피고 화서는 총상으로 몇 개의 가지가 갈라지며 가지는 1개씩 달리고 비스듬히 퍼지며 거의 밑부분에서부터 소수가 달린다. 소수는 긴 타원상 피침형이고 길이 5-6mm로서 가장자리에 거센 털이 있으며 연한 녹색이지만 때로는 연한 자줏빛이 돌고 1개의 꽃이 들어 있다. 포영은 흔적이 있을 뿐이며 호영은 배같고 길이 5mm정도로서 3-5맥이 있으며 윗부분과 가장자리에 잔돌기가 있고 내영은 호영과 길이가 비슷하며 모두 까락이 없다. 수술은 6개이고 꽃밥은 길이 2.5-3.5mm이며 자방에 털이 없다.
줄기 : 물 위로 나온 줄기는 높이 30-50cm이며 곧게 서고 마디마다 짧은 털이 밀생한다.
뿌리 : 근경에서 몇 개의 줄기가 옆으로 뻗다가 윗부분이 물위로 나온다.
분포 : 울릉도 제주도를 포함하여 전국 각지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유사종 : ▶겨풀(var. japonica Hack.): 소수가 길이 5-6.5㎜ 폭 1.5㎜이고 가장자리에 짧은 털이 있다.
특징 : 원추화서를 이루는 가지는 겨풀은 2갈래로 갈라진다.
-
Read MoreNo Image
겨풀
학명 : Leersia sayanuka Ohw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벼과(Gramineae) target=_blank>벼과(Gramin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겨풀속(Leersia) target=_blank>겨풀속(Leersia)</a>
이명 : 개겨풀개조풀벼겨풀빕새풀
잎 : 길이 8~15cm 폭 5~10mm로서 부드러우나 가장자리는 껄끄럽다. 잎혀는 길이 4mm이며 막질이다.
꽃 : 화서는 길이 15cm 정도의 원추형이고 8~10월에 길이 약 6mm인 10개 내외의 녹색 잔이삭이 가지에 느슨하게 달린다. 꽃차례를 이루는 가지는 2~3개로 갈라지며 잔이삭은 가지의 밑부분에는 달리지 않는다. 작은 이삭은 납작하고 1개의 잔꽃으로 이루어지며 포영이 퇴화되어 없다. 호영에 거친 털이 산재하며 까끄라기가 없다. 수술은 3개이다. 씨방에 털이 없다.
줄기 : 가늘고 마디에서 곧게 또는 비스듬히 서고 높이 50cm 정도이며 마디에는 밑을 향한 털이 나 있다.
뿌리 : 뿌리줄기가 짧게 옆으로 뻗는다.
분포 : 제주도를 포함하여 각처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유사종 : 나도겨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