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11.30 00:00

꽃송이버섯

조회 수 51 추천 수 0 댓글 0
Extra Form
분류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구멍장이버섯목(Polyporales)
학명 Sparassis crispa (Wulf.) Fr.
과명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a%bd%83%ec%86%a1%ec%9d%b4%eb%b2%84%ec%84%af%ea%b3%bc(Sparassidaceae)" target=_blank>꽃송이버섯과(Sparassidaceae)</a>
속명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a%bd%83%ec%86%a1%ec%9d%b4%eb%b2%84%ec%84%af%ec%86%8d(Sparassis)" target=_blank>꽃송이버섯속(Sparassis) </a>
특징 대형∼거대형. 곱슬머리(crỉspus) 버섯. 뿌리 모양의 대가 반복 분지되어 오글오글한 미역 머리모양 또는 꽃잎 모양의 덩어리가 됨. 흰색∼크림색. 오래되면 황토색이 된다.
자실체 자실체는 전체가 오글오글한 미역의 머리모양 또는 꽃잎 모양의 덩어리로 나는데, 뿌리모양의 대가 있다. 뿌리모양의 대는 반복해서 가지가 나누어지며 각 가지에서 꾸불꾸불하게 휘어진 꽃잎 모양을 형성한다. 흰색∼크림색. 오래되면 황토색이 된다. 버섯의 크기는 직경 10∼30cm, 높이 10∼20cm에 달한다. 꽃잎모양의 각편은 두께 1mm 내외, 유연하고 씹는 맛이 좋은 육질을 갖고 있어서 식용할 수 있다. 각 조각의 직립된 것은 전면에 수평인 것은 하측에 자실층을 형성한다. 즉, 상황에 따라서 자실층의 표리가 달라지게 된다. 식용.
포자 포자는 난형. 평활, 투명, 방울이 들어있다. 4.5∼6×3.5∼4.5㎛.
색상 흰색∼크림색
발생계절 여름~가을
발생형태 여름∼가을. 침엽수 입목의 뿌리 또는 그루터기와 연결된 토양에 발생. 뿌리나 밑동에 심재부후를 일으키는 균이며 갈색부후를 일으킨다. 아고산지대에 많다.
분포 한국, 일본, 중국, 유럽, 북미.
식용여부 식용, 약용
출전, 인용문헌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Sparassis_crispa_JPG1.jpg

 

사진출처 : https://en.wikipedia.org/wiki/Sparassis_crispa

"

버섯크기 구분방법 _극소형: 2cm 이하. 소형: 2∼5(6)cm 정도. 중형: 5∼10(11)cm 정도. 대형: 10∼15(16)cm 정도. 거대형: 15cm 이상.
  1. 꽃송이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구멍장이버섯목(Polyporales)
    학명 : Sparassis crispa (Wulf.) Fr.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a%bd%83%ec%86%a1%ec%9d%b4%eb%b2%84%ec%84%af%ea%b3%bc(Sparassidaceae)" target=_blank>꽃송이버섯과(Sparassid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a%bd%83%ec%86%a1%ec%9d%b4%eb%b2%84%ec%84%af%ec%86%8d(Sparassis)" target=_blank>꽃송이버섯속(Sparassis) </a>
    특징 : 대형∼거대형. 곱슬머리(crỉspus) 버섯. 뿌리 모양의 대가 반복 분지되어 오글오글한 미역 머리모양 또는 꽃잎 모양의 덩어리가 됨. 흰색∼크림색. 오래되면 황토색이 된다.
    자실체 : 자실체는 전체가 오글오글한 미역의 머리모양 또는 꽃잎 모양의 덩어리로 나는데, 뿌리모양의 대가 있다. 뿌리모양의 대는 반복해서 가지가 나누어지며 각 가지에서 꾸불꾸불하게 휘어진 꽃잎 모양을 형성한다. 흰색∼크림색. 오래되면 황토색이 된다. 버섯의 크기는 직경 10∼30cm, 높이 10∼20cm에 달한다. 꽃잎모양의 각편은 두께 1mm 내외, 유연하고 씹는 맛이 좋은 육질을 갖고 있어서 식용할 수 있다. 각 조각의 직립된 것은 전면에 수평인 것은 하측에 자실층을 형성한다. 즉, 상황에 따라서 자실층의 표리가 달라지게 된다. 식용.
    포자 : 포자는 난형. 평활, 투명, 방울이 들어있다. 4.5∼6×3.5∼4.5㎛.
    색상 : 흰색∼크림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침엽수 입목의 뿌리 또는 그루터기와 연결된 토양에 발생. 뿌리나 밑동에 심재부후를 일으키는 균이며 갈색부후를 일으킨다. 아고산지대에 많다.
    분포 : 한국, 일본, 중국, 유럽, 북미.
    식용여부 : 식용, 약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2. 복령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구멍장이버섯목(Polyporales)
    학명 : Wolfiporia extensa (Peck) Ginns >Wolfiporia cocos (Wolf) Ryv. & Gilbn.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a%b5%ac%eb%a9%8d%ec%9e%a5%ec%9d%b4%eb%b2%84%ec%84%af%ea%b3%bc(Polyporaceae)" target=_blank>구멍장이버섯과(Polyporaceae) </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b%b3%b5%eb%a0%b9%ec%86%8d(Wolfiporia)" target=_blank>복령속(Wolfiporia)</a>
    특징 : 균핵 형성. 균핵 표면은 적갈색∼적색을 띤 흑갈색. 자실체는 드물게 균핵 표면에 발생되며, 배착생. 전체가 흰색이고, 관공이 밀생. 복신(茯神)은 소나무 뿌리가 관통됨.
    자실체 : 일반적으로 균핵을 이룬다. 균핵은 지하 약 10∼30cm 쯤에 형성되는데 소나무 및 기타 나무의 뿌리에 형성되며 구형, 타원형, 고구마 모양 등 부정형의 큰 덩어리가 된다. 크기는 직경 30cm 이상, 무게 1kg 이상에 달하는 것도 있다. 표면은 적갈색∼적색을 띤 흑갈색이고 표면은 거친 사마귀가 있다. 때로는 나무뿌리가 복령의 내부를 관통해 있기도 한데, 뿌리의 관통이 없는 것을 복령(茯笭), 뿌리가 관통된 것을 복신(茯神)으로 구분하기도 한다. 복령의 내부는 담홍색을 띤 허연색∼흰색이다. 다소 단단한 육질이다. 표면에는 균사가 얽혀있는 경우가 있다.
    자실체는 드물게 균핵의 표면에 발생. 자실체는 완전 배착생이며 갓은 만들어지지 않는다. 전체가 흰색. 관공이 밀생. 자실체의 살은 매우 얇고 연한 홍적색∼흰색.
    자실체의 관공은 흰색. 구멍은 원형∼다각형, 직경 0.5∼2mm 정도, 관공의 끝은 다소 톱니꼴이다.

    포자 : 포자는 원주상. 조금 구부러지고 한끝이 뾰족하며, 평활, 투명, 7.5∼9×3∼3.5㎛.
    색상 : 적갈색∼적색을 띤 흑갈색
    발생계절 : 연중내내
    발생형태 : 연중내내 주로 소나무, 드물게는 참나무류의 뿌리에 난다. 재목이나 뿌리에 갈색부후를 일으킨다.
    분포 : 한국, 일본, 중국, 북미.
    식용여부 : 약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3. No Image

    거북껍질버섯(거북껍질재목버섯& 거북껍질흰구멍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구멍장이버섯목(Polyporales)
    학명 : Vanderbylia latissima (Bres.) Reid > Fomitella latissima (Bres.) Aoshi. > Perenniporia latissima (Bres.) Ryv.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a%b5%ac%eb%a9%8d%ec%9e%a5%ec%9d%b4%eb%b2%84%ec%84%af%ea%b3%bc(Polyporaceae)" target=_blank>구멍장이버섯과(Polyporaceae) </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a%b1%b0%eb%b6%81%ea%bb%8d%ec%a7%88%eb%b2%84%ec%84%af%ec%86%8d(Vanderbylia)" target=_blank>거북껍질버섯속(Vanderbylia) </a>
    특징 : 대형∼거대형. 말발굽형∼둥근산형. 갓은 회갈색∼회흑색∼갈흑색이 서로 섞인 색으로 나타난다. 현저한 테 모양의 홈이 있다. 거북껍질재목버섯이 개칭됨. 떡갈나무잔나비버섯이라고도 함.
    자실체 : 자실체는 다년생, 목질은 대단히 단단하다. 갓은 말발굽형∼둥근산형, 가로 폭은 10∼20cm, 두께는 5∼15cm, 표면은 두꺼운 각피를 가지고 있다. 회갈색∼회흑색∼갈흑색. 서로 섞인 색으로 나타난다. 현저한 테 모양으로 홈이 종횡으로 형성되고 균열이 생긴다. 털은 없고, 가장자리는 두껍고 둔하다. 가장자리에 흰색의 테 모양이 나타나기도 한다. 살은 목질인데 견고하다. 기질에 부착한 부분은 두께 1∼2cm, 가장자리는 얇다. 연한 칙칙한 재목색. 각피가 극히 잘 발달해서 두께는 1∼3mm, 단면은 검은 색이다.
    하면 관공층은 우유색∼갈색을 띤 회백색. 관공은 다층, 각층은 두께 2∼5mm, 각 층의 사이에는 얇은 살이 개재되어 있다. 구멍은 미세하여 5∼6개/mm, 원형이다.

    포자 : 포자는 넓은 난형. 평활, 투명, 6∼7.5×5∼6.5㎛.
    색상 : 회갈색∼회흑색∼갈흑색

    발생형태 : 연중내내 상록활엽수인 가시나무류의 노목, 또는 떡갈나무 노목에 난다. 재목의 백색부후를 일으킨다. 드물다.
    분포 : 한국, 일본, 쟈바, 필리핀, 호주 등
    식용여부 :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4. 녹슨개떡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구멍장이버섯목(Polyporales)
    학명 : Tyromyces taxi (Bond.) Ryv. & Gilb.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a%b5%ac%eb%a9%8d%ec%9e%a5%ec%9d%b4%eb%b2%84%ec%84%af%ea%b3%bc(Polyporaceae)" target=_blank>구멍장이버섯과(Polyporaceae) </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a%b0%9c%eb%96%a1%eb%b2%84%ec%84%af%ec%86%12d(Tyromyces)" target=_blank>개떡버섯속(Tyromyces)</a>
    특징 : 소형, 표면은 연한 황갈색에서 오렌지갈색을 거쳐 녹슨 갈색으로 된다
    자실체 : 자실체는 3cm, 폭은 4cm, 두께는 0.8cm이고 균모의 표면은 연한 황갈색에서 오렌지갈색을 거쳐 녹슨 갈색으로 된다. 가장자리는 녹색이고 어둡다. 기부에 털이 있고 녹슨 갈색이고 털은 방사상으로 압착된다. 가장자리는 둥글고 녹색이다. 관공의 층은 살과 동색이고 살 가까이는 녹황색이며 길이는 2mm이다. 구멍은 올리브녹색으로 각진형이며 대부분은 2~3/mm개이다.
    살은 연한 녹색의 황갈색으로 띠는 없고 유연한 섬유상이며 두께는 6mm이다. KOH용액에서는 흑색으로 변색하며 냄새는 강하고 좋지 않다.
    대는 편심생 기부는 좁고 신선할 때 부드럽고 스펀지상이며 건조 시 부서지기 쉬우며 가볍다.

    포자 : 포자는 4.5~5×2.2~2.5㎛로 타원형에서 장방형으로 투명하고 표면은 매끈하고 투명하다. 난아미로이드 반응이다. 낭상체는 없다.
    담자기는 막대형으로 20~24×5.5~6.5㎛로 4-포자성이고 기부에 꺾쇠가 있다.

    색상 : 연한 황갈색
    발생계절 : 연중내내
    발생형태 : 연중내내 죽은 나무 또는 살아 있는 나무의 껍질에 배착
    분포 : 한국, 유럽
    식용여부 :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5. 명아주개떡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구멍장이버섯목(Polyporales)
    학명 : Tyromyces sambuceus (Lloyd) Imaz.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a%b5%ac%eb%a9%8d%ec%9e%a5%ec%9d%b4%eb%b2%84%ec%84%af%ea%b3%bc(Polyporaceae)" target=_blank>구멍장이버섯과(Polyporaceae) </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a%b0%9c%eb%96%a1%eb%b2%84%ec%84%af%ec%86%11d(Tyromyces)" target=_blank>개떡버섯속(Tyromyces)</a>
    특징 : 대형∼거대형. 갓은 처음에 허연색 바탕에 계피색∼암갈색의 분상 또는 털이 덮여 있다가 곧 퇴색되어 백색이 된다(분상물질은 신속히 탈락해서 거의 나타나지 않는 경우가 흔하다). 관공은 갓과 같은 색. 건조하면 흰색이 된다. *또 일본에서는 이 버섯(シロカイメンタケ)을 Piptoporus soloniensis 와 동일종으로 취급한 경우도 있는데, indexfungorum에서는 별개의 종으로 구분하고 있다.
    자실체 : 자실체는 1년생, 대가 없이 기물에 직접 부착한다. 갓은 흔히 중첩해서 나고 보통 반원형이며 편평하다. 좌우 폭 10∼20cm, 두께 1∼3cm의 대형. 생육부는 허연색 바탕에 계피색∼암갈색의 분상 또는 털이 덮여있지만, 점점 색이 바래고 없어져서 전체가 털이 없어지고, 백색이 된다(계피색-암갈색 분상 또는 털은 매우 신속히 탈락해서 거의 나타나지 않는 경우가 흔하다). 살은 처음에 다습하고 유연한 육질이나 건조하면 가벼워지고 해면질이 된다. 살도 생육 시에는 아름다운 연어살색이지만, 점차 퇴색되어 백색이 된다.
    하면 자실층은 갓과 같은 색. 건조하면 흰색이 된다. 구멍은 작고 부정 원형∼다각형, 구멍 끝이 얇고 흔히 세로로 갈라진다. 관공은 길이 3∼15mm.

    포자 : 포자는 타원형∼배의 종자 모양 . 평활, 투명, 비 전분반응. 4∼5.5×2∼2.5㎛.
    색상 : 허연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ㅁ~가을 참나무류 등 활엽수의 그루터기, 죽은 나무에 난다. 재목의 백색부후를 일으킨다.
    분포 : 한국, 일본, 중국.
    식용여부 :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6. 손등개떡버섯(찬손등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구멍장이버섯목(Polyporales)
    학명 : Tyromyces leucospongia (Cooke & Harkn.) Bond. & Sing. > Oligoporus leucospongia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a%b5%ac%eb%a9%8d%ec%9e%a5%ec%9d%b4%eb%b2%84%ec%84%af%ea%b3%bc(Polyporaceae)" target=_blank>구멍장이버섯과(Polyporaceae) </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a%b0%9c%eb%96%a1%eb%b2%84%ec%84%af%ec%86%10d(Tyromyces)" target=_blank>개떡버섯속(Tyromyces)</a>
    특징 : 소형∼중형. 갓은 백색∼연갈색, 벨벳모양 털이 밀생. 관공은 백색∼가죽색. 찬손등버섯이 개칭됨.관공이 2-4개/mm로 다소 큰 편이다.
    자실체 : 자실체는 1년생. 단독으로 나며, 기물에 직접 붙거나 반배착생. 갓은 반원형∼선반형, 좌우폭 7cm, 전후폭 3cm, 두께 3.5cm 정도까지 자란다. 갓 표면은 백색∼연갈색, 벨벳모양 털이 밀생하며, 테무늬는 없고, 부드러우며, 가장자리는 같은 색, 안쪽으로 감긴다. 가장자리에 부분적으로 관공이 생기기도 한다. 살은 백색. 부드럽고 위쪽은 솜모양 연하지만 관공 쪽은 다소 단단하다. 두께 2cm 정도.
    하면 자실층 표면은 거칠고, 백색∼가죽색, 구멍은 원형∼각형, 후에 격막이 점차 찢어진 모양이 된다. 2∼4개/mm. 관공은 단단하고 깨지기 쉽다. 연한 가죽색, 길이 5mm 정도.

    포자 : 포자는 소시지형, 투명, 평활, 비전분반응. 1∼1.5×5∼8㎛.
    담자기는 좁은 곤봉형, 4개의 담자뿔이 있고, 밑동에 연결꺽쇠가 있다. 낭상체는 없다. 균사형은 1균사형, 벽의 두께는 불규칙하고, 폭 4∼7㎛.

    색상 : 백색∼연갈색
    발생계절 : 여름~겨울
    발생형태 : 여름~겨울 각종 침엽수의 낙지나 드물게 사시나무 등에 단생한다. 자실체는 때때로 겨울에도 큰다.
    분포 : 한국, 유럽.
    식용여부 :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7. 주황개떡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구멍장이버섯목(Polyporales)
    학명 : Tyromyces incarnatus Imaz.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a%b5%ac%eb%a9%8d%ec%9e%a5%ec%9d%b4%eb%b2%84%ec%84%af%ea%b3%bc(Polyporaceae)" target=_blank>구멍장이버섯과(Polyporaceae) </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a%b0%9c%eb%96%a1%eb%b2%84%ec%84%af%ec%86%9d(Tyromyces)" target=_blank>개떡버섯속(Tyromyces)</a>
    특징 : 중형∼대형. 갓은 담홍색∼분홍색. 희미하게 테 무늬가 나타난다. 관공은 갓과 같은 색.
    자실체 : 자실체는 1년생. 대가 없이 기물에 직접 부착한다. 갓은 처음에 혀모양∼부채꼴이지만 후에 반원형이되고 평평해 진다. 폭 5∼15cm, 두께 1∼1.5cm의 중형∼대형. 표면은 홍색∼분홍색, 또는 회홍색. 건조하면 회색의 가루를 칠한 것 같은 모양이 되는 것도 있다. 희미하게 테 무늬가 나타난다. 털은 없고 때에 따라서는 낮은 사마귀모양으로 융기가 있다. 살은 어릴 때는 연한 복숭아 색. 후에는 분홍색. 두께 5∼7mm, 살아 있을 때는 물기가 많고 유연하나 건조하면 탄력성을 띤다.
    하면 자실층은 분홍색∼홍색. 구멍은 원형, 4∼5개/mm, 구멍 벽은 얇다. 관공은 길이는 4∼5mm.

    포자 : 포자는 타원형. 평활, 투명, 4∼5×2.5㎛.
    색상 : 담홍색∼분홍색
    발생계절 : 연중내내
    발생형태 : 연중내내 전나무 등 침엽수의 죽은 나무, 쓰러진 나무에 난다.
    분포 : 한국, 일본
    식용여부 :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8. 개떡버섯(젖색개떡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구멍장이버섯목(Polyporales)
    학명 : Tyromyces chioneus (Fr.) P. KarsTyromyces > Tyromyces albellus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a%b5%ac%eb%a9%8d%ec%9e%a5%ec%9d%b4%eb%b2%84%ec%84%af%ea%b3%bc(Polyporaceae)" target=_blank>구멍장이버섯과(Polyporaceae) </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a%b0%9c%eb%96%a1%eb%b2%84%ec%84%af%ec%86%8d(Tyromyces)" target=_blank>개떡버섯속(Tyromyces)</a>
    특징 : 중형. 갓은 흰색∼담황색끼를 띤다. 표면은 밀모가 있거나 또는 없다. 관공은 허연색. 물기가 많다. 젖색개떡버섯이 기준종이어서 개칭된 것. 매우 흔하다.
    자실체 : 갓은 반원형∼부채꼴이면서 둥근산형, 좌우 폭 5∼8cm, 전후 폭 2∼4cm, 두께 0.5∼3.5cm. 처음에는 흰색이나 후에는 담황색 끼를 띤다. 물기가 많은 버섯이며, 표면은 우단모양으로 밀모가 덮여 있거나 또는 없다. 테무늬는 없고 가장자리는 얇다. 살은 흰색. 연하고 물기가 많다. 건조하면 단단하고 분필 형이 된다. 삶아서 요리를 하면 맛이 나무 씹는 것과 같아서 맛이 개떡 같다.
    관공은 백색∼담황색. 원형 또는 가늘고 길다. 3∼4개/mm. 광택이 있다.

    포자 : 포자는 소시지형. 평활, 투명, 4∼5×1∼1.5㎛.
    색상 : 흰색∼담황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늦여름∼늦가을. 침엽수 또는 활엽수의 죽은 나무에 난다. 매우 흔하다.
    분포 : 한국, 일본, 중국, 필리핀, 유럽, 북미.
    식용여부 :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9. 주름옷솔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구멍장이버섯목(Polyporales)
    학명 : Trichaptum laricinum (P. KarsTrichaptum) Ryv.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a%b5%ac%eb%a9%8d%ec%9e%a5%ec%9d%b4%eb%b2%84%ec%84%af%ea%b3%bc(Polyporaceae)" target=_blank>구멍장이버섯과(Polyporaceae) </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C%98%B7%EC%86%94%EB%B2%84%EC%84%AF%EC%86%8D(Trichaptum)" target=_blank>옷솔버섯속(Trichaptum)</a>
    특징 : 소형. 옷솔버섯과 흡사하지만 다소 크고 두껍다. 표면에 테무늬가 있고 털이 직립성. 하면 자실층은 주름살모양인 특징이 있다.
    자실체 : 갓은 대가 없이 기물에 직접 부착하거나 반배착생. 반원형 또는 선반모양이며 옷솔버섯과 매우 흡사하지만 다소 크고 두꺼운 특징이 있다. 표면에는 분명한 테 무늬가 있다. 허연색, 때로는 흑갈색. 털은 옷솔버섯이나 기와옷솔버섯과 달리 직립성이고 짧은(약 0.5mm) 특징이 있다.
    관공은 옷솔버섯이나 기와옷솔버섯과 달리 완전한 주름살 모양인 특징이 있다. 각 주름살 사이는 3mm 정도. 보라색끼를 띤 진갈색.

    포자 : 포자는 긴 타원형. 작은 뿔이 있다. 평활, 투명, 5∼7×2㎛.
    색상 : 허연색, 흑갈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낙엽송이나 분비나무 죽은 가지에 난다.
    분포 : 한국, 일본, 중국, 시베리아, 북미.
    식용여부 :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10. 기와옷솔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구멍장이버섯목(Polyporales)
    학명 : Trichaptum fuscoviolaceum (Ehrenb.) Ryv.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a%b5%ac%eb%a9%8d%ec%9e%a5%ec%9d%b4%eb%b2%84%ec%84%af%ea%b3%bc(Polyporaceae)" target=_blank>구멍장이버섯과(Polyporaceae) </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C%98%B7%EC%86%94%EB%B2%84%EC%84%AF%EC%86%8D(Trichaptum)" target=_blank>옷솔버섯속(Trichaptum)</a>
    특징 : 소형. 갓은 반원형∼선반형, 허연색, 회백색 또는 회색, 거친 털 밀포. 관공은 진한 갈자색, 퇴색하면 적갈색. 톱니모양. 활엽수에 난다. 흔하다. 옷솔버섯보다 두껍다.
    자실체 : 자실체는 대가 없이 기물에 직접 부착하거나 반배착생. 갓은 반원형 또는 선반형이고 편평하다. 폭 2∼4cm, 두께 1∼3mm 정도의 소형. 표면은 허연색. 회백색 또는 회색. 거친 털이 덮여 있다. 다수가 중첩해서 층으로 난다. 가장자리는 얇고 날카로우며 건조 시에는 안쪽으로 굽는다.
    관공은 진한 갈자색, 후에 퇴색되면 적갈색. 톱니모양이며 방사상으로 배열하고 길이 1∼3mm.
    대는 없다. 살은 극히 얇고 흰색. 약간 아교질을 띠며 건조 시에는 다소 연골질.

    포자 : 포자는 원주형∼소시지형. 평활, 투명, 7∼8.5×2.5∼3㎛.
    색상 : 허연색, 회백색 또는 회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연중 내내) 침엽수 및 참나무류 등 각종 활엽수 죽은 줄기나 가지, 낙지 등에 난다. 백색부후를 일으킨다. 매우 흔하다.
    분포 : 한국, 북반구 온대 이북.
    식용여부 :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11. 테옷솔버섯(흰이옷솔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구멍장이버섯목(Polyporales)
    학명 : Trichaptum biforme (Fr.) Ryv. > Trichaptum elongatum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a%b5%ac%eb%a9%8d%ec%9e%a5%ec%9d%b4%eb%b2%84%ec%84%af%ea%b3%bc(Polyporaceae)" target=_blank>구멍장이버섯과(Polyporaceae) </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C%98%B7%EC%86%94%EB%B2%84%EC%84%AF%EC%86%8D(Trichaptum)" target=_blank>옷솔버섯속(Trichaptum)</a>
    특징 : 극소형∼소형. 갓은 반원형∼선반형. 회백색∼회갈색에 암갈색 테무늬. 관공은 보라색이다가 담황∼담갈색(때로는 백색), 얕은 톱니모양. 옷솔버섯과 달리 활엽수에 난다. 흰이옷솔버섯은 동일종으로 정리되었다.
    이 버섯은 옷솔버섯과 매우 혼동되기 쉽다. 옷솔버섯은 침엽수에 나는 반면 이 버섯은 활엽수에 난다.

    자실체 : 갓은 대가 없이 기물에 직접 부착한다. 반원형 또는 선반모양이거나 부착부가 협소한 부채꼴∼혀 모양, 다수가 중첩해서 군생. 폭 1∼6cm, 두께 1∼2mm 정도. 표면은 회백색∼연한 회갈색이고 암색의 테 무늬가 다수 형성되며, 테 무늬는 다소 불분명한 경우도 있다. 짧은 밀모가 덮여 있다. 가장자리는 얇고 날카로우며 건조할 때는 아래쪽으로 굽는다. 살은 극히 얇고 흰색. 강인한 가죽질이다.
    관공은 어릴 때 보라색을 띠지만 점차 색이 바래 담황∼담갈색을 띤다(때로는 백색). 어릴 때는 얕은 관공 모양이나 후에는 관공 벽이 무너져서 얕은 톱니모양의 침이 되어 밀생.

    포자 : 포자는 원주형. 다소 굽어 있다. 평활, 투명, 5∼7×2∼2.5㎛.
    색상 : 회백색∼회갈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연중 내내) 보통 활엽수의 죽은 나무나 그루터기에 난다. 갱목에도 발생하며 백색부후를 일으킨다.
    분포 : 한국, 일본, 및 전 세계.
    식용여부 :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12. 소나무옷솔버섯(옷솔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구멍장이버섯목(Polyporales)
    학명 : Trichaptum abietinum (Dicks.) Ryv. > Hirschioporus abietinus (Pers.) Donk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a%b5%ac%eb%a9%8d%ec%9e%a5%ec%9d%b4%eb%b2%84%ec%84%af%ea%b3%bc(Polyporaceae)" target=_blank>구멍장이버섯과(Polyporaceae) </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C%98%B7%EC%86%94%EB%B2%84%EC%84%AF%EC%86%8D(Trichaptum)" target=_blank>옷솔버섯속(Trichaptum)</a>
    특징 : 극소형. 갓은 얇고 허연색∼회백색. 말류가 덮이면 녹색. 관공이 보라색 끼를 띤다. 자실층은 연한 핑크색∼보라색, 후에 갈자색∼황갈색. 소나무에 흔히 층으로 난다.이 버섯은 옷솔버섯이었는데, 기준종이 T Perrottetii 이어서 소나무옷솔버섯으로 개칭.
    자실체 : 자실체는 대가 없이 기물에 직접 부착하거나, 반배착생이다. 갓은 반원형∼부채꼴이며 얇고 편평하다. 전후 폭 1∼2cm, 두께 1∼1.5mm 정도의 극소형. 다수가 중첩해서 층으로 나며 가로로도 이어져서 선반모양이 되기도 한다. 유연한 가죽질인데 건조하면 강하게 수축되어 안쪽으로 굽는다. 표면은 허연색∼회백색 또는 보라색 끼를 띤 갈색. 말류가 덮여서 녹색을 나타내기도 한다. 짧은 털이 밀생되어 있다. 불명료한 테 무늬가 있고 얕은 테 모양으로 홈이 있다. 살은 극히 얇고 약간 아교질을 띠며 허연색∼칙칙한 살색.
    하면 자실층은 처음에는 연한 핑크색∼보라색이다가 후에 갈자색이나 황갈색이 된다. 원형이며 깊이가 매우 얕고 3∼4개/mm, 관공의 벽은 얇고 다소 톱니꼴이다.

    포자 : 포자는 타원형∼소시지형. 평활, 투명, 7∼8×2.5∼3.5㎛.
    색상 : 허연색∼회백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연중 내내) 소나무, 전나무 등 침엽수의 죽은 입목 또는 죽은 줄기나 가지, 낙지 등에 난다. 매우 흔하다.
    분포 : 한국, 북반구 온대 이북.
    식용여부 :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13. 갈색살송편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구멍장이버섯목(Polyporales)
    학명 : Trametopsis cervina (Schw.) Tomsovsky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a%b5%ac%eb%a9%8d%ec%9e%a5%ec%9d%b4%eb%b2%84%ec%84%af%ea%b3%bc(Polyporaceae)" target=_blank>구멍장이버섯과(Polyporaceae) </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c%82%b4%ec%86%a1%ed%8e%b8%eb%b2%84%ec%84%af%ec%86%8d(Trametopsis)" target=_blank>살송편버섯속(Trametopsis)</a>
    특징 : 소형 어릴때 완전 백색, 황토갈색에서 암갈색으로 되며 위로 뒤틀리고 백색의 털이 있고, 테는 없다.
    자실체 : 자실체는 어릴 때 완전한 백색이며 길이는 4~5cm, 폭은 1cm, 두께 0.2~0.5cm로 광택이 나고 섬유상이며 황토갈색에서 암갈색으로 되며 위로 뒤틀리고 백색의 털이 있으나 테는 없으며 물결형이다. 가장자리는 백색이고 털이 있다. 구멍은 주름지고 톱니상으로 미로형이다. 관공은 기주에 내린관공이고 지름은 0.5~1.5mm, 관의 깊이는 4mm로 백색이며 광택이 나고 황토색 또는 갈색이다. 살은 백색으로 건조 시 광택이 나는 코르크질로 두께는 0.1~3mm이다.
    포자 : 포자는 원주형, 평활 5~7×1.5~2.5㎛.
    색상 : 백색, 황토갈색에서 암갈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주로 너도밤나무, 낙엽송의 줄기에 군생한다
    분포 : 한국, 중국
    식용여부 :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14. 회색송편버섯(회색구름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구멍장이버섯목(Polyporales)
    학명 : Trametes villosa (Swartz) Kreisel > Coriolus pinsitus (Fr.) Pat.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a%b5%ac%eb%a9%8d%ec%9e%a5%ec%9d%b4%eb%b2%84%ec%84%af%ea%b3%bc(Polyporaceae)" target=_blank>구멍장이버섯과(Polyporaceae) </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C%86%A1%ED%8E%B8%EB%B2%84%EC%84%AF%EC%86%8D(Trametes)" target=_blank>송편버섯속(Trametes) </a>
    특징 : 소형∼중형. 반배착생. 갓은 반원형∼부채꼴, 얇고 회황갈∼회색, 융털모양. 관공은 허연색∼회색. 회색구름버섯이 개칭.
    자실체 : 갓은 기질에 대가 없이 붙거나 또는 반배착생으로 붙는다. 갓은 반원형 또는 부채꼴이면서 조개껍질 모양, 좌우 3∼7cm, 전후 2∼4cm 정도, 두께는 약 1mm로 얇다. 가죽질, 표면은 밀짚색, 회황갈 또는 회색, 압착된 융털모양의 가는 털로 덮이며, 동심원상으로 테무늬가 형성된다. 가장자리는 유연한 털이 있거나, 다소 이빨모양이 된다. 건조할 때는 안쪽으로 굽는다. 살은 백색, 막질, 질기다. 0.3mm 정도로 매우 얇다.
    관공은 허연색, 연한 황색∼밀짚색. 짧고 1mm 이하, 2∼3개/mm.

    포자 : 포자는 타원형. 평활, 무색, 비 전분반응. 5∼7.5×2.5∼3.3㎛.
    색상 : 회황갈∼회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죽은 나무 또는 낙지에 난다.
    분포 : 한국, 일본, 북미, 남미.
    식용여부 :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15. 구름송편버섯(구름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구멍장이버섯목(Polyporales)
    학명 : Trametes versicolor (L.) Llyod > Coriolus versicolor (L.) Quél.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a%b5%ac%eb%a9%8d%ec%9e%a5%ec%9d%b4%eb%b2%84%ec%84%af%ea%b3%bc(Polyporaceae)" target=_blank>구멍장이버섯과(Polyporaceae) </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c%86%a1%ed%8e%b8%eb%b2%84%ec%84%af%ec%86%18d(Trametes)" target=_blank>송편버섯속(Trametes) </a>
    특징 : 소형. 흑회색 바탕에 황갈색, 허연색 등 테무늬 형성. 관공은 흰색. 우리말 학술명은 구름송편버섯으로 바뀌었으며, 흔히 사용되는 일반명 구름버섯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자실체 : 갓은 대가 없고 기물에 직접 부착된다. 반원형, 꽃 모양 등이면서 얇고 편평하다. 폭 2∼5cm, 두께 1∼2mm 정도 소형. 흔히 수십∼수백 개의 버섯이 중첩해서 군생. 표면은 많은 테 무늬가 중첩해서 형성되는데 회색. 황토갈색. 흑갈색. 흑회색 등의 바탕에 황갈색. 허연색 등의 좁은 테 무늬가 다수 형성된다. 표면은 짧은 털이 덮여 있다. 살은 흰색. 표면 바로 아래는 암색의 경계층이 있다. 매우 질긴 가죽질이다.
    관공은 처음에는 흰색이나 점차 탁한 황색이나 회갈색으로 변한다. 길이 1mm 정도, 구멍은 원형이고 3∼5개/mm.

    포자 : 포자는 원주형∼약간 소시지형. 평활, 투명, (5)6∼7×1.5∼2㎛.
    색상 : 흑회색 바탕에 황갈색, 허연색 등 테무늬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대부분의 활엽수 줄기나 가지, 그루터기, 낙지 등에 나며, 드물게는 침엽수에도 나며 백색부후를 일으킨다. 매우 흔하다.
    분포 : 범세계적.
    식용여부 : 약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16. 토끼털송편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구멍장이버섯목(Polyporales)
    학명 : Trametes trogii Berk.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a%b5%ac%eb%a9%8d%ec%9e%a5%ec%9d%b4%eb%b2%84%ec%84%af%ea%b3%bc(Polyporaceae)" target=_blank>구멍장이버섯과(Polyporaceae) </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C%86%A1%ED%8E%B8%EB%B2%84%EC%84%AF%EC%86%8D(Trametes)" target=_blank>송편버섯속(Trametes) </a>
    특징 : 소형∼중형. 갓은 회백색, 회황색 또는 회갈색, 거친 털 밀생. 관공은 흰색∼회황색, 다소 큰 편. 미루나무, 현사시나무 등에 중첩해 난다.
    자실체 : 갓은 대가 없고 기물에 직접 부착된다. 반원형이면서 낮은 둥근산형이 되고 기물에 부착한 부분은 흔히 내리붙음. 흔히 여러 개가 중첩해서 난다. 폭 3∼9×2∼4cm, 두께 1∼3cm의 소형∼중형. 표면은 회백색. 회황색 또는 회갈색이고 약간 거친 털이 밀생. 불명료한 테 무늬와 테 모양으로 홈이 있다.
    관공은 처음에는 흰색이지만 점차 회황색이 된다. 길이 5∼10mm, 구멍은 원형∼다소 각형, 2개/mm, 구멍 끝은 약간 톱니모양인데 평탄하지는 않다.
    대는 없다. 살은 거의 흰색. 두께 2∼5mm, 약간 단단한 코르크질.

    포자 : 포자는 원주상 타원형. 평활, 투명, 6.5∼11×3∼3.5㎛.
    색상 : 회백색, 회황색 또는 회갈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미루나무, 현사시나무 등 활엽수의 죽은 나무 또는 살아있는 나무의 상처부, 쓰러진 나무 등에 나며 백색부후를 일으킨다. 흔한 편.
    분포 : 한국, 일본, 중국, 시베리아, 유럽, 북미.
    식용여부 :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17. 송편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구멍장이버섯목(Polyporales)
    학명 : Trametes suaveolens (L.) Fr.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a%b5%ac%eb%a9%8d%ec%9e%a5%ec%9d%b4%eb%b2%84%ec%84%af%ea%b3%bc(Polyporaceae)" target=_blank>구멍장이버섯과(Polyporaceae) </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c%86%a1%ed%8e%b8%eb%b2%84%ec%84%af%ec%86%16d(Trametes)" target=_blank>송편버섯속(Trametes) </a>
    특징 : 중형∼대형. 갓은 반원형이면서 둥근산형, 흰색∼회색. 살은 치밀한 코르크질, 마르면 단단하다. 관공은 흰색. 구멍은 어릴 때 다소 막힌 모양, 벽이 두껍다.
    이 버섯은 시기, 장소에 따라서 구멍의 형태가 다소 달라보임

    자실체 : 갓은 대가 없고 기물에 직접 부착된다. 반원형이면서 둥근산형이고 폭 5∼12×4∼6cm, 두께 1∼3cm, 표면은 흰색∼회색 또는 약간 황색을 띤다. 미세한 연모(軟毛)가 덮여 있거나 거의 털이 없다. 테 무늬는 없다. 가장자리는 얇거나 또는 두껍다. 살은 흰색∼연한 색. 치밀한 코르크질이 된다. 마르면 단단하다 두께 1∼2cm.
    관공은 흰색. 오래된 것은 회백색∼황토갈색 끼를 띠기도 한다. 구멍은 원형∼약간 각형, 1∼3개/mm로 다소 크고, 구멍 벽은 두껍다. 관공의 길이는 5∼15mm(어릴 때는 구멍이 다소 막힌 것처럼 보이기도 함).

    포자 : 포자는 원주형∼약간 굽어 있다. 평활, 투명, 7∼11×3∼3.5㎛.
    색상 : 흰색∼회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버드나무 등 활엽수 죽은 줄기나 쓰러진 나무에 나며 백색부후를 일으킨다.
    분포 : 한국, 일본, 중국, 시베리아, 유럽, 북미.
    식용여부 :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18. 흰융털송편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구멍장이버섯목(Polyporales)
    학명 : Trametes pubescens (Schum.) Pilát > Coriolus pubescens (Schum.) Quél.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a%b5%ac%eb%a9%8d%ec%9e%a5%ec%9d%b4%eb%b2%84%ec%84%af%ea%b3%bc(Polyporaceae)" target=_blank>구멍장이버섯과(Polyporaceae) </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c%86%a1%ed%8e%b8%eb%b2%84%ec%84%af%ec%86%15d(Trametes)" target=_blank>송편버섯속(Trametes) </a>
    특징 : 갓은 반원형. 황백색∼재목황색. 방사상으로 미세한 주름과 테 무늬. 어릴 때는 미세한 털이 있으나, 후에 없어진다. 때로는 짧은 대 모양이 형성된다. 관공은 흰색∼연한 황토색. 흰구름송편버섯(Trametes hirstus)보다 다소 두꺼운 편이다. 또 후에 털이 없어진다.
    자실체 : 갓는 대가 없이 기물에 직접 부착되거나 반배착생, 때로는 기물에 좁게 부착되기도 하고, 짧은 대 모양이 형성되기도 한다. 갓은 반원형 드물게는 콩팥모양 또는 부채꼴 등이며 편평하거나 조개껍질 형이다. 폭 3∼8×3∼5cm, 두께 3∼7mm, 표면은 신선할 때 백색, 크림색, 오래되면 황백색∼황토황색. 어릴 때는 미세한 털이 덮여 있으나 후에 털이 없어진다. 방사상으로 달리는 미세한 주름이 잡혀있고 불선명한 테 무늬가 있다. 가장자리는 얇고 다소 아래쪽으로 굽는다. 살은 흰색∼연한 재목색. 섬유질이며 가죽질이다.
    관공은 백색∼연한 황토색. 길이 2∼3(5)mm, 구멍은 원형이나 후에 미로상이 된다. 2∼5개/mm, 구멍 벽은 얇다.

    포자 : 포자는 원주형∼약간 소시지형. 평활, 투명, 5∼6×1.7∼2.5㎛.
    색상 : 황백색∼재목황색
    발생계절 : 봄~가을
    발생형태 : 봄∼가을. 오리나무, 자작나무, 참나무류, 미루나무 등 활엽수 죽은 나무에 난다. 흔히 다수의 버섯이 층생.
    분포 : 한국, 일본, 중국, 시베리아, 유럽, 북미.
    식용여부 :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19. 살송편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구멍장이버섯목(Polyporales)
    학명 : Trametes palisotii (Fr.) Imaz.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a%b5%ac%eb%a9%8d%ec%9e%a5%ec%9d%b4%eb%b2%84%ec%84%af%ea%b3%bc(Polyporaceae)" target=_blank>구멍장이버섯과(Polyporaceae) </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c%86%a1%ed%8e%b8%eb%b2%84%ec%84%af%ec%86%14d(Trametes)" target=_blank>송편버섯속(Trametes) </a>
    특징 : 중형∼대형. 갓은 반원형∼콩팥모양. 흰색, 후에 허연색∼재목색. 때때로 기부 부근에 암홍갈색 오염. 관공은 흰색∼황백색. 살은 단단하고 강인.
    자실체 : 갓은 대가 없이 기물에 직접 부착된다. 반원형이나 때로는 부착부위가 좁아져서 약간 부채꼴 또는 콩팥 모양이 되기도 한다. 2∼3개가 중첩해서 밑동이 서로 유착되기도 하고 가로로 연달아 나서 대형의 집단이 되기도 한다. 개개의 갓은 폭 5∼15cm, 두께 0.5∼1cm, 표면은 흰색이다가 후에 허연색∼재목색이 된다. 때때로 기부 가까운 부분은 암홍갈색의 페인트를 칠한 것 같은 오염이 생긴다. 표면은 무모 평활, 테 무늬와 테 모양 홈은 불선명하다. 가장자리는 얇고 보통 날카롭다. 살은 흰색. 단단하고 강인하다.
    관공은 흰색∼황백색. 방사상으로 가늘고 긴 구멍 모양이건, 미로상 또는 도랑모양을 나타낸다. 길이 2∼8mm, 간격은 0.5mm 정도.

    포자 : 포자는 긴 타원형. 평활, 투명, 5.5∼6.5×3㎛.
    색상 : 흰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활엽수의 쓰러진 나무에 나고 백색부후를 일으킨다.
    분포 : 한국, 일본, 중국 남부, 동남아, 호주, 뉴질랜드.
    식용여부 :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20. 시루송편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구멍장이버섯목(Polyporales)
    학명 : Trametes orientalis (Yasuda) Imaz.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a%b5%ac%eb%a9%8d%ec%9e%a5%ec%9d%b4%eb%b2%84%ec%84%af%ea%b3%bc(Polyporaceae)" target=_blank>구멍장이버섯과(Polyporaceae) </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c%86%a1%ed%8e%b8%eb%b2%84%ec%84%af%ec%86%13d(Trametes)" target=_blank>송편버섯속(Trametes) </a>
    특징 : 중형, 갓은 반원형. 엷은 쥐색∼회백색. 때로는 불선명한 테무늬가 있다. 가장자리는 둔하지만 후에 날카로워 진다. 관공은 흰색∼황백색. 색깔과 형태변화가 큰 것으로 보임.
    자실체 : 갓은 대가 없고 기물에 직접 부착된다. 반원형이면서 처음에는 편평하고 가장자리가 매우 둔하지만 생장하면서 날카로워지고 조개껍질 모양으로 만곡이 된다. 폭은 5∼10(15)cm, 두께 0.5∼1cm 정도. 표면은 엷은 쥐색∼회백색. 미세한 털이 덮여 있다. 표면이 처음에는 거의 평탄하지만 방사상으로 쪼글쪼글한 기복이 생긴다. 때로는 불선명한 테 무늬가 있다. 살은 흰색∼허연색. 코르크질이며 강인하고 단단하다. 두께는 5mm 정도.
    관공은 흰색∼황백색. 오래된 것은 재목 색(또는 회갈색)을 띤다. 길이 2∼5mm, 구멍은 원형이고 2∼3개/mm, 구멍의 끝은 처음에는 광택이 없이 둔하고 약간 두껍지만 점차 얇게 된다.

    포자 : 포자는 긴 타원형. 평활, 투명, 7∼8×2.5∼3㎛.
    색상 : 엷은 쥐색∼회백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활엽수의 죽은 나무에 군생. 표고 골목의 해균으로 나기도 한다.
    분포 : 한국, 일본, 대만, 인도.
    식용여부 :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 124 Next
/ 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