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명 | Potentilla supina L. |
|---|---|
| 과명 | 장미과(Rosaceae) |
| 속명 | 양지꽃속(Potentilla) |
| 이명 | 개쇠스랑개비 깃쇠스랑개비 수소시랑개비 큰양지꽃 |
| 잎 | 잎은 호생하고 우상복엽이며 소엽은 5~9개이고 엽병이 길다. 소엽은 타원형 또는 피침형으로 양끝이 좁고 가장자리에 결각상 톱니가 있으며 탁엽은 난상 피침형으로 끝이 뾰족하다. |
| 꽃 | 꽃은 5~7월에 황색으로 피고 가지 끝이나 잎짬에 취산화서로 달린다. 꽃받침조각은 난형으로 끝이 뾰족하고 부악편은 난상 장 타원형이며 꽃잎은 꽃받침보다 짧고 각각 5개이다. 암술과 수술은 많고 화탁에 털이 있다. |
| 열매 | 과실은 수과로 털이 없다. |
| 줄기 | 줄기는 모여 나고 밑부분이 비스듬하게 옆으로 자라다가 곧줄기는 모여 나고 밑부분이 비스듬하게 옆으로 자라다가 곧추 선다. |
| 분포 | 충북 강원 경기 이북에 나며 북반구의 온대에 분포한다. |
| 형태 | 다년초이다. |
|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
|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TAG •
-
Read MoreNo Image
돌양지꽃
학명 : Potentilla dickinsii Franch. & Sav.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장미과(Rosaceae) target=_blank>장미과(Ros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양지꽃속(Potentilla) target=_blank>양지꽃속(Potentilla)</a>
이명 : 바위양지꽃
잎 : 근생엽은 엽병이 길고 총생하며 소엽은 3개(간혹 5개)이고 사각상 난형 또는 타원형이며 길이 2.5-5cm 폭1.5-3cm로서 뒷면이 분백색이고 끝이 뾰족하거나 둔하며 가장자리에 뾰족한 톱니가 있고 탁엽은 피침형이며 끝이 뾰족하다. 경생엽은 3출 또는 우상으로 갈라지고 소엽은 길이 2cm의 난형으며 가장자리에 뾰족한 톱니가 있고 뒷면이 백색이다.
꽃 : 꽃은 6-7월에 피고 지름10mm내외로서 황색이며 화탁에 길이 2mm 의 백색털이 밀생하고 정생 또는 액생하는 취산화서에 10개 내외의 꽃이 달린다. 꽃받침잎은 끝이 뾰족하며 좁은 난형이고 부악편은 피침형이며 꽃밥은 넓은 난형이고 암술대는 길이 1.5mm이다.
열매 : 수과는 난형이며 갈색으로서 밋밋하고 밑부분에 수과보다 긴 꼬불꼬불한 털이 있다.
줄기 : 높이가 10-20cm이며 전체에 복모가 밀생한다.
뿌리 : 근경은 굵고 목질이다.
분포 : 전국의 표고 500m 이상의 산지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우리 나라에 자생하는 potentilla 속 식물은 20여종에 이르는데 돌양지꽃과 같 이 고산성식물은 한라산 1 500m 이상에서 자생하는 좀양지꽃(P. matsumurae) 을 비롯하여 백두산에 자생하는 은양지꽃(P. nivea)이 있다. ▶참양지꽃 (var.breviseta NAK.):수과 밑에 있는 털이 수과보다 훨씬 짧다. ▶섬양지꽃 (var.glabrata NAK.):잎의 맥 위에만 털이 있고 뒷면이 회청색이 아니며 울릉도에서 자란다.
특징 : 속명 Potentilla는 라틴어 potens(강력)의 축소형이며 처음에는 P. auserina 의 강한 약효때문에 생겼다.
-
Read MoreNo Image
덩굴뱀딸기
학명 : Potentilla flagellaris Willd. ex Schltd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장미과(Rosaceae) target=_blank>장미과(Ros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양지꽃속(Potentilla) target=_blank>양지꽃속(Potentilla)</a>
이명 : 줄뱀양지꽃
잎 : 근생엽은 4~10cm 탁엽은 갈색이며 막질이고 강모로 덮여 있다. 엽신은 5출엽이고 소엽은 엽병이 없으며 잎표면은 녹색이고 피침형 도피침형 또는 장타원형으로서 길이 1.5~3cm 너비 0.7~1.5cm이며 양면에 털이 있다. 엽저는 쐐기모양이고 엽두는 첨두 또는 점첨두이며 엽연은 불규칙하게 3~6개로 갈라진 톱니가 있으며 바깥쪽 2개의 소엽은 때때로 설형이다. 포복지의 잎은 근생엽과 같으며 탁엽은 녹색으로서 난상피침형이고 엽연은 대개
꽃 : 꽃은 1개씩 자라며 대생하고 지름은 1~1.5cm이고 꽃받침은 난상타원형이고 첨두이다. 악상총포의 열편은 꽃받침보다 약간 작으며 털이 많다. 화판은 황색이고 꽃받침보다 약간 길며 윗부분은 약간 갈라지거나 둥글다. 화주는 끝이 가늘고 주두는 끝이 약간 넓어진다.
열매 : 성숙한 수과는 원주상 난형이며 수포모양의 돌기가 있다.
줄기 : 포복지는 8?60cm이고 엽병과 함께 털이 많다.
뿌리 : 뿌리는 모여나며 가늘다.
분포 : 중국 한국 러시아
형태 : 다년생 초본으로써 포복지를 가진다.
-
Read MoreNo Image
눈양지꽃
학명 : Potentilla egedei var. groenlandica (Tratt.) Polunin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장미과(Rosaceae) target=_blank>장미과(Ros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양지꽃속(Potentilla) target=_blank>양지꽃속(Potentilla)</a>
이명 : 누운딱지꽃 누운양지꽃
잎 : 근생엽은 1회우상복엽이며 길이 10-40cm이고 소엽은 13-19개이며 엽축에 달려 있는 소엽편이 있다. 소엽은 긴 타원형이고 길이 2-5cm 폭 7-20mm로서 표면에 털이 없거나 긴 털이 있으며 뒷면에 백색 면모가 있어 흰빛이 돌고 특히 맥위에 긴 견모가 있으며 가장자리에 뾰족한 톱니가 있다. 포복지의 잎은 극히 작고 탁엽은 건막질이며 엽병에 붙어 있다.
꽃 : 꽃은 8월에 피고 지름 2-3cm로서 황색이며 소화경은 포복지에서 1개씩 액생하고 특히 윗부분에 털이 다소 있다. 꽃받침잎은 5개이고 끝이 뾰족한 난상 삼각형이며 길이 4-6mm 이고 부악편은 보통 넓은 피침형으로서 꽃받침보다 작으며 꽃잎은 5개이고 넓은 도란형이다. 꽃밥은 타원형이며 암술대는 길이 2mm정도이다.
열매 : 열매는 수과로 평활하고 뒷면이 둥글다.
줄기 : 포복지가 있다.
분포 : 강원도 낙산사 근처 바닷가에서부터 북부지방에까지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
Read MoreNo Image
끈끈이딱지
학명 : Potentilla viscosa J.Don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장미과(Rosaceae) target=_blank>장미과(Ros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양지꽃속(Potentilla) target=_blank>양지꽃속(Potentilla)</a>
이명 : 끈끈이딱지꽃
잎 : 근생엽은 모여 나고 경엽은 호생하며 우상복엽으로 소엽은 5~13개이다. 소엽은 선상 장 타원형으로 끝은 둔하고 밑은 쐐기모양이며 가장자리에 깊은 톱니가 있고 엽면에 부드러운 털이 있으며 탁엽은 피침형으로 기부가 엽초로 되어 줄기를 싼다.
꽃 : 꽃은 7∼8월에 황색으로 피고 가지 끝이나 잎짬에 취산화서로 달리며 포는 결각상 톱니가 있다. 꽃받침조각은 난상 장 타원형 부악편은 난상 피침형 꽃잎은 도란형으로 각각 5개이다.
열매 : 과실은 수과로 털이 없다.
줄기 : 상부에서 분지하며 끈끈한 털이 밀생한다.
분포 : 함남북에 나며 만주 몽고 아무르 우수리 시베리아 중앙아시아 유럽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이다.
-
Read MoreNo Image
검은낭아초
학명 : Potentilla palustris (L.) Scop.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장미과(Rosaceae) target=_blank>장미과(Ros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양지꽃속(Potentilla) target=_blank>양지꽃속(Potentilla)</a>
이명 : 검은꽃낭아초 자주쇠스랑개비
잎 : 잎은 호생하고 3-7개의 소엽으로 구성된 기수 1회우상복엽이며 밑부분의 엽병은 더 길어서 길이 5-10cm이고 탁엽이 합생하여 엽초로 된다. 소엽은 길이 2-6cm 폭 1-3cm의 도란형 또는 긴 타원형으로 윗부분에 톱니가 있고 표면은 녹색이며 털이 약간 있거나 없고 뒷면은 흰빛이 돌며 견모가 산생한다. 탁엽은 막질로서 넓은 난형이고 자갈색이다.
꽃 : 꽃은 6-7월에 피며 지름 1.5-2.5cm의 흑자색 꽃이 1개 또는 몇개가 줄기 또는 가지끝에서 집산화서로 핀다. 소화경은 길이 2-2.5cm로서 화축과 더불어 부드러운 털과 선모(腺毛)로 덮인다. 꽃받침잎은 수평으로 퍼지며 길이 7-15mm로서 난형이고 부악편은 꽃받침보다 좁으며 짧고 각 5개씩이다. 꽃잎은 난형으로서 자줏빛이 돌고 끝까지 남아 있으며 꽃받침보다 짧고 화탁은 털이 없으며 꽃이 진 다음 겉에 구멍이 많은 육질로 된다. 수술과 암술은 여
열매 : 수과는 여럿이고 난형이며 황갈색으로서 납작하며 털이 없고 암술대가 달려 있으며 8-9월에 성숙한다.
줄기 : 높이 30-60cm이고 줄기는 속이 비었는데 하부는 휘었고 상부는 곧추 자라며 연한 홍갈색을 띠고 부드러운 털과 선모가 밀생한다.
뿌리 : 근경은 굵으며 목질화되며 옆으로 길게 뻗고 수염뿌리가 난다.
분포 : 한국 중국 일본 러시아극동부에 분포한다. 중부 이북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
Read MoreNo Image
개소시랑개비
학명 : Potentilla supina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장미과(Rosaceae) target=_blank>장미과(Ros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양지꽃속(Potentilla) target=_blank>양지꽃속(Potentilla)</a>
이명 : 개쇠스랑개비 깃쇠스랑개비 수소시랑개비 큰양지꽃
잎 : 잎은 호생하고 우상복엽이며 소엽은 5~9개이고 엽병이 길다. 소엽은 타원형 또는 피침형으로 양끝이 좁고 가장자리에 결각상 톱니가 있으며 탁엽은 난상 피침형으로 끝이 뾰족하다.
꽃 : 꽃은 5~7월에 황색으로 피고 가지 끝이나 잎짬에 취산화서로 달린다. 꽃받침조각은 난형으로 끝이 뾰족하고 부악편은 난상 장 타원형이며 꽃잎은 꽃받침보다 짧고 각각 5개이다. 암술과 수술은 많고 화탁에 털이 있다.
열매 : 과실은 수과로 털이 없다.
줄기 : 줄기는 모여 나고 밑부분이 비스듬하게 옆으로 자라다가 곧줄기는 모여 나고 밑부분이 비스듬하게 옆으로 자라다가 곧추 선다.
분포 : 충북 강원 경기 이북에 나며 북반구의 온대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이다.
-
Read MoreNo Image
당양지꽃
학명 : Potentilla rugulosa Kitag.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장미과(Rosaceae) target=_blank>장미과(Ros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양지꽃속(Potentilla) target=_blank>양지꽃속(Potentilla)</a>
이명 : 바위뱀딸 바위뱀무 바위양지꽃
잎 : 잎은 3출 또는 우상복엽으로 소엽은 3~9개이고 상부의 3소엽은 크기가 비슷하나 하부의 것은 소형이다. 소엽은 난상 타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길이 4cm 정도이며 가장자리에 치아상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6~7월에 황색으로 피고 줄기 끝 또는 상부의 잎짬에 취산화서로 달리며 소포가 있다. 꽃받침조각은 5개로 난형 부악편은 꽃받침과 동형으로 약간 작고 꽃잎은 5개로 도란형이며 수술은 다수이다.
열매 : 과실은 수과로 융모가 있다.
줄기 : 홍자색 또는 홍갈색을 띠고 전체에 누운털이 있다.
분포 : 중부 이북에 나며 만주 우수리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이다.
-
Read MoreNo Image
가락지나물
학명 : Potentilla anemonefolia Leh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장미과(Rosaceae) target=_blank>장미과(Ros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양지꽃속(Potentilla) target=_blank>양지꽃속(Potentilla)</a>
이명 : 가는잎쇠스랑개비 소스랑개비 쇠스랑개비 아기쇠스랑개비 작은잎가락지나물 큰잎가락지나물
잎 : 근생엽은 긴 엽병끝에 5출장상복엽이 달리고 줄기에 잎이 3개씩 달리며 엽병이 위로 올라갈수록 짧아진다. 소엽은 도피침형 또는 난형이고 둔두 예저이며 길이 1-5cm 폭 8-20mm로서 표면은 털이 성글게 있거나 없으며 뒷면 맥위에는 복모가 있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5-7월에 피며 지름 8-10mm로서 황색이고 줄기나 가지 끝의 취산화서에 많이 달리며 소화경은 길이 5-20mm로서 위를 향한 백색털이 있다. 부악편은 선형이고 꽃받침잎은 난형 또는 난상 피침형이며 예두로서 모두 겉에 털이 약간 있고 꽃잎은 도심장형이며 넓은 예저로서 각각 5개씩이며 수술과 암술은 많다.
열매 : 화탁은 가장자리에 짧은 털이 있으며 수과는 난형이고 황갈색이며 길이 0.5mm가량이고 털이 없으며 세로로 약간 주름이 지며 6-7월에 익는다.
줄기 : 높이 20-60cm이고 하반부가 비스듬히 자라며 엽액에서 가지가 옆으로 뻗고 끝이 위를 향하며 위로 향한 털이 있다.
뿌리 : 줄기의 마디에서 뿌리가 나기도 한다.
분포 : ▶한국 중국 일본 러시아극동부에 분포한다. ▶전국 각지의 낮은 지대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