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4.18 20:06

꽃상추

조회 수 10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학명 Cichorium endivia L.
과명 국화과(Compositae)
속명 꽃상추속(Cichorium)
이명 고수부루꽃상치뚝갈 풀상추 풀상치 호상치 화란상치
근생엽은 총생하여 비스듬히 서며 털이 거의 없고 가장자리에 결각과 더불어 잔톱니가 있으며 엽면에 주름이 있고 경생엽은 호생하며 밑부분이 원줄기를 감싸서 근생엽과 비슷하지만 보다 작다.
꽃은 5월부터 여름에 걸쳐서 피고 짙은 하늘색이며 두화는 지름 3-4cm이고 총포는 녹색이며 외포편이 보다 짧고 내포편은 피침형이며 곧추선다.
열매 수과는 길이 2-3mm로서 회백색이고 관모는 비늘모양이며 짧다.
줄기 높이 60-130cm이고 가지가 갈라진다.
뿌리 뿌리는 방추형이며 깊이 들어간다.
분포 간혹 채소로 재배하고 있다.
형태 일년 내지 이년초
국명출전 국가식물표준목록

  1. No Image

    담배취

    학명 : Saussurea conandrifolia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취나물속(Saussurea) target=_blank>취나물속(Saussurea)</a>
    이명 : 강계분취 담배분취
    잎 : 근생엽과 밑부분의 잎은 개화시에 없어지고 엽병의 넓은 날개가 줄기로 흐르며 넓고 긴 타원형 또는 넓은 난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밑부분이 절저 또는 원저이고 길이 9~17cm로서 표면은 녹색이며 갈색 털과 거미줄같은 털이 있고 뒷면은 다소 은백색이며 가장자리에 치아상의 톱니가 있다.
    꽃 : 7~8월에 개화하고 홍자색이며 두화는 2~6개가 엉성하게 산방상으올 달린다. 총포는 종형이고 밑부분이 원저이며 길이 14~16mm 지름 20mm로서 거미줄같은 털이 밀생하고 포편은 5줄로 배열되며 외편은 가장 짧고 끝이 뾰족하며 젖혀진다. 관모는 2줄이고 길이 10mm 정도이다.

    줄기 : 높이 35-50cm이고 줄기는 화경상(花莖狀)이며 흔히 날개와 더불어 갈색 털과 거미줄같은 털이 있다.

    분포 : 경상도·평안도 및 함북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Read More
  2. No Image

    단풍취

    학명 : Ainsliaea acerifolia Sch.Bip.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단풍취속(Ainsliaea) target=_blank>단풍취속(Ainsliaea)</a>
    이명 : 괴발딱지 괴발땅취 장이나물좀단풍취
    잎 : 잎은 원줄기 중앙에 4-7개가 윤생한 것처럼 달리고 원형이며 끝이 7-11개로 얕게 갈라진 다음 다시 3개로 갈라지는 것이 있고 길이 6-12.5cm 나비 6.5-19cm로서 양면과 엽병에 털이 약간 있으며 엽병은 길이 5~13cm이다.
    꽃 : 꽃은 7~9월에 피고 지름 1-1.5cm로서 원줄기 끝에 수상으로 달리며 소화경은 길이 2mm이다. 총포는 통형이고 길이 12-15mm 지름 4mm로서 붉은빛이 돌며 포는 많고 여러줄로 배열되며 그 속에 3개의 통상화가 들어 있고 화관은 길이 16-17mm로서 백색이며 통부는 길이 7.5mm이고 열편이 불규칙하다.
    열매 : 수과는 넓은 타원형이며 길이 9mm 지름 2mm로서 양끝이 좁고 자주색 바탕에 종선이 있으며 관모는 10-11mm로서 갈색 또는 자줏빛이 도는 갈색이다.
    줄기 : 높이 35-80cm이고 가지가 없으며 곧게 서고 긴 갈색 털이 드물게 있다.

    분포 : 전국 산지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유사종 : ▶가야단풍취 var.subapoda Nak.: 잎의 결각이 얕고 가야산에서 자라지만 우리 나라의 것을 본 변종으로 본다.

    Read More
  3. No Image

    단풍잎돼지풀

    학명 : Ambrosia trifida L. var. trifida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돼지풀속(Ambrosia) target=_blank>돼지풀속(Ambrosia)</a>
    이명 : 세잎돼지풀 큰돼지풀
    잎 : 잎은 대생하며 단풍잎 처럼 3-5개로 깊게 갈라지고 길이와 폭이 각각 20~30cm로서 밑부분이 갑자기 엽병으로 흐르며 양면에 강모가 있고 열편은 타원상 피침형으로서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으며 끝이 밋밋하지만 길게 뾰족해지고 엽병은 길이 6cm정도로서 표면에 홈이 지며 가장자리와 더불어 백색 털이 있고 밑부분이 넓어져서 원줄기를 감싼다.
    꽃 : 꽃은 7-9월에 피며 총상화서에 달리고 암꽃은 1개 내지 여러 개가 두상으로 뭉쳐서 밑부분에 달리며 위에서 많은 수꽃이 핀다. 수꽃의 포는 접시모양이고 화경이 있으며 규칙적이고 한쪽에 3개의 능선이 있으며 암꽃의 포는 뾰족한 타원체로서 1개의 꽃이 들어 있고 갈라진 암술대가 밖으로 나온다.
    열매 : 수과는 난형이며 길이 6-12mm로서 끝에 길이 2-4mm의 돌기가 있고 능선에 4-10개의 잔돌기가 있다.
    줄기 : 높이 1m이상 지름 2~4mm에 이르며 거친 털이 밀생한다.

    분포 : ▶유럽 일본 만주 등지에 분포 ▶전국에 분포한다. 중부지방의 포천 문산 운천 등지에서 발견되었고 점차 남하하여 현재 서울 근교까지 퍼져있다.
    형태 : 1년생 초본이다.
    유사종 : ▶둥근잎돼지풀 for.integrifolia Fern.: 잎이 갈라지지 않으며 춘천 근처에서 자란다.
    특징 : 미국에서 들어온 종이다.
    Read More
  4. No Image

    단양쑥부쟁이

    학명 : Aster altaicus var. uchiyamae Kita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참취속(Aster) target=_blank>참취속(Aster)</a>
    이명 : 단양쑥부장이 솔잎국화
    잎 : 근생엽은 꽃이 필 때 없어지며 중앙부의 잎은 엽병이 없고 선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길이 3.5-5.5cm 나비 1-3mm로서 털이 다소 있으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 : 꽃은 8-9월에 피고 자주색이며 두화는 지름 4cm정도이고 화경에 선상의 잎이 많이 달리며 총포는 반구형이고 길이 8-10mm 나비 16-20mm이며 포편은 2줄로 배열되고 끝이 뾰족하며 뒷면에 털이 다소 있다. 설상화관은 2줄로 달리고 길이 2cm 나비 3mm정도이다.
    열매 : 수과는 편평한 도란형이고 털이 밀생하며 관모는 길이 4mm정도로서 붉은빛이 돈다.
    줄기 : 초년도의 줄기는 높이 15cm에 달하고 잎이 총생하며 화경(花莖)은 전년도의 줄기에서 계속 자라고 높이 30-50cm로서 털이 다소 있으며 자줏빛이 돌고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져 사방으로 퍼진다.

    분포 : 단양 근처에서 자란다.
    형태 : 이년초


    Read More
  5. No Image

    다알리아

    학명 : Dahlia pinnata Cav.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다알리아속(Dahlia) target=_blank>다알리아속(Dahlia)</a>
    이명 : 다리아 달리아
    잎 : 잎은 대생하고 엽병이 있으며 1-2회 우상으로 갈라지고 소엽은 난형이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고 정소엽이 가장 크며 엽축에 날개가 다소 있고 표면은 짙은 녹색이며 뒷면은 다소 흰빛이 돈다.
    꽃 : 꽃은 7월에서부터 서리가 올때까지 피고 원줄기와 가지 끝에 1개씩 옆을 향해 달리며 지름 5-7.5cm이지만 보다 큰것도 있고 총포편은 6-7개로서 잎같다. 설상화는 본래 8개였다고보지만 명명할 당시에는 겹으로 되어 있었으며 변종에 따라서 빛깔과 꽃의 크기가 다르다.

    줄기 : 원줄기는 높이 1.5-2m로서 털이 없으며 원추형이다.
    뿌리 : 고구마같은 굵은 괴근으로 번식한다.
    분포 : 널리 재배하고 있다.
    형태 : 다년초.

    특징 : 다알리아란 DAHL씨(氏)를 기념하기 위하여 붙인 속명의 Dahlia에서 생긴 이름이다.
    Read More
  6. No Image

    다북떡쑥

    학명 : Anaphalis sinica Hanc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다북떡쑥속(Anaphalis) target=_blank>다북떡쑥속(Anaphalis)</a>
    이명 : 개괴쑥구름떡쑥 다북산떡쑥
    잎 : 근생엽은 작고 개화시기가 되면 없어지며 경생엽은 호생하고 도피침형이며 끝이 둔하고 밑부분이 좁아져서 원줄기로 흐르기 때문에 능선으로 되며 표면은 녹색이고 면모가 약간 있으나 뒷면은 면모가 밀생하여 회백색으로 된다.
    꽃 : 꽃은 이가화로서 7-8월에 피며 연분홍색이고 화서는 산방상이며 지름 3-7cm이고 자성두화(雌性頭花)의 총포는 종형이며 길이와 나비가 각각 5mm이다. 포편은 복와상(覆瓦狀)으로 포개지고 5줄로 배열되며 윗부분은 순백색이고 밑부분은 검은빛이 돌며 털이 있고 내편은 끝이 뾰족하며 외편은 짧고 끝이 둔하며 수꽃의 두화는 길이 5mm 지름 7mm이다.
    열매 : 수과는 긴 타원형이고 순백색이며 길이 1mm정도로서 털이 없다.
    줄기 : 높이 20-35cm이고 가는 근경에서 줄기가 밀생하며 가지가 없고 좁은 날개가 있으며 백색 털로 덮여 있다.

    분포 : 우리 나라 중부 이북 산지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Read More
  7. No Image

    눈개쑥부쟁이

    학명 : Aster hayatae H.Lev. & Vaniot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참취속(Aster) target=_blank>참취속(Aster)</a>
    이명 : 개쑥부장이개쑥부쟁이눈개쑥부장이 산개쑥부장이
    잎 : 근생엽은 주걱형이며 끝이 둔하고 밑부분이 흐르며 길이 2.5-5.5cm 나비 4-8mm로서 양면에 털이 있으나 꽃이 필 때 없어지고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중앙부의 잎과 윗부분의 잎은 선형이며 촘촘히 달리고 길이 12-20mm 나비 1.5-2mm로서 양면에 털이 있으며 가장자리에 밋밋하다.
    꽃 : 꽃은 6-7월에 연보라빛 두상화로 핀다. 두화는 지름 25mm정도이고 포엽은 선형으로서 총포편과 같으며 총포는 반구형이고 길이 6-7mm 나비 13-14mm이며 포편은 2줄로 배열되고 길이가 비슷하며 끝이 길게 뾰족해지고 뒷면에 굳센 털이 있다.
    열매 : 수과는 편평한 도란형이며 길이 3mm 나비 2mm정도로서 털이 있고 관모는 붉은빛이 돌며 우상의 적색 털이 있다.
    줄기 : 높이는 15-25cm이고 밑에서부터 가지가 갈라져서 옆으로 자라다가 윗부분이 곧추선다.

    분포 : 제주도 한라산(표고 1 200-1500m 근처)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본

    특징 : 다른 Aster속 식물들과는 달리 포복성이 있다.
    Read More
  8. No Image

    눈가막사리

    학명 : Bidens tripartita var. repens (D.Don) Sherff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도깨비바늘속(Bidens) target=_blank>도깨비바늘속(Bidens)</a>
    이명 : 애기가막사리애기가막살좀가막사리


    열매 : 수과는 길이 6.5~7.5mm로 털이 없고 까락은 2개이다.


    분포 : 한반도(제주도) 일본 중국 인도 말레이시아
    형태 : 잎 또는 2열편은 불균일한 톱니가 있다.


    Read More
  9. No Image

    노랑코스모스

    학명 : Cosmos sulphureus Cav.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코스모스속(Cosmos) target=_blank>코스모스속(Cosmos)</a>

    잎 : 잎은 마주나기(對生)잎차례이고 아래쪽의 것은 긴 잎자루가 있고 잎새는 윤곽이 삼각상 난형(三角狀 卵形)으로 2회 우상 심열(羽狀 深裂)을 하며 열편(裂片)은 장타원형(長楕圓形)-피침형(披針形) 끝이 뾰족하고 양면 모두 털이 없다. 위쪽의 잎은 거의 무병(無柄)이며 1-2회 우상심열을 한다.
    꽃 : 꽃은 7-9월에 피며 두화(頭花)는 다수이며 가지 끝에 1 개씩 피고 꽃의 지름 5-6㎝ 주황색이다. 외총포편(外總苞片)은 8개 진한 녹색이며 끝이 점첨두(漸尖頭)이고 내총포편도 8개 막질(膜質)이다. 통상화(筒狀花)는 양성(兩性)이며 황색이고 끝이 5심열(深裂)되며 열편은 삼각상 피침형이다. 화상(花床)의 인편(鱗片)은 피침형이다.
    열매 : 수과(瘦果)는 약간 굽었으며 긴 부리 모양의 돌기가 있고 2개의 가시가 있다.
    줄기 : 줄기는 높이 40-100㎝ 곧추 서며 가지를 많이 치고 털이 없다.


    형태 : 1년생 초본
    유사종 : ▶코스모스(C. bipinnatus Cav.):
    특징 : 1930-1945 년에 한국에 들어왔고 관상용 식물로 재배되고 있으며 일부 일출되어 야생화되었다.
    Read More
  10. No Image

    노랑선씀바귀

    학명 : Ixeris chinensis (Thunb.)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선씀바귀속(Ixeris) target=_blank>선씀바귀속(Ixeris)</a>

    잎 : 근생엽은 꽃이 필 때까지 남아 있으며 로제트 형으로 퍼지고 도피침형 또는 도피침상 장 타원형이며 예두 또는 둔두이고 길이 8~24cm 너비 5~15mm로서 가장자리에 이 모양의 톱니가 있거나 깃처럼 갈라지며 밑부분이 좁아져서 입자루로 된다. 경생엽은 1~2개로 길이 1~4cm이며 밑부분이 원줄기를 감싼다. 가장자리가 밋밋하거나 깃처럼 갈라지며 꽃차례의 잎은 길이 2~4mm로서 피침형이다.
    꽃 : 꽃은 8~10월에 피고 지름 2~2.5cm로서 원줄기 끝의 산방화서에 20개 정도 달리며 총포는 길이 9~10mm이고 포편은 2줄로 배열되며 외편은 길이 1~3.5mm이고 내편은 8개이다. 소화는 23~27개로서 황색이며 길이 12mm이고 통부는 길이 3.5mm로서 털이 없다.
    열매 : 수과는 길이 5.5~7mm이고 10개의 능선이 있으며 관모는 길이 6mm로서 백색이다.
    줄기 : 원줄기는 꽃자루 모양이고 1~2개의 잎이 달린다.

    분포 : 한국 일본
    형태 : 다년초이다.


    Read More
  11. No Image

    넓은잎외잎쑥

    학명 : Artemisia stolonifera (Maxim.) Ko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쑥속(Artemisia) target=_blank>쑥속(Artemisia)</a>
    이명 : 너른외잎쑥넓은외잎쑥넓은잎외대쑥
    잎 : 근생엽은 꽃이 필 때 없어지고 경생엽은 포행하며 흔히 날개가 있는 짧은 엽병이 있고 난상 긴 타원형 또는 도란상 긴 타원형이며 예두 또는 둔두이고 예저 또는 넓은 예저이며 길이 7-14cm 폭 4.5-8cm로서 가탁엽(假托葉)이 있고 우상으로 얕게 또는 중앙까지 갈라진다. 열편은 긴 타원형으로서 2쌍이며 서로 가깝게 붙어 있고 예두 또는 둔두이며 표면에 거미줄같은 털이 조금 있고 뒷면에는 백색 면모가 밀생하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위로 올라가면서
    꽃 : 꽃은 8-9월에 황갈색으로 피며 길이 4-4.5cm 폭 3-4mm로서 원줄기 끝의 원추화서에 달리고 총포에 거미줄같은 털이 있으며 포편은 3줄로 배열되고 외편은 난형 또는 긴 타원형이며 예두이고 내편은 긴 타원형이며 원두이다. 가장자리의 10-12개 암꽃은 화관이 통상송곳형으로서 길이 1.5-2mm이고 가운데 11-14개의 양성화는 통상종형으로서 길이 2-2.5mm이다.
    열매 : 수과는 타원형으로 길이 1.8mm 지름 0.6mm정도이며 털이 없고 긴 타원형이며 암갈색이고 9-10월에 익는다.
    줄기 : 높이 50-100cm이고 처음에는 거미줄같은 털로 덮여 있으며 줄기는 곧게서고 홈줄이 있으며 홍자색을 띠고 있다.
    뿌리 : 지하경이 사방으로 벋으면서 번식한다.
    분포 : ▶한국 중국 일본 러시아에 분포한다. ▶전국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Read More
  12. No Image

    넓은잎쑥

    학명 : Artemisia latifolia Ledeb.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쑥속(Artemisia) target=_blank>쑥속(Artemisia)</a>
    이명 : 구와쑥넓은잎오랑캐쑥





    분포 : 한반도(북부) 만주 아무르 우수리 몽고 시베리아 중앙아시아 유럽


    특징 : 구와쑥에 비해 잎이 아주 크고(20~35×10~15cm) 우열편이 약간 넓으며(3mm) 평활하다.
    Read More
  13. No Image

    너울취

    학명 : Saussurea nomurae Kita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취나물속(Saussurea) target=_blank>취나물속(Saussurea)</a>
    이명 : 숲솜나물
    잎 : 밑쪽의 잎은 긴 엽병을 가지고 긴 달걀모양 또는 달걀모양 긴 타원형으로 끝이 뾰족하며 이 모양의 톱니가 있다. 위쪽 잎은 긴 타원형 또는 바소꼴로 톱니가 있거나 또는 밋밋하다.
    꽃 : 꽃은 8월에 가지 끝에 통꽃 모양으로 된 자줏빛 두화가 피는데 총포는 다소 구형이고 포조각은 난형이며 끝이 길게 뾰족하다.
    열매 : 수과의 관모는 백색이다.
    줄기 : 줄기는 곧게 선다.

    분포 : 함경남도(부전고원) 함경북도(청진) 등지에 분포한다.



    Read More
  14. No Image

    냇씀바귀

    학명 : Ixeris tamagawaensis (Makino) Kita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선씀바귀속(Ixeris) target=_blank>선씀바귀속(Ixeris)</a>
    이명 : 모래땅씀바귀 모새씀바귀 사지씀바귀
    잎 : 근생엽은 총생하며 곧추서고 꽃이 필 때까지 남아 있으며 선상 피침형 또는 선형이고 길이 6-12cm 나비 1.5-9mm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밑부분에 톱니가 있거나 없고 경생엽은 1-3개로서 선상 피침형 또는 선형이며 밑부분이 원줄기를 반 정도 감싼다.
    꽃 : 꽃은 4-11월에 피고 연한 황색이며 두화는 산방상으로 달리고 총포는 길이 7.5-8mm이며 외포편은 난형 또는 난상 긴 타원형이고 길이 1-3mm이며 내포편은 8개로서 꽃이 진 다음 두꺼워진다. 소화는 28-41개이고 화관은 길이 9-11.5mm이며 통부는 길이 3.5mm정도로서 털이 다소 있다.
    열매 : 수과는 흑갈색이며 길이 5-5.5mm로서 10개의 날개같은 능선이 있고 관모는 길이 4-5mm로서 백색이다.
    줄기 : 높이 15-30cm이며 총생하고 분녹색이고 털이 없다.
    뿌리 : 뿌리가 굵다.
    분포 : 전국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


    Read More
  15. No Image

    남포분취

    학명 : Saussurea chinnampoensis H.Lev. & Vaniot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취나물속(Saussurea) target=_blank>취나물속(Saussurea)</a>
    이명 : 진남취 진남포분취
    잎 : 근생엽과 밑부분의 잎은 꽃이 필 때까지 남아 있으며 엽병은 길이 3cm이고 엽신은 피침형이며 양끝이 좁고 길이 7~11cm 폭 10~20mm로서 양면에 털이 없으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경생엽은 위로 올라갈수록 작아지고 엽병이 없어지며 가장자리가 뒤로 말린다.
    꽃 : 두화는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1개씩 달리고 지름 19~22cm로서 위를 향하며 총포는 길이 12~14mm 지름 13~20mm이고 포편은 6줄로 배열된다. 화관은 길이 13~16mm이며 관모는 갈색이고 길이 7.5~8.5mm로서 2줄이며 털이 있다.
    열매 : 수과로 털이 있고 관모는 2줄이고 갈색이다.
    줄기 : 높이 20-55cm이고 능선이 있으며 털이 없고 가지가 갈라진다.
    뿌리 : 뿌리는 굵으며 곧다.
    분포 : 서쪽 바닷가에서 자란다.
    형태 : 2년초.


    Read More
  16. No Image

    나래박쥐나물

    학명 : Parasenecio auriculata var. kamtschatica (Maxim.) H.Koyama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박쥐나물속(Parasenecio) target=_blank>박쥐나물속(Parasenecio)</a>
    이명 : 귀박쥐나물 자주박쥐나물 지느러미박쥐나물참박쥐나물
    잎 : 잎은 호생하고 중앙 이하의 잎은 작으며 꽃이 필 때쯤 되면 쓰러지고 그 윗부분의 잎은 3~4개가 드문드문 달리며 신장형이고 끝이 짧게 뾰족해지며 밑부분은 심장저이고 길이 7~17cm 폭 11~25cm로서 양면에 털이 없거나 뒷면 맥 위에 짧은 털이 있으며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결각상의 톱니가 있고 좌우 밑부분에 1~2개의 돌기가 있으며 엽병은 길이 4.5~9cm로서 기부가 귀처럼 넓다.
    꽃 : 꽃은 8~9월에 자주색으로 피고 원줄기 끝에 총상으로 달리며 화경은 길이 2~6mm이고 포는 3~4개로서 길이 1.5~2.5mm이며 총포는 좁은 통형이고 털이 없으며 길이 8~10mm로서 5개의 포편으로 된다. 소화는 3~6개이고 화관은 길이 8.5mm이다.
    열매 : 수과는 원주형이고 길이 4~5mm 지름 0.6mm로서 털이 없으며 관모는 길이 5mm이고 백색이다.
    줄기 : 높이 60-120cm이고 윗부분에서 짧은 가지가 갈라지며 흔히 엉킨 털이 있다.

    분포 : 전국의 심산지역에 난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박쥐나물 var.matsumurana Nak.: 엽병 기부가 귀처럼 넓어지지 않는다.

    Read More
  17. No Image

    나래미역취

    학명 : Solidago virgaurea var. coreana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미역취속(Solidago) target=_blank>미역취속(Solidago)</a>
    이명 : 미역취
    잎 : 잎은 호생하고 길이 4-10cm 폭 1.5-4cm로서 긴 타원형 또는 난형이며 예두이고 원저 또는 예저이며 밑부분이 흘러 엽병의 날개로 되고 양면에 잔털이 있는 것도 있으며 가장자리에 뾰족한 톱니가 있고 줄기 위로 갈수록 잎은 점차 작아져 피침형으로 되며 엽병도 점차 없어진다.
    꽃 : 꽃은 8-9월에 등황색으로 피며 두화로서 원추상으로 달리고 포는 없거나 작다. 총포는 통상종형으로서 길이 4-6mm이다. 총포편은 3-4줄로 배열되고 막질이며 녹색의 주맥부분이 있고 원두이다. 외포편은 난상 피침형이고 길이 2-3mm이며 내포편은 침형이고 길이 6-6.5mm로서 끝이 뾰족하며 설상화는 1줄로 배열되고 길이 8.5mm 나비 2mm정도이다. 화관이 길이 5mm 나비 1.5mm정도이고 두화가 밀착한다.
    열매 : 수과는 원통형으로서 세로로 줄이 있으며 털이 없다. 관모는 길이 4-4.5mm이고 9-10월에 익는다.
    줄기 : 높이가 15-70cm이고 줄기는 곧게서며 단일하거나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지고 잔털이 있다.

    분포 : ▶한국 중국(동북 하북) 러시아에 분포한다. ▶전국 각지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울릉미역취 var. gigantea MIQ.

    Read More
  18. No Image

    나래가막사리

    학명 : Verbesina alternifolia Britton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나래가막사리속(Verbesina) target=_blank>나래가막사리속(Verbesina)</a>
    이명 : 나래가막살이
    잎 : 줄기에 어긋나는 잎은 장타원형으로 잎맥이 뚜렷하고 양면이 거칠며 가장자리에 규칙적인 잔 톱니가 있고 밑 부분이 좁아지면서 자루를 이룬다. 타원상 피침형 또는 피침형으로 길이 8~20cm 폭 1.5~6cm이며 끝이 점첨두이고 잎 가장자리에 예거치가 있으며 기부는 설형이며 양면이 거칠고 표면에 인모가 있다.
    꽃 : 꽃은 8~9월에 가지 끝마다 노란색 꽃송이가 한 개씩 달린다. 두화는 다수이고 지름 2.5~5cm이며 산방상 원추화서를 이룬다. 총포편은 피침형이고 털이 있고 반곡된다. 설상화는 2~10개 황색 길이 1.8~2.5cm이고 통상화는 황색 끝이 5열된다. 화상의 인편은 피침형이며 윗부분에 털이 있다.
    열매 : 수과는 넓은 날개가 달리며 연모가 있고 관모는 2개의 망으로 변한다.
    줄기 : 줄기는 좁은 날개가 달리며 위쪽에서 가지가 갈라진다. 다소 잔 연모가 있고 좁은 날개가 달리며 상부에서 분지된다.


    형태 : 귀화식물로 여러해살이풀이다.


    Read More
  19. No Image

    꽃족제비쑥

    학명 : Matricaria inodora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족제비쑥속(Matricaria) target=_blank>족제비쑥속(Matricaria)</a>

    잎 : 잎은 어긋나기(互生)잎차례이고 잎자루가 없으며 잎새는 윤곽이 난형 또는 장타원형을 길이 2-10㎝이고 3-4회 우상 전열(羽狀 全裂)을 하며 최종 열편은 사상(絲狀)으로 폭이 0.3-0.4㎜ 엽축은 기부가 약간 팽대되었다.
    꽃 : 꽃은 6-9월에 피며 두화는 백색 지름 2-3.5㎝ 다수이며 화상(花床)은 반구형이며 인편은 없다. 총포편은 2-3줄로 배열되며 피침상 장타원형으로 끝이 둔두(鈍頭)이고 녹색이며 가장자리는 갈색 건성(乾性) 막질(膜質)이다. 설상화(舌狀花)는 20-30개 백색 자성(雌性)으로 길이 0.6-2㎝ 이고 3치(齒)가 있다. 통상화(筒狀花)는 양성(兩性)이며 황색이다.
    열매 : 수과(瘦果)는 납작하고 3맥이 있고 관모(冠毛)는 4치가 있는 관(冠)모양을 한다.
    줄기 : 줄기는 높이 20-60㎝ 거의 털이 없고 많은 가지를 친다.

    분포 : 서울 시흥 서인천에서 채집되었다.
    형태 : 1-2년생 초본

    특징 : ▶북아메리카 동부시베리아 만주 일본 등지에 귀화되었다. 국내에서는 1921 년 이전에 서울과 의주(義州)에 이입된 기록이 있으나 그후 절멸되었다가 최근에 다시 이입된 것으로 추정된다. ▶`족제비쑥`에 비하여 잎의 최종 열편이 사상이며 설상화가 길이 2㎝인 점이 다르다.
    Read More
  20. No Image

    꽃상추

    학명 : Cichorium endivia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꽃상추속(Cichorium) target=_blank>꽃상추속(Cichorium)</a>
    이명 : 고수부루꽃상치뚝갈 풀상추 풀상치 호상치 화란상치
    잎 : 근생엽은 총생하여 비스듬히 서며 털이 거의 없고 가장자리에 결각과 더불어 잔톱니가 있으며 엽면에 주름이 있고 경생엽은 호생하며 밑부분이 원줄기를 감싸서 근생엽과 비슷하지만 보다 작다.
    꽃 : 꽃은 5월부터 여름에 걸쳐서 피고 짙은 하늘색이며 두화는 지름 3-4cm이고 총포는 녹색이며 외포편이 보다 짧고 내포편은 피침형이며 곧추선다.
    열매 : 수과는 길이 2-3mm로서 회백색이고 관모는 비늘모양이며 짧다.
    줄기 : 높이 60-130cm이고 가지가 갈라진다.
    뿌리 : 뿌리는 방추형이며 깊이 들어간다.
    분포 : 간혹 채소로 재배하고 있다.
    형태 : 일년 내지 이년초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Next
/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