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ead MoreNo Image
삼잎구와가막사리
학명 : Bidens radiata Thuil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도깨비바늘속(Bidens) target=_blank>도깨비바늘속(Bidens)</a>
잎 : 잎은 주로 3개로 갈라지며, 크기 는 약 6-50 x 1-28 mm이다. 엽병은 없거나 약 1-9mm 이고, 날개가 있다
열편은 1 -5개이고 너비가 좁은 피침형 또는 피침형이다.
끌부분은 예두이며, 밑부분은 유저이다 가장자리는 안으로 굽은 톱니상, 간혹 예거치이다.
꽃 : 화서의 크기 는 약 6.9- 16.0 x 4.9-8.0mm이나 외총포편은 도피침형 또는 장타원형이며, 11개 내외이다. 크기는 8.5- 11.6 x 1.8- 1.8 mm 이고, 가장자리에 다세포모용이 있다. 내 총포편은 난형, 장타원형이며 크기는 5.2-6.7 x 0.4 - 2.5 mm이다.
혀꽃은 없다.
통꽃은 4개로 갈라지여 화서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통꽃은 3갈례이다. 통꽃은 모용이 없으며 크기는 2.3- 2.7 x 0.7- 0.8mm이다.
열매 : 수과는 도란형이고 까끄라기를 제외한 크는3.7-5.3 x 1.8-2.4 mm이다 까끄라기는 2개이며 길이는 2.3-2.9mm이다. 제(hilum)에는 환형의 테두리가 없다.
강모는 3줄이고 모용은 가장자리에 위치하며 전부 아래를 향한다.
분포 : 한국(함경남도 부원고원),스칸다니비아, 중앙아시아,일본, 중국
형태 : 일년생 초본
유사종 : 구와가막살이 : 잎은 1회우상복엽이고, 열편은 장타원형이다.
특징 : 잎은 주로 3갈래이며 ,열편은 피침형이다
-
Read MoreNo Image
사향엉겅퀴
학명 : Carduus nutans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엉겅퀴속(Carduus) target=_blank>엉겅퀴속(Carduus)</a>
잎 : 옆은 어긋나며 길이는 4-12 cm 이고 긴타원형에서 피침형이며 우상으로 불규칙하게 갈라지고 그 가장자리 끝이 가시처럼 뾰족하게 발달하고 밑 부분은 잎자루 없이 줄기로 이어져 약간 감싸고 거의 털이 없다
꽃 : 두상화서는 가지 끝에 하나씩 달리는데 대개 고개를 숙이며 간흑 액생하기도 하고 구형이며 지틈이 3-4 cm 정도이다.
통상화인 꽃은 자주색이며 길이가 15-25 mm이고, 총포편은 길이 10-20 mm 너비 2-5 mm로 피침형이며 끝이 매우 뾰족하고 여러 층으로 달려 두상화서를 완전히 감싼다
열매 : 열매는 수과이며, 종자는 길이가 3-5 mm 이고 관모는 은갈색이며 길이는 12-22 mm이다.
줄기 : 줄기는 직립하고 1 m 정도 크며 줄기에는 지틈 5-10 mm 정도 가장자리에 날카로운 톱니가 발달한 날개가 있는데 기부부터 있으나 꽃차례 가까이에는 흔적만 있다.
분포 : 양평군 남양주군 서울특별시 등 중부지방을 중심으로 분포
형태 : 윌년초.
유사종 : 지느러미엉겅퀴 : 두화는 지름이 15-25 mm 이고 2-4개가 모여 탈리고 직립하며, 총포편은 7-8층이 달리는데 끝이 송곳처럼 뾰족하고 기부 바로 위가 좁아지지 않으며 화관의 길이는 12- 15 mm이 다
특징 : 두화는 지름이 30-60 mm로 보다 크고 대개 하나씩 달리며 고개가 아래로 처지고, 총포편은 긴피침형으로 기부 바로 위가 좁아지며,
화관은 길이가 15-25 mm로서, 긴 특정으로 확실하게 구별된다
식물체에서 독특한 냄새가 난다
-
Read MoreNo Image
나도민들레
학명 : Crepis tectorum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나도민들레속(Crepis) target=_blank>나도민들레속(Crepis)</a>
잎 : 잎은 끈생엽과 경생엽이 있는데 근생엽은 길이 10-15 cm, 나비 4 cm 정도이고 가장자리에 불규착한 물결 모양의 톱니가 있으며 잎자루가 있고 경생엽은 위로 갈수록 좁아져 나비 1 cm 내외로 되며 가장자리가 전연이고 뒤쪽으로 말리며 잎자루는 없고 기부는 줄기릎 둘러싼다.
꽃 : 꽃은 5-7월에 피며, 노란색이고, 줄기 위쪽이 여랴 갈래로 갈라져 그 끝에 달라며,
두상화서는 지름이 2 cm정도이고 설상화로만 이루어졌으며, 총포는 길이 6-9 mm이고, 내편은 12-15 개로 털이 많고,
외편은 길이가 내편의 1/3← 1/2 이며 털이 많다.
열매 : 열매는 수과이고, 종자는 길이 3.5 mm이며, 위쪽이 좁아지고 적갈색~자갈색이며 능선이 10줄 있고 작은 톨기가 있어 꺼끌꺼끌하고 끝에 관모가 달린다
줄기 : 줄기는 백색 털이 있고 흰 유액이 나온다
뿌리 : 뿌리 곧다.
분포 :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동산리 및 상진부리
형태 : 한해살이 풀
-
Read MoreNo Image
유럽조밥나물
학명 : Hieracium caespitosum Dumort.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조밥나물속(Hieracium) target=_blank>조밥나물속(Hieracium)</a>
잎 : 근생엽은 10개 내외이고 도피침형 또는 좁은 타원형, 중간 윗부분이 넓으며 길이 3.7- 10.8(- 25)cm, 너비 0.9- 1.6(-3) cm로 가장자리는 거의 전연이나 드문드운 치아상 톱니가 있고, 양면에 긴 강모가 드운드문 나있다.
경생엽은 1 -2개이고 선형 또는 타원상피침형,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으며, 잎자루가 없고, 잎의 밑 부분이 줄기를 약간 싸며 붙는다.
꽃 : 두화는 5- 9월에 피고, 8-31개 짧은 화경에 복상방상으로 달리며, 노란색,설상화만 있고, 총포는 길이 4-8 mm로 검은색의 강모와 션상모가 있으며, 외총포편은 내총포편에 비해 2배정도 크다.
열매 : 열매는 수과, 진한 적자색이여, 길이 1-l.5( - 2) mm로 능선이 10줄 있고, 작온 돌기가 있으며, 끝에는 관모가 달린다.
줄기 : 줄기는 직립하며하며 긴 백색 털이 밀생하고, 자르면 흰 유액이 나오며, 1 내지 수개, 길이 28-74.6(25-200)) cm이다.
뿌리 : 지하경과 짧고 질긴 포복경이 있다
분포 : 강원도 양구군 해안연 현3리 도솔산
스웨덴 캐나다 이국 북부 부터 누밸카레도니, 미국 전반과 남동부주 일본까지 넓게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
-
Read MoreNo Image
무등취
학명 : Saussurea nipponica subsp. higomontana (Honda) I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취나물속(Saussurea) target=_blank>취나물속(Saussurea)</a>
잎 : 봄에는 rosette 모양의 근생엽이 발달하지만 꽃 필 무렵에는 말라 없어진다.줄기 아래 잎은 넓은난형 또는 신장형으로 길이 15-1cm, 나비 1O-13cm 이며, 끝은 예첨두이고 밑은 심장 모양이며, 가장자리는 뾰족하고 불규칙한 톱니가 있으며, 양면에 먼지 같은 잔털이 약간 있다. 엽병에는 가는 날개가 발달하여 줄기의 날개로 연결된다. 줄기 위쪽 잎은 갈수록 작아지며 열은 심장형이 된다.
꽃 : 6월경 줄기 끝이 분지하여 다수의 두화가 영성한 산방화서를 이룬다. 두화는 양성화로 총포는 길이 15-17mm, 나비 9-12mm의 넓은 통형으로 포편은5-6열 이 압착되어 있고 외편과 중편은 피침형으로 겉에 연갈색 털이 얽혀 있고 끝이 심하게젖혀진다. 화관은 9월 -10월초에 연보라색으로 핀다.
열매 : 열매는 길이 5-6mm의 수과로 두 줄의 우모상 관모가 있다.
줄기 : 줄기는 직경이 4-5mm이고 1-2mm 정도의 날개가 발달하기도 한다.
분포 : 무등산, 일본
형태 : 다년 초
-
Read MoreNo Image
태백취
학명 : Saussurea grandicapitula W.Lee et H.T.I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취나물속(Saussurea) target=_blank>취나물속(Saussurea)</a>
-
Read MoreNo Image
흰가시엉겅퀴
학명 : Cirsium japonicum var. spinosissimum f. alba T.B.Le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엉겅퀴속(Cirsium) target=_blank>엉겅퀴속(Cirsium)</a>
특징 : 가시엉겅퀴와 비슷하나 백색꽃이 피는 것이 다르다.
-
Read MoreNo Image
털톱풀
학명 : Achillea setacea Waldst. & Kit.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톱풀속(Achillea) target=_blank>톱풀속(Achillea)</a>
-
Read MoreNo Image
털비쑥
학명 : Artemisia scoparia f. villosa Korsh.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쑥속(Artemisia) target=_blank>쑥속(Artemisia)</a>
이명 : 갯비쑥
-
Read MoreNo Image
털박쥐나물
학명 : Parasenecio hastata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박쥐나물속(Parasenecio) target=_blank>박쥐나물속(Parasenecio)</a>
잎 : 잎은 호생으로 자라며 근엽은 화시에 마르며 중부의 잎은 3각상 창모양 또는 3각상 신장형으로 길이가 25-35cm 폭은 30-40cm정도로 끝은 짧게 뾰족하며 밑은 심형이고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다. 양면 특히 뒷면에 짧은 털이 있고 잎은 길이 9-1cm정도로 보통 날개가 있다.
분포 : 심산지역
-
Read MoreNo Image
좀황해쑥
학명 : Artemisia argyi f. microcephala Pamp.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쑥속(Artemisia) target=_blank>쑥속(Artemisia)</a>
-
Read MoreNo Image
제주엉겅퀴
학명 : Cirsium chinense Gardner & Cha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엉겅퀴속(Cirsium) target=_blank>엉겅퀴속(Cirsium)</a>
이명 : 가는잎엉겅퀴
-
Read MoreNo Image
제주국화
학명 : Aster chezuensis (Kitam.)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참취속(Aster) target=_blank>참취속(Aster)</a>
이명 : 탐라쑥부쟁이
-
Read MoreNo Image
절영풀
학명 : Crepidiastrum platyphyllum (Franch. & Sav.) Kita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고들빼기속(Crepidiastrum) target=_blank>고들빼기속(Crepidiastrum)</a>
이명 : 갯고들빼기 어미갯고들빼기
-
Read MoreNo Image
잔잎산비장이
학명 : Serratula komarovii Iljin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산비장이속(Serratula) target=_blank>산비장이속(Serratula)</a>
-
Read MoreNo Image
잔실쑥
학명 : Filifolium koreanum J.H.Pak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실쑥속(Filifolium) target=_blank>실쑥속(Filifolium)</a>
-
Read MoreNo Image
자주천인국
학명 : Echinacea purpurea (L.) Moench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자주천인국속(Echinacea) target=_blank>자주천인국속(Echinacea)</a>
-
Read MoreNo Image
이화구절초
학명 : Dendranthema xintermedium (Y.N.Lee) Y.N.Le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산국속(Dendranthema) target=_blank>산국속(Dendranthema)</a>
-
Read MoreNo Image
울릉국화
학명 : Dendranthema zawadskii var. lucidum (Nakai) J.H.Park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산국속(Dendranthema) target=_blank>산국속(Dendranthema)</a>
이명 : 섬들국화울능국화울릉구절초
-
Read MoreNo Image
흰털민들레
학명 : Taraxacum platypecidum Diels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민들레속(Taraxacum) target=_blank>민들레속(Taraxacum)</a>
이명 : 북녘민들레 북방민들레 사칼린민들레
잎 : 잎은 근생엽뿐이며 근생엽은 모여난다. 엽신은 도피침형(10~30cm 너비 3~6cm)이고 우상으로 갈라지거나 둔한 거치가 있는데 흔히 바깥쪽에 근생엽에는 둔한 거치가 있고 안쪽줄의 근생엽들은 우상으로 깊이 갈라졌으며 열편들은 흔히 아래로 향하였다. 잎 밑부분은 설형으로 좁아졌고 끝부분은 약간 원형이다. 잎 앞면은 녹색이고 털이 없거나 거의 없으며 뒷면은 연한 녹색이고 털이 성글게 있다.
꽃 : 꽃은 5월~6월경 두상화서를 이루고 피는데 화서는 줄기끝에 한개씩 붙는다. 총포는 넓은 종형(길이 17~20mm)이다. 총포편은 3줄로 붙는데 바깥줄의 것들은 난형 (길이 5~6mm 너비 3~4mm)이고 끝부분이 뾰족하며 분녹색이고 뒷면 끝부분이 자색이며 부리모양의 돌기가 있고 가장자리에 흰 막질의 넓은띠가 있다. 제일 안쪽줄의 총포편은 피침형(길이 17~20mm 너비 1.5~2mm)이고 엽연에 흰막질의 띠가 있으며 끝부분은 자색이고 조금 무딘모양이
열매 : 수과는 연한 갈색이며 밑부분이 좁은 타원형(길이 3.5~4mm)이며 세로로 능각이 있고 능각의 윗부분에는 끝이 뾰족한 돌기가 많으며 6월~7월에 익는다. 열매 끝부분에는 침형으로 길어진 부리(길이 10~12mm)가 있으며 부리끝에 관모가 붙는다. 관모는 백색이고 부드러우며 길이 8~9mm이다.
줄기 : 줄기 속은 비었고 흰 면모가 성글게 있으며 한포기에서 2~3개 나온다.
뿌리 : 뿌리는 굵고 곧추뻗는다.
분포 : 한반도(북부) 일본 중국 러시아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