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명 | Catalpa ovata G.Don |
|---|---|
| 과명 | 능소화과(Bignoniaceae) |
| 속명 | 개오동속(Catalpa) |
| 이명 | 개오동나무 향오동 |
| 잎 | 잎은 대생 또는 3윤생하며 광란형이고 길이 10~25cm로서 급한 점첨두이며 심장저이지만 대개 3-5개로 갈라지고 각 열편은 넓으며 점첨두이고 끝이 길게 뾰족해지며 표면은 자줏빛이 도는 녹색이고 털이 없으며 뒷면은 연한 녹색으로서 맥 위에 잔털이 있거나 털이 없고 엽병은 길이 6-14cm로서 자줏빛이 돈다. |
| 꽃 | 원추화서는 가지 끝에 달리며 길이 10-25cm로서 털이 없고 꽃은 6월에 피며 지름 25mm로서 황백색이고 양순이 있으며 안쪽 양면에 황색 선과 자주색 점이 있다. 화관은 종상이고 비스듬한 심장형이다. 수술은 완전한 것이 2개 꽃밥이 없는 것이 3개이고 기부에 자주색 반점이 있다. |
| 열매 | 삭과는 길이 20-36cm 지름 5-8mm로서 긴 선형이고 암갈색이며 10월에 익는다. 종자는 회갈색으로 편평하거나 또는 반관상(半管狀)이고 길이 3-4cm 나비 3mm로서 양쪽 끝에는 긴 백색의 털이 있다. 성숙한 과실을 재실(梓實)이라 하고 수피를 재백피(梓白皮)라 한다. |
| 줄기 | 가지가 퍼지고 소지는 털이 없거나 간혹 잔털이 있다. |
| 분포 | 전국 각지와 중국 일본에 분포한다. |
| 형태 | 낙엽 활엽 교목. |
| 유사종 | ▶꽃개오동: 북아메리카 원산. 높이 30m 잎은 대생 또는 윤생 난형 또는 난상 타원형 끝 부분은 긴 꼬리 모양이다. 원추화서는 길이 15-45cm 측면에 2개의 황색 선이 있고 안쪽에 2개의 황색 선과 자갈색 반점이 있다. |
| 특징 | 1904년경에 도입되어 중부 이북에 식재되어 온 수종이다. 맹아력이 강하다. |
|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
| 학명출전 | Gen. Hist. 4 : 230 (1837) |
| 참고문헌 |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TAG •
-
Read More
개족도리풀
학명 : Asarum maculatum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쥐방울덩굴과(Aristolochiaceae) target=_blank>쥐방울덩굴과(Aristoloch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족도리풀속(Asarum) target=_blank>족도리풀속(Asarum)</a>
이명 : 개족도리 개족두리풀 섬세신 섬족도리 섬족도리풀 섬족두리풀 알락족두리풀 알룩세신
잎 : 잎은 짧은 줄기끝에 1-2장씩 붙으며 털이 없고 심장상 신장형 또는 삼각상 난형이며 심장저이고 길이 8cm 폭 7cm정도로서 표면은 짙은 녹색이며 백색 무늬가 있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뒷면에 털이 약간 있는 것도 있다. 엽병은 길이 2.5-13cm이다.
꽃 : 화경은 엽병보다 짧으며 짧은 줄기끝에 짧은 화경이 나와 끝에 항아리 모양의 흑자색 꽃이 수그러져 달린다. 꽃은 길이 16-20mm 지름 10mm로서 5-6월에 피며 끝이 3개로 갈라지고 그 속에 털은 없으나 능선이 있다.
열매 : 열매는 화피열편과 더불어 길이 3cm정도이며 종자는 반타원형이다.
뿌리 : 근경은 비스듬히 서며 길이 1-6cm 지름 3-5mm로서 백색 뿌리가 퍼지고 위끝에 넓은 난형의 적갈색 인편이 1-3개 붙어 있다. 마디가 많고 다육질이며 수염뿌리가 많다.
분포 : 제주도 및 남해안 일대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족도리(A. sieboldii `Miq.)는 제주도를 제외하고 전국적으로 분포한다.
특징 : ▶족도리풀과 비슷하지만 잎이 보다 두껍고 무늬가 있는 것이 다르다.
▶꽃이 땅에 낮게 붙어서 피며 잎에 가려서 눈에 잘 띄지 않는다.
꽃에서 좋지 않은 냄새가 나므로 일반 곤충이 수정을 매개하기는 어렵고 개미와 같이 땅에서 기어다는 곤충에 의해 수정이 이루어진다.
종명 maculatum은 `반점이 있다.`는 뜻으로 잎에 무늬가 있다는 뜻이다.
[특산식물] [약관심종]
평가내용:약관심종 / 국제단위
-
Read MoreNo Image
개제비난
학명 : Coeloglossum viride var. bracteatum (Willd.) Rich.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B%82%9C%EC%B4%88%EA%B3%BC(Orchidaceae) target=_blank>난초과(Orchid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개제비란속(Coeloglossum) target=_blank>개제비란속(Coeloglossum)</a>
이명 : 몽울난초 몽울란초 큰몽울란 큰용울란
잎 : 잎은 긴 타원형 또는 넓은 피침형이고 길이 4-10cm 넓이 1.5-4cm로서 끝이 둔하지만 위로 올라갈수록 뾰족해진다.
꽃 : 꽃은 5-7월에 피며 연한 녹색 바탕에 갈색이 돌고 줄기 끝의 총상화서는 길이 4-12cm로서 꽃이 많이 달리며 포는 꽃보다 길고 피침형이며 길이 1-4cm로서 녹색이다. 꽃받침잎은 좁은 난형이고 끝이 둔하며 길이 5-7mm이고 5-7맥이 있으며 꽃잎은 선상 피침형으로서 1맥이 있고 꽃받침보다 짧다. 순판은 홍자색을 띠며 아래로 처지고 길이 5-7mm이며 3개로 갈라지고 중앙부의 것이 짧다. 거(距)는 길이 3mm 로서 좁은 난형이다.
줄기 : 높이 15-30cm이며 2-8개의 잎이 호생한다.
뿌리 : 뿌리의 일부분이 굵어지고 갈라지며 흰육질의 수염뿌리가 있다.
분포 : ▶함북 중국 일본 시베리아 천도 캄차카 북미에 분포한다. ▶한라산(표고 1500m 지점)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이다.
유사종 : ▶포태제비란: 개제비란에 비하여 작고 거(距)도 길이 1mm 정도이다.
특징 : 개제비란속은 북반구 온대 지방에 소수로 분포하며 우리나라에는 1종 1변종이 분포한다.
-
Read MoreNo Image
개정향풀
학명 : Trachomitum lancifolium (Russanov) Pobed.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협죽도과(Apocynaceae) target=_blank>협죽도과(Apocyn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개정향풀속(Trachomitum) target=_blank>개정향풀속(Trachomitum)</a>
이명 : 갯정향풀다엽꽃
잎 : 잎은 원줄기에서는 호생하며 가지에서는 대생하고 피침형 또는 타원형이며 둥근 끝에 엽맥의 연장인 돌기가 있고 길이 2.5~5.5cm 나비 5-17mm로서 밑부분이 둔하거나 둥글며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엽병은 길이 2mm정도이다.
꽃 : 꽃은 6월에 피며 자주색이고 정생하는 원추화서로 달리며 소화경은 꽃받침과 더불어 잔털이 있다. 꽃받침은 5개로 깊게 갈라지고 열편은 피침형이며 길이 1.5mm정도로서 가장자리가 백색 막질이고 화관은 통부의 길이가 3.5mm정도로서 윗부분이 5개로 갈라진다.
열매 : 열매는 골돌로 얇고 길이 12cm정도이며 종자에 머리카락 같은 종모가 있다.
줄기 : 높이 40-80cm이고 털이 없으며 가지는 가늘고 분백색이 돈다.
뿌리 : 근경은 목질.
분포 : 단양에서 평택을 거쳐 북부지방에까지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
Read MoreNo Image
개잠자리난초
학명 : Habenaria cruciformis Ohw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B%82%9C%EC%B4%88%EA%B3%BC(Orchidaceae) target=_blank>난초과(Orchid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해오라비난초속(Habenaria) target=_blank>해오라비난초속(Habenaria)</a>
꽃 : 꽃은 8월에 피고 백색이며 꽃줄기 끝에 총상화서로 달린다.
줄기 : 줄기는 곧게 선다.
특징 : 잠자리난초보다 개체의 키가 많이 크고 꽃은 훨씬 더 많이 다리고 더 날렵하게 생겼다. 순판이 더 짧고 뒤로 날렵하게 제껴져 있고 거가 짧고 끝이 뭉툭하며 좌우 아래쪽 꽃잎이 사람의 귀처럼 뒤로 발랑 제껴져 있습니다.
-
Read MoreNo Image
개자리
학명 : Medicago polymorpha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콩과(Leguminosae) target=_blank>콩과(Leguminos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개자리속(Medicago) target=_blank>개자리속(Medicago)</a>
이명 : 고여독꽃자리풀
잎 : 잎은 호생하며 엽병이 있고 3출엽이며 소엽은 넓은 도란형이고 원두이며 예저이고 길이 1~2cm 나비 7-15mm로서 윗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으며 탁엽은 반난형이고 깊은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5월에 피며 황색이고 엽액에 두상으로 달리며 포는 선형이고 작으며 꽃받침은 길이 2mm정도이다.
열매 : 열매는 협과로 2~3회 말리고 지름 5~6mm로서 맥이 있으며 가장자리에 갈고리같은 가시가 있다.
줄기 : 털이 없거나 약간 있고 밑에서 가지가 많이 갈라져 옆으로 기거나 비스듬히 선다.
분포 : ▶북미 아시아에 널리 분포. ▶전국 각처.
형태 : 이년초.
특징 : 녹비 또는 목초자원으로 심었던 것이 펴져 야생상으로 된 것이 있다.
-
Read MoreNo Image
개잎갈나무
학명 : Cedrus deodara (Roxb. ex D.Don) G.Don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소나무과(Pinaceae) target=_blank>소나무과(Pin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개잎갈나무속(Cedrus) target=_blank>개잎갈나무속(Cedrus)</a>
이명 : 설송 히마라야시다
잎 : 잎은 짧은 가지에 30개가 총생하고 길이 3-4cm로서 녹색이며 끝이 뾰족하고 단면은 삼각형이며 1개씩 달리지만 짧은 가지에서는 윤생한 것처럼 보인다.
꽃 : 꽃은 일가화로서 10월에 피고 짧은 가지 끝에 위를 향해 달리며 웅화수는 원주형이고 길이 3-5cm이며 자화수는 난형으로 길이 3-4cm이다.
열매 : 구과는 타원형이며 길이 7-10cm 지름 6cm정도로서 녹색이 도는 회갈색이다. 실편은 넓은 선상(扇狀) 삼각형이고 가장자리와 뒷면이 밋밋하지만 겉에 잔털이 있으며 종자가 2개씩 들어 있다. 종자는 삼각형으로 넓은 막질의 날개가 있고 자엽은 9-10개이며 날개는 길이 2.2-3.7cm이다. 다음해 10월에 성숙한다.
줄기 : 수고가 30m에 달하고 가지가 수평으로 퍼지며 소지에 털이 있고 밑으로 처지며 수피는 회갈색이고 얇은 조각으로 벗겨진다.
분포 : 남쪽지방에서 조경수로 심어왔다.
형태 : 상록 침엽 교목.
특징 : ▶1930년경 우리나라에 도입되었다. ▶히말라야 시다의 명소라고 하면 부산의 용두산 공원의 군식을 우선 손꼽을 수 있으며 광주의 가로수도 인상적이다. ▶침엽수이면서도 잎은 전혀 억세지 않고 연한 녹색의 부드러운 촉감이 인상적이다.
-
Read MoreNo Image
개위봉배나무
학명 : Pyrus pseudouipongensis Uyek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장미과(Rosaceae) target=_blank>장미과(Ros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배나무속(Pyrus) target=_blank>배나무속(Pyrus)</a>
잎 : 잎은 호생하고 원형이며 긴 점첨두이고 넓은 예저 또는 원저이며 길이 4~5cm 폭 3.5cm로서 양면에 털이 없고 5~10쌍의 측맥이 있으며 가장자리에 뾰족한 톱니가 있고 엽병은 길이 2~5.5cm로서 털이 없다. 높이가 6m에 달한다.
꽃 : 꽃은 백색이고 지름 3~3.5cm로서 엽액에서 5~10송이씩 산방화서로 달리고 소화경은 길이 1~2cm이다. 꽃받침잎은 떨어지며 뚜렷한 피목이 많고 소과경은 짧으며 털이 없다.
열매 : 과실은 이과로 짧은 가지에 1~2개가 달리며 도란형으로 지름 1.6~2.2cm로서 황갈색에서 흑색으로 익으며 종자는 길이 5~7mm로서 흑색 또는 암갈색이다.
줄기 : 수피가 흑갈색이며 소지는 회갈색으로서 털이 없고 피목은 둥글며 백색이고 동아는 털이 없으며 적갈색이다.
분포 : 위봉산
형태 : 낙엽활엽소교목이다.
-
Read MoreNo Image
개옻나무
학명 : Rhus tricocarpa Miq.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옻나무과(Anacardiaceae) target=_blank>옻나무과(Anacard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붉나무속(Rhus) target=_blank>붉나무속(Rhus)</a>
이명 : 개옷나무 새옷나무 털옷나무
잎 : 잎은 호생하며 길이 25-50cm로서 기수1회우상복엽이고 가지끝에 모여 달리고 소엽은 7-15개이며 엽병이 짧고 난형 또는 긴 타원형이며 점첨두 원저이고 길이 4-10cm 폭 3-5cm로서 표면은 맥 위에 털이 있거나 거의 없으며 뒷면에 털이 있고 가장자리가 밋밋한 것과 2-3개의 톱니가 있는 것이 섞여 있다. 암 수의 그루가 다르다. 잎이 가을철에 붉게 단풍이 든다.
꽃 : 원추화서는 액생하며 길이 15-30cm로서 갈색 털이 밀생하고 꽃은 이가화로서 황록색의 작은 꽃이 조밀하게 달린다. 꽃받침 꽃잎 및 수술이 각 5개이고 암꽃은 5개의 작은 수술과 3개의 암술머리가 있는 1개의 1실 자방이 있다. 꽃은 6-7월에 핀다.
열매 : 열매는 지름 6mm인 핵과로 편구형이며 자모(刺毛)로 덮여 있고 10월에 황갈색으로 익는다.
줄기 : 낙엽 소교목으로서 높이가 7m에 달하지만 흔히 관목상으로 되며 소지는 엽축과 더불어 붉은빛이 돌고 잎과 더불어 갈색 털이 많다.
분포 : 전국 산야에 자생한다. ▶일본과 중국에도 분포한다.
형태 : 낙엽활엽소교목:흔히 관목성이다.
특징 : 가을에 양지쪽에서 볼 수 있는 진홍색 단풍은 대부분 개옻나무와 붉나무이다.
-
Read MoreNo Image
개오동
학명 : Catalpa ovata G.Don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B%8A%A5%EC%86%8C%ED%99%94%EA%B3%BC(Bignoniaceae) target=_blank>능소화과(Bignon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개오동속(Catalpa) target=_blank>개오동속(Catalpa)</a>
이명 : 개오동나무 향오동
잎 : 잎은 대생 또는 3윤생하며 광란형이고 길이 10~25cm로서 급한 점첨두이며 심장저이지만 대개 3-5개로 갈라지고 각 열편은 넓으며 점첨두이고 끝이 길게 뾰족해지며 표면은 자줏빛이 도는 녹색이고 털이 없으며 뒷면은 연한 녹색으로서 맥 위에 잔털이 있거나 털이 없고 엽병은 길이 6-14cm로서 자줏빛이 돈다.
꽃 : 원추화서는 가지 끝에 달리며 길이 10-25cm로서 털이 없고 꽃은 6월에 피며 지름 25mm로서 황백색이고 양순이 있으며 안쪽 양면에 황색 선과 자주색 점이 있다. 화관은 종상이고 비스듬한 심장형이다. 수술은 완전한 것이 2개 꽃밥이 없는 것이 3개이고 기부에 자주색 반점이 있다.
열매 : 삭과는 길이 20-36cm 지름 5-8mm로서 긴 선형이고 암갈색이며 10월에 익는다. 종자는 회갈색으로 편평하거나 또는 반관상(半管狀)이고 길이 3-4cm 나비 3mm로서 양쪽 끝에는 긴 백색의 털이 있다. 성숙한 과실을 재실(梓實)이라 하고 수피를 재백피(梓白皮)라 한다.
줄기 : 가지가 퍼지고 소지는 털이 없거나 간혹 잔털이 있다.
분포 : 전국 각지와 중국 일본에 분포한다.
형태 : 낙엽 활엽 교목.
유사종 : ▶꽃개오동: 북아메리카 원산. 높이 30m 잎은 대생 또는 윤생 난형 또는 난상 타원형 끝 부분은 긴 꼬리 모양이다. 원추화서는 길이 15-45cm 측면에 2개의 황색 선이 있고 안쪽에 2개의 황색 선과 자갈색 반점이 있다.
특징 : 1904년경에 도입되어 중부 이북에 식재되어 온 수종이다. 맹아력이 강하다.
-
Read MoreNo Image
개염주나무
학명 : Tilia semicostata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피나무과(Tiliaceae) target=_blank>피나무과(Ti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피나무속(Tilia) target=_blank>피나무속(Tilia)</a>
잎 : 잎은 호생하며 넓은 난형 또는 원형이고 첨두 심장저이며 길이 10~12cm 로서 표면에 털이 없고 뒷면에 백색 성모가 밀생하며 가장자리에 침상의 잔톱니가 있다. 엽병은 회갈색 털이 있고 맹아의 잎은 길이 20cm이며 잎 뒷면에 털이 소생(疎生)한다.
꽃 : 꽃은 엽액에 취산화서로 달리며 화경은 회갈색 성모가 있고 화경의 포는 도피침형 둔두이며 길이 6.5-7.5cm로서 표면에 털이 있고 뒷면에 성모가 있다.
열매 : 열매는 견과로 한 과경에 2-3개씩 달리며 도란상 구형이고 능선이 중앙 이하까지 발달하며 길이 9-10mm로서 갈색 성모가 덮여 있다.
줄기 : 높이가 15m에 달하고 소지에 회갈색 밀모가 있다.
분포 : 진남포 앞 비발도. 경상 북도 평안 북도 함경 북도.
형태 : 낙엽교목.
-
Read MoreNo Image
개연꽃
학명 : Nuphar japonicum DC.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수련과(Nymphaeaceae) target=_blank>수련과(Nymphae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개연속(Nuphar) target=_blank>개연속(Nuphar)</a>
이명 : 개구리연 개연 긴잎련꽃 )
잎 : 잎은 근생이며 침수엽과 수상엽 2형이 있다. 침수엽은 길고 좁으며 가장자리가 파상이고 막질이다. 수상엽은 긴 난형 또는 긴 타원형이며 둔두 또는 원두이고 밑부분이 전형(箭形)이며 길이 20-30cm 폭 7-12cm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표면은 털이 없으나 뒷면은 어릴 때 털이 약간 있으며 광채나는 혁질이다.
꽃 : 꽃은 황색으로 8~9월에 피며 뿌리에서 원주형의 긴 화경(花梗)이 나와 황색 꽃이 1개씩 달리며 꽃은 지름 5cm이고 5개의 꽃받침잎은 넓은 도란형이며 원주이고 길이 2.5cm로서 꽃잎같으며 꽃잎은 많고 장방형으로서 밖으로 젖혀진다. 수술은 황색으로서 많으며 밖으로 굽고 자방은 광란형이며 다실(多室)이고 암술머리는 방석처럼 퍼지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서 난상 구형이며 물속에서는 초록색이고 길이 4cm내외이며 익으면 물컹해져 종자가 나온다.
뿌리 : 근경은 비후하고 옆으로 뻗으며 굳은 해면질(海綿質)이고 군데군데 잎이 달렸던 자리가 있다.
분포 : ▶일본에 분포한다. ▶전남 경기 강원도 등 중부 이남에 야생한다.
형태 : 다년생 수초이다.
-
Read MoreNo Image
개여뀌
학명 : Persicaria longiseta (Bruijn) Kitag.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마디풀과(Polygonaceae) target=_blank>마디풀과(Polygon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여뀌속(Persicaria) target=_blank>여뀌속(Persicaria)</a>
이명 : 여뀌
잎 : 잎은 호생하고 넓은 피침형 또는 피침형이며 양끝이 좁고 길이 4-8cm 폭 1-2.5cm로서 밋밋한 가장자리와 뒷면 맥 위에 털이 있다. 초상의 탁엽은 길이 5-10mm로서 이와 거의 같은 길이의 털이 가장자리에 있다.
꽃 : 꽃은 6~9월에 피며 길이 2-2.5mm로서 적자색 또는 백색이고 가지 끝에 길이 1-5cm의 수상화서와 비슷한 화서에 많은 꽃이 달린다.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며 붉은색이나 흰색인 것도 있다. 열편은 도란형이고 꽃잎은 없으며 8개의 수술과 3개로 갈라진 암술대가 있다. 자방은 상위이다.
열매 : 수과는 흑갈색이며 길이 1.8-2.2mm로서 난형이고 세모지며 꽃받침에 싸여 있다.
줄기 : 줄기는 높이 20-50cm이며 털이 없고 밑부분이 비스듬히 자라면서 땅에 닿으면 뿌리가 내리며 가지가 뻗어 곧게 자라므로 때로는 총생한 것처럼 보이고 적자색이 돈다.
분포 : 전국 각처에서 자란다.
형태 : 1년생 초본
유사종 : ▶이삭여뀌(P. filiforme): 전체에 거친 털이 퍼져 나고 마디가 굵다. 잎 양면에 털이 있으며 표면에 검은색 반점이 있다. ▶며느리배꼽(P. perfoliata): 잎은 삼각형 뒷면이 흰 가루로 덮이고 가장자리는 물결 모양 줄기와 함께 갈고리 모양의 가시가 있다. ▶미꾸리낚시(P. sieboldii): 털은 없으나 갈고리 모양의 가시가 있고 꽃은 줄기 끝이나 잎겨드랑에 두상으로 달린다. ▶쪽(P. tinctoria): 거의 털은
특징 : 전체에 털이 없고 잎 가장자리에는 수염털이 있다.
-
Read MoreNo Image
개억새
학명 : Eulalia speciosa (Debeaux) Kuntz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벼과(Gramineae) target=_blank>벼과(Gramin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개억새속(Eulalia) target=_blank>개억새속(Eulalia)</a>
이명 : 유드기
잎 : 잎은 근생엽과 화경(花莖)에 달리는 잎의 두가지가 있고 길이 30-50cm 나비 5-7㎜이지만 약간 뒤로 말려서 지름이 2-3mm로 되며 털이 없거나 밑부분에 짧은 백색 털이 있다. 엽설은 짧고 절두이며 엽초는 윗부분에 때로 백색 털이 있고 근생엽의 밑부분 겉에는 황갈색 밀모가 있다.
꽃 : 꽃은 7-8월에 피며 화서는 길이 3-4cm의 중축에 여러 개의 가지가 장상으로 달리고 길이 12-15㎝이며 황자갈색이다. 마디사이에 밀모가 있고 소수(小穗)는 각 마디에 2개씩 달리며 그 중 1개는 대가 있으나 1개는 대가 없고 길이 5mm정도로서 피침형이며 윗부분이 편평하고 뾰족하며 백색 털이 있다. 까락은 길이 2cm정도이고 속모가 포영보다 짧다.
줄기 : 높이 80-120cm이며 밀생하고 줄기 밑은 굽고 특히 굵으며 황갈색 밀모로 덮인 엽초로 싸여 있다.
분포 : 전국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
-
Read MoreNo Image
개양귀비
학명 : Papaver rhoeas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양귀비과(Papaveraceae) target=_blank>양귀비과(Papaver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양귀비속(Papaver) target=_blank>양귀비속(Papaver)</a>
이명 : 꽃양귀비 애기아편꽃
잎 : 잎은 호생하며 우상으로 갈라지고 열편은 선상 피침형으로서 끝이 뾰족하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5월경에 피고 적색이지만 여러 가지 품종이 있으며 가지 끝에 1송이씩 달리고 피기 전에는 밑을 향하다가 필 때에는 위를 향한다. 꽃받침잎은 2개로서 녹색이고 가장자리가 백색이며 겉에 털이 있고 꽃이 필 때 떨어지며 꽃잎은 4개가 교호로 대생하고 길이 3~4cm로서 다소 둥글다. 수술은 많으며 자방은 도란형이고 털이 없으며 암술대는 방사형이고 화경(花梗)에 퍼진 털이 있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 넓은 도란형이고 길이 1cm정도이며 털이 없다.
줄기 : 높이 30-80cm이고 전체에 털이 있다.
분포 : 관상용으로 재배한다.
형태 : 이년초
-
Read MoreNo Image
개앵도나무
학명 : Ribes mandshuricum f. subglabrum (Kom.) Kitag.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범의귀과(Saxifragaceae) target=_blank>범의귀과(Saxifrag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까치밥나무속(Ribes) target=_blank>까치밥나무속(Ribes)</a>
이명 : 산까치밥나무
잎 : 잎은 호생하고 둥글며 길이 5~10cm 나비 4~10cm이고 밑은 심형이며 3~5개로 갈라지고 겹톱니가 있으며 표면은 녹색으로 잔털이 있고 뒷면은 백융모가 밀생하며 엽병은 길이 1~6cm이다.
꽃 : 꽃은 양성화로 5월에 피고 길이 20cm 정도의 총상화서에 많은 꽃이 달린다. 포는 숙존성 꽃받침조각은 둥글고 꽃잎은 도란형이며 젖혀진다. 수술은 길게 밖으로 나오며 암술대는 2개로 갈라진다.
열매 : 과실은 장과로 구형이며 검붉게 익는다.
줄기 : 수피는 회색이며 소지는 갈색이고 동아는 난형으로 털이 있다.
분포 : 경남(지리산) 전북(덕유산) 강원 이북에 나며 만주 동부 시베리아에 분포한다.
형태 : 낙엽활엽 관목이다.
특징 : 개앵도나무는 까치밥나무에 비하여 잎뒷면 맥 위에만 털이 있고 화서에 털이 적다.
-
Read MoreNo Image
개암나무
학명 : Corylus heterophylla Fisch. ex Trautv.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자작나무과(Betulaceae) target=_blank>자작나무과(Bet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개암나무속(Corylus) target=_blank>개암나무속(Corylus)</a>
이명 : 개얌나무 깨금나무 난퇴물개암나무 난티닢개암나무 난티잎개암나무 물개암나무 쇠개암나무
잎 : 잎은 호생하고 난상 원형 또는 넓은 도란형이며 절두로서 흔히 난티잎같고 중륵 끝이 뾰족하며 원저 또는 아심장저이고 길이 6-12㎝ 폭 5-11cm로서 불규칙한 복거치가 있으며 측맥은 6-7쌍이고 표면은 잔털이 있으나 없어지며 뒷면은 황록색으로서 털이 있고 맥 위에 선모가 있다. 엽병은 길이 1-2cm이며 선모(腺毛)가 있으며 어린 잎의 표면에 적색 무늬가 있다.
꽃 : 꽃은 자웅동주로서 3월에 피고 수꽃이삭은 원주형이며 가지 끝에 2-3개 또는 5개씩 길게 늘어지고 길이 4-5cm이며 꽃밥은 황색이다. 암꽃이삭은 동아와 비슷하며 포와 암술머리가 보이고 암꽃은 각 포에 2개씩 달리며 총포는 종같고 열매를 둘러싸며 길이 3cm정도로서 털과 선모가 있다.
열매 : 견과는 구형이고 지름 15-20mm로서 10월에 갈색으로 익으며 털이 없고 숙존총포(宿存總苞)가 있으며 총포는 종모양으로서 열매를 둘러싼다. 종자의 인(仁)을 진자(榛子)라고 한다.
줄기 : 수피는 윤이나는 회갈색이며 새가지는 갈색으로 선모(腺毛)가 있다.
분포 : ▶일본 중국 만주 등지에 분포한다. ▶표고 50-1 500m 수평적으로 전국 각지의 산야에 야생한다.
형태 : 낙엽 활엽 관목.
유사종 : ▶개암나무(var. thunbergii Blume): 잎의 끝이 갈라지지 않고 절두가 아니다. 전 지역에서 자란다. 경상도에서는 이를 깨금나무라고도 한다. ▶참개암나무(C. sieboldiana Bl.): 잎은 도란형 난형 타원형 가장자리에 겹톱니 뒷면의 맥 위에 털이 있다.
특징 : 학자에 따라서는 개암나무과로 독립시킨 경우도 있다.
-
Read MoreNo Image
개아마
학명 : Linum stelleroides Planch.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아마과(Linaceae) target=_blank>아마과(Lin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아마속(Linum) target=_blank>아마속(Linum)</a>
이명 : 들아마
잎 : 생장 초기의 잎은 선형이며 뭉쳐나 로제트형으로 벌어지며 경생엽은 호생하고 길이 1-3cm 폭 2-3mm로서 선형이며 엽병이 없고 3맥이 있다. 잎의 앞뒷면은 분백색을 띤 남녹색으로 털이 없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며 밑부분이 점차 좁아져서 나중에는 원줄기에 붙는다.
꽃 : 꽃은 6월에 지름 1cm가량의 연한 남자색으로 줄기나 가지 윗부분의 엽액에 총산화서 비슷하게 달린다. 꽃받침잎은 5개로서 타원형 또는 넓은 난형이며 길이 3-3.5mm로서 끝이 뾰족하고 3맥이 있으며 흑색의 선점이 있고 다소 막질이다. 꽃잎은 도란형으로 길이 5-10mm이다. 수술은 5개이며 수술대의 기부는 통으로 합착되며 1개의 암술이 있다.
열매 : 삭과는 지름 3.5-4mm가량으로 둥글고 5실이며 끝이 뾰족하다. 종자는 납작스름한 긴 타원형으로 길이 2mm 가량이며 광택이 나는 갈색이다.
줄기 : 줄기는 가늘고 곧게서며 털이 없고 윗부분에서 가지를 친다. 원줄기는 둥글며 높이 40-60cm정도 자란다.
분포 : 한국 중국 일본 러시아 등에 분포한다.
형태 : 일년생 초본이다.
-
Read MoreNo Image
개아그배나무
학명 : Malus micromalus Makino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장미과(Rosaceae) target=_blank>장미과(Ros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사과나무속(Malus) target=_blank>사과나무속(Malus)</a>
이명 : 개아그배 장기아그배나무 제주아그배 좀아그배나무
잎 : 잎은 호생하며 긴 타원형이고 첨두 예저이며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고 어린 잎이 면모로 덮여 있지만 곧 없어진다. 잎 길이 7-11cm 폭2.5-4.5cm로서 표면은 짙은 녹색이다. 엽병은 길이 1.5-4cm로서 털이 약간 있고 탁엽은 작으며 일찍 떨어진다.
꽃 : 꽃은 5월에 지름 3-4cm로서 연홍색이고 산형화서에 달리며 소화경은 길이 2.5-3cm로서 잔털이 있다. 꽃받침잎은 꽃받침통과 더불어 털이 있고 끝이 뾰족하며 꽃잎은 5개이고 끝이 오므라지고 수평으로 퍼지며 도란상 타원형 또는 도란상 긴 타원형이고 밑부분이 뾰족하다. 암술대는 4-5개로서 잔털이 기부에 밀생하며 수술은 20개 또는 그 이상이다.
열매 : 열매는 이과(梨果)로서 편구형이며 9월에 황색바탕에 연한 홍색이 돌고 1-7개씩 달리며 지름 15mm정도로서 기부가 우묵하게 들어가지만 끝이 둥글고 꽃받침이 달려 있는 것이 많으며 개아그배라고도 한다.
줄기 : 높이가 7m에 달하며 가지는 자줏빛이 돌고 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진다.
분포 : 제주도에서 자란다.
형태 : 낙엽활엽목
특징 : ▶중국 원산이라는 학설도 있으나 확실치 않다.
-
Read MoreNo Image
개씀배
학명 : Prenanthes tatarinowii Maxi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왕씀배속(Prenanthes) target=_blank>왕씀배속(Prenanthes)</a>
이명 : 나도씀배 쇠씀배기 씀배아재비
잎 : 밑부분의 잎은 길이 22-24cm이고 엽병은 길이 9-11.5cm로서 날개가 없으며 밑부분이 원줄기를 감싸지 않고 윗부분에 2개의 긴 타원상 열편이 있으며 엽신은 난상 삼각형이고 짧은 첨두이며 예저 또는 아심장저로서 양면이 다소 거칠고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결각상의 톱니가 있으며 윗부분의 잎은 점차 다소 작아진다.
꽃 : 두화는 꽃이 필 때 처지고 원추화서에 달리며 화경은 길이 5-10mm로서 털이 밀생하고 포는 길이 0.5mm로서 긴 타원상 피침형이다. 총포는 길이 9-10mm이며 중앙부의 나비가 3mm로서 털이 밀생하고 외포편은 난형 또는 난상 긴 타원형으로서 첨두이며 2줄이고 내포편은 선형이며 5줄이다. 화관은 털이 없고 길이 12mm 나비 1.8-2mm이다.
열매 : 수과는 길이 4mm 나비 0.6-0.7mm로서 흑선색 점이 있고 관모는 길이 6.5mm로서 갈색이다.
줄기 : 높이가 11cm에 달하며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진다.
분포 : 북부지방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
Read MoreNo Image
개쓴풀
학명 : Swertia diluta var. tosaensis (Makino) H. Hara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용담과(Gentianaceae) target=_blank>용담과(Gentian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쓴풀속(Swertia) target=_blank>쓴풀속(Swertia)</a>
이명 : 나도쓴풀 좀쓴풀
잎 : 잎은 대생 밑부분의 것은 긴 타원상 도피침형 또는 도란형이고 길이 2~5cm 나비 3-10mm로서 끝이 둔하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엽병이 없다.
꽃 : 꽃은 9월경에 피며 지름 15mm정도로서 흰색 바탕에 연한 자주색 줄이 있고 줄기 윗부분이나 가지의 엽액에 한송이에서 여러송이씩 달려 전체가 좁은 원추형으로 된다. 꽃받침잎은 피침형 또는 넓은 피침형이며 밑부분이 다소 좁고 화관과 길이가 거의 비슷하거나 약간 짧으며 화관열편은 길이 8-12mm이고 선체(腺體)는 열편 밑부분에 2개씩 있으며 피침형으로서 가장자리에 긴 털이 있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 화관보다 다소 길고 좁은 난형이며 종자는 다소 둥글고 거의 평활하다.
줄기 : 높이 5-35cm이고 다소 가지가 갈라지며 털이 없고 다소 네모가 지며 줄기는 엷은 노란색이고 곧게 선다.
뿌리 : 뿌리에 쓴맛이 없음
분포 : 제주도 충청 북도 예산 충청 북도 장호원 황해도 서흥
형태 : 이년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