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4.18 20:06

꾸지나무

조회 수 15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학명 Broussonetia papyrifera (L.) L'Her. ex Vent.
과명 뽕나무과(Moraceae)
속명 닥나무속(Broussonetia)
이명 닥나무
잎은 호생 또는 대생하고 넓은 난형 또는 원형이며 끝이 꼬리처럼 길고 대개 결각상이며 밑부분이 심장저이고 길이 7-20cm 너비 6-15cm로서 갈라지지 않거나 불규칙하게 3-5개로 깊게 갈라지며 가장자리에는 단거치 또는 복거치가 있다. 표면은 털이 있고 거칠며 뒷면도 엽병과 더불어 털이 있다. 탁엽은 난형으로서 자주색이고 일찍 떨어지며 엽병은 길이 2-8cm이다.
꽃은 암수딴그루로서 일찍 잎과 더불어 피고 웅화서는 새가지 밑부분에서 액생하며 원통형이고 밑으로 처지며 자화서는 구형이다. 수꽃은 4개로 갈라진 화피와 4개의 수술이 있고 길이 6-8cm의 유이화서에 달린다. 암꽃은 화피가 통같으며 3-4개로 갈라지고 지름 1cm의 두상화서를 이루며 5-6월에 개화한다. 자방은 대가 있으며 암술대는 실처럼 길다.
열매 과수는 둥글고 지름 2cm이며 과경이 짧고 외과피는 적색이며 내과피는 굳고 갈색으로서 1개의 능선이 있으며 열매는 취화과로 구형이고 지름 2-3cm이며 육질이고 9-10월에 홍색으로 성숙한다.
줄기 높이 12m 지름 60cm로서 하나의 줄기가 위로 곧게 자라며 수피는 암회색이다. 소지에 털이 밀생한다.
분포 ▶일본 대만 인도 중국 말레이지아 등지에도 분포한다. ▶전국의 표고 100-700m 지역에서 자란다. 울릉도와 경북 동해안에 많다.
형태 낙엽활엽교목이지만 보통 관목상태이다.
유사종 ▶마주잎꾸지나무(for.oppositifolia NAK.): 잎이 대생한다. ▶민꾸지나무(for.luncida T.LEE): 잎 표면이 짙은 녹색이고 털이 없으며 윤채 가 돈다. 지리산 지역에서 자란다.
특징 ▶충청북도 보령군 오천면 외연도의 상록수림은 천연기념물 제136호로 지정되어 있다. 면적은 32 727㎡정도이다. 이 상록수림에서 자라고 있는 수종에는 후박나무 식나무 보리밥나무 동백나무 마삭나무 먼나무 산초나무 자귀나무 닥나무 딱총나무 푸조나무 산뽕나무 새비나무 화살나무 쥐똥나무 사위질빵 칡 왕머루등이 자라고 있다. ▶한지제조용으로 재배하기도 한다.
국명출전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Tabl. Regn. Veg. 3 : 547 (Vent., 1799)
참고문헌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2) 한국수목도감 (이창복, 1966)

  1. No Image

    애기닥나무

    학명 : Broussonetia kazinoki var. humilis Uyek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뽕나무과(Moraceae) target=_blank>뽕나무과(Mor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닥나무속(Broussonetia) target=_blank>닥나무속(Broussonetia)</a>

    잎 : 잎은 어긋나고 길이 5-8㎝ 나비 3-9㎝로서 난형 또는 타원형이며 긴 점첨두이고 원저 또는 아심장저이며 가장자리가 톱니와 더불어 2-3개의 결각이 있고 표면은 거칠며 뒷면은 처음에 털이 있다. 엽병은 길이 5mm이다.
    꽃 : 꽃은 암수한그루로서 5-6월에 핀다. 웅화서(雄花序)는 새가지 밑부분에 달리며 길이 1.5cm로서 타원형이고 자화서(雌花序)는 윗부분의 엽액에서 나오며 둥글고 화경은 엽병과 길이가 거의 같다. 수꽃은 화피열편과 수술이 각각 4개이며 암꽃은 끝이 2-4개로 갈라진 통상화피와 대가 있는 자방에 실같은 암술대가 있다.
    열매 : 열매는 둥글고 외과피는 과경과 더불어 굵어지며 육질로 되어 적색으로 익으므로 딸기와 비슷하고 내과피에 입상(粒狀)의 돌기가 있다. 열매는 6-7월에 익으며 지름 6-7㎜이다.
    줄기 : 덩굴성 비슷한 가느다란 줄기가 1m 정도로 자란다.

    분포 : 위봉산 내장산 울릉도 및 완도에서 자란다.
    형태 : 낙엽활엽관목.
    유사종 : ▶닥나무(B. kazinoki Sieb.): 잎은 길이 5-20㎝ 나비 3-9㎝의 난형 또는 타원형으로 가장자리가 톱니모양이다.
    특징 : 맹아력이 강해서 근맹아가 많이 발생한다.
    Read More
  2. No Image

    민꾸지나무

    학명 : Broussonetia papyrifera f. lucida (Hatus.) T.B.Le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뽕나무과(Moraceae) target=_blank>뽕나무과(Mor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닥나무속(Broussonetia) target=_blank>닥나무속(Broussonetia)</a>

    잎 : 잎은 호생 또는 대생하고 넓은 난형 또는 원형이며 끝이 꼬리처럼 길고 대개 결각상이며 밑부분이 심장저이고 길이 7-20cm 너비 6-15cm러서 갈라지지 않거나 불규칙하게 3-5개로 깊게 갈라지며 가장자리에는 거치가 있다. 잎 표면은 짙은 녹색이고 털이 없으며 거칠며 윤채가 돈다. 뒷면은 엽병과 더불어 털이 있다. 탁엽은 난형으로서 자주색이고 일찍 떨어지며 엽병은 길이 2-8cm이다.
    꽃 : 꽃은 암수딴그루로서 일찍 잎과 더불어 피고 웅화서는 새가지 밑부분에서 액생하며 원통형이고 밑으로 처지며 자화서는 구형이다. 수꽃은 4개로 갈라진 화피와 4개의 수술이 있고 길이 6-8cm의 유이화서에 달리고 암꽃은 화피가 통같으며 3-4개로 갈라지고 지름 1cm의 두상화서를 이루며 5-6월에 개화한다. 자방은 대가 있으며 암술대는 실처럼 길다.
    열매 : 과수는 둥글고 지름 2cm이며 과경이 짧고 외과피는 적색이며 내과피는 굳고 갈색으로서 1개의 능선이 있으며 열매는 취화과로 구형이고 지름 2-3cm이며 육질이고 9-10월에 홍색으로 성숙한다.
    줄기 : 하나의 줄기가 위로 곧게 자라며 수피는 암회색이다. 소지에 털이 밀생한다.

    분포 : 전국의 표고 100-700m의 따뜻한 지역에서 자라며 일본 대만 인도 중국 등에도 분포한다.
    형태 : 낙엽성 활엽 교목(보통 관목상태)
    유사종 : ▶마주잎꾸지나무(for.oppositifolia): 잎이 대생한다. ▶꾸지나무(B. papyrifera Vent.): 잎은 넓은 난형 또는 원형인데 어긋나거나 마주나며 3-4개로 갈라진 결각상이 있다.

    Read More
  3. No Image

    마주잎꾸지나무

    학명 : Broussonetia papyrifera f. oppositifolia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뽕나무과(Moraceae) target=_blank>뽕나무과(Mor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닥나무속(Broussonetia) target=_blank>닥나무속(Broussonetia)</a>
    이명 : 대생꾸지나무
    잎 : 잎은 대생하고 넓은 난형 또는 원형이며 끝이 꼬리처럼 길고 대개 결각상이며 밑부분이 심장저이고 길이 7-20cm 너비 6-15cm러서 갈라지지 않거나 불규칙하게 3-5개로 깊게 갈라지며 가장자리에는 거치가 있다. 표면에 털이 있고 거칠며 뒷면도 엽병과 더불어 털이 있다. 탁엽은 난형으로서 자주색이고 일찍 떨어지며 엽병은 길이 2-8cm이다.
    꽃 : 꽃은 암수딴그루로서 일찍 잎과 더불어 피고 웅화서는 새가지 밑부분에서 액생하며 원통형이고 밑으로 처지며 자화서는 구형이다. 수꽃은 4개로 갈라진 화피와 4개의 수술이 있고 길이 6-8cm의 유이화서에 달리고 암꽃은 화피가 통같으며 3-4개로 갈라지고 지름 1cm의 두상화서를 이루며 5-6월에 개화한다. 자방은 대가 있으며 암술대는 실처럼 길다.
    열매 : 과수는 둥글고 지름 2cm이며 과경이 짧고 외과피는 적색이며 내과피는 굳고 갈색으로서 1개의 능선이 있으며 열매는 취화과로 구형이고 지름 2-3cm이며 육질이고 9-10월에 홍색으로 성숙한다.
    줄기 : 하나의 줄기가 위로 곧게 자라며 수피는 암회색이다. 소지에 털이 밀생한다.

    분포 : 전국의 표고 100-700m의 따뜻한 지역에서 자라며 일본 대만 인도 중국 등에도 분포한다.
    형태 : 낙엽성 활엽 교목(보통 관목상태).
    유사종 : ▶꾸지나무(B. papyrifera Vent.): 잎은 넓은 난형 또는 원형인데 어긋나거나 마주나며 3-4개로 갈라진 결각상이 있다. ▶민꾸지나무(for.lucida): 잎 표면이 짙은 녹색이고 털이 없으며 윤채가 돈다.

    Read More
  4. No Image

    닥나무

    학명 : Broussonetia kazinoki Siebold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뽕나무과(Moraceae) target=_blank>뽕나무과(Mor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닥나무속(Broussonetia) target=_blank>닥나무속(Broussonetia)</a>
    이명 : 딱나무
    잎 : 잎은 호생하고 난형 또는 난상 타원형이며 긴 점첨두이고 원저 또는 아심장저이며 길이 5-20cm로서 끝은 날카롭고 간혹 깊이 갈라진 것도 있으며 가장자리에 날카로운 톱니가 있다. 어린 나무에는 2-3개의 결각이 지는 것도 있다. 표면은 거칠며 뒷면은 처음에 털이 있다. 엽병은 길이 1-2cm로서 꼬부라진 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진다.
    꽃 : 꽃은 자웅동주로서 5월에 피며 잎과 더불어 피고 수꽃이삭은 새가지 밑부분에 달리며 길이 1.5cm로서 타원형이고 암꽃이삭은 윗부분의 엽액에서 나오며 구형이고 화경은 엽병과 길이가 거의 같다. 수꽃은 화피열편과 수술이 각 4개이며 암꽃은 끝이 2-4개로 갈라진 통상화피와 대가 있는 자방에 실같은 암술대가 있다.
    열매 : 핵과는 편구형(偏球形)이며 취합과(聚合果)는 구형이고 9월에 익는다. 외과피는 과경과 더불어 굵어지며 육질로 되어 적색으로 익으므로 딸기와 비슷하고 내과피에 입상의 돌기가 있다. 과실을 저실자(楮實子)라 한다.
    줄기 : 높이가 3m에 달하고 소지는 손으로 꺾을 수 없을 정도로 유연하며 갈색이고 짧은 털이 있으나 곧 없어진다. 수피는 매우 질기고 회갈색이다.

    분포 : ▶일본 만주 중국 대만에도 분포한다. ▶전국의 표고 100-700m에 자생한다.
    형태 : 낙엽 활엽 관목.
    유사종 : ▶애기닥나무(var. humilis Uyeki): 줄기가 가늘고 높이 1m정도이며 잎의 길이가 5-8cm 엽병의 길이가 5mm 열매의 지름이 6-7mm로서 위봉산 내장산 울릉도 및 완도에서 자란다.
    특징 : ▶충청북도 보령군 오천면 외연도의 상록수림은 천연기념물 제136호로 지정되어 있다. 면적은 32 727㎡정도이다. 이 상록수림에서 자라고 있는 수종에는 후박나무 식나무 보리밥나무 동백나무 마삭나무 먼나무 산초나무 자귀나무 닥나무 딱총나무 푸조나무 산뽕나무 새비나무 화살나무 쥐똥나무 사위질빵 칡 왕머루등이 자라고 있다. ▶맹아력이 강해서 근맹아가 많이 발생한다.
    Read More
  5. No Image

    꾸지나무

    학명 : Broussonetia papyrifera (L.) L'Her. ex Vent.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뽕나무과(Moraceae) target=_blank>뽕나무과(Mor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닥나무속(Broussonetia) target=_blank>닥나무속(Broussonetia)</a>
    이명 : 닥나무
    잎 : 잎은 호생 또는 대생하고 넓은 난형 또는 원형이며 끝이 꼬리처럼 길고 대개 결각상이며 밑부분이 심장저이고 길이 7-20cm 너비 6-15cm로서 갈라지지 않거나 불규칙하게 3-5개로 깊게 갈라지며 가장자리에는 단거치 또는 복거치가 있다. 표면은 털이 있고 거칠며 뒷면도 엽병과 더불어 털이 있다. 탁엽은 난형으로서 자주색이고 일찍 떨어지며 엽병은 길이 2-8cm이다.
    꽃 : 꽃은 암수딴그루로서 일찍 잎과 더불어 피고 웅화서는 새가지 밑부분에서 액생하며 원통형이고 밑으로 처지며 자화서는 구형이다. 수꽃은 4개로 갈라진 화피와 4개의 수술이 있고 길이 6-8cm의 유이화서에 달린다. 암꽃은 화피가 통같으며 3-4개로 갈라지고 지름 1cm의 두상화서를 이루며 5-6월에 개화한다. 자방은 대가 있으며 암술대는 실처럼 길다.
    열매 : 과수는 둥글고 지름 2cm이며 과경이 짧고 외과피는 적색이며 내과피는 굳고 갈색으로서 1개의 능선이 있으며 열매는 취화과로 구형이고 지름 2-3cm이며 육질이고 9-10월에 홍색으로 성숙한다.
    줄기 : 높이 12m 지름 60cm로서 하나의 줄기가 위로 곧게 자라며 수피는 암회색이다. 소지에 털이 밀생한다.

    분포 : ▶일본 대만 인도 중국 말레이지아 등지에도 분포한다. ▶전국의 표고 100-700m 지역에서 자란다. 울릉도와 경북 동해안에 많다.
    형태 : 낙엽활엽교목이지만 보통 관목상태이다.
    유사종 : ▶마주잎꾸지나무(for.oppositifolia NAK.): 잎이 대생한다. ▶민꾸지나무(for.luncida T.LEE): 잎 표면이 짙은 녹색이고 털이 없으며 윤채 가 돈다. 지리산 지역에서 자란다.
    특징 : ▶충청북도 보령군 오천면 외연도의 상록수림은 천연기념물 제136호로 지정되어 있다. 면적은 32 727㎡정도이다. 이 상록수림에서 자라고 있는 수종에는 후박나무 식나무 보리밥나무 동백나무 마삭나무 먼나무 산초나무 자귀나무 닥나무 딱총나무 푸조나무 산뽕나무 새비나무 화살나무 쥐똥나무 사위질빵 칡 왕머루등이 자라고 있다. ▶한지제조용으로 재배하기도 한다.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