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4.18 20:06

꼬리말발도리

조회 수 7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학명 Deutzia paniculata Nakai
과명 범의귀과(Saxifragaceae)
속명 말발도리속(Deutzia)
이명 이삭말발도리
잎은 대생하며 타원형 난상 타원형 또는 도란상 타원형이고 점첨두이며 끝이 꼬리처럼 약간 길어지며 원저 또는 넓은 예저이고 길이 7-10cm로서 잔톱니가 있으며 표면은 녹색이고 3-4갈래의 성모가 있으며 뒷면은 연한 녹색으로서 털이 없다.
꽃은 햇가지 끝에 4-5월에 원추화서로 달리고(말발도리나무 물참대는 산방화서임) 흰색이며 화서에는 털이 없다. 꽃받침은 종형으로서 성모가 있으며 얕게 갈라지고 둔두이고 꽃받침열편은 삼각형으로서 길이 0.8mm정도이다. 꽃잎은 섭합상으로 배열되며 타원형으로서 길이 4-5mm이고 수술은 화피와 더불어 각 5개이며 털과 톱니가 없고 화반(花盤)에 성모가 있으며 암술대는 3개로서 털이 없다.
열매 열매는 삭과로 둥글고 9-10월에 익으며 지름 3mm정도로서 중앙부에 꽃받침이 있다.
줄기 높이가 2m에 달하고 소지는 털이 없으며 홍갈색이고 점차 세로로 갈라진다.
분포 경상도 및 함경도(원산)에서 자란다.
형태 낙엽 관목
국명출전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2) 한국수목도감 (이창복, 1966)

  1. No Image

    털말발도리

    학명 : Deutzia parviflora var. amurensis Rege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범의귀과(Saxifragaceae) target=_blank>범의귀과(Saxifrag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말발도리속(Deutzia) target=_blank>말발도리속(Deutzia)</a>
    이명 : 말발도리
    잎 : 잎은 대생하며 난형 난상 타원형 또는 난상 피침형이고 점첨두 예저로서 길이 3-8cm 폭 2-4cm이지만 맹아의 것은 10cm나 되는 것도 있으며 표면은 녹색이고 뒷면에 성상모(星狀毛)와 단모(單毛)가 모두 있다.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고 엽병도 길이 3-12mm로서 성모가 있다.
    꽃 : 꽃은 산방화서를 이루고 꽃받침은 통형이고 끝이 5개로 갈라지며 꽃잎도 5개로 갈라지고 꽃은 지름 1.2cm정도이고 백색으로 성모가 있고 5월에 개화한다. 수술은 10개이고 수술대는 거의 톱니가 없으며 암술대는 3개이고 화반에 성모가 있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서 구형이며 지름 3-5mm이고 성상모가 있으며 9월에 성숙한다.
    줄기 : 소지는 녹갈색으로 성모가 있고 늙은 가지는 흑회색이다.

    분포 : 전국 산야의 계곡 바위틈에서 자생한다.
    형태 : 낙엽활엽관목
    유사종 : ▶태백말발도리(var.barvinervis): 엽리맥상에 밀모(密毛)가 있다. ▶말발도리(D. parviflora Bunge): 잎은 길이 3-6㎝의 난형으로 마주나며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다. ▶속리말발도리(var.obscula T.Lee): 엽리(葉裏)에 성상모가 밀생하여 흰빛이 돈다.
    특징 : 밑부분에서 많은 줄기가 올라와 덤불을 형성하며 맹아력도 좋다.
    Read More
  2. No Image

    둥근말발도리

    학명 : Deutzia scabra Thunb.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범의귀과(Saxifragaceae) target=_blank>범의귀과(Saxifrag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말발도리속(Deutzia) target=_blank>말발도리속(Deutzia)</a>
    이명 : 말발도리









    Read More
  3. No Image

    빈도리

    학명 : Deutzia crenata Siebold & Zucc.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범의귀과(Saxifragaceae) target=_blank>범의귀과(Saxifrag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말발도리속(Deutzia) target=_blank>말발도리속(Deutzia)</a>
    이명 : 일본말발도리
    잎 : 잎은 난형 또는 넓은 피침형이고 점첨두 원저이며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고 양면에 성모가 있으며 길이 3-6cm 폭 1.5-3cm로서 표면은 회록색 뒷면은 연한 녹색이며 엽병은 길이 2-5mm이다.
    꽃 : 꽃은 6월에 피고 총상화서에 달리며 꽃받침통은 종형이고 성모와 더불어 단모(單毛)가 있으며 꽃받침과 꽃잎은 각 5개로 갈라지고 수술은 10개이며 꽃잎은 길이 15mm정도로서 성모가 있고 백색이다. 수술대는 양쪽에 돌기같은 날개가 있으며 암술대는 3-4개이다.
    열매 : 삭과는 지름 3.5-6mm로서 둥글며 성모가 밀생하고 끝에 암술대가 남아 있다.
    줄기 : 소지는 적갈색이고 성모가 있으며 늙은 가지는 수피가 벗겨진다.


    형태 : 낙엽활엽관목
    유사종 : ▶만첩빈도리 (for.plena SCHNEID.) : 만첩꽃이 핀다.
    특징 : 줄기의 속이 비어 있고 꽃이 말발도리와 비슷하기 때문에 빈도리라고 하며 관상용으로 심고 있다.
    Read More
  4. No Image

    물참대

    학명 : Deutzia glabrata Ko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범의귀과(Saxifragaceae) target=_blank>범의귀과(Saxifrag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말발도리속(Deutzia) target=_blank>말발도리속(Deutzia)</a>
    이명 : 댕강말발도리 댕강목
    잎 : 잎은 대생하며 길이 2-14cm 폭 1-4.5cm로 피침형 또는 긴 타원형이고 점첨두 예저이며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다. 표면은 녹색이며 털이 거의 없거나 3-4개로 갈라진 성모가 산생하고 뒷면은 연한 녹색으로서 털이 없다.(매화 말발도리나무는 잎의 양면에 5개로 갈라진 성모가 있음)
    꽃 : 꽃츤 5-6월 피고 지름 8-12㎜로서 백색이며 많은 꽃이 산방화서에 달리며 털이 없다. 꽃받침과 꽃잎이 각각 5개이고 1개의 암술을 10개의 수술들이 둘러싸고 있다. 화반(花盤)에 털이 없고 암술대는 3개(간혹 2개)이다. 꽃받침에 성모가 있다.
    열매 : 삭과는 지름 4㎜의 종형으로 9월에 성숙된다. 그 안에는 작은 종자들이 무수히 많이 들어있다.
    줄기 : 높이가 2m에 달하고 밑에서 많은 줄기가 올라와 포기를 형성한다. 어린 가지는 붉은 빛이 돌며 늙은 가지의 수피는 회색 또는 흑회색으로 불규칙하게 벗겨진다.

    분포 : ▶중국에도 분포한다. ▶전국 각처의 산지(표고 100-1 300m 사이)에 자생한다.
    형태 : 낙엽활엽관목 수형:역삼각형

    특징 : 수세가 강건하며 맹아력이 좋다.
    Read More
  5. No Image

    매화말발도리

    학명 : Deutzia uniflora Shir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범의귀과(Saxifragaceae) target=_blank>범의귀과(Saxifrag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말발도리속(Deutzia) target=_blank>말발도리속(Deutzia)</a>
    이명 : 개말발도리 댕강목 삼지말발도리 좁은잎댕강목 좁은잎말발도리 지리말발도리지이말발도리 해남말발도리
    잎 : 잎은 대생하고 긴 타원형 또는 넓은 피침형이며 점첨두이고 넓은 예저이며 길이 4-6cm로서 불규칙한 잔톱니가 있고 양면에 4-6개로 갈라진 성모가 있다.
    꽃 : 꽃은 5월에 전년도 가지의 측면에서 1-3개씩 피며(바위말발도리 꼬리말발도리 말발도리 물참대는 금년의 새가지에 꽃이 핌) 간혹 꽃밑에 1-2개의 잎이 달리는 수도 있고 소화경은 길이 2-5mm로 성모가 밀생하며 꽃받침통은 자방에 붙어 있고 성모가 밀생한다. 꽃받침잎은 털이 거의 없으며 꽃잎은 5장으로 백색이며 길이 15-20mm이고 수술은 10개이고 수술대 양쪽에 날개가 있다. 자방은 하위이며 암술대는 3개로 갈라진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 종모양이며 9월에 익는다. 3개의 홈이 있고 암술대가 남아 있다.
    줄기 : 높이가 1m에 달하며 수피는 회색이고 불규칙하게 벗겨진다.

    분포 : 중부 이남에서 자란다.
    형태 : 낙엽 활엽 관목.
    유사종 : ▶바위말발도리(D. prunifolia) : 매화말발도리에 비해 1-3개의 꽃이 새가지에 달리는 것. ▶지리말발도리(var.triradiata HATUS.) : 잎에 3출모가 있고 꽃받침은 기부를 제외하고는 털이 없으며 삭과 표면에 4출모가 있으며 암술대가 4개로 갈라진다. 지리산에서 자란다. ▶해남말발도리(var.tozawae HATUS.) : 잎에 선상의 톱니가 있고 넓은 피침형이며 표면에는 털이 없으나 뒷면에는 4출성모가 있으며 일년지에 대가
    특징 : ▶한국 특산의 암생식물이다. 가지가 꺽일때 나는 소리를 따서 댕강목이라고도 한다. ▶국내에만 자생하는 특산식물.
    Read More
  6. No Image

    말발도리

    학명 : Deutzia parviflora Bung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범의귀과(Saxifragaceae) target=_blank>범의귀과(Saxifrag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말발도리속(Deutzia) target=_blank>말발도리속(Deutzia)</a>
    이명 : 말발도리나무 속리말발도리태백말발도리털말발도리
    잎 : 잎은 대생하며 난형 난상 타원형 또는 난상 피침형이고 점첨두 예저로서 길이 3-6cm 폭 2-4cm이지만 맹아의 경우 길이가 10cm나 되는 것도 있으며 표면은 녹색이고 뒷면은 연녹색으로 5개로 갈라진 성모가 있으며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고 어린 가지의 엽병도 길이 3-12mm로서 성모가 있다.
    꽃 : 꽃은 지름 12mm정도로서 백색이며 성모가 있고 산방화서에 달리며 꽃받침은 통형이고 끝이 5개로 갈라지며 꽃잎도 5개로 갈라진다. 수술은 10개이고 수술대는 거의 톱니가 없으며 암술대는 3개이고 화반(花盤)에 성모가 있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서 종모양 구형이며 지름 3-5mm이고 성상모가 있으며 9월에 성숙하며 끝은 3각형으로서 5개로 갈라진다.
    줄기 : 높이가 2m에 달하고 소지는 녹갈색 또는 녹색이며 성모가 있고 늙은 가지는 흑회색이다.

    분포 : ▶중국에도 분포한다. ▶전국 각처의 산지에서 자생한다.
    형태 : 낙엽활엽관목.
    유사종 : ▶태백말발도리(var.barvinervis NAK.): 잎 뒷면 맥위에 밀모(密毛)가 있다. ▶털말발도리(var.pilsa NAK.): 잎 뒷면에 성상모(星狀毛)와 단모(單毛)가 모두 있다. ▶속리말발도리(var.obscula T.LEE): 잎 뒷면에 성상모가 밀생하여 흰빛이 돈다.
    특징 : 맹아력이 좋다.
    Read More
  7. No Image

    만첩빈도리

    학명 : Deutzia crenata f. plena Schneid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범의귀과(Saxifragaceae) target=_blank>범의귀과(Saxifrag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말발도리속(Deutzia) target=_blank>말발도리속(Deutzia)</a>
    이명 : 많첩빈도리
    잎 : 잎은 난형 또는 넓은 피침형이고 예첨두 원저이며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고 양면에 성모가 있으며 길이 3-6㎝ 폭 1.5-3㎝로서 표면은 회록색이고 뒷면은 연한 녹색이며 엽병은 길이 2-5㎜이다.
    꽃 : 꽃은 6월에 피고 총상화서에 달리며 꽃받침통은 종형이고 성모와 더불어 단모가 있으며 꽃받침과 꽃잎은 각각 5개로 갈라지고 수술은 10개이며 꽃잎은 길이 15㎜정도로서 성모가 있고 백색이다. 수술대는 양쪽에 돌기(突起)같은 날개가 있으며 암술대는 3-4개이다. 만첩꽃이 핀다.
    열매 : 삭과는 지름 3.5-6㎜로서 둥글며 성모가 밀생하고 끝에 암술대가 남아있다.
    줄기 : 소지는 적갈색이고 성모(星毛)가 있으며 늙은 가지는 수피가 벗겨진다.


    형태 : 낙엽활엽관목
    유사종 : ▶빈도리(Deutzia crenata S. et Z.)

    Read More
  8. No Image

    꼬리말발도리

    학명 : Deutzia paniculata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범의귀과(Saxifragaceae) target=_blank>범의귀과(Saxifrag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말발도리속(Deutzia) target=_blank>말발도리속(Deutzia)</a>
    이명 : 이삭말발도리
    잎 : 잎은 대생하며 타원형 난상 타원형 또는 도란상 타원형이고 점첨두이며 끝이 꼬리처럼 약간 길어지며 원저 또는 넓은 예저이고 길이 7-10cm로서 잔톱니가 있으며 표면은 녹색이고 3-4갈래의 성모가 있으며 뒷면은 연한 녹색으로서 털이 없다.
    꽃 : 꽃은 햇가지 끝에 4-5월에 원추화서로 달리고(말발도리나무 물참대는 산방화서임) 흰색이며 화서에는 털이 없다. 꽃받침은 종형으로서 성모가 있으며 얕게 갈라지고 둔두이고 꽃받침열편은 삼각형으로서 길이 0.8mm정도이다. 꽃잎은 섭합상으로 배열되며 타원형으로서 길이 4-5mm이고 수술은 화피와 더불어 각 5개이며 털과 톱니가 없고 화반(花盤)에 성모가 있으며 암술대는 3개로서 털이 없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 둥글고 9-10월에 익으며 지름 3mm정도로서 중앙부에 꽃받침이 있다.
    줄기 : 높이가 2m에 달하고 소지는 털이 없으며 홍갈색이고 점차 세로로 갈라진다.

    분포 : 경상도 및 함경도(원산)에서 자란다.
    형태 : 낙엽 관목


    Read More
  9. No Image

    바위말발도리

    학명 : Deutzia grandiflora var. baroniana Diels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범의귀과(Saxifragaceae) target=_blank>범의귀과(Saxifrag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말발도리속(Deutzia) target=_blank>말발도리속(Deutzia)</a>
    이명 : 넓은잎말발도리넓은잎바위말발도리파삭다리
    잎 : 잎은 대생하고 난원형이고 원저 또는 아심장저이며 뒷면에 성상모가 촘촘히 나 있다.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으며 잎의 길이 2-6cm 폭 1-4cm이다.
    꽃 : 꽃은 복방상화서(複房狀花序)로 새가지 끝에 1-3개씩 정생하고 4-5월에 길이 2㎝의 흰꽃이 핀다. 화병은 길이 2cm로서 털이 있고 꽃받침통은 길이 2mm정도이며 열편은 녹색으로서 세장하고 길이 3-7mm이다. 꽃잎은 백색이며 섭합상으로 배열되고 길이 12-13mm로서 겉에 성모가 있으며 암술대는 3개로서 꽃잎과 길이가 같고 화반(花盤)에 짧은 성모가 있다.자방은 중위이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 3실로서 암술대가 달려 있으며 3줄의 홈이 있고 성상모가 있으며 9월에 익는다.
    줄기 : 높이가 1m에 달하고 소지에 털이 있으며 늙은 가지는 회갈색 또는 검은 회갈색이다.

    분포 : 평양 근처의 대성산(大聖山)에서 자란다.
    형태 : 낙엽활엽관목
    유사종 : ▶바위말발도리(D. prunifola Rehder): 잎은 길이 1.5-7.2㎝ 폭 0.8-4.0㎝의 난형 또는 타원형으로 양끝이 뾰족하며 톱니가 있다.
    특징 : 4월에 피는 흰꽃은 마치 매화같으며 맹아력도 좋다.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