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01.09 10:44

큰머리종버섯

조회 수 92 추천 수 0 댓글 0
Extra Form
분류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Conocybe juniana (Velen.) Hauskn. & Svrček > Conocybe magnicapitata P.D. Orton
과명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C%86%8C%EB%98%A5%EB%B2%84%EC%84%AF%EA%B3%BC%28Bolbitiaceae%29" target=_blank>소똥버섯과(Bolbitiaceae)</a>
속명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C%A2%85%EB%B2%84%EC%84%AF%EC%86%8D%28Conocybe%29" target=_blank>종버섯속(Conocybe)</a>
특징 극소형~소형, 갓의 지름은 1~3.5㎝정도로 장자리가 위로 올라가고 완전히 펴지지 않는다. 황적갈색~ 황갈색 중앙 적갈색
자실체 갓의 지름은 1~3.5㎝정도로 어릴 때는 원추 꼴 모양에서 종 모양을 거쳐 낮은 반원모양으로 되면서 가장자리가 위로 올라가고 완전히 펴지지 않는다.
갓 표면은 습할 때는 황적갈색에서 황갈색이 되고, 줄 선이 있으며, 가운데는 적갈색이고 가장자리로 갈수록 색이 조금씩 옅어진다. 갓 조직이 얇아 쉽게 마르고 마르면 옅은 황색이 된다. 살(조직)은 옅은 황색이며 얇고 부서지기 쉽다. 주름살은 옅은 백황색에서 갈색으로 변해가며, 자루에 바르게 붙은 주름살이고, 주름살 간격이 약간 촘촘하다. 자루의 길이는 3~7㎝정도로 속이 비어 있으며 기부는 둥글게 부풀고, 자루 표면은 갓과 같은 색이며 세로로 된 선이 있고, 미세한 가루털로 덮여 있다. 낭상체는 크기 23~30×9~11.5㎛이다. 담자기는 4포자형, 크기 17~25×8~10㎛이다.
포자 포자는 크기는 8~11×4.8~5.2㎛이다. 타원형이며, 표면은 평활하고 적갈색이며, 포자무늬는 암적갈색이다.
색상 황적갈색에서 황갈색
발생계절 봄~가을
발생형태 봄~가을 길가, 목초지, 풀밭 등에 홀로 나거나 흩어져 난다.
분포 한국, 유럽.
식용여부 식용
출전, 인용문헌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이태수. 2013. 한국 기록종 버섯의 총정리. 52pp. 한국산지환경조사연구회.
한국균학회 균학용어편집위원회. 2013. 2013 한국의 버섯 목록. 576pp. 한국균학회.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eb8a8a6b4d83be97992ffbe405b747a5_20150106124248_nmmjitgv.jpg

 

1890355025_I7grWlPZ_img751.jpg

 

사진출처 : http://koreamushroom.kr/bbs/board.php?bo_table=mushroom_data&wr_id=3025

"


버섯크기 구분방법 _극소형: 2cm 이하. 소형: 2∼5(6)cm 정도. 중형: 5∼10(11)cm 정도. 대형: 10∼15(16)cm 정도. 거대형: 15cm 이상.
  1. 작은머리종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Conocybe pulchella (Velen.) Hauskn. & Svrcek > Conocybe pseudopilosella (Kuhn) Kuhn & Romagn.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C%86%8C%EB%98%A5%EB%B2%84%EC%84%AF%EA%B3%BC%28Bolbitiaceae%29" target=_blank>소똥버섯과(Bolbiti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C%A2%85%EB%B2%84%EC%84%AF%EC%86%8D%28Conocybe%29" target=_blank>종버섯속(Conocybe)</a>
    특징 : 갓은 1.2cm 이하, 습할 때는 황토갈색, 건조하면 거의 크림색. 대는 매우 가늘고 길다.
    자실체 : 갓은 폭 0.5∼1.2cm의 극소형. 갓은 퍼지지 않고 원추형∼종모양으로 남는다. 습할 때는 황토갈색, 가장자리에 줄금이 있다. 건조하면 거의 크림색으로 연해진다. 살은 얇고 황토색. 식용하지 않는다.
    주름살은 처음에는 황토갈색, 후에 황토계피색이 된다. 폭이 넓고 성긴 편, 대에 치붙음.
    대는 4∼8cm(굵기1∼2mm), 가늘고 길다. 위쪽은 연한색이고 아래쪽은 갓과 같은 색.

    포자 : 포자는 13∼14.5×7∼8.5㎛.(Rogers M. of GB & E. 154p) 또는 9∼16×6∼9㎛(sw4 306p.), 포자문은 황토갈색.
    색상 : 황토갈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잔디밭, 임내 풀밭 등에 난다.
    분포 : 한국, 유럽.
    식용여부 :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2. 솜털종버섯(털종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Conocybe pilosella (Pers.) Kuhn.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C%86%8C%EB%98%A5%EB%B2%84%EC%84%AF%EA%B3%BC%28Bolbitiaceae%29" target=_blank>소똥버섯과(Bolbiti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C%A2%85%EB%B2%84%EC%84%AF%EC%86%8D%28Conocybe%29" target=_blank>종버섯속(Conocybe)</a>
    특징 : 극소형∼소형. 습할 때는 암황토갈색, 반투명 줄무늬가 거의 중앙까지 나타난다. 건조하면 크림베이지색, 중앙은 갈색, 줄무늬가 나타나지 않는다. 털종버섯이라고도 하였다.
    자실체 : 갓은 폭 1∼3cm의 극소형∼소형. 어릴 때는 종형, 후에 원추형 또는 종형이 된다. 표면은 평활하고, 둔하며, 흡습성. 습할 때는 암황토갈색, 반투명 줄무늬가 거의 중앙까지 나타난다. 건조하면 크림베이지색이고 중앙은 갈색, 줄무늬는 나타나지 않는다. 가장자리는 날카롭다. 살은 얇고, 크림색.
    주름살은 어릴 때는 연한 갈색, 후에는 황갈색∼황토갈색, 폭이 넓고, 대에 좁게 치붙음. 날은 고르다.
    대는 길이 2∼6cm(굵기 1∼2mm), 원주형, 밑동은 흔히 약간 둥글게 부풀어 있다. 질기지만 부러지기 쉽다. 속이 비었고, 표면은 둔하며, 어릴 때는 허연색, 후에는 크림황색∼갈색. 미세하게 세로로 줄무늬가 있거나 분상이다. 흔히 밑동 쪽으로 진하다.

    포자 : 포자는 타원형. 평활, 다소 벽이 얇다. 발아공은 뚜렷하지 않다. 6.4∼7.8×3.9∼5㎛. 포자문은 적갈색.
    색상 : 암황토갈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참나무류 등 활엽수 썩은 둥치나 가지 때로는 임지 토양에서 단생 또는 군생한다.
    분포 : 한국, 중국, 유럽.
    식용여부 :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한국균학회 균학용어편집위원회. 2013. 2013 한국의 버섯 목록. 576pp. 한국균학회.
    반승언, 조덕현. 2012. 백두산의 고등균류상(1). 한국자연보존연구지 10(3-4): 193∼220. 한국자연보전협회

    file
    Read More
  3. 큰머리종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Conocybe juniana (Velen.) Hauskn. & Svrček > Conocybe magnicapitata P.D. Orton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C%86%8C%EB%98%A5%EB%B2%84%EC%84%AF%EA%B3%BC%28Bolbitiaceae%29" target=_blank>소똥버섯과(Bolbiti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C%A2%85%EB%B2%84%EC%84%AF%EC%86%8D%28Conocybe%29" target=_blank>종버섯속(Conocybe)</a>
    특징 : 극소형~소형, 갓의 지름은 1~3.5㎝정도로 장자리가 위로 올라가고 완전히 펴지지 않는다. 황적갈색~ 황갈색 중앙 적갈색
    자실체 : 갓의 지름은 1~3.5㎝정도로 어릴 때는 원추 꼴 모양에서 종 모양을 거쳐 낮은 반원모양으로 되면서 가장자리가 위로 올라가고 완전히 펴지지 않는다.
    갓 표면은 습할 때는 황적갈색에서 황갈색이 되고, 줄 선이 있으며, 가운데는 적갈색이고 가장자리로 갈수록 색이 조금씩 옅어진다. 갓 조직이 얇아 쉽게 마르고 마르면 옅은 황색이 된다. 살(조직)은 옅은 황색이며 얇고 부서지기 쉽다. 주름살은 옅은 백황색에서 갈색으로 변해가며, 자루에 바르게 붙은 주름살이고, 주름살 간격이 약간 촘촘하다. 자루의 길이는 3~7㎝정도로 속이 비어 있으며 기부는 둥글게 부풀고, 자루 표면은 갓과 같은 색이며 세로로 된 선이 있고, 미세한 가루털로 덮여 있다. 낭상체는 크기 23~30×9~11.5㎛이다. 담자기는 4포자형, 크기 17~25×8~10㎛이다.

    포자 : 포자는 크기는 8~11×4.8~5.2㎛이다. 타원형이며, 표면은 평활하고 적갈색이며, 포자무늬는 암적갈색이다.
    색상 : 황적갈색에서 황갈색
    발생계절 : 봄~가을
    발생형태 : 봄~가을 길가, 목초지, 풀밭 등에 홀로 나거나 흩어져 난다.
    분포 : 한국, 유럽.
    식용여부 : 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이태수. 2013. 한국 기록종 버섯의 총정리. 52pp. 한국산지환경조사연구회.
    한국균학회 균학용어편집위원회. 2013. 2013 한국의 버섯 목록. 576pp. 한국균학회.

    file
    Read More
  4. 톱니종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Conocybe intrusa (Peck) Sing.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C%86%8C%EB%98%A5%EB%B2%84%EC%84%AF%EA%B3%BC%28Bolbitiaceae%29" target=_blank>소똥버섯과(Bolbiti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C%A2%85%EB%B2%84%EC%84%AF%EC%86%8D%28Conocybe%29" target=_blank>종버섯속(Conocybe)</a>
    특징 : 소형∼중형. 갓은 크림색∼베이지 황토색. 가장자리는 약간 줄무늬가 있거나 톱니모양. 대는 허연색∼크림색. 밑동이 구근상. 형태가 다른 버섯속으로 오인되기 쉽다.
    자실체 : 갓은 폭 3∼7cm의 소형∼중형. 반구상 둥근산형이다가 둥근산형∼평평한 형이 되며, 중앙이 다소 돌출되거나 때로는 오목해 진다. 표면은 둔하고, 약간 주름이 잡히거나 거칠고, 습할 때는 약간 점성이 있지만, 보통 건조하다. 크림색∼베이지황토색, 가장자리는 날카롭고, 약간 줄무늬가 있거나 톱니모양을 이룬다. 살은 두껍고, 백색∼크림색.
    주름살은 어릴 때는 크림색, 후에 계피갈색∼녹슨갈색, 폭이 좁고, 대에 좁은 띠붙음. 날은 약간 톱니꼴이거나 고르다.
    대는 3∼6cm(굵기 6∼12mm), 원주형이거나 약간 위쪽으로 가늘어 진다. 밑동은 구근상, 속이 차 있고, 단단하다. 표면은 허연색∼크림색, 약간 밑동 쪽으로 암색을 띤다. 미세하게 세로로 백색 섬유상이며, 밑동쪽은 미세하게 면모상 또는 인편상이다.

    포자 : 포자는 타원형. 평활, 녹슨 갈색, 발아공은 매우 뚜렷하지 않다. 4.8∼6.9×3.4∼4.8㎛. 포자문은 계피갈색.
    색상 : 크림색∼베이지 황토색
    발생계절 : 봄, 겨울
    발생형태 : 겨울∼봄. 온실, 화분, 묘포장 등의 부식질 많은 토양에 군생한다.
    분포 : 한국(백두산), 중국, 유럽.
    식용여부 : 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반승언, 조덕현. 2012. 백두산의 고등균류상(1). 한국자연보존연구지 10(3-4): 193∼220. 한국자연보전협회

    file
    Read More
  5. 민들레건초종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Conocybe fuscimarginata (Murr.) Sing.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C%86%8C%EB%98%A5%EB%B2%84%EC%84%AF%EA%B3%BC%28Bolbitiaceae%29" target=_blank>소똥버섯과(Bolbiti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C%A2%85%EB%B2%84%EC%84%AF%EC%86%8D%28Conocybe%29" target=_blank>종버섯속(Conocybe)</a>
    특징 : 민들레 재배 온실에서 발생
    자실체 : 갓은 직경이 10~25 mm로 원추형이고, 표면은 황갈색을 띠며, 중앙은 종종 회색을 띤다. 주름살은 완전 붙은 형태이고, 황토색을 띠나 점차 녹황토색으로 변한다.
    대는 크기가 40~70×1~2 mm로 원통형이고, 상하 굵기가 비슷하며, 표면은 담황백색을 띠나 성장하면 암갈색을 띤다. 조직은 얇고, 회갈색이며, 대조직은 보다 옅은 색을 띤다.
    갓의 표피층은 풍선형 세포로 구성되어 있다. 대시스티디아는 볼링핀 모양(lecythiform)이 아니다

    포자 : 포자는 크기가 10~20×6~12 µm로 타원형 내지 난형이고, 포자벽은 얇으며, 발아공이 있다. 담자기는 2-포자형이다.포자문은 갈색이다.
    색상 : 황갈색
    발생계절 : 연중내내
    발생형태 : 민들레 재배 온실에서 발생
    분포 : 한국, 유럽
    식용여부 :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한국균학회 균학용어편집위원회. 2013. 2013 한국의 버섯 목록. 576pp. 한국균학회.

    file
    Read More
  6. 도토리종버섯(얇은종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Conocybe fragilis (Peck) Sing.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C%86%8C%EB%98%A5%EB%B2%84%EC%84%AF%EA%B3%BC%28Bolbitiaceae%29" target=_blank>소똥버섯과(Bolbiti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C%A2%85%EB%B2%84%EC%84%AF%EC%86%8D%28Conocybe%29" target=_blank>종버섯속(Conocybe)</a>
    특징 : 극소형. 종형, 습할 때는 포도주색∼적갈색, 건조할 때는 담색. 가장자리에 줄무늬.
    자실체 : 갓는 폭 0.6∼2cm의 극소형. 종형∼둔한 원추형, 습할 때는 포도주색을 띠다가 적갈색이 되며, 가장자리에는 줄무늬가 있다. 건조할 때는 담색이 되고 줄무늬가 소실된다. 살은 얇고 갓과 같은 색, 부서지기 쉽다. 식용.
    주름살는 황토색∼계피색. 폭 2∼3.5mm 정도로 넓고 약간 촘촘하거나 성기며 대에 띠붙음이면서 치붙음이 된다.
    대는 2∼6cm(굵기 1∼2mm), 상하 같은 굵기이고 밑동은 약간 공 모양으로 부푼다. 표면은 갓보다 연한 색, 세로로 줄무늬가 있고 미세한 분상. 속이 비어 있다.

    포자 : 포자는 타원형. 평활, 투명, 발아공이 있다. 8.5∼10.5×5∼6.2㎛.
    색상 : 포도주색∼적갈색
    발생계절 : 여름
    발생형태 : 초여름. 풀밭, 길가 등에 군생한다.
    분포 : 한국, 일본, 유럽, 북미.
    식용여부 : 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조덕현. 2014. 백두산의 버섯도감①. 637pp. 한국학술정보

    file
    Read More
  7. 턱받이종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Conocybe filaris (Fr.) Kühn.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C%86%8C%EB%98%A5%EB%B2%84%EC%84%AF%EA%B3%BC%28Bolbitiaceae%29" target=_blank>소똥버섯과(Bolbiti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C%A2%85%EB%B2%84%EC%84%AF%EC%86%8D%28Conocybe%29" target=_blank>종버섯속(Conocybe)</a>
    특징 : 턱받이가 있어 확실하게 구분된다.
    독버섯이다. 아마톡신 중독을 일으킨다.

    자실체 : 갓은 크기 0.6~2㎝정도로 원추 꼴을 한 종 모양에서 원추 꼴을 한 반원모양이 되며, 중앙이 돌출되어 있고, 가장자리는 위쪽으로 반전되어 있다. 갓 표면은 매끄럽거나 약간 주름져 있고, 습할 때는 황갈색~밝은 황갈색을 띠며, 방사상 선이 나타나고, 건조하면 베이지~황토색을 띤다. 살(조직)은 얇고 연약하다. 주름살은 자루 끝에 붙은 주름살로 주름살 간격이 성기고, 폭은 좁으며, 황토색~밝은 황갈색을 띠며, 주름살 날은 가루모양이다. 자루는 길이 2~3.5㎝정도로 자루 표면의 위쪽은 옅은 황색을 띠며 백색의 가루가 있고, 종으로 홈선이 있다. 턱받이 아래쪽은 맑은 갈색이고 기부는 암갈색~회갈색을 띠며, 종으로 홈선이 있다. 턱받이는 도톰한 고리모양으로 쉽게 탈락할 수도 있고, 턱받이 위쪽 표면에 방사상으로 홈파진 선이 있다.
    포자 : 포자는 크기 7.5~10×4.5~5.5㎛이다. 타원상 아몬드형이며, 포자벽은 두꺼우며 발아공이 있다. 포자무늬는 적갈색이다.
    색상 : 황갈색~밝은 황갈색
    발생계절 : 봄~여름
    발생형태 : 봄~ 가을 정원, 공원, 임도 등의 부식질이 많은 땅 위에 흩어져 나거나 무리를 이루어 난다.
    분포 : 한국, 일본, 유럽.
    식용여부 : 독성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최호필. 2015. 버섯大도감. 890pp. 아카데미북

    file
    Read More
  8. 금빛종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Conocybe aurea (Schaeff.) Hongo > Galera aurea Schaeff.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C%86%8C%EB%98%A5%EB%B2%84%EC%84%AF%EA%B3%BC%28Bolbitiaceae%29" target=_blank>소똥버섯과(Bolbiti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C%A2%85%EB%B2%84%EC%84%AF%EC%86%8D%28Conocybe%29" target=_blank>종버섯속(Conocybe)</a>
    특징 : 극소형. 금빛(ảureus) 버섯. 극소형. 갓은 황금색∼오렌지 갈색, 대는 매우 가늘고 길며 세로로 줄금이 있다.
    자실체 : 갓은 폭 0.8∼2.2cm의 극소형, 종형이다가 둥근산형이 된다. 표면은 황금색∼오렌지 갈색, 습할 때는 줄금이 보인다. 살은 얇고 오렌지 황색. 식용.
    주름살은 담 황토색∼연한 갈색이다가 후에 계피색이 된다. 폭이 넓은 편, 대에 띠붙음, 약간 성기다.
    대는 2.5∼6.5cm(굵기 2∼3mm), 상하 같은 굵기이거나 위쪽이 다소 가늘다. 밑동은 구근상으로 다소 부풀어 있다. 표면은 연한 황색∼적갈색, 가는 가루가 덮여 있다. 세로로 줄금이 있고, 속이 비었다.

    포자 : 포자는 타원형. 평활, 10.5∼13.5×6∼7㎛.
    색상 : 황금색∼오렌지 갈색
    발생계절 : 가을
    발생형태 : 가을. 임내 퇴비더미 등에 난다.
    분포 : 한국, 일본, 인도, 유럽.
    식용여부 : 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9. 노란종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Conocybe apala (Fr.) Arnolds > Conocybe lactea (J. Lange) Metrod > Agaricus apalus Fr.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C%86%8C%EB%98%A5%EB%B2%84%EC%84%AF%EA%B3%BC%28Bolbitiaceae%29" target=_blank>소똥버섯과(Bolbiti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C%A2%85%EB%B2%84%EC%84%AF%EC%86%8D%28Conocybe%29" target=_blank>종버섯속(Conocybe)</a>
    특징 : 소형. 우유(lảcteus) 버섯. 갓은 종형∼원추형, 중심은 황토색, 주변은 허연색. 잔디밭에 흔히 난다. 종버섯류 중에서 갓이 매우 얇다. 흔한 편. 학명이 바뀌었다.
    자실체 : 갓은 폭 2.5∼4.5cm의 소형. 원통상 종형이다가 원추형이 되고 오래되면 가장자리가 들어 올려지고, 갈라지기도 한다. 표면은 점성이 없고 흡습성도 없으며 털이 없다. 중심은 황토색, 주변은 허연색∼크림색, 습할 때는 가장자리에 줄금이 나타난다. 식용.
    주름살은 처음에는 크림색, 오래되면 진한 녹슨색이 된다. 폭이 좁고 약간 촘촘하거나 성기며, 대에 띠붙음이면서 치붙음이다.
    대는 길이 11∼13cm(굵기 3∼4mm) 정도, 위쪽으로 미세하게 가늘고, 밑동에는 둥글게 부풀어 있고, 속이 비어 있다. 표면은 허연색이고 후에 아래쪽이 살갗색을 띤다. 위쪽은 분상의 세로줄이 있다.

    포자 : 포자는 타원형. 평활, 황토황색, 벽이 두껍고 발아공이 있다. 12.1∼15.2×7.3∼9.1㎛. 포자문은 녹슨 갈색.
    색상 : 황토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초여름∼가을에 초지, 길가, 잔디밭 등에 단생 또는 군생. 흔하다.
    분포 : 거의 세계적.
    식용여부 : 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10. 소똥버섯(노란소똥버섯, 그물소똥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Bolbitius titubans (Bull.) Fr. > Bolbitius titubans (Bull.) Fr. var. titubans)>Bolbitius titubans var. olivaceus (Gillet) Arnolds )> Bolbitius variicolor Atk. > Bolbitius vitellinus (Pers.) Fr.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C%86%8C%EB%98%A5%EB%B2%84%EC%84%AF%EA%B3%BC%28Bolbitiaceae%29" target=_blank>소똥버섯과(Bolbiti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C%86%8C%EB%98%A5%EB%B2%84%EC%84%AF%EC%86%8D%28Bolbitius%29" target=_blank>소똥버섯속(Bolbitius)</a>
    특징 : 소똥, 퇴비에 난다. 갓은 표면에 점액 피복, 어릴 때는 황색∼연한 황색, 암올리브색 등 다양. 대는 백색∼담황색. 갓이 다소 크다. 전의 학명이 바뀌었다. 기준종이어서 그물소똥버섯이 소똥버섯으로 바뀌었다. 또 종전의 노란소똥버섯은 동일종이다. 형태가 매우 다양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같은 종을 다양한 이름으로 표시하게 된 것이다. 이 속의 기준종이다.
    자실체 : 갓은 폭 (3)4.5∼7.5cm의 소형∼중형. 형태가 다소 다양하다. 처음에는 난형∼종형이다가 후에 가운데가 높아진 평평한 형이 된다. 표면에는 점액이 덮여 있거나 또는 점액이 거의 없는 경우도 있고, 어릴 때는 황색∼연한 황색, 또는 암 올리브색∼적갈색 등 매우 다양하고 가장자리는 연한 색을 띠기도 한다. 후에 가장자리가 허연색이나 담갈색으로 퇴색되고, 중앙부에 쭈글쭈글하게 그물 모양의 주름이 생기기도 하나 평활하기도 하다. 살은 얇고 담황색. 식독 불명.
    주름살은 대에 치붙음∼대에 떨어진 붙음이고 촘촘하다. 백색이다가 후에 계피색을 띤다.
    대는 7∼11cm(굵기6∼8mm), 원주상이며 꼭지 쪽이 다소 가늘고, 속이 비어있다. 표면은 백색∼담황색, 가루 모양 또는 가는 비늘이 덮여 있다.

    포자 : 포자는 타원형, 평활, 투명, 발아공이 있다. 10.5∼14.5×6.5∼9㎛.
    색상 : 색∼연한 황색, 암올리브색
    발생계절 : 봄~가을
    발생형태 : 봄∼가을. 말똥이나 소똥 또는 퇴비 위, 소똥을 준 토양에 난다.
    분포 : 한국, 일본, 유럽, 북미.
    식용여부 :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이태수. 2013. 한국 기록종 버섯의 총정리. 52pp. 한국산지환경조사연구회.

    file
    Read More
  11. 그물소똥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Bolbitius reticulatus (Pers.) Richken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C%86%8C%EB%98%A5%EB%B2%84%EC%84%AF%EA%B3%BC%28Bolbitiaceae%29" target=_blank>소똥버섯과(Bolbiti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C%86%8C%EB%98%A5%EB%B2%84%EC%84%AF%EC%86%8D%28Bolbitius%29" target=_blank>소똥버섯속(Bolbitius)</a>
    특징 : 소형. 갓의 중심부는 자흑색∼자갈색, 주변부는 회자색인데, 중심에서 방사상으로 그물모양의 주름이 특징임. 대는 백색인데, 미분상∼미세한 털모양.
    자실체 : 갓은 폭 3∼5(6)cm의 소형. 둥근산형이다가 평평한 형이 되며, 중앙이 다소 돌출된다. 표면의 중심부는 자흑색∼자갈색, 주변부는 회자색인데, 중심에서 방사상으로 넓게 그물모양의 뚜렷한 주름이 있다(때로는 주름이 없이 평활한 것도 있다). 오래되면 중앙부터 다소 황색끼를 띠기도 한다. 강한 점성이 있다. 또 주변에는 섬세한 줄무늬가 있다. 살은 얇고, 백색.
    주름살은 처음에는 탁한 살색, 후에는 녹슨 색이 된다. 약간 촘촘하며, 폭은 3∼4mm 정도, 대에 떨어진 붙음.
    대는 4∼5cm(굵기3∼5mm), 아래쪽으로 약간 굵어진다. 표면은 백색, 미분상∼미세한 털모양, 속이 비어 있다.

    포자 : 포자는 약간 레몬상의 타원형, 평활, 투명, 발아공이 있다. 9∼12×4∼5㎛.
    색상 : 자흑색∼자갈색
    발생계절 : 봄~가을
    발생형태 : 봄∼가을. 활엽수의 썩은 나무 또는 썩은 표고 골목 등에 발생한다.
    분포 : 한국, 일본, 중국, 유럽, 북미.
    식용여부 :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한국균학회 균학용어편집위원회. 2013. 2013 한국의 버섯 목록. 576pp. 한국균학회.

    file
    Read More
  12. 볏짚소똥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Bolbitius demangei (Quél.) Sacc. & D. Sacc.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C%86%8C%EB%98%A5%EB%B2%84%EC%84%AF%EA%B3%BC%28Bolbitiaceae%29" target=_blank>소똥버섯과(Bolbiti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C%86%8C%EB%98%A5%EB%B2%84%EC%84%AF%EC%86%8D%28Bolbitius%29" target=_blank>소똥버섯속(Bolbitius)</a>
    특징 : 소형∼중형. 갓은 표면에 점성이 현저하며, 처음에는 연분홍색〜살구색이나 후에 담갈색〜담회갈색이 된다. 방사상으로 홈선이 들어난다. 말똥, 퇴비더미 등에 난다.
    자실체 : 갓은 폭 4∼6cm의 소형∼중형. 어릴 때는 난형〜종형이나 후에 거의 평평하게 퍼진다. 표면은 점성이 현저하며, 처음에는 연분홍색〜살구색이나 후에 담갈색〜담회갈색으로 된다. 방사상으로 홈선이 들어난다. 살은 얇다.
    주름살은 연한 계피색. 폭은 약 5mm 정도. 촘촘함며, 대에 떨어진 붙음. 날은 백색의 테두리가 있다.
    대는 7∼10cm(굵기4∼6mm), 밑동은 팽대되어 있고 대위 위쪽으로 가늘어 진다. 연분홍색, 꼭지에는 세로로 줄금이 있고 분상. 속이 비어 있다.

    포자 : 포자는 타원형. 평활, 발아공이 있다. 12.5∼16×8∼9㎛.
    색상 : 연분홍색〜살구색
    발생계절 : 봄~가을
    발생형태 : 봄∼가을. 말똥, 퇴비더미 등에 소수 군생〜속생.
    분포 : 한국, 일본, 유럽
    식용여부 :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한국균학회 균학용어편집위원회. 2013. 2013 한국의 버섯 목록. 576pp. 한국균학회.

    file
    Read More
  13. 참밀고약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Ceraceomyces sublaevis (Bres.) Jul.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B%B0%80%EA%B3%A0%EC%95%BD%EB%B2%84%EC%84%AF%EA%B3%BC%28Amylocortiaceae%29%EB%B0%80%EA%B3%A0%EC%95%BD%EB%B2%84%EC%84%AF%EA%B3%BC%28Amylocortiaceae%29" target=_blank>밀고약버섯과(Amylocorti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B%B0%80%EA%B3%A0%EC%95%BD%EB%B2%84%EC%84%AF%EC%86%8D%28Ceraceomyces%29" target=_blank>밀고약버섯속(Ceraceomyces)</a>
    특징 : 배착생. 얇은 막질, 허연색∼크림색. 평활∼약간 주름 잡힌 모양. 가장자리는 거미줄 모양. 배착생. 얇은 막질, 허연색∼크림색. 평활∼약간 주름 잡힌 모양. 가장자리는 거미줄 모양.
    자실체 : 자실체는 전체가 배착생으로 퍼진다. 얇은 막질로 기질에 느슨하게 부착된다. 막질은 수 cm-수 십 cm의 크기로 퍼지며, 표면은 평활하거나 약간 주름 잡힌 모양. 건조할 때는 다소 갈라지기도 한다. 허연색∼크림색. 가장자리는 흰색이고 미세하게 거미줄 모양이다. 밀납질, 부드럽다.
    포자 : 포자는 물방울 모양. 평활, 투명, 1개의 방울이 들어있다. 3∼3.5×2.2∼2.5㎛.
    색상 : 배착생
    발생계절 : 연중내내
    발생형태 : 연중 활엽수 낙지 위에 난다.
    분포 : 한국, 유럽.
    식용여부 : 비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14. 큰밀고약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Ceraceomyces cystidiatus (Erikss. & Hjortst.) Hjortst.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B%B0%80%EA%B3%A0%EC%95%BD%EB%B2%84%EC%84%AF%EA%B3%BC%28Amylocortiaceae%29%EB%B0%80%EA%B3%A0%EC%95%BD%EB%B2%84%EC%84%AF%EA%B3%BC%28Amylocortiaceae%29" target=_blank>밀고약버섯과(Amylocorti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B%B0%80%EA%B3%A0%EC%95%BD%EB%B2%84%EC%84%AF%EC%86%8D%28Ceraceomyces%29" target=_blank>밀고약버섯속(Ceraceomyces)</a>
    특징 : 배착생, 기질에 넓게 퍼지고, 오래되면 두꺼워진다. 연한 색, 연한 보라색(?) 오래되면 다소 암색이 된다.
    자실체 : 자실체는 배착생. 기질에 넓게 퍼지며, 견고히 부착되거나 또는 느슨하게 부착한다. 표면은 평활, 오래되면 두꺼워진다. 건조할 때는 흔히 갈라진다. 연한 색(light-colored), 연한 보라색이며, 후에 다소 암색이 된다. KOH에 진한 보라색이 된다. 가장자리는 섬유상이거나 고르다.
    포자 : 포자는 타원형. 평활, 5∼6×3∼3.5㎛.
    색상 : 배착생
    발생계절 : 연중내내
    발생형태 : 주로 침엽수의 썩은 목재에 서식하나 간혹 참나무류와 같은 활엽수 썩은 목재에도 난다.

    식용여부 : 비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15. 노을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Limacella llinita (Fr.) Maire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A%B4%91%EB%8C%80%EC%84%AF%EA%B3%BC%28Amanitaceae%29" target=_blank>광대섯과(Amanit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B%85%B8%EC%9D%84%EB%B2%84%EC%84%AF%EC%86%8D%28Limacella%29" target=_blank>노을버섯속(Limacella)</a>
    특징 : 소형∼중형. 갓은 앙의 부근은 약간 황색으로 습기가 있을 때 점성이 있다
    자실체 : 갓의 지름은 2~8cm로 처음 반구형에서 차차 편평해지나 중앙부는 볼록하다. 표면은 밋밋하고 백색 또는 오백색이나 중앙의 부근은 약간 황색으로 습기가 있을 때 점성이 있다. 가장자리는 전연으로 줄무늬선은 없다. 살은 백색이고 중앙부는 약간 두껍다. 주름살은 자루에 대하여 끝부은주름살로 백색이고 밀생하며 포크형이다. 자루의 길이는 4~9cm, 굵기는 0.4~0.8cm로 원주형이나 약간 구부러진다. 턱받이는 털상이나 곧 없어진다. 표면은 백색이며 점액이 있고 기부는 얼룩의 반점이 있다.
    포자 : 포자의 크기는 5~6.5×4.5~5.5㎛로 류구형 또는 타원형이며 표면은 매끈하고 광택이 있다. 포자문은 백색이다.
    색상 : 백색 , 오백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활엽수림 또는 침엽수림의 땅에 단생·군생·산생
    분포 : 한국(백두산), 중국, 유럽
    식용여부 : 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조덕현. 2014. 백두산의 버섯도감①. 637pp. 한국학술정보

    file
    Read More
  16. 살구노을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Limacella delicata (Fr.) H.V. Sm. > Limacella glioderma (Fr.) Maire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A%B4%91%EB%8C%80%EC%84%AF%EA%B3%BC%28Amanitaceae%29" target=_blank>광대섯과(Amanit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B%85%B8%EC%9D%84%EB%B2%84%EC%84%AF%EC%86%8D%28Limacella%29" target=_blank>노을버섯속(Limacella)</a>
    특징 : 소형∼중형. 갓은 적갈색∼오렌지 갈색, 대는 원주형, 허연색∼적갈색 끼가 있고 위쪽에 황토갈색의 띠 흔적이 있다. 학명이 바뀌었다.
    자실체 : 갓은 폭 3∼9cm의 소형∼중형. 반구형이다가 둔한 둥근산형, 후에 약간 가운데가 높아진 평평한 형이 된다. 표면은 점성이 있고, 적갈색∼오렌지 갈색인데 둔한 녹슨색으로 퇴색된다. 털이 없고, 평활하다. 껍질은 벗겨지기 쉽고 살은 백색인데 적색 끼를 띤다. 식용.
    주름살은 어릴 때는 백색, 후에 연한 황색. 폭이 넓고 촘촘하고, 대에 떨어진 붙음.
    대는 길이4∼9cm(굵기0.7∼1.2cm), 꼭지는 거의 백색, 위쪽에 거미집 모양의 피막이 분리된 후 황토갈색의 불규칙한 띠 모양 흔적이 있다(띠 모양 흔적이 나타나지 않는 경우도 있다). 그 아래는 섬유상 솜털이 있다. 허연색∼적갈색 끼를 띤다. 상하 같은 굵기이거나 아래쪽이 약간 굵어지며, 속이 차 있고 섬유질이다.

    포자 : 포자는 구형, 평활, 투명, 비 아밀로이드이다. 지름 3.5∼4.5㎛. 포자문은 허연색.
    색상 : 적갈색∼오렌지 갈색
    발생계절 : 여름
    발생형태 : 여름. 임내 부식지에 단생 또는 작은 군생을 한다
    분포 : 한국, 일본, 유럽, 북미
    식용여부 : 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한국균학회 균학용어편집위원회. 2013. 2013 한국의 버섯 목록. 576pp. 한국균학회.

    file
    Read More
  17. 큰주머니광대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Amanita volvata (Peck) Llyod > Amanita agglutinata (Berk. & Curt.) Lloyd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A%B4%91%EB%8C%80%EC%84%AF%EA%B3%BC%28Amanitaceae%29" target=_blank>광대섯과(Amanit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A%B4%91%EB%8C%80%EB%B2%84%EC%84%AF%EC%86%8D%28Amanita%29" target=_blank> 광대버섯속(Amanita)</a>
    특징 : 주머니(volvảtus) 버섯. 갓은 백색∼연한 갈색, 대의 밑동에 주머니 모양 큰 외피막이 있는 특징이 있다. 흔하며, 맹독성의 버섯이므로 절대 먹지 말아야 한다.
    자실체 : 갓은 폭 5∼8cm의 중형. 어릴 때는 종형∼반구형이다가 둥근산형, 거의 평평한 형이 된다. 표면은 백색∼연한 갈색. 표면에 백색 또는 연한 홍갈색의 분상 또는 점모양의 작은 인편을 부착하거나 또는 큰 외피막의 파편이 부착되기도 한다. 살은 백색. 상처를 받으면 연한 홍색을 띤다. 독성분은 불분명하나 구토, 설사, 언어장애, 간 이상 등 중독이 나타나는 독버섯이다. 일본에서는 이 버섯에 중독되어 사망한 사례가 있다.
    주름살는 처음에는 백색이나 후에 연한 홍갈색을 띤다. 폭이 넓으며 촘촘하고 대에 떨어진 붙음.
    대는 길이고리가 없다. 6∼14cm(굵기5∼10mm), 밑동 쪽으로 굵어지며 표면은 백색인데 갓과 같은 모양의 인편이 피복되어 있다. 밑동에는 대형의 두꺼운 막질인 외피막이 피복되어 있다.

    포자 : 포자는 타원형∼긴타원형. 평활, 7.5∼12.5×5∼7㎛.
    색상 : 백색∼연한 갈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에 임내의 지상에 발생. 매우 흔하다.
    분포 : 한국, 일본, 중국, 소련 연해주, 북미.
    식용여부 : 맹독성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18. 독우산광대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Amanita virosa (Fr.) Bertillon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A%B4%91%EB%8C%80%EC%84%AF%EA%B3%BC%28Amanitaceae%29" target=_blank>광대섯과(Amanit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A%B4%91%EB%8C%80%EB%B2%84%EC%84%AF%EC%86%8D%28Amanita%29" target=_blank> 광대버섯속(Amanita)</a>
    특징 : 중형∼대형. 갓은 순백색. 대의 표면은 손거스러미 모양의 인편이 있다. 고리는 백색 막질, 밑동은 큰 외피막이 있다. 매년 수십 명이 중독되거나 사망한다.
    자실체 : 갓은 폭 5∼12cm의 중형∼대형. 어릴 때는 반구형, 후에 원추형이다가 평평한 형으로 된다. 가끔 중앙이 무디게 돌출하기도 한다. 표면은 평활, 습할 때는 점성이 있다. 순백색. 오래되면 중앙부에 다소 황색 끼를 띤다. 가장자리 줄금은 없다. 살은 백색. 페로톡신류(ferotoxin) 및 아마톡신류(amtoxin)을 함유하여 2∼3개만 먹어도 사망할 수 있는 맹독성 버섯이다.
    주름살은 백색. 폭이 약간 넓고 촘촘하며 대에 떨어진 붙음.
    대는 길이7∼15cm(굵기10∼25mm), 백색. 아래쪽으로 굵어지며 밑동은 자루 모양의 큰 외피막에 쌓여 있다. 위쪽에 백색의 막질 고리가 있으며, 고리 밑쪽은 손거스러미 모양으로 섬유상의 인편이 덮여 있다. 속이 차 있다.

    포자 : 포자는 아구형. 평활, 투명, 8.2∼11.3×6.7∼9.7㎛. 포자문은 백색.
    색상 : 순백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침엽수림이나 활엽수림의 임지 토양에 난다. 가끔 보이며 집단으로 발생하기도 한다.
    분포 : 북반구 일대, 호주.
    식용여부 : 맹독성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19. 흰가시광대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Amanita virgineoides Bas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A%B4%91%EB%8C%80%EC%84%AF%EA%B3%BC%28Amanitaceae%29" target=_blank>광대섯과(Amanit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A%B4%91%EB%8C%80%EB%B2%84%EC%84%AF%EC%86%8D%28Amanita%29" target=_blank> 광대버섯속(Amanita)</a>
    특징 : 대형. 갓은 허연색, 침 모양∼피라밋 모양의 사마귀가 촘촘히 덮인다. 대는 백색, 긴 곤봉모양, 표면에 백색 가는 인편이 밀포되어 있다. 고리는 대형.
    자실체 : 갓은 폭 9∼20cm의 대형. 어릴 때는 구형, 갓 전면에 침 모양∼피라밋 모양의 사마귀가 있고, 후에 둥근산형∼거의 평평한 형이 되고 표면은 1∼3mm 정도의 침 모양∼점모양 사마귀가 덮인다. 허연색∼크림색, 가장자리 끝에는 너덜너덜하게 외피막의 잔편이 붙어있기도 한다. 침은 탈락하기 쉽다. 살은 백색. 위장계통 및 신경계통의 중독을 일으킨다.
    주름살은 백색∼크림색. 폭이 넓으며 촘촘하고 대에 떨어진 붙음. 날 부분은 분상.
    대는 길이12∼22cm(굵기1.5∼2.5cm), 백색이고 표면은 솜털모양의 가는 인편이 밀포되어 있고 밑동 쪽은 곤봉모양으로 부풀며 지름은 3∼5cm 정도. 밑동에는 대주머니가 없고 솜털모양의 가는 인편이 여러 개의 테 모양 밀포되어 있다. 살이 차 있다. 고리는 대형이고 연한 막질인데 하면에는 원추상의 사마귀 가 붙어있다. 갓이 퍼지면 쉽게 탈락한다.

    포자 : 포자는 타원형. 평활, 8∼10.5×6∼7.5㎛.
    색상 : 허연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참나무림이나 소나무와 참나무 혼효림 내 토양에 난다.
    분포 : 한국, 일본.
    식용여부 : 독성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20. 흰알광대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Amanita verna (Bull.) Lam.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A%B4%91%EB%8C%80%EC%84%AF%EA%B3%BC%28Amanitaceae%29" target=_blank>광대섯과(Amanit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A%B4%91%EB%8C%80%EB%B2%84%EC%84%AF%EC%86%8D%28Amanita%29" target=_blank> 광대버섯속(Amanita)</a>
    특징 : 소형∼중형. 전체가 백색, 대에 백색 막질 고리. 밑동은 구근상, 대주머니는 크지 않고 밑동 위쪽을 약간 피복한다. 대는 평활하나 때로는 미세한 솜털이 있다.
    자실체 : 갓은 3∼10cm의 소형∼중형. 어릴 때 반구형이다가 후에 둥근산형∼평평한 형이 된다. 표면은 백색, 간혹 중앙에 담황토색 끼가 있다. 가장자리는 고르다. 살은 백색. 독우산버섯과 마찬가지로 2∼3개만 먹어도사망에 이르는 맹독성이다.
    주름살은 백색. 폭이 약간 넓으며 촘촘하고 대에 떨어진 붙음.
    대는 길이7∼13cm(굵기5∼15mm), 순백색. 위쪽이 다소 가늘며 표면은 보통 평활하지만, 미세한 솜털모양의 가루가 있고 밑동은 구근상이며 순백색. 밑동의 외피막은 크지 않고 밑동 위쪽을 약간 피복한다. 고리는 순백색이고 막질이다. 대는 속이 차 있으나, 오래되면 속이 빈다.

    포자 : 포자는 구형. 평활, 투명, 8∼10×7∼9㎛.
    색상 : 백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주로 활엽수 임지, 혼효림에 난다. 가끔 보인다.
    분포 : 거의 전 세계적.
    식용여부 : 맹독성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 124 Next
/ 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