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학명 | Scutellaria indica L. |
|---|---|
| 과명 | 꿀풀과(Labiatae) |
| 속명 | 골무꽃속(Scutellaria) |
| 잎 | 잎은 대생하며 심장형 또는 원형이고 둔두 심장저이며 길이와 나비가 각 1-2.5cm로서 양면에 털이 있고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으며 엽병은 길이 5-20mm이다. |
| 꽃 | 꽃은 자색으로 5~6월에 피며 한쪽으로 치우쳐서 2줄로 달리고 정생하는 총상화서에 촘촘히 난다. 꽃받침잎은 순형이고 길이 3mm에서 6-7mm로 자라며 위쪽에 원반상의 부속체가 있고 겉에 털이 있으며 포는 柄(병)이 있으며 난형이다. 화관은 밑부분이 꼬부라져서 곧게 서며 길이 18-22mm이고 긴 통상 순형으로 상순은 투구모양 하순은 넓으며 앞으로 나오고 자주색 반점이 있다. 수술은 4개로서 그 중 2개가 길다. |
| 열매 | 4개의 분과로서 꽃받침에 싸여 있으며 흑색이고 길이 약 1mm로서 돌기가 밀생한다. |
| 줄기 | 높이 20-40cm이고 긴 퍼진 털이 많으며 원줄기는 둔한 사각형이고 비스듬히 자라다가 곧게 선다. |
| 분포 | 한국 일본 오키나와 대만 중국 월남에 분포한다. 제주 전남 경남 충남 충북 강원 경기도 등 중부이남에서 자란다. |
|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
| 유사종 | ▶좀골무꽃 (var.parvifolia MAK.): 높이 5-20cm로서 잎의 길이와 나비가 각 1cm정도이다. ▶떡잎골무꽃 (var.tsusiminsis OHWI) : 높이 10-30cm이고 잎이 길이 2-4cm로서 표면의 맥이 들어간다. |
| 특징 | 전초를 한신초(韓信草)라 하며 이명(異名)은 대력초(大力草) 이공초(耳控草)이다. |
|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
|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TAG •
-
Read More
퉁퉁마디
학명 : Salicornia europaea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명아주과(Chenopodiaceae) target=_blank>명아주과(Chenopod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퉁퉁마디속(Salicornia) target=_blank>퉁퉁마디속(Salicornia)</a>
잎 : 잎은 없고 막질의 작은 비늘조각이다.
꽃 : 꽃은 녹색으로 8-9월에 피며 가지 윗부분의 마디 사이 양쪽 오목한 곳에 소화가 3개씩 달린다. 화피는 역원추형이고 다육질로 통통하며 꽃이 핀 후 자라서 열매를 둘러싼다. 수술은 1-2개이고 자방은 난형이며 2개의 짧은 암술대가 있다.
열매 : 열매는 포과로서 납작한 난형이고 화피에 싸여 있으며 길이 2mm 지름 1.5mm이고 종자는 곧추서며 타원형이고 흑색이다.
줄기 : 높이 10-30cm이며 줄기는 원주형이고 대생한 가지가 많으며 잎이 없고 원줄기는 짙은 녹색에 붉은색을 변하며 두드러진 마디가 많고 핥으면 짠맛이 나며 가지가 1-2번 갈라져 대생하고 다육질이며 비대하다. 전체가 녹색이며 털이 없고 가을에 홍자색으로 변하기 때문에 아름답다.
분포 : 우리 나라 각처의 해변에 난다.
형태 : 1년생 초본.
특징 : 마디가 튀어나와서 퉁퉁마디라고 한다.
-
Read More
차나무
학명 : Camellia sinensis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차나무과(Theaceae) target=_blank>차나무과(The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동백나무속(Camellia) target=_blank>동백나무속(Camellia)</a>
잎 : 잎은 호생하고 피침상 긴 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이며 둔두 예저이고 약간 내곡하는 둔한 톱니가 있으며 두껍고 광택이 있으며 길이 2-15cm 나비 2-5cm로서 양면에 털이 없고 표면은 녹색이며 엽맥이 들어가고 뒷면은 회록색으로서 맥이 튀어 나오며 엽병은 길이가 2~7mm정도이다.
꽃 : 꽃은 양성으로 10~11월에 피고 지름이 3~5cm로서 백색이며 향기가 있고 1~3개가 액생하거나 가지 끝에 달린다. 화경은 길이 15mm로서 밑으로 꼬부라지고 위끝이 비대해진다. 꽃받침잎은 5개로서 녹색이며 둥글고 길이 3-4mm이며 꽃잎은 6-8개이고 넓은 도란형이며 원두이고 길이 1-2cm로서 젖혀진다. 많은 수술은 밑부분이 합쳐져서 통같이 되며 수술대는 길이 5-10mm로서 백색이고 꽃밥은 황색이며 자방은 상위이고 3실이며 3개의 암술대가 있고
열매 : 열매는 편구형이며 지름 2cm로서 3-4개의 둔한 능각이 있고 다음해 11월에 다갈색으로 익으며 목질화되어 포배개열(胞背開裂)되고 종자는 둥글며 외피가 굳다.
줄기 : 가지가 많이 갈라지고 일년지는 갈색이며 잔털이 있고 이년지는 회갈색이며 털이 없다.
분포 : 전국 각 처의 사찰에 식재하며 경남 전남지역의 따뜻한 곳에서 자연상으로 나타난다. ▶일본 중국 인도에도 분포한다.
형태 : 상록활엽관목
특징 : 약 1 000년 전에 중국으로부터 도입되었다. 차의 맛과 습성에 따라 여러 가지 품종으로 나눈다. ▶신라 42대 홍덕왕(서기 826-836 재위)때 당나라에 사신으로 갔던 김대렴공이 귀국길에 차나무의 종자를 가지고 와서 지리산에 심었던 것이 시초가 되어 오늘에 전하여 오고 있다. 지리산 쌍계사 입구의 탑리에서부터 신흥리까지 약 10여 km 지역의 산록에는 지금까지도 차나무가 야생상태로 자라고 있다. 이곳 주민들은 차나무의 어린 잎을 따서 차를 다려 먹
-
Read More
장백제비꽃
학명 : Viola biflora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제비꽃과(Violaceae) target=_blank>제비꽃과(Vio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제비꽃속(Viola) target=_blank>제비꽃속(Viola)</a>
이명 : 장백노랑제비꽃 장백오랑캐
잎 : 잎은 3-4개이며 엽병은 길이 2-10cm이지만 윗부분의 것은 짧고 날개가 없으며 털이 없다. 탁엽은 녹색이며 좁은 난형 또는 넓은 피침형이고 길이 3-5mm로서 연모가 다소 있으며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엽신은 신심형이고 길이 1-2cm 폭 1.5-3.5cm로서 털이 산생하며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꽃 : 화경은 원줄기 끝에 달리며 길이 2-5cm로서 중앙 또는 그 위에 포가 있고 꽃은 7월에 피며 길이 1cm정도로서 황색이다. 꽃받침잎은 피침형이고 길이 3-5mm로서 끝이 둔하며 부속체는 짧고 끝이 둥글며 밋밋하고 꽃잎은 길이 7-10mm로서 털이 없으며 순판에 갈색 맥줄이 있고 거(距)는 반원형으로 길이 1.5-2mm이다.
열매 : 삭과는 난상 타원형으로 길이 4-7mm이고 털이 없으며 8월에 익는다.
줄기 : 줄기는 가늘며 곧게 서거나 비스듬히 자란다.
뿌리 : 근경은 가늘고 짧으며 옆으로 뻗고 마디가 밀접해 있으며 수염뿌리가 내린다.
분포 : 백두산 일본 러시아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
-
Read More
왕별꽃
학명 : Stellaria radians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석죽과(Caryophyllaceae) target=_blank>석죽과(Caryophyl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별꽃속(Stellaria) target=_blank>별꽃속(Stellaria)</a>
이명 : 큰산별꽃
잎 : 잎은 대생하며 피침형 또는 도피침형이고 양끝이 좁으며 길이 6-12cm 폭 1-2.5cm로서 측맥이 약간 뚜렷하고 뒷면에 누은 견모(絹毛)가 많으며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엽병은 없다.
꽃 : 꽃은 7월경에 피며 백색이고 취산화서에 달리며 소화경은 길이 1-3cm로서 꽃이 핀 다음 밑을 향하고 포는 잎 모양이다. 꽃받침잎은 5개이고 긴 타원형이며 길이 7mm정도로서 털이 있다. 꽃잎은 5개이고 넓은 도란형이며 꽃받침보다 길고 길이 8-10mm로서 끝이 5-12조각으로 갈라지며 10개의 수술과 3개의 암술대가 있다.
열매 : 삭과는 난형이고 꽃받침보다 길다. 8-9월에 익어 끝이 3조각으로 갈라진다.
줄기 : 높이 50-80cm이고 줄기는 밑부분이 비스듬히 자라지만 윗부분은 곧추선다. 전체에 누운 견모가 있으며 가지가 많다.
뿌리 : 근경은 가늘며 포복하고 가닥이 난다.
분포 : ▶북한 중국 몽골 일본 러시아 극동부 지방에 분포한다.
▶백두산 지역 등 북부의 산지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쇠별꽃(S. aquatica Scop.): 줄기 위쪽에 약간의 선모가 있다. 잎은 넓은 난형, 길이 1-6㎝, 털이 없다.
▶실별꽃(S. filicaulis Makino): 줄기는 밀생, 네모지고, 털이 없다. 잎은 선형, 길이 2-3㎝이다.
▶별꽃(S. media Villars): 밑에서 많은 가지가 나오고, 줄기에 한 줄의 털이 있다. 잎은 난형, 길이 1-2㎝, 대부분 양 면에 털이 없다.
▶왕별꽃(S. radicans L.): 전체에 누운 털이 퍼져난다. 잎은 피침형, 길이 6-12㎝, 양 면에 가는 털이 나고, 잎자루는 없다.
-
Read More
시베리아살구
학명 : Prunus sibirica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장미과(Rosaceae) target=_blank>장미과(Ros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벗나무속(Prunus) target=_blank>벗나무속(Prunus)</a>
이명 : 개살구 시베리아살구나무
잎 : 잎은 호생하며 난상 원형이며 긴 점첨두이고 넓은 예저 또는 원저이며 길이 6-8㎝ 폭 4-7㎝로서 표면에 털이 없고 뒷면 맥액에 털이 있으며 불규칙한 단거치가 있다. 엽병은 길이 1-3cm로서 붉은 빛이 돈다. 탁엽은 일찍 진다.
꽃 : 꽃은 4-5월에 잎보다 먼저 피고 지름 2.5-3.5㎝로서 연한 홍색이며 1-3개씩 달리고 포는 자적색이며 윗부분의 것은 연모가 있고 화병은 거의 없다. 매실나무는 향기가 강한데 살구나무는 향기가 거의 없다. 꽃받침열편은 5개이고 난형 또는 긴 난형이고 첨두이며 길이 4mm 폭 3mm정도로서 꽃이 핀 다음 젖혀지고 털이 없으며 톱니가 드문드문 있다. 꽃잎은 난상 타원형 또는 도란형이고 길이 11-13mm이며 수술은 25-30개로서 암술과 길이가 같고
열매 : 지름 3㎝정도의 핵과로 편도란형이며 털이 있고 7월에 적황색으로 익으며 과육은 맛이 매우 떫다. 핵은 요점이 없고 편평하고 얇으며 끝이 뾰족하고 한쪽에 날개가 있다. 과육과 핵이 잘 분리된다. (매실나무는 잘 분리되지 않음)
줄기 : 가지에는 털이 없고 상면은 회색 하면은 어릴 때는 자갈색이다. 수피에 콜크층이 발달하지 않았다. (개살구는 수피에 코르크층이 발달하였다.)
분포 : ▶중국 몽골 러시아에도 분포한다. ▶광릉 및 북부지방에서 자란다.
형태 : 낙엽활엽소교목
유사종 : ▶개살구(P. mandshurica var. glabra N.): 전국의 산에 야생하며 분홍색꽃이 피고 수피가 코르크화되어 있다. ▶털개살구(P. mandshurica var. barbinervis N.): 잎의 뒷면 맥 사이에 털이 있다. ▶시베리아살구(P. sibirica L.): 경기도 광릉지역에 자라며 종자가 납작하고 끝이 뾰족하며 한쪽 날개가 달려 있다. 잎은 난형으로 가장자리에 세치가 있다.
특징 : 영춘화처럼 봄을 반기는 살구꽃은 복숭아꽃과 함께 고향을 상징하는 관상수이다.
-
Read More
삼색제비꽃
학명 : Viola tricolor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제비꽃과(Violaceae) target=_blank>제비꽃과(Vio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제비꽃속(Viola) target=_blank>제비꽃속(Viola)</a>
이명 : 팬지 호접제비꽃
잎 : 잎은 호생하고 엽병이 길며 난상 긴 타원형 또는 피침형이고 둔한 톱니가 있으며 탁엽(托葉)은 엽병보다 길고 우상으로 깊게 갈라진다.
꽃 : 4~5월에 자색 황색 백색의 꽃이 같이 피며 엽액에서 긴 화경이 나와 그 끝에 한개의 꽃이 옆을 향해 달린다. 꽃받침잎은 5개로서 녹색이고 꽃잎도 5개로서 둥글며 옆으로 퍼지고 고깔부가 짧으며 5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이 있다.
열매 : 삭과는 난형이며 개열(開裂)하면 종자가 나온다.
줄기 : 높이 12-25cm이고 곧추자라며 가지가 갈라지고 능선이 있으며 녹색이다.
분포 : 국내 각지에서 관상용으로 재배한다.
형태 : 1년초 또는 월년초이다.
유사종 : 둥근털제비꽃(Viola collina)
고깔제비꽃(V. rossii)
제비꽃(V. mandshurica)
호제비꽃(V. yedoensis)
특징 : 영국과 네덜란드에서 V.tricolor L. 과 근연종(近緣種)을 교잡시켜 만든 1년 내지 2년생 관상식물이다.
-
Read More
물매화
학명 : Parnassia palustris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범의귀과(Saxifragaceae) target=_blank>범의귀과(Saxifrag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물매화속(Parnassia) target=_blank>물매화속(Parnassia)</a>
이명 : 물매화풀 풀매화
잎 : 근생엽은 엽병이 길고 원심형이며 길이와 폭이 각각 10-35mm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경생엽은 기부에 엽병이 없으며 원줄기를 감싼다.
꽃 : 화경(花莖)은 길이 7-45cm로서 털이 없고 능선이 다소 있으며 중앙부에는 1개의 잎 끝에는 1개의 꽃이 달린다. 꽃은 7-8월에 피고 지름 2-2.5cm로서 백색이며 꽃은 하늘을 향하여 핀다. 꽃받침잎은 5개로서 녹색이고 긴 타원형이다. 꽃잎은 넓은 난형 또는 타원형이며 길이 7-10mm로서 수평으로 퍼진다. 수술은 5개이며 밖을 향한 꽃밥이 달리고 수술대는 처음에는 자방에 기대었다가 교대로 밖으로 굽으며 헛수술은 5개로서 끝이 12-22개로 갈라
열매 : 삭과는 길이 10-12mm로서 넓은 난형이고 8월부터 익어 4조각으로 갈라져 많은 종자를 쏟아낸다.
줄기 : 경생엽은 기부에 엽병이 없고 꽃대 줄기를 싸고 붙어있다.
뿌리 : 잔뿌리가 사방으로 뻗는다.
분포 : ▶한국 일본 중국 북아메리카 유럽 몽고 등지에 분포한다. ▶전국 산지의 산록에서 자라고 고산지대에서도 자란다.
형태 : 숙근성 다년초
유사종 : 애기물매화(P. alpicola Makino)는 한라산 중턱 이상의 습지에서 자생한다.
특징 : 산챠도 애호가들에 의해 재배 관상한다.
-
Read More
물레나물
학명 : Hypericum ascyron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물레나물과(Guttiferae) target=_blank>물레나물과(Guttifer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물레나물속(Hypericum) target=_blank>물레나물속(Hypericum)</a>
이명 : 긴물레나물 매대체 애기물레나물 좀물레나물 큰물레나물
잎 : 잎은 대생하며 엽병이 없이 원줄기를 마주 싸고 끝이 뾰족한 피침형이며 길이 5-10cm 폭 1-2cm로 투명한 점이 있다.
꽃 : 꽃은 6-8월에 피고 지름 4-6cm로서 황색 바탕에 붉은빛이 돌며 가지 끝에 큰 꽃이 달린다. 꽃받침잎은 5개이고 난형이고 길이 1cm가량이며 맥이 많고 꽃잎은 길이 2.5-3cm 폭 1.5cm가량으로 낫같이 굽은 넓은 난형이다. 수술은 다체이고 암술대는 길이 6-8mm이며 윗부분에서 주두와 더불어 5가닥이 난다.
열매 : 삭과는 난형이고 길이 12-18mm이며 종자에는 작은 그물맥이 있고 한쪽에 능선이 있으며 길이 1mm이다.
줄기 : 높이 50-100cm이고 원줄기는 네모지며 윗부분이 녹색이고 밑부분은 목질화 된 연한 갈색이고 가지가 갈라진다.
뿌리 : 근경이 있고 근경에서 뿌리가 내린다.
분포 : ▶일본 동부아시아 오대 알타이 등지에 분포한다. ▶전국 각지에 야생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큰물레나물 (var.longistylum MAX) : 암술대의 길이가 1cm이고 윗부분에서 1/3정도 갈라진다.
특징 : 꽃모양이 마치 물레를 연상하게 한다.
-
Read More
뚜껑별꽃
학명 : Anagallis arvensis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앵초과(Primulaceae) target=_blank>앵초과(Prim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뚜껑별꽃속(Anagallis) target=_blank>뚜껑별꽃속(Anagallis)</a>
이명 : 개봄마지 개봄맞이 개봄맞이꽃 뚜겅별꽃 별봄맞이꽃 보라별꽃
잎 : 잎은 대생하고 엽병이 없으며 난형 좁은 피침형이고 길이 1~2.5cm 나비 5-15mm로서 끝이 뾰족하며 밑이 둥글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꽃 : 꽃은 4-5월에 피며 청자색이고 엽액에 1송이씩 달리며 소화경은 길이 2-3cm로서 포가 없다.
꽃받침잎은 피침상 선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길이 4-6mm로서 1맥이 있고 화관은 지름 1~1.3cm로서 5개로 갈라져 수평으로 퍼지며 열편은 도란상 원형이고 가장자리는 잔털이 있다.
수술은 5개로서 꽃잎과 대생하며 수술대에 털이 밀생한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 둥글고 지름 4mm로서 밑부분에 꽃받침이 남아 있으며 익으면 중앙부에서 옆으로 갈라져 뚜껑처럼 열리고 종자는 흑갈색이며 지름 1mm정도로서 두드러기같은 돌기가 밀생한다.
줄기 : 높이 10-30cm이고 줄기는 옆으로 뻗다가 비스듬히 서며 네모가 진다.
분포 : 우리 나라 남부
형태 : 일년 내지 이년초
-
Read More
노랑복주머니란
학명 : Cypripedium calceolus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B%82%9C%EC%B4%88%EA%B3%BC(Orchidaceae) target=_blank>난초과(Orchid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복주머니란속(Cypripedium) target=_blank>복주머니란속(Cypripedium)</a>
이명 : 노랑개불알꽃 노랑요강꽃 누른요강꽃 큰개불알꽃 큰작란화
잎 : 잎은 밑부분의 3-4개는 엽신이 없으며 원줄기를 감싸고 중앙부의 2-3개는 넓은 타원형으로서 가장 크며 윗부분의 1-3개는 포엽으로서 잎같고 꽃이 달린다.
꽃 : 꽃은 6-8월에 피며 위꽃받침잎은 난상 피침형으로서 끝이 뾰족하고 옆꽃받침잎은 2개가 합쳐져서 끝만 다소 갈라지며 내화열편 2개는 선상 피침형으로서 끝이 뾰족하고 다소 꼬인다. 순판은 큰 주머니 같으며 황색으로 밑부분에 적색 반점이 있다.
줄기 : 전체에 잔털이 있고 높이가 40cm정도에 달한다.
뿌리 : 근경이 옆으로 뻗고 각 마디에서 뿌리가 내린다.
분포 : 북부지방의 산지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특징 : 개불알꽃과 비슷하지만 꽃이 황색이며 1-3개씩 피는 것이 다르다.
-
Read More
넓은잎제비꽃
학명 : Viola mirabilis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제비꽃과(Violaceae) target=_blank>제비꽃과(Vio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제비꽃속(Viola) target=_blank>제비꽃속(Viola)</a>
이명 : 넓은잎오랑캐 넓은제비꽃 참넓은잎제비꽃
잎 : 잎은 편심형 또는 원심형이며 길이 2-4.5cm 폭 2.5-6cm로서 둔한 톱니가 있고 엽병은 길이 7-15cm로 엽맥에 털이 있다.
꽃 : 화탁은 넓은 피침형이며 백색 막질이고 가장자리에 선모가 있거나 털이 없으며 줄기 윗부분의 것은 짧은 녹모가 있고 길이 5-8mm로서 거의 떨어진다. 화경은 뿌리에서 나오며 4월에 연한 자주색꽃이 피고 꽃받침잎은 좁은 난형 또는 넓은 피침형이며 길이 6-8mm이고 부속체는 편원형으로서 밋밋하다. 꽃잎은 길이 13-15mm이며 측판에 털이 있고 거(距)는 긴 타원형이며 길이 2.5-3.5mm정도이다.
열매 : 삭과는 윗부분의 폐쇄화에서 생기고 길이 8-10mm이다.
줄기 : 원줄기는 꽃이 진 다음 높이가 15-30cm에 달하며 원줄기 끝에 엽병이 거의 없는 1쌍의 대생엽이 달리고 중앙부에는 엽병이 긴 1개의 잎이 달리며 보통 털이 없다.
뿌리 : 근경이 짧다.
분포 : ▶ 일본, 중국, 유럽 / 한국(강원도 인제군)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넓은잎제비꽃 : 기본종
-
Read More
꽃다지
학명 : Draba nemorosa L. f. nemorosa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십자화과(Cruciferae) target=_blank>십자화과(Crucifer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꽃다지속(Draba) target=_blank>꽃다지속(Draba)</a>
이명 : 코딱지나물
잎 : 근생엽은 많이 나와서 방석처럼 퍼지고 주걱형 비슷한 긴 타원형이며 길이 2-4cm 폭 8-15mm로서 톱니가 약간 있고 밑부분이 좁아져서 엽병처럼 된다. 경생엽은 호생하며 좁은 난형 또는 장타원형이고 길이 1-3cm 폭 8-15mm로서 둔두 예저이며 톱니가 약간 있다.
꽃 : 꽃은 황색으로 4~6월에 피며 원줄기나 가지 끝의 총상화서에 많은 꽃이 달리고 소화경은 길이 1-2cm로서 비스듬히 옆으로 퍼진다. 꽃받침잎은 4개이며 타원형으로서 길이 1.5mm정도이다. 꽃잎은 4개이고 넓은 주걱형이며 길이 3mm정도이다. 6개의 수술중 4개는 길고 암술은 1개이다.
열매 : 짧은 각과(角果)로서 편평하며 장타원형이고 길이 5-8mm 폭 2mm로서 전체에 털이 있다. 종자를 정력자라고 한다.
줄기 : 높이가 20cm에 달하고 줄기는 곧추서며 흔히 가지가 갈라지고 하부에 단모(單毛) 분지모(分枝毛) 성상모(星狀毛)가 있다.
분포 : 전국 각지에 야생한다.
형태 : 2년생 초본
유사종 : ▶민꽃다지(var. leiocarpa LINDBL.) : 열매에 털이 없는 것이며 어린순을 나물로 한다.
-
Read MoreNo Image
골무꽃
학명 : Scutellaria indica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F%80%ED%92%80%EA%B3%BC(Labiatae) target=_blank>꿀풀과(Labia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골무꽃속(Scutellaria) target=_blank>골무꽃속(Scutellaria)</a>
잎 : 잎은 대생하며 심장형 또는 원형이고 둔두 심장저이며 길이와 나비가 각 1-2.5cm로서 양면에 털이 있고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으며 엽병은 길이 5-20mm이다.
꽃 : 꽃은 자색으로 5~6월에 피며 한쪽으로 치우쳐서 2줄로 달리고 정생하는 총상화서에 촘촘히 난다. 꽃받침잎은 순형이고 길이 3mm에서 6-7mm로 자라며 위쪽에 원반상의 부속체가 있고 겉에 털이 있으며 포는 柄(병)이 있으며 난형이다. 화관은 밑부분이 꼬부라져서 곧게 서며 길이 18-22mm이고 긴 통상 순형으로 상순은 투구모양 하순은 넓으며 앞으로 나오고 자주색 반점이 있다. 수술은 4개로서 그 중 2개가 길다.
열매 : 4개의 분과로서 꽃받침에 싸여 있으며 흑색이고 길이 약 1mm로서 돌기가 밀생한다.
줄기 : 높이 20-40cm이고 긴 퍼진 털이 많으며 원줄기는 둔한 사각형이고 비스듬히 자라다가 곧게 선다.
분포 : 한국 일본 오키나와 대만 중국 월남에 분포한다. 제주 전남 경남 충남 충북 강원 경기도 등 중부이남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유사종 : ▶좀골무꽃 (var.parvifolia MAK.): 높이 5-20cm로서 잎의 길이와 나비가 각 1cm정도이다. ▶떡잎골무꽃 (var.tsusiminsis OHWI) : 높이 10-30cm이고 잎이 길이 2-4cm로서 표면의 맥이 들어간다.
특징 : 전초를 한신초(韓信草)라 하며 이명(異名)은 대력초(大力草) 이공초(耳控草)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