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명 | Aconitum macrorhynchum Turcz. |
|---|---|
| 과명 | 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
| 속명 | 초오속(Aconitum) |
| 이명 | 가는잎바꽃 |
| 잎 | 잎은 호생하고 3개로 완전히 갈라지며 측렬편은 2개로 깊게 갈라지고 열편은 다시 우상으로 갈라져 소열편은 선형 또는 피침형으로 끝이 뾰족하며 뒷면과 엽병에 털이 있다. |
| 꽃 | 꽃은 8~9월에 청자색으로 피며 줄기 끝과 윗부분의 잎짬에 총상화서로 달리고 소화경에 황갈색의 퍼진 털이 밀생하며 중앙부의 소포는 피침형이고 긴 연모가 있다. 꽃받침조각은 5개로 꽃잎모양이고 위쪽 것은 모자모양이며 겉에 비교적 긴 털이 많다. 꽃잎은 2개 수술은 다수이다. |
| 열매 | 과실은 골돌로 5개이며 털이 없고 암술대는 뒤로 젖혀진다. |
| 줄기 | 줄기는 곧추서나 윗부분은 때로 감긴다. |
| 분포 | 평남북 함남북에 나며 시베리아 몽고 만주에 분포한다. |
| 형태 | 다년초이다. |
| 특징 | 독이 있다. |
|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
| 학명출전 | Bull. Soc. Imp. Naturalistes Moscou 15: 83 (1842) |
|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
-
Read MoreNo Image
날개진범
학명 : Aconitum pteropus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target=_blank>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초오속(Aconitum) target=_blank>초오속(Aconitum)</a>
이명 : 지느러미진교 )
분포 : 전국 각처
형태 : 다년초이다.
-
Read MoreNo Image
각시투구꽃
학명 : Aconitum monanthum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target=_blank>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초오속(Aconitum) target=_blank>초오속(Aconitum)</a>
이명 : 각씨투구꽃 꼬마돌쩌귀
잎 : 잎은 호생하고 밑부분의 것은 엽병이 길지만 위쪽으로 오르면서 점차 짧아진다. 엽신은 3-8개로 완전히 갈라지고 열편(裂片)은 우상으로 잘게 갈라지며 소열편은 선상 피침형이고 끝이 뾰족하다.
꽃 : 꽃은 7-8월에 피며 짙은 자주색이고 원줄기 끝에 1-3개가 달리며 소화경(小花梗)은 길이 4cm정도로서 중앙 이하에 소포(小苞)가 있다. 꽃받침잎은 5개이고 꽃잎모양이며 뒷쪽의 것은 투구모양이고 앞쪽이 부리같이 튀어나오며 중앙부의 것은 도란형이며 밑의 것은 긴 타원형이고 앞으로 비스듬히 나온다. 꽃잎은 2개로서 뒷쪽의 꽃받침속에 들어 있으며 수술은 많고 수술대 기부는 넓다.
열매 : 골돌은 3개로서 털이 없다.
줄기 : 높이가 20cm에 달하고 줄기는 곧추선다.
분포 : 백두산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
-
Read MoreNo Image
가는줄돌쩌귀
학명 : Aconitum volubile Pal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target=_blank>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초오속(Aconitum) target=_blank>초오속(Aconitum)</a>
이명 : 가는줄덜쩌귀풀 털가는덩굴바꽃
잎 : 잎은 호생하고 엽병이 길며 3개로 완전히 갈라지고 양쪽 측열편이 다시 거의 완전히 2개로 갈라져서 전체가 5개로 갈라진 것 같이 보이며 각 열편은 다시 우상으로 갈라지고 최종열편은 폭 2-3m로서 뒷면 특히 맥위에 긴 털이 많으며 표면에 짧고 굽은 털이 산생한다.
꽃 : 꽃은 9월에 피며 청자색이고 총상화서이며 소화경에 긴 털이 수평으로 퍼져 있고 중앙부에 실모양의 소포가 있다. 꽃받침은 5개이며 꽃잎같고 겉에 전체적으로 털이 많이 있으며 자방은 5개이고 털이 없다.
열매 : 열매는 골돌로서 5개이고 털이 없다.
줄기 : 높이가 1m에 달한다.
뿌리 : 뿌리가 옆으로 자라며 잔뿌리가 많다.
분포 : 경북에서 태백산맥을 따라 강원도 및 함경도에 분포한다.
형태 : 덩굴성 다년초
-
Read MoreNo Image
가는돌쩌귀
학명 : Aconitum macrorhynchum Turcz.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target=_blank>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초오속(Aconitum) target=_blank>초오속(Aconitum)</a>
이명 : 가는잎바꽃
잎 : 잎은 호생하고 3개로 완전히 갈라지며 측렬편은 2개로 깊게 갈라지고 열편은 다시 우상으로 갈라져 소열편은 선형 또는 피침형으로 끝이 뾰족하며 뒷면과 엽병에 털이 있다.
꽃 : 꽃은 8~9월에 청자색으로 피며 줄기 끝과 윗부분의 잎짬에 총상화서로 달리고 소화경에 황갈색의 퍼진 털이 밀생하며 중앙부의 소포는 피침형이고 긴 연모가 있다. 꽃받침조각은 5개로 꽃잎모양이고 위쪽 것은 모자모양이며 겉에 비교적 긴 털이 많다. 꽃잎은 2개 수술은 다수이다.
열매 : 과실은 골돌로 5개이며 털이 없고 암술대는 뒤로 젖혀진다.
줄기 : 줄기는 곧추서나 윗부분은 때로 감긴다.
분포 : 평남북 함남북에 나며 시베리아 몽고 만주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이다.
특징 : 독이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