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명 | Asplenium ruprechtii Sa.Kurata |
|---|---|
| 과명 | 꼬리고사리과(Aspleniaceae) |
| 속명 | 꼬리고사리속(Asplenium) |
| 이명 | 거미일엽초 |
| 잎 | 잎은 총생한다. 엽병은 길이 1~10cm이고 연한 갈색이며 하부에 자주색을 띠기도 한다. 엽신은 단엽이며 길이 5~15cm 나비 5~10mm이고 선형 또는 선상 피침형이며 밑이 쐐기모양이고 윗부분이 가늘어져 길게 되며 끝에 무성아를 형성하고 엽맥은 그물눈을 만든다. 표면은 녹색이고 가장자리는 밋밋하거나 불규칙한 파상이다. |
| 열매 | 포자낭군은 선형 또는 장 타원형으로 중륵 양쪽 맥 위에 달리고 포막이 있다. |
| 뿌리 | 근경은 짧다. |
| 분포 | 제주를 제외한 거의 전도에 나며 일본 중국 만주 우수리 러시아에 분포한다. |
| 형태 | 상록성 다년초 |
|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
| 학명출전 | Enum. Jap. Pterid. 325 & 338 (Nameg. & Sa.Kurata, 1961) 1) Flora of Japan (K.Iwats. & al., 1995) |
|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동식물도감 제16권 식물편(양치식물) (박만규, 1975)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5) 한국양치식물지 (박만규, 1961) |
-
Read MoreNo Image
꼬리고사리
학명 : Asplenium incisum Thunb.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C%AC%EB%A6%AC%EA%B3%A0%EC%82%AC%EB%A6%AC%EA%B3%BC(Aspleniaceae) target=_blank>꼬리고사리과(Asplen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꼬리고사리속(Asplenium) target=_blank>꼬리고사리속(Asplenium)</a>
잎 : 나엽은 길이 5-15㎝로서 옆으로 퍼지고 엽병의 길이가 1-3㎝이지만 실엽은 곧추 30㎝이상 자라며 엽병은 뒷면이 적갈색으로 윤채가 있고 표면에 얕은 홈이 있으며 엽신은 도피침형으로 길이 7-30㎝ 나비 2-7㎝이고 끝이 뾰족하며 중앙에서 밑으로 갈수록 점점 좁아진다. 중축은 표면이 녹색이고 뒷면 하반부에는 흑갈색이며 우편은 긴 난형 또는 피침형이고 둔두 또는 예두로서 짧은 대가 있으나 밑으로 갈수록 작아져서 귀같은 돌기로 된다. 소우편은 도란형 또는
열매 : 포자낭군은 긴 타원형이고 2줄로 배열되며 중륵 가까이에 달린다.
뿌리 : 근경은 짧고 비스듬히 서며 잎이 총생한다.
분포 : 전국 각처에 흔히 자란다.
형태 : 상록다년초
특징 : 잎이 꼬리처럼 길게 자라기 때문에 꼬리고사리라고 한다.
-
Read MoreNo Image
깃고사리
학명 : Asplenium normale D.Don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C%AC%EB%A6%AC%EA%B3%A0%EC%82%AC%EB%A6%AC%EA%B3%BC(Aspleniaceae) target=_blank>꼬리고사리과(Asplen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꼬리고사리속(Asplenium) target=_blank>꼬리고사리속(Asplenium)</a>
잎 : 엽병은 길이 3-15㎝ 지름 1-2mm로서 흑자갈색 또는 흑갈색에 윤채가 나며 표면에 홈이 있고 밑부분에 인편이 달리다. 엽신은 피침형이며 1회 우상으로 갈라지고 끝에서 싹이 돋아 땅에 닿으면 새로운 개체로 발달. 우편은 20쌍 정도이며 중축에서 직각으로 퍼지고 긴 직각삼각형으로 낫처럼 굽으며 끝이 둔하고 밑부분은 예저로서 대가 없으며 앞쪽 밑에 돌기가 있고 끝 부근에 톱니가 있으나 앞뒤쪽 밑부분이 밋밋.
열매 : 포자낭군은 선형 또는 긴 타원형이며 측맥 앞쪽을 따라 달리고 포막은 앞쪽으로 벌어지며 길이 1-4mm이다.
뿌리 : 근경은 짧고 비스듬히 서며 밑부분에 잔뿌리가 많고 잎이 총생.
분포 : 제주도에서 자란다.
형태 : 상록다년초
-
Read MoreNo Image
구슬개고사리
학명 : Asplenium deltoidofrons Makino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C%AC%EB%A6%AC%EA%B3%A0%EC%82%AC%EB%A6%AC%EA%B3%BC(Aspleniaceae) target=_blank>꼬리고사리과(Asplen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꼬리고사리속(Asplenium) target=_blank>꼬리고사리속(Asplenium)</a>
잎 : 엽병은 길이 40-60㎝로서 밑부분에 인편이 밀생. 인편은 선상 피침형 또는 피침형이고 연한 갈색으로 길이 10-15mm 폭 1-2mm이며 가장자리가 밋밋. 엽신은 삼각형 또는 난상 삼각형이고 길이 30-60㎝ 폭 20-40㎝로서 예첨두이며 3회 우상으로 깊게 갈라지고 밑부분이 좁아지지 않는다. 우편은 대생하며 예첨두로서 길이 15-30㎝ 폭 4-7㎝이고 밑부분이 좁아지지 않으며 짧은 대가 있고 소우편도 짧은 대가 있으며 열편은 긴 타원형으로서 가
열매 : 포자낭군은 중륵에 보다 가깝게 달리고 포막은 긴 타원형 또는 갈고리형이며 가장자리가 잘게 갈라진다.
뿌리 : 근경은 비스듬히 서고 잎이 총생.
분포 : 백양산과 제주도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
Read MoreNo Image
골고사리
학명 : Asplenium scolopendrium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C%AC%EB%A6%AC%EA%B3%A0%EC%82%AC%EB%A6%AC%EA%B3%BC(Aspleniaceae) target=_blank>꼬리고사리과(Asplen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꼬리고사리속(Asplenium) target=_blank>꼬리고사리속(Asplenium)</a>
이명 : 나도파초일엽 변산일엽
잎 : 엽병은 길이 10~20cm로서 근경과 더불어 연한 갈색 인편이 밀생한다. 엽신은 피침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밑부분은 심장저로서 좌우로 귀밑처럼 벌어지며 길이 15-40cm 나비 3.5-6cm이고 중륵과 뒷면에 선상의 갈색 인편이 있으며 측맥은 가늘고 1-2회 갈라진다.
열매 : 포자낭군은 엽신 밑 1/3정도에서 부터 측맥과 나란히 달리기 시작하며 선형으로서 2개씩 서로 마주 달리고 얼핏보기에 1개 같다. 포막은 길이 7-25mm이며 막질이다.
뿌리 : 근경은 짧고 누워 자라며 잎이 총생한다. 수염뿌리가 뻗는다.
분포 : ▶한국 일본 사할린 북아메리카 유럽 소아시아에 분포한다. ▶울릉도 변산반도 제주도 울릉도의 계곡에서 자생한다.
형태 : 상록다년초로 관엽식물이다.
특징 : ▶세계적으로 원예계에서 많이 알려지고 있는 식물이다.
-
Read MoreNo Image
골개고사리
학명 : Athyrium otophorum (Miq.) Koidz.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C%AC%EB%A6%AC%EA%B3%A0%EC%82%AC%EB%A6%AC%EA%B3%BC(Aspleniaceae) target=_blank>꼬리고사리과(Asplen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꼬리고사리속(Asplenium) target=_blank>꼬리고사리속(Asplenium)</a>
이명 : 물개고사리
잎 : 엽병은 길이 20-40㎝로서 중축과 우축에 홍자색이 돌고 밑부분에 인편이 달림. 인편은 선상 피침형이고 흑색 또는 흑갈색이며 윤채가 있다. 엽신은 삼각상 난형 또는 난상 타원형이고 윗부분이 갑자기 좁아져서 뾰족해지며 길이 30-50cm 폭 20-30㎝로서 2회 우상으로 갈라진다. 우편은 호생하고 피침형으로서 대가 거의 없으며 끝이 길게 뾰족해진다. 소우편은 난상 긴 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이고 대가 없으며 밑부분 앞쪽이 튀어나오고 예두 또는 둔두로서 가
열매 : 포자낭군은 소우편의 중륵 가까이에 달려서 비스듬히 평행해지며 포막은 넓은 피침형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곧은 것과 굽은 것이 있고 2개씩 맞닿은 것도 있다.
뿌리 : 근경 끝에서 잎이 총생.
분포 : 한라산에서 자란다.
형태 : 상록초본
-
Read MoreNo Image
거미고사리
학명 : Asplenium ruprechtii Sa.Kurata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C%AC%EB%A6%AC%EA%B3%A0%EC%82%AC%EB%A6%AC%EA%B3%BC(Aspleniaceae) target=_blank>꼬리고사리과(Asplen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꼬리고사리속(Asplenium) target=_blank>꼬리고사리속(Asplenium)</a>
이명 : 거미일엽초
잎 : 잎은 총생한다. 엽병은 길이 1~10cm이고 연한 갈색이며 하부에 자주색을 띠기도 한다. 엽신은 단엽이며 길이 5~15cm 나비 5~10mm이고 선형 또는 선상 피침형이며 밑이 쐐기모양이고 윗부분이 가늘어져 길게 되며 끝에 무성아를 형성하고 엽맥은 그물눈을 만든다. 표면은 녹색이고 가장자리는 밋밋하거나 불규칙한 파상이다.
열매 : 포자낭군은 선형 또는 장 타원형으로 중륵 양쪽 맥 위에 달리고 포막이 있다.
뿌리 : 근경은 짧다.
분포 : 제주를 제외한 거의 전도에 나며 일본 중국 만주 우수리 러시아에 분포한다.
형태 : 상록성 다년초
-
Read MoreNo Image
거꾸리개고사리
학명 : Athyrium reflexipinnum Hayata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C%AC%EB%A6%AC%EA%B3%A0%EC%82%AC%EB%A6%AC%EA%B3%BC(Aspleniaceae) target=_blank>꼬리고사리과(Asplen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꼬리고사리속(Asplenium) target=_blank>꼬리고사리속(Asplenium)</a>
이명 : 탐라뱀고사리
잎 : 엽병은 길이 5-12㎝로서 볏짚색이지만 약간 적자색이 돌며 밑부분에 인편이 달린다. 인편은 피침형 또는 선상 피침형으로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연갈색이며 잘 떨어진다. 엽신은 피침형 또는 선상 피침형이고 밑부분이 다소 좁아지며 길이 10-20㎝ 폭 2-4㎝로서 2회 우상으로 갈라지고 양면에 털이 없다. 우편은 대가 없으며 윗부분의 것 이외에는 밑으로 처지고 삼각상 피침형으로서 길이 2-2.5㎝ 폭 7-9mm이지만 특히 밑부분의 1-2쌍이 작으며 다소 떨
열매 : 포자낭군은 열편의 중륵 가까이에 달리고 포막은 긴 타원형 갈고리형 또는 말굽형이며 가장자리가 잘게 갈라진다.
뿌리 : 근경은 작고 비스듬히 서며 마른 엽병의 기부로 덮이고 끝에서 잎이 총생한다.
분포 : 제주도의 숲속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
Read MoreNo Image
개톱날고사리
학명 : Athyrium sheareri (Baker) Ching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C%AC%EB%A6%AC%EA%B3%A0%EC%82%AC%EB%A6%AC%EA%B3%BC(Aspleniaceae) target=_blank>꼬리고사리과(Asplen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꼬리고사리속(Asplenium) target=_blank>꼬리고사리속(Asplenium)</a>
이명 : 톱날고사리아재비
잎 : 엽병 기부에 인편이 있다. 인편은 선상 파침형이며 밋밋하고 갈색이다. 엽병은 털이 없으며 녹색이지만 중축과 더불어 다소 홍자색이 돌고 밑부분이 흑갈색이다. 실엽은 보다 크며 엽병의 길이가 30-60㎝이고 엽신은 난상 삼각형 또는 긴 타원형이며 길이 20-40㎝ 폭 10-20㎝로서 1회 우상으로 갈라지고 끝이 뾰족하다. 우편은 얕게 또는 깊게 갈라지며 밑부분의 우편에 대가 있거나 위쪽 우편 밑부분이 중축에 달려서 흐르고 열편은 둔두 또는 원두로서 가시같
열매 : 포자낭군은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서 중륵 가까이에 달리며 포막은 갈고리형 또는 둥근 신장형이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뿌리 : 근경은 땅 속으로 뻗으며 잎이 드문드문 나오고 인편이 있다.
분포 : 한라산 남쪽 산록에서 자란다.
형태 : 상록초본
-
Read MoreNo Image
개차꼬리고사리
학명 : Asplenium tripteropus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C%AC%EB%A6%AC%EA%B3%A0%EC%82%AC%EB%A6%AC%EA%B3%BC(Aspleniaceae) target=_blank>꼬리고사리과(Asplen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꼬리고사리속(Asplenium) target=_blank>꼬리고사리속(Asplenium)</a>
잎 : 엽병은 길이가 1∼8cm이고 밤색을 띤 갈색이며 광택이 있다. 잎몸은 줄 모양 또는 넓은 줄 모양이고 길이가 7∼25cm 폭이 1.5∼2.5cm이며 윗부분이 점차 좁아지고 끝이 둔하며 밑 부분이 좁다. 가운데 축은 밤색을 띤 갈색이고 광택이 있으며 좁은 날개가 있다. 잎조각은 장방형 또는 난형이다. 길이가 5∼13mm 폭이 3∼6mm이며 자루가 없고 끝이 둥글다. 잎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고 밑 부분은 넓은 쐐기 모양이며 좌우가 서로 다르다.
뿌리 : 근경은 짧고 곧게 서며 마른 엽병으로 덮이고 인편이 있다. 인편은 길이 3mm의 바소꼴이고 끝이 뾰족하며 어두운 갈색이고 가장자리의 색이 연하다.
분포 : 한국(제주) 일본 타이완 등지
-
Read MoreNo Image
개차고사리
학명 : Asplenium oligophlebium Baker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C%AC%EB%A6%AC%EA%B3%A0%EC%82%AC%EB%A6%AC%EA%B3%BC(Aspleniaceae) target=_blank>꼬리고사리과(Asplen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꼬리고사리속(Asplenium) target=_blank>꼬리고사리속(Asplenium)</a>
잎 : 엽병은 길이 2-8㎝ 지름 0.6-1mm로서 윤채가 있으며 밋밋하고 진한 자주빛을 띤 갈색이다. 엽신은 길이 7-15㎝ 나비 1.5-3.5㎝로서 1회우상복엽이며 피침형이고 중축은 엽병과 색이 같으며 끝이 자라서 땅에 닿으면 싹이 돋는다. 우편은 긴 타원형이고 가장자리가 깊게 또는 얕게 갈라지며 앞쪽 밑부분의 돌기가 뚜렷하다. 깃고사리와 비슷하지만 우편이 깊게 갈라지고 밑부분에 귀처럼 돌출한 부분이 뚜렷한 것이 다르다.
열매 : 포자낭군은 측맥 끝에 달리고 길이 0.7-1mm이다.
뿌리 : 근경은 짧고 비스듬히 서며 마른 엽병이 많이 달리고 잎이 총생한다.
분포 : 제주도에서 자란다.
형태 : 상록다년초
특징 : 깃고사리와 비슷하지만 우편이 깊게 갈라지고 밑부분에 귀처럼 돌출한 부분이 뚜렷한 것이 다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