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ead MoreNo Image
흰자주꽃방망이
학명 : Campanula glomerata f. alba Nakai ex T.B.Le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초롱꽃과(Campanulaceae) target=_blank>초롱꽃과(Campan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초롱꽃속(Campanula) target=_blank>초롱꽃속(Campanula)</a>
이명 : 흰꽃방망이흰꽃방맹이
-
Read MoreNo Image
흰섬초롱꽃
학명 : Campanula takesimana f. alba T.B.Le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초롱꽃과(Campanulaceae) target=_blank>초롱꽃과(Campan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초롱꽃속(Campanula) target=_blank>초롱꽃속(Campanula)</a>
-
Read MoreNo Image
초롱꽃
학명 : Campanula punctata La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초롱꽃과(Campanulaceae) target=_blank>초롱꽃과(Campan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초롱꽃속(Campanula) target=_blank>초롱꽃속(Campanula)</a>
잎 : 근생엽은 엽병이 길고 심장상 난형이며 경생엽은 날개가 있는 엽병이 있거나 없고 삼각상 난형이거나 넓은 피침형이며 뾰족한 끝이 둔하게 그치고 밑부분이 둥글거나 좁으며 길이 5~8cm 폭 1.5~4cm로서 가장자리에 불규칙하고 둔한 거치가 있다.
꽃 : 꽃은 6-8월에 피고 백색 또는 연한 홍자색 바탕에 짙은 반점이 있으며 긴 화경 끝에 종같은 꽃이 달려 밑으로 처진다. 꽃의 길이는 4~8cm이며 꽃통은 3.5cm로 아래를 향하여 핀다. 꽃받침은 5개로 좁게 갈라지며 녹색이고 털이 있으며 열편 사이에 뒤로 젖혀지는 부속체가 있으며 수술은 5개 암술 1개 자방은 하위이다.
열매 : 삭과는 8-9월에 익으며 자방 3실이다.
줄기 : 높이 40-100cm이고 전체에 퍼진 털이 있으며 흔히 옆으로 자라는 포복지(匍匐枝)가 있다. 줄기는 중상부에서 가지를 치며 잔털이 있다.
뿌리 : 잔근성이며 지하경이 있다.
분포 : 한국 일본 동부시베리아에 분포한다. 남부와 중부 중부지역의 산의 낮은 곳에 자생한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자주초롱꽃(C. p. var. rubiflora Max.) : 평북에서 자라며 짙은 자주색 꽃이 핀다. ▶섬초롱꽃(C. takesimana) : 울릉도에서 자생하며 전체적으로 대형이다. 잎과 줄기에 광택이 있으며 꽃은 자주색 바탕에 짙은 반점이 있다. ▶흰섬초롱꽃(C. takesimana Nak. for. alba T. Lee) ▶자주섬초롱꽃(C. takesmmana Nak. purpurea T. Lee)은 울릉도에 자생한다.
-
Read MoreNo Image
자주꽃방망이
학명 : Campanula glomerata var. dahurica Fisch. ex KerGaw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초롱꽃과(Campanulaceae) target=_blank>초롱꽃과(Campan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초롱꽃속(Campanula) target=_blank>초롱꽃속(Campanula)</a>
이명 : 꽃방망이꽃방맹이 자주꽃방맹이 자지꽃방맹이
잎 : 근생엽은 긴 엽병을 갖는데 난형 또는 난상 피침형이다. 경생엽은 호생하고 밑부분의 것은 날개가 있는 엽병이 있으며 윗부분의 것은 엽병이 없고 넓은 타원형 또는 좁은 난형이며 길이 5-10cm 나비 1-3cm로서 끝이 길게 뾰족해지고 밑부분이 둥글거나 좁으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7-8월에 피고 자주색으로서 원줄기 끝에 10개 정도가 두상으로 모여 위를 향해 달리지만 윗부분의 엽액에도 달리며 소화경이 없다.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고 열편은 삼각상 선형 또는 선상 피침형이며 톱니가 있고 화관은 길이 2-3cm로서 5개로 깊게 갈라진다.
열매 : 삭과는 3실이며 종자는 작고 많으며 9-10월에 성숙한다.
줄기 : 높이 40-100cm이며 전체에 털이 많다.
뿌리 : 짧은 근경이 옆으로 자라며 퍼지고 다소 밑으로 굽은 털이 있다.
분포 : 제주도와 남해안을 제외한 전국에 거의 분포하나 주로 중북부 지방의 표고 500m 이상되는 지역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흰자주꽃방망이(Campanula glomerata for. alba Nakai) : 백두산과 태백산에서 자라는 다년초로 원줄기 끝과 잎 겨드랑이마다 흰꽃이 몇 송이씩 붙는다. 통꽃 끝은 5개로 갈라진다. 어린싹을 나물로 한다.
특징 : 고산성식물이다.
-
Read MoreNo Image
섬초롱꽃
학명 : Campanula takesimana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초롱꽃과(Campanulaceae) target=_blank>초롱꽃과(Campan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초롱꽃속(Campanula) target=_blank>초롱꽃속(Campanula)</a>
잎 : 근생엽은 길이 20cm 나비 3.5-8cm로서 끝이 뾰족하며 밑부분이 갑자기 좁아져서 엽병의 날개로 되고 흔히 심장저이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경생엽은 위로 가면서 긴 타원형으로 되고 엽병에 날개가 있어 밑부분으로 원줄기를 감싸며 윗부분의 것은 엽병이 없다.
꽃 : 꽃은 줄기 위 엽액에서 총상화서를 이루어 아래를 향해 피고 연한 자주색 바탕에 짙은 색의 반점이 있으며 길이 3-5cm이다. 꽃받침열편은 길이 1-1.5cm로서 털이 거의 없으며 열편 사이에 뒤로 젖혀지는 부속체가 있다.
줄기 : 높이 30-100cm 이고 비교적 털이 적으며 능선이 있고 흔히 자줏빛이 돌며 줄기는 비대하다.
뿌리 : 굵은 뿌리가 옆으로 뻗으면서 자라며 마디에서 새싹이 돋아난다.
분포 : 울릉도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유사종 : ▶흰섬초롱꽃 for.alba T.Lee : 기본종과 같이 자라며 백색 바탕에 짙은 색의 반점이 있다. ▶자주섬초롱꽃 for.purpurea T.Lee : 꽃이 짙은 자주색이다. ▶초롱꽃(C. punctat Nakai)은 전국적으로 분포한다. ▶금강초롱꽃(Hanabusaya asiatica Nakai)은 남방한계선을 경기도 용문산으로 하여 명지산 오대산 설악산양로봉 등지에 자생하는데 고산성 식물이므로 재배시에는 지나치게 도장하고 꽃의 색도 자생
특징 : 일반적으로 초롱꽃에 비하여 꽃에 자주색 반점이 많이 있다. 자주색 꽃이 피는 자주 섬초롱꽃과 흰 꽃이 피는 흰 섬초롱꽃의 2가지가 있다. 속명 Campanula는 라틴어 campana(鐘)의 축소형으로 작은 종모양의 꽃이 피는 것을 나타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