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명 | Poa kanboensis Ohwi |
|---|---|
| 과명 | 벼과(Gramineae) |
| 속명 | 포아풀속(Poa) |
| 이명 | 갈미꾸렘이풀 갈미꿰미풀 |
| 잎 | 잎은 호생하고 선형으로 길이 7~15cm 나비 약 2mm이며 끝은 좁아져 뾰족하고 표면이 엽초와 더불어 거칠며 엽설은 길이 0.2~0.5mm이다. |
| 꽃 | 꽃은 6~7월에 피고 원추화서로 달리며 화서는 길이 8~20cm이고 마디에 2~3개의 가지가 나며 2~3개의 꽃으로 된 길이 3~5mm의 소수가 달린다. 포영은 피침형으로 끝이 뾰족하고 제1포영은 길이 2.5~4mm이며 3맥이 있고 제3포영은 길이 3~4mm로 3맥이 있다. 호영은 다소 막질로 5맥이 있고 능각과 측맥 밑부분에 털이 있으며 기부에 솜같이 엉킨 털이 있다. 내영은 호영보다 약간 짧으며 수술은 3개이다. 꽃밥은 길이 1.5~2mm이고 2개의 |
| 줄기 | 줄기는 많이 모여나고 마디는 4~5개이다. 곧추 선다. |
| 분포 | 강원(금강산) 함남(신포 갑산) |
| 형태 | 다년초이다. |
| 특징 | 호영에 털이 적고 엉킨 털이 없다. |
|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
| 학명출전 | Acta Phytotax. Geobot. 10 : 125 (1941) |
|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TAG •
-
Read MoreNo Image
금강포아풀
학명 : Poa kumgangsani Ohw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벼과(Gramineae) target=_blank>벼과(Gramin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포아풀속(Poa) target=_blank>포아풀속(Poa)</a>
이명 : 금강꾸렘이풀 금강꿰미풀
잎 : 잎은 길이 14㎝ 나비 2㎜로서 납작하고 연질이며 엽초와 잎의 표면은 꺼칠꺼칠하다. 엽설은 길이 0.2-0.5㎜이다.
꽃 : 원추화서는 성기게 퍼지고 좁으며 길이 8-20㎝로서 각 마디에 위로 향하는 가지가 2-3개씩 달린다. 작은이삭은 길이 3-5㎜이고 2-3개의 꽃이 들어 있다. 포영은 길이가 다르며 피침형으로서 끝이 길게 뾰족해지고 첫째 것은 길이 2.5-4mm로서 3맥이 있으며 둘째 것은 길이 3-4mm로서 3맥이 있다. 호영은 다소 막질이고 5맥이 있으며 능각 밑부분과 측맥 밑부분에 털이 있고 밑부분에 솜같이 엉킨 털이 있다. 내영은 호영보다 약간 짧으며 수술은 3개
줄기 : 높이 40-50cm이고 밀생하며 가냘프고 마디는 4-5개이다.
분포 : 강원도 금강산 이북지역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실포아풀(P. acroleuca Steud.): 높이 15-35㎝ 줄기는 가냘프다. 잎몸은 납작하고 꺼칠꺼칠하다. ▶두메포아풀(P. alpina L.): 근경은 짧고 줄기는 약간 두껍다. 용골과 가장자리에 긴 털이 있고 맥 사이에 연모가 있다. ▶좀포아풀(P. compressa L.): 높이 20-60㎝ 전체가 회록색 근경이 옆으로 기고 줄기는 아주 납작하며 밑이 땅을 기다가 윗부분이 곧게 선다. ▶자주포아풀(P. glauca Vah
-
Read MoreNo Image
구내풀
학명 : Poa hisauchii Honda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벼과(Gramineae) target=_blank>벼과(Gramin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포아풀속(Poa) target=_blank>포아풀속(Poa)</a>
이명 : 꾸렘이풀 도랑꿰미풀 히사우지풀 히사우찌포아풀
잎 : 잎은 밝은 녹색이고 나비 1.5-3mm로서 거칠며 엽설은 백색 막질로서 길이 1-1.5mm이다.
꽃 : 꽃은 5-7월에 피고 화서는 꽃이 필 때도 피침형이며 밑으로 처지고 가지가 2-3개씩 달리며 거의 곧추서고 소수는 길이 3-4.5mm로서 2-3개의 꽃이 들어있다. 첫째 포영은 길이 2mm정도로서 1맥이 있으며 둘째 포영은 길이 2.2mm정도로서 3맥이 있다. 호영은 밝은 녹색 또는 황녹색이고 길이 3mm정도이며 중륵은 가늘지만 뚜렷하고 넓은 피침형이며 측면과 더불어 털이 없다. 중륵과 측맥은 중앙까지 복모가 있고 선모가 다소 뚜렷하다. 내영은 길이 2
줄기 : 높이 30-50cm로서 밑부분이 굽고 털이 없다.
분포 : 우리나라 중부 이남 저지대의 반음지에서 난다.
형태 : 2년생 초본
유사종 : ▶실포아풀(P. acroleuca Steud.): 높이 15-35㎝ 줄기는 가냘프다. 잎몸은 납작하고 꺼칠꺼칠하다. ▶두메포아풀(P. alpina L.): 근경은 짧고 줄기는 약간 두껍다. 용골과 가장자리에 긴 털이 있고 맥 사이에 연모가 있다. ▶좀포아풀(P. compressa L.): 높이 20-60㎝ 전체가 회록색 근경이 옆으로 기고 줄기는 아주 납작하며 밑이 땅을 기다가 윗부분이 곧게 선다. ▶자주포아풀(P. glauca Vah
특징 : ▶실포아풀과 같으나 화서의 가지가 위를 향한다. ▶구내풀이란 종명 히사우찌를 우리말로 표현한 것이다.
-
Read MoreNo Image
관모포아풀
학명 : Poa kanboensis Ohw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벼과(Gramineae) target=_blank>벼과(Gramin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포아풀속(Poa) target=_blank>포아풀속(Poa)</a>
이명 : 갈미꾸렘이풀 갈미꿰미풀
잎 : 잎은 호생하고 선형으로 길이 7~15cm 나비 약 2mm이며 끝은 좁아져 뾰족하고 표면이 엽초와 더불어 거칠며 엽설은 길이 0.2~0.5mm이다.
꽃 : 꽃은 6~7월에 피고 원추화서로 달리며 화서는 길이 8~20cm이고 마디에 2~3개의 가지가 나며 2~3개의 꽃으로 된 길이 3~5mm의 소수가 달린다. 포영은 피침형으로 끝이 뾰족하고 제1포영은 길이 2.5~4mm이며 3맥이 있고 제3포영은 길이 3~4mm로 3맥이 있다. 호영은 다소 막질로 5맥이 있고 능각과 측맥 밑부분에 털이 있으며 기부에 솜같이 엉킨 털이 있다. 내영은 호영보다 약간 짧으며 수술은 3개이다. 꽃밥은 길이 1.5~2mm이고 2개의
줄기 : 줄기는 많이 모여나고 마디는 4~5개이다. 곧추 선다.
분포 : 강원(금강산) 함남(신포 갑산)
형태 : 다년초이다.
특징 : 호영에 털이 적고 엉킨 털이 없다.
-
Read MoreNo Image
갑산포아풀
학명 : Poa ussuriensis Roshev.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벼과(Gramineae) target=_blank>벼과(Gramin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포아풀속(Poa) target=_blank>포아풀속(Poa)</a>
잎 : 잎은 선형이며 편평하고 나비 5㎜로서 표면이 거칠며 엽설은 막질이고 길이 1㎜정도로서 둔두이다.
꽃 : 원추화서는 긴 타원형이고 길이 10-20㎝이며 성기게 달리고 가지는 잔돌기가 있으며 길이 7㎝이다. 작은이삭은 난상 피침형이며 길이 3-5㎜로서 3-5개의 소화가 들어 있고 녹색이며 간혹 점이 있다. 첫째 포영은 길이 1.5mm로서 1맥이 있고 둘째 포영은 길이 2mm로서 3맥이 있다. 호영은 피침형이며 길이 3.5mm로서 5맥이 있고 가장자리 근처와 측맥 기부에 털이 다소 있으며 밑부분에 구불구불한 솜털이 있다. 내영은 길이 2.5㎜로서 맥 위에 잔털
줄기 : 높이 35-80cm이고 비스듬히 서며 밀생하고 털이 없이 매끈하다.
분포 : 금강산 이북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실포아풀(P. acroleuca Steud.): 높이 15-35㎝ 줄기는 가냘프다. 잎몸은 납작하고 꺼칠꺼칠하다. ▶두메포아풀(P. alpina L.): 근경은 짧고 줄기는 약간 두껍다. 용골과 가장자리에 긴 털이 있고 맥 사이에 연모가 있다. ▶좀포아풀(P. compressa L.): 높이 20-60㎝ 전체가 회록색 근경이 옆으로 기고 줄기는 아주 납작하며 밑이 땅을 기다가 윗부분이 곧게 선다. ▶자주포아풀(P. glauca Vah
-
Read MoreNo Image
가는포아풀
학명 : Poa matsumurae Hack.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벼과(Gramineae) target=_blank>벼과(Gramin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포아풀속(Poa) target=_blank>포아풀속(Poa)</a>
이명 : 가는꾸렘이풀
잎 : 잎은 밝은 녹색이고 길이 10-15cm 나비 1.2-3㎜로서 때로는 표면에 털이 있으며 엽초는 다소 편평하고 밑부분의 것은 때로 털이 있으며 엽설은 길이 1-2mm로서 절두이다.
꽃 : 원추화서는 밝은 녹색 또는 연한 녹색이고 길이 8-15㎝ 지름 3-5cm로서 가지가 옆으로 퍼지며 반윤생하고 작은이삭은 길이 4-6㎜ 나비 2㎜로서 편평하며 4-5개의 꽃으로 된다. 첫째 포영은 1-3맥이 있고 둘째 포영은 길이 3.2mm정도로서 3맥이 있다. 호영은 넓은 피침형이며 길이 3.5mm정도로서 중륵이 뚜렷하고 측면에 털이 없으나 능각과 측맥 밑부분에 복모가 있으며 면모도 있다. 수술은 3개이고 꽃밥은 길이 1.5-2mm이다.
줄기 : 곧게 서거나 밑이 약간 구부러지며 납작하다.
뿌리 : 근경은 옆으로 10cm정도 뻗는다.
분포 : 북부 지방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실포아풀(P. acroleuca Steud.): 높이 15-35㎝ 줄기는 가냘프다. 잎몸은 납작하고 꺼칠꺼칠하다. ▶두메포아풀(P. alpina L.): 근경은 짧고 줄기는 약간 두껍다. 용골과 가장자리에 긴 털이 있고 맥 사이에 연모가 있다. ▶좀포아풀(P. compressa L.): 높이 20-60㎝ 전체가 회록색 근경이 옆으로 기고 줄기는 아주 납작하며 밑이 땅을 기다가 윗부분이 곧게 선다. ▶자주포아풀(P. glauca Vah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