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명 | Aster incisus Fisch. |
|---|---|
| 과명 | 국화과(Compositae) |
| 속명 | 참취속(Aster) |
| 이명 | 가새쑥부장이고려쑥부쟁이버드생이나물쑥부쟁이큰쑥부쟁이 |
| 잎 | 근생엽은 꽃이 필 무렵에는 말라 죽는다. 경생엽은 호생하며 긴 타원상 피침형 또는 피침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길이 8~10cm 폭 2.5cm 정도로서 밑부분이 점차 좁아져서 엽병처럼 되고 가장자리가 길게 우상으로 갈라지며 열편은 안쪽으로 굽고 표면은 녹색으로서 털이 없으며 윤채가 있고 위로 올라가면서 작어져서 선상 피침형으로 되며 양끝이 좁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
| 꽃 | 꽃은 7~10월에 피며 지름 3~3.5cm로서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달리고 총포는 반구형으로서 길이 5-6mm 지름 9-11mm이며 포편은 3줄로 배열되고 외편이 내편보다 약간 짧으며 끝이 뾰족한 피침형이다. 설상화는 길이 18mm 나비 2.5mm이다. |
| 열매 | 수과는 길이 3~3.5mm 나비 2mm로서 털이 있고 관모는 길이 0.5-1mm로서 붉은빛이 돈다. |
| 줄기 | 높이 1-1.5m이며 곧게 서고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지며 군데군데 털이 있다. |
| 분포 | 전국 각처에 분포한다. |
|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
|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
| 학명출전 | Mem. Soc. Imp. Natural. Moscou. 3: 76 (1812)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
TAG •
-
Read MoreNo Image
까실쑥부쟁이
학명 : Aster ageratoides Turcz.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참취속(Aster) target=_blank>참취속(Aster)</a>
이명 : 곰의수해까실쑥부장이 껄큼취 산쑥부쟁이흰까실쑥부쟁이
잎 : 근생엽과 밑부분의 잎은 꽃이 필 때 쓰러지고 경생엽은 호생하며 긴 타원상 피침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길이 10-14cm 폭 3-6cm로서 중앙에서 밑부분이 갑자기 좁아져 짧은 엽병으로 되고 표면은 거칠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드물게 있고 밑부분에 3맥이 있으며 위로 갈수록 점차 작아져서 가장 윗부분의 것은 길이 5mm정도로 된다.
꽃 : 꽃은 8-10월에 피고 지름 20mm로서 자주색이며 원줄기 끝에 산방화서에 달리고 화경은 길이 12-30mm로서 거칠다. 총포는 난형이며 길이 5mm 나비 8-10mm이고 포는 3줄로 배열되며 홍자색이 돌고 가장자리에 털이 약간 있으며 회포는 길이 2mm이다. 설상화는 1줄로 배열되고 화관은 길이 10-11mm 나비 2mm로서 하늘색이며 관모는 갈자색이고 길이 3mm이다.
열매 : 수과는 길이 2mm 폭 0.8mm로서 타원형이고 털이 있으며 9-10월에 익는다.
줄기 : 높이가 1m에 달하고 줄기는 곧게서며 때로는 붉은빛을 띠고 털이 있거나 없으며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지며 거칠다.
뿌리 : 근경이 가로 뻗으면서 번식하여 군집을 이룬다.
분포 : ▶한국 중국 러시아 인도북부에 분포한다. ▶전국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
-
Read MoreNo Image
갯쑥부쟁이
학명 : Aster hispidus Thunb.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참취속(Aster) target=_blank>참취속(Aster)</a>
이명 : 개쑥부장이개쑥부쟁이구계쑥부쟁이들쑥부쟁이묵국화흰개쑥부장이
잎 : 근생엽은 꽃이 필 때 쓰러지며 도피침형이고 끝이 둔하며 길이 7-13cm 나비 10-15mm로서 밑부분이 점차 좁아져서 엽병의 날개로 되고 양면에 잔털이 있으며 가장자리에 드물게 안으로 굽은 톱니와 더불어 털이 있다. 경생엽은 다닥다닥 달리고 도피침형 또는 산형이며 끝이 둔두이고 길이 5-6cm 나비 4-20mm로서 밑부분이 점차 좁아지며 양면에 털이 있거나 거의 없고 가장자리에 굽은 털이 있으며 위로 올라가면서 점차 작아져서 길이 8-15mm로 되고 선형의 포처럼 된다.
꽃 : 꽃은 8~11월에 피며 지름 3-5cm로서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달리고 소화경에 잎과 더불어 굽은 털이 많으며 총포는 반구형으로서 길이 7-8mm 지름 15-20mm이고 포는 길이가 거의 같으며 2줄로 배열되고 선상 피침형이다. 설상화는 1줄로 배열되며 자주색이고 화관은 길이 14-24mm 지름 2.5-4mm이다.
열매 : 수과는 도란형이고 길이 2.5-3mm 나비 1.5-2mm로서 털이 있으며 관모(冠毛)는 길이 0.5mm정도로서 백색이다.
줄기 : 높이 30-100cm이고 곧게 서며 가늘고 길며 가지가 갈라진다.
분포 : ▶일본 만주 중국 대만에 널리 분포한다. ▶전국에 야생한다.
형태 : 이년초.
유사종 : 개미취 참취 등이 있다.
-
Read MoreNo Image
갯개미취
학명 : Aster tripolium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참취속(Aster) target=_blank>참취속(Aster)</a>
이명 : 개개미취갯자원
잎 : 근생엽과 줄기 밑부분의 잎은 꽃이 필 때 없어지고 밑부분과 중앙부의 잎은 엽병이 없으며 선상 피침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길이 6.5-10cm 나비 6-12mm로서 밑부분이 반 정도 원줄기를 감싸고 가장자리가 거의 밋밋하며 윗부분의 잎은 선형이고 포상이다.
꽃 : 꽃은 9~10월에 피며 자주색이고 두화는 지름 16-22mm로서 여러송이가 느슨한 산방화서를 이루며 밑부분에 포가 달리고 화경은 길이 1-3cm로서 털이 없다. 총포는 통형이고 길이와 지름이 각 7mm이며 포편은 3줄로 배열되고 외편은 피침형이며 길이 2.5~3mm로서 끝이 둔하고 연모(緣毛)가 다소 있으며 내편은 긴 타원형이고 끝이 둥글며 자줏빛이 돈다.
열매 : 수과는 편평하고 긴 타원형이며 길이 2.5-3mm 지름 1mm로서 털이 있고 관모는 꽃이 필 때는 길이 약 5mm이나 열매가 맺힐 때에는 길게 자라 14~16mm에 이르며 다갈색이다.
줄기 : 높이 25-100cm이며 곧게 서고 털이 없으며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지고 밑부분에 붉은빛이 돈다.
분포 : 전국 바닷가에 분포한다.
형태 : 2년생 초본이다.
-
Read MoreNo Image
개쑥부쟁이
학명 : Aster meyendorfii (Regel & Maack) Voss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참취속(Aster) target=_blank>참취속(Aster)</a>
잎 : 기부에서 난 잎은 꽃이 필 때는 말라죽으며 난형 또는 난상 타원형이고 둔두 예저이며 길이 5-6cm 나비 2.5-3.5cm로서 밑으로 흐르고 가장자리에 큰 톱니와 더불어 털이 있으며 엽병이 길다. 경생엽은 좁고 긴 타원형이며 다닥다닥 달리고 끝이 둔하며 길이 6-8cm 나비 10~20mm로서 밑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져서 엽병처럼 되고 양면이 모두 거칠며 윗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거나 밋밋하고 가지의 잎은 길이 10-15mm 나비 3mm정도이다.
꽃 : 꽃은 7~8월에 피며 길이 7-8mm 지름 15-18mm로서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달리고 포는 3줄로 배열되며 선상 피침형으로서 끝이 뾰족하고 화관은 길이 21-24mm 나비 2.5-4mm이며 담자색이다.
열매 : 수과는 도란형이고 길이 3mm 나비 1.5mm정도로서 털이 있으며 관모는 길이 2.5-3mm이고 붉은빛이 돈다. 결실기 : 9-10월.
줄기 : 높이 35-50cm이고 종선과 털이 있으며 옆으로 뻗는 가지가 많다.
분포 : 전국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유사종 : 우리 나라 자생식물 가운데 Aster속은 약 18종류가 있으며 개쑥부쟁이와 유사한 꽃을 가진 것은 버드쟁이나물이 있고 거의 비슷한 민쑥부쟁이 가새쑥부쟁이가 있으며 바닷가에서 자라는 갯쑥부쟁이 중부 이북에서 자라는 가는쑥부쟁이 울릉도에서 자라는 섬쑥부쟁이 한라산에서 자라는 누운개쑥부쟁이 2년초로 단양쑥부쟁이등이 있다.
-
Read MoreNo Image
개미취
학명 : Aster tataricus L.f.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참취속(Aster) target=_blank>참취속(Aster)</a>
이명 : 들개미취애기개미취자원
잎 : 근생엽은 꽃이 필 때 쯤되면 없어지며 잘 자란 것은 길이 65cm 나비 13cm로서 밑부분이 점차 좁아져서 엽병의 날개로 되고 양면에 짧은 털이 있으며 가장자리에 파상의 톱니가 있다. 경생엽은 호생하고 큰 것은 길이 20-31cm 나비 6-10cm로서 난형 또는 긴 타원형이며 예두 원저이고 흔히 엽병으로 흘러 날개처럼 되며 가장자리에 날카로운 톱니가 있고 엽병은 길이 9-20cm이며 위로 가면서 작아지고 엽병도 거의 없어진다.
꽃 : 꽃은 7-10월에 피며 지름 2.5-3.3cm로서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산방상으로 달리고 화경은 길이 1.5-5cm로서 짧은 털이 밀생한다. 총포는 반구형으로서 길이 7mm 나비 13-15mm이며 포는 3줄로 배열되고 끝이 뾰족한 피침형이며 짧은 털이 있고 가장자리가 건막질이다. 설상화는 길이 16-17mm 나비 3-3.5mm로서 하늘색이다.
열매 : 수과는 길이 3mm정도로서 털이 있고 관모는 길이 6mm정도이다. 10-11월에 결실한다.
줄기 : 높이 1-1.5m이지만 재배한 것은 2m에 달하고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지며 짧은 털이 있다.
뿌리 : 근경이 짧으며 옆으로 길게 뻗으면서 마디에서 새싹이 돋아난다.
분포 : 전국 심산지역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좀개미취(A. maackii Regel) : 오대산 계곡 정선 냇가 근처에 자생하며 개미취에 비해 잎이 좁고 키(45-80cm)도 작으면서 꽃은 개미취보다 크고 화려하며 희귀식물이다. ▶벌개미취(A. kroaiensis) : 경기 전남 경상도 충청도에 분포 높이 60-100cm 6-10월에 개화하고 담자색 지름 4-5cm 잎은 호생하며 장타원형으로 길이 12-19cm이다.
특징 : 독특한 지역형이 나타난다. 울릉도 자생의 개체는 개화시기가 10월 중순-11월 중순으로 상대적으로 늦으며 줄기가 굵고 초장이 짧은 것이 특징이다. 중부 및 경기도 일원에서 생육하는 개체는 초장이 2m에 이르는 대형이며 개화시기는 9월말-10월초로 일반적인 개체들보다 상대적으로 약간 늦게 개화하고 야화성이며 줄기가 강건하여 도복이 잘 일어나지 않는다.
-
Read MoreNo Image
가새쑥부쟁이
학명 : Aster incisus Fisch.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참취속(Aster) target=_blank>참취속(Aster)</a>
이명 : 가새쑥부장이고려쑥부쟁이버드생이나물쑥부쟁이큰쑥부쟁이
잎 : 근생엽은 꽃이 필 무렵에는 말라 죽는다. 경생엽은 호생하며 긴 타원상 피침형 또는 피침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길이 8~10cm 폭 2.5cm 정도로서 밑부분이 점차 좁아져서 엽병처럼 되고 가장자리가 길게 우상으로 갈라지며 열편은 안쪽으로 굽고 표면은 녹색으로서 털이 없으며 윤채가 있고 위로 올라가면서 작어져서 선상 피침형으로 되며 양끝이 좁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 : 꽃은 7~10월에 피며 지름 3~3.5cm로서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달리고 총포는 반구형으로서 길이 5-6mm 지름 9-11mm이며 포편은 3줄로 배열되고 외편이 내편보다 약간 짧으며 끝이 뾰족한 피침형이다. 설상화는 길이 18mm 나비 2.5mm이다.
열매 : 수과는 길이 3~3.5mm 나비 2mm로서 털이 있고 관모는 길이 0.5-1mm로서 붉은빛이 돈다.
줄기 : 높이 1-1.5m이며 곧게 서고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지며 군데군데 털이 있다.
분포 : 전국 각처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
Read MoreNo Image
가는쑥부쟁이
학명 : Aster pekinensis (Hance) Chen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참취속(Aster) target=_blank>참취속(Aster)</a>
이명 : 가는쑥부장이가는잎쑥부장이가는잎쑥부쟁이
잎 : 근생엽과 밑부분의 잎은 꽃이 필 때 쓰러지며 경생엽은 다닥다닥 호생하고 피침형 또는 도피침형이며 끝이 둔하거나 뾰족하고 길이 25-40mm 나비 4-6mm로서 밑부분이 점차 좁아져서 엽병처럼 되며 양면에 짧은 털이 많고 표면은 녹색이며 뒷면은 회청색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뒤로 말리고 가지의 잎은 선형으로서 점차 작아진다.
꽃 : 꽃은 8-9월에 연한 자주색으로 피며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달리고 지름 2cm이며 총포는 반구형으로서 길이 4mm 지름 7-8mm이고 포편은 3줄로 배열되며 피침형으로서 뒷면에 선점이 있고 끝이 뾰족하며 외편이 내편보다 약간 짧다. 설상화는 길이 11mm 나비 2.5mm이다.
열매 : 수과는 도란형이며 길이 2mm 나비 1.5mm로서 선점이 있고 관모는 불완전하며 길이 1/4-1/2mm이다. 열매는 10-11월에 결실한다.
줄기 : 높이 30-70cm이고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진다.
분포 : 중부 이북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