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4.18 20:06

꽝꽝나무

조회 수 11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학명 Ilex crenata Thunb. var. crenata
과명 감탕나무과(Aquifoliaceae)
속명 감탕나무속(Ilex)
잎은 호생하고 촘촘히 달리며 타원형 긴타원형 또는 좁은 도란형이고 예두 또는 둔두이며 예저이고 길이 1.5~3cm 폭은 6-20mm로서 표면은 윤채가 있는 짙은 녹색이며 뒷면은 연록색이고 작은 선점(腺點)이 있으며 가장자리에 가는 톱니가 있고 엽병은 길이 1-5mm이다.
꽃은 이가화(二家花)로서 5~6월에 작은 흰색 꽃이 피며 수꽃은 3~7개씩 짧은 총상 또는 복총상화서에 달리고 퇴화된 암술이 있으며 암꽃은 엽액에 한송이씩 달리고 화경이 길며 퇴화된 4개의 수술과 1개의 4실 자방이 있다.
열매 구형의 핵과는 지름 6-7mm로서 10-11월에 흑색으로 익고 길이 4-6mm의 과경이 있다.
줄기 높이가 3m에 달히고 수피는 회백색이며 가지와 잎이 무성하고 어린가지에 잔털이 있다.
뿌리 잔근성이며 잔뿌리는 많지 않다.
분포 ▶중국 남부와 일본 등지에도 분포한다. ▶변산반도와 거제도 보길도 제주도에 분포하며 한라산에서는 1 800m까지 자생한다.
형태 상록활엽관목
유사종 열매의 색깔이 노랑인 것 또는 분홍색인 것이 품종 또는 변종으로 취급되고 있다. ▶좀꽝꽝나무(var. microphylla Max.): 잎 길이 8-14mm이고 타원형 또는 광타원형이다.
특징 ▶부안 중계리의 꽝꽝나무 군락은 분포 북한지로서의 성격도 인정되지만 그것보다 이 군락이 일제시대 때 천연기념물도 지정될때에는 건생식물 군락으로 더 가치가 인정되었다. (천연기념물 제124호-ⓐ소재지:전라북도 부안군 변산면 중계리 ⓑ면적:4 231㎡ ⓒ지정사유:학술연구자원) ▶가지가 치밀하고 잎이 밀생하여 좋은 수형을 이루며 수세가 강건하고 맹아력이 좋다.
국명출전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Fl. jap. 78 (1784)
참고문헌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1. No Image

    호랑가시나무

    학명 : Ilex cornuta Lindl. & Paxton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0%90%ED%83%95%EB%82%98%EB%AC%B4%EA%B3%BC(Aquifoliaceae) target=_blank>감탕나무과(Aquifo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감탕나무속(Ilex) target=_blank>감탕나무속(Ilex)</a>
    이명 : 둥근잎호랑가시 묘아자 묘아자나무 범의발나무 호랑이가시나무
    잎 : 잎은 호생하고 혁질이며 윤채가 있고 타원상 육각형이며 각점이 가시로 되고 길이 3.5~10cm로서 양면에 털이 없으며 표면은 짙은 녹색으로 윤채가 있고 뒷면은 황록색이며 엽병은 길이 5-8mm정도이다.
    꽃 : 꽃은 자웅이주 또는 잡성화로 4~5월에 피고 지름 7mm정도로서 향기가 있으며 전년지에 액생하는 산형화서에 백색 꽃이 5-6개씩 달리고 화병은 길이 5-6mm로서 털이 없다. 암술은 암술대가 없으며 암술머리가 약간 높아져서 4개로 갈라지고 흑색으로 된다.
    열매 : 핵과는 둥글며 지름 8-10mm로서 9-10월에 적색으로 익고 종자는 4개씩 들어 있으며 난형이고 세모가 지며 맥문이 있고 길이 6mm 나비 4mm로서 황록색이며 종피가 두껍고 굳다.
    줄기 : 높이 2-3m이고 밑부분에서 여러 줄기의 가지가 모여 자락 털이 없다.
    뿌리 : 보통이다.
    분포 : ▶중국 동북부에도 분포한다. ▶전북 변산해안 이남 완도 제주도에 자생하고 표고 100m이하 저지대의 산록 양지와 하천변에서 자한다.
    형태 : 상록활엽소관목:소교목

    특징 : ▶부안 도청리의 호랑가시나무 군란은 천연기념물 제122호에 지정되어 있다. ⓐ소재지:전라북도 부안군 산내면 도청리 ⓑ면적: 8 926㎡ ⓒ지정사유:학술연구자원 ▶육각형의 잎 끝이 날카롭고 단단한 가시가 있어 마치 호랑이발톱과 같은 모양이기 때문에 호랑가시라고 이름지었으며 나무가 자라면서 차츰 퇴화되어 하나의 가시만 남게 된다.
    Read More
  2. No Image

    좀꽝꽝나무

    학명 : Ilex crenata var. microphylla Maxim. ex Matsu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0%90%ED%83%95%EB%82%98%EB%AC%B4%EA%B3%BC(Aquifoliaceae) target=_blank>감탕나무과(Aquifo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감탕나무속(Ilex) target=_blank>감탕나무속(Ilex)</a>
    이명 : 꽝꽝나무
    잎 : 잎은 호생하고 촘촘히 달리며 타원형 또는 넓은 타원형이고 예두 또는 둔두이며 예저이고 길이 8-14mm로서 표면은 광택이 있는 짙은 녹색이며 뒷면은 연한 녹색이고 작은 선점이 있고 가장자리에 가는 톱니가 있다. 엽병은 길이 1-5mm이다.
    꽃 : 꽃은 암수딴그루로서 5-6월에 백록색의 작은 꽃이 핀다. 수꽃은 짧은 총상 또는 복총상화서에 3-7개씩 달리고 퇴화된 암술이 있으며 암꽃은 엽액에 1개씩 달리고 화경이 길며 퇴화된 4개의 수술과 1개의 4실 자방이 있다.
    열매 : 열매는 지름 6-7㎜인 구형의 핵과로 10월에 흑색으로 익는다. 길이 4-6mm의 과경이 있다.
    줄기 : 밑에서 많은 줄기가 올라와 무성한 수형을 만들고 수피는 회갈색이다. 어린 가지에 잔털이 있다.

    분포 : 변산반도와 거제도 보길도 제주도에 분포하며 한라산에서는 1 800m까지 자란다.
    형태 : 상록활엽관목
    유사종 : ▶꽝꽝나무(I. crenata Thunb.): 잎은 길이 1.5-3.0㎝ 나비 0.6-2.0㎝의 타원형으로 표면은 광택이 있는 짙은 녹색이고 뒷면은 연한 녹색이다.

    Read More
  3. No Image

    민대팻집나무

    학명 : Ilex macropoda f. pseudomacropoda (Loes.) H. Hara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0%90%ED%83%95%EB%82%98%EB%AC%B4%EA%B3%BC(Aquifoliaceae) target=_blank>감탕나무과(Aquifo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감탕나무속(Ilex) target=_blank>감탕나무속(Ilex)</a>
    이명 : 청대패집나무 청대팻집나무
    잎 : 잎은 호생하지만 짧은 가지에서는 총생하고 얇으며 넓은 난형 또는 타원형이고 예두이며 원저 또는 예저이고 길이 3~10cm 나비 3-4.5cm이다. 잎의 뒷면에는 털이 전혀 없고 가장자리에 드문드문 톱니가 있다. 측맥은 6-8쌍으로서 뒷면에 돌출하며 엽병은 길이 2cm 가량이다.
    꽃 : 꽃은 이가화로서 5월에 황록색으로 피고 암꽃은 짧은 가지 위에 몇송이씩 모여 붙지만 수꽃은 다수의 송이가 모여붙는다. 수꽃에 꽃받침 꽃잎 및 수술이 4개씩 있고 암꽃은 4-5개의 작은 수술과 1개의 암술이 있다. 자방은 난상 원형이다.
    열매 : 열매는 핵과로서 육질이고 10월에 적색으로 익으며 지름 7~8mm이다.
    줄기 : 높이가 15m에 달하고 곧게 자라며 가지는 짧고 소지에 털이 없다.

    분포 : ▶일본과 중국에도 분포한다. ▶지리산 조계산 및 제주도에서 자란다.
    형태 : 낙엽활엽소교목. 수형:원개형(가지의 신장은 정자형)
    유사종 : ▶대팻집나무(l. macropoda Miq.): 잎은 길이 3-10㎝ 나비 3.0-4.5㎝의 타원형으로 뒷면 맥위에 털이 있다.
    특징 : 목재가 치밀하고 무거우며 건조 후에도 갈라지지 않아 대팻집을 만드는데 이에 연유하여 이름이 붙여졌다.
    Read More
  4. No Image

    먼나무

    학명 : Ilex rotunda Thunb.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0%90%ED%83%95%EB%82%98%EB%AC%B4%EA%B3%BC(Aquifoliaceae) target=_blank>감탕나무과(Aquifo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감탕나무속(Ilex) target=_blank>감탕나무속(Ilex)</a>
    이명 : 좀감탕나무
    잎 : 잎은 호생하고 혁질이며 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이고 예두 예저이며 길이 4-11cm 나비 3-4cm로서 양면에 털이 없고 중륵이 표면에서는 들어가며 뒷면에서는 도드라지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마르면 갈색으로 되고 엽병은 길이 12-28mm이다.
    꽃 : 취산화서는 새가지에서 액생하며 잎보다 짧고 꽃은 이가화로서 5~6월에 피며 지름 4mm정도이고 연한 자주색이다. 꽃받침잎과 꽃잎은 각 4-5개이며 꽃잎은 꽃받침보다 길고 뒤로 젖혀지며 수술도 4-5개로서 수꽃에서는 크지만 암꽃에서는 작아지고 구형의 녹색 자방이 있다.
    열매 : 핵과는 둥글며 지름 5-8mm로서 10-11월에 적색으로 익는다. 겨울동안에도 달려있다.
    줄기 : 높이가 10m에 달하고 수피는 녹갈색 가지는 털이 없고 암갈색이다.

    분포 : 제주도와 보길도의 표고 700m 이하에서 자생한다. ▶일본과 대만 중국에도 분포한다.
    형태 : 상록활엽교목. 수형:우산형
    유사종 : ▶감탕나무(I. integra): 전남 경남에 자라며 3-4월에 개화하고 8-9월애 열매가 성숙되며 지름이 1-1.2cm 정도이다.

    Read More
  5. No Image

    대팻집나무

    학명 : Ilex macropoda Miq.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0%90%ED%83%95%EB%82%98%EB%AC%B4%EA%B3%BC(Aquifoliaceae) target=_blank>감탕나무과(Aquifo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감탕나무속(Ilex) target=_blank>감탕나무속(Ilex)</a>
    이명 : 대패집나무 물안포기나무
    잎 : 잎은 호생하지만 짧은 가지에서는 총생하고 얇으며 넓은 난형 또는 타원형이고 예두이며 원저 또는 예저이고 길이 3~10cm 나비 3-4.5cm로서 표면에는 처음에 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지며 뒷면 맥 위에 끝까지 털이 남아 있고 가장자리에 드문드문 톱니가 있다. 측맥은 6-8쌍으로서 뒷면에 돌출하며 엽병은 길이 2cm 가량이다.
    꽃 : 꽃은 이가화로서 5월에 황록색으로 피고 암꽃은 짧은 가지 위에 몇송이씩 모여 붙지만 수꽃은 다수의 송이가 모여붙는다. 수꽃에 꽃받침 꽃잎 및 수술이 4개씩 있고 암꽃은 4-5개의 작은 수술과 1개의 암술이 있다. 자방은 난상 원형이다.
    열매 : 열매는 핵과로서 육질이고 9-10월에 적색으로 익으며 지름 7~8mm이다.
    줄기 : 높이가 15m에 달하고 곧게 자라며 가지는 짧고 소지에 털이 없다.

    분포 : 속리산과 계룡산 이남의 표고 1 300m이하의 산복과 산록에서 자생한다. ▶일본과 중국에도 분포한다.
    형태 : 낙엽활엽소교목. 수형: 원개형(가지의 신장은 정자형)
    유사종 : ▶민대팻집나무(for. pseudo-macropoda Hara): 잎 뒷면에 털이 전혀 없으며 지리산 조계산 및 제주도에서 자란다. 청대팻집나무라고도 한다.
    특징 : 목재가 치밀하고 무거우며 건조 후에도 갈라지지 않아 대팻집을 만드는데 이에 연유하여 이름이 붙여졌다.
    Read More
  6. No Image

    낙상홍

    학명 : Ilex serrata Thunb.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0%90%ED%83%95%EB%82%98%EB%AC%B4%EA%B3%BC(Aquifoliaceae) target=_blank>감탕나무과(Aquifo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감탕나무속(Ilex) target=_blank>감탕나무속(Ilex)</a>

    잎 : 잎은 어긋나고 긴 타원형 또는 난상 타원형으로 길이 4-8cm 넓이 3-4cm이며 잎 끝은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예리한 톱니가 있으며 잎의 양면에 짧은 털이 있다.
    꽃 : 꽃은 암수딴그루로 6월에 새로 자란 가지에 지름 3-4mm의 연분홍색 작은 꽃이 산형상으로 모여 핀다.
    열매 : 열매는 지름 5mm의 작은 구슬모양이고 초겨울에 홍색으로 성숙하며 백색의 종자가 한 열매에 6-8개씩 들어 있다.
    줄기 : 수고 5m에 달하나 보통 2-3m까지 자란다.

    분포 : 전국에 식재한다.
    형태 : 낙엽활엽관목


    Read More
  7. No Image

    꽝꽝나무

    학명 : Ilex crenata Thunb. var. crenata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0%90%ED%83%95%EB%82%98%EB%AC%B4%EA%B3%BC(Aquifoliaceae) target=_blank>감탕나무과(Aquifo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감탕나무속(Ilex) target=_blank>감탕나무속(Ilex)</a>

    잎 : 잎은 호생하고 촘촘히 달리며 타원형 긴타원형 또는 좁은 도란형이고 예두 또는 둔두이며 예저이고 길이 1.5~3cm 폭은 6-20mm로서 표면은 윤채가 있는 짙은 녹색이며 뒷면은 연록색이고 작은 선점(腺點)이 있으며 가장자리에 가는 톱니가 있고 엽병은 길이 1-5mm이다.
    꽃 : 꽃은 이가화(二家花)로서 5~6월에 작은 흰색 꽃이 피며 수꽃은 3~7개씩 짧은 총상 또는 복총상화서에 달리고 퇴화된 암술이 있으며 암꽃은 엽액에 한송이씩 달리고 화경이 길며 퇴화된 4개의 수술과 1개의 4실 자방이 있다.
    열매 : 구형의 핵과는 지름 6-7mm로서 10-11월에 흑색으로 익고 길이 4-6mm의 과경이 있다.
    줄기 : 높이가 3m에 달히고 수피는 회백색이며 가지와 잎이 무성하고 어린가지에 잔털이 있다.
    뿌리 : 잔근성이며 잔뿌리는 많지 않다.
    분포 : ▶중국 남부와 일본 등지에도 분포한다. ▶변산반도와 거제도 보길도 제주도에 분포하며 한라산에서는 1 800m까지 자생한다.
    형태 : 상록활엽관목
    유사종 : 열매의 색깔이 노랑인 것 또는 분홍색인 것이 품종 또는 변종으로 취급되고 있다. ▶좀꽝꽝나무(var. microphylla Max.): 잎 길이 8-14mm이고 타원형 또는 광타원형이다.
    특징 : ▶부안 중계리의 꽝꽝나무 군락은 분포 북한지로서의 성격도 인정되지만 그것보다 이 군락이 일제시대 때 천연기념물도 지정될때에는 건생식물 군락으로 더 가치가 인정되었다. (천연기념물 제124호-ⓐ소재지:전라북도 부안군 변산면 중계리 ⓑ면적:4 231㎡ ⓒ지정사유:학술연구자원) ▶가지가 치밀하고 잎이 밀생하여 좋은 수형을 이루며 수세가 강건하고 맹아력이 좋다.
    Read More
  8. No Image

    감탕나무

    학명 : Ilex integra Thunb.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0%90%ED%83%95%EB%82%98%EB%AC%B4%EA%B3%BC(Aquifoliaceae) target=_blank>감탕나무과(Aquifo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감탕나무속(Ilex) target=_blank>감탕나무속(Ilex)</a>
    이명 : 끈제기나무 떡가지나무
    잎 : 잎은 호생하며 혁질이고 타원형 긴 타원형 도는 긴 타원상 도란형이며 급한 예두 둔미이고 예저이며 길이 5-10cm 나비 2-3.5cm로서 양면에 털이 없고 거치(鋸齒)가 없거나 2-3개의 톱니가 있으나 맹아지에 붙는 잎에는 거치가 있다. 잎의 표면은 짙은 녹색이고 아랫면은 담황록색이며 엽병은 길이 8-15mm이다.
    꽃 : 꽃은 이가화로서 3-4월에 피고 지름 8mm이며 황록색이고 암꽃은 1-2개 수꽃은 여러개씩 엽액에 달리며 화경은 길이 5-10mm이다. 꽃받침잎과 꽃잎은 각 4개이고 수술도 4개로서 수꽃에서는 꽃잎과 길이가 같으며 암꽃에서는 그보다 짧고 암술은 수꽃에서는 훨씬 작아진다.
    열매 : 열매는 둥글며 지름 1-1.2cm로서 8-9월에 적색으로 익고 과경은 길이 5-8mm이다. 열매는 취산으로 달린다.
    줄기 : 높이가 10m에 달하고 줄기는 바로서고 가지가 밀생한다. 수피는 회색이고 처음에는 평활하나 점차 거칠어진다. 가지는 굵고 갈색을 띤다.

    분포 : ▶일본 대만 중국에도 분포한다. ▶제주도 및 주로 영 호남 지방에서 자라고 표고 100-700m 사이에 분포한다.
    형태 : 상록활엽소교목
    유사종 : 열매가 노란색인 노랑감탕나무(f. xanthocarpa Ohwi)가 재배품종으로 알려져 있다. 키가 낮고 내한력이 강하며 잎이 큰 애기감탕나무(I. leucociada Makino)가 알려지고 있다.
    특징 : ▶완도 예송리에 감탕나무는 천연기념물 제 338호 지정되어 있다. ⓐ소재지:전라남도 완도군 보길면 ⓑ면적:2주 208㎡ ⓒ지정사유:노거수 ⓓ수령:300년 ⓔ나무높이:15m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