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01.09 10:44

긴골광대버섯아재비

조회 수 144 추천 수 0 댓글 0
Extra Form
분류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Amanita longistriata Imai
과명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A%B4%91%EB%8C%80%EC%84%AF%EA%B3%BC%28Amanitaceae%29" target=_blank>광대섯과(Amanitaceae)</a>
속명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A%B4%91%EB%8C%80%EB%B2%84%EC%84%AF%EC%86%8D%28Amanita%29" target=_blank> 광대버섯속(Amanita)</a>
특징 중형. 갓은 그을음 색, 줄무늬가 있다. 대는 백색(때로는 흑갈색) 다소 긴 편, 위쪽에 백색 고리. 주름살은 백색, 후에 담홍색. 대가 가늘고 길며, 고리가 있다.
자실체 갓은 폭 5∼10cm의 중형. 어릴 때는 원추형∼둥근산형이다가 평평한 형이 되며, 표면은 점성이 있다. 표면은 평활하며, 어릴 때는 담회갈색이다가 그을음 색(때로는 흑갈색이 된다) 흔히 주변은 연한 색. 긴 줄무늬가 방사상으로 있다. 살은 백색. 독버섯 위장 계의 중독을 일으킨다.
주름살은 백색. 오래되면 약간 담홍색을 띤다.
대는 길이10∼18cm(굵기8∼15mm), 위쪽이 약간 가늘며 표면은 백색(때로는 흑갈색으로도 된다), 거의 털이 없지만 간혹 솜털모양의 가는 인편이 존재한다. 속이 차 있거나 때로는 비어 있다. 고리는 위쪽에 있는데 백색, 폭이 넓고, 막질이다. 밑동에 막질의 주머니 모양 외피막이 있다.
포자 포자는 광타원형∼아구형. 평활, 10∼14×7.5∼9.5㎛.
색상 담회갈색, 흑갈색
발생계절 여름
발생형태 여름. 나무 밑의 초지나 모래땅에 난다.
분포 한국, 일본.
식용여부 독성
출전, 인용문헌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b4c5d9858882c07c6f6b6291fabb1432.jpg

 

073d5fb6f1a13b53bf6eda6720bd3887.jpg

 

93944712644a3e1344b07ce2041f9410.jpg

 

ba9fdef0d3f29d9e50d74a098231823d.jpg

 

c96b3a1f28e9d050074160fbd18854cc.jpg

 

사진출처 : 자체


버섯크기 구분방법 _극소형: 2cm 이하. 소형: 2∼5(6)cm 정도. 중형: 5∼10(11)cm 정도. 대형: 10∼15(16)cm 정도. 거대형: 15cm 이상.
  1. 암회색광대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Amanita porphyria (Alb. & Schw.) Secr.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A%B4%91%EB%8C%80%EC%84%AF%EA%B3%BC%28Amanitaceae%29" target=_blank>광대섯과(Amanit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A%B4%91%EB%8C%80%EB%B2%84%EC%84%AF%EC%86%8D%28Amanita%29" target=_blank> 광대버섯속(Amanita)</a>
    특징 : 중형. 갓은 회갈색∼쥐색, 매끄럽고 암회색 파편이 붙기도 한다. 대의 고리 위쪽은 백색, 아래는 담회색, 밑동이 둥글고 얕은 주머니가 있다.
    자실체 : 갓은 폭 5∼8cm의 소형∼중형. 어릴 때는 종형이다가 후에 둥근산형, 평평한 형이 된다. 표면은 평활, 매끄럽다. 회갈색∼쥐색 또는 보라색끼를 띤 적갈색이고 흔히 암회색의 외피막 파편을 부착한다. 살은 백색이나 갈색으로 퇴색된다. 색깔이 다양한 편이다. 위장 계통과 신경 계통의 중독을 일으키는 독버섯이다.
    주름살는 백색. 폭이 넓으며 촘촘하고 대에 치붙음 내지 거의 대에 떨어진 붙음.
    대는 길이7∼9cm(굵기10mm 내외), 고리 상부는 백색이고 하부는 담회색의 섬유상 반문이 있다. 밑동은 공 모양으로 둥글고 큰 특징이 있으며 백색∼암회색의 주머니 모양 외피막이 싸고 있는데, 상단의 일부만 대와 유리되어 있다. 대의 위쪽에 회색∼회갈색의 막상 고리가 있다. 속이 비어 있다.

    포자 : 포자는 구형. 평활, 투명, 7.6∼11.7㎛. 포자문은 백색.
    색상 : 회갈색∼쥐색
    발생계절 : 여름
    발생형태 : 여름∼가을 침엽수림의 지상에 난다. 독버섯이다.
    분포 : 북반구 온대 이북
    식용여부 : 독성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2. 껍질광대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Amanita pilosella Corner & Bas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A%B4%91%EB%8C%80%EC%84%AF%EA%B3%BC%28Amanitaceae%29" target=_blank>광대섯과(Amanit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A%B4%91%EB%8C%80%EB%B2%84%EC%84%AF%EC%86%8D%28Amanita%29" target=_blank> 광대버섯속(Amanita)</a>
    특징 : 소형∼중형. 갓은 회색∼회갈색. 갓은 전반적으로 암색의 섬유상 줄무늬가 있고, 부분적으로 암회갈색의 섬유상〜다소 융털모양 또는 분상의 담배색, 검으칙칙한 색 또는 흑색의 외피막 잔존물이 덮여 있다.
    자실체 : 갓은 폭 2.5∼7cm의 소형∼중형. 둥근산혀이다가 평평한 형〜다소 오목한 형이 되고, 중앙이 약간 돌출되기도 한다. 건조하고, 검으칙칙한 색 또는 회갈색. 퍼지면 다소 색이 연해지고 가장자리에 줄무늬가 나타난다. 갓은 전반적으로 암색의 섬유상 줄무늬가 있고, 부분적으로 암회갈색의 섬유상〜다소 융털모양 또는 분상의 담배색, 검으칙칙한 색 또는 흑색의 외피막 잔존물이 덮여 있다. 중앙쪽으로부터 가장자리까지 원추형, 불규칙한 사마귀형 또는 헝겊조각 모양의 사마귀들이 산재된다.
    주름살은 백색〜회백색. 다소 넓으며, 매우 촘촘하고 대에 떨어진 붙음.
    대는 4∼11cm(굵기4∼6mm), 위쪽으로 가늘어 진다. 속이 차 있고, 전체적으로 회색, 암갈회색 또는 암갈색 분말이 덮여 있다. 대의 중간보다 다소 위쪽에는 대보다 연한 색의 치마모양 막질 고리가 있다.

    포자 : 포자는 광타원형〜타원형. 평활, 투명, 전분반응. 7∼9.5×5∼6.5㎛. 포자문은 백색.
    색상 : 회색∼회갈색
    발생계절 : 여름
    발생형태 : 여름. 임내 지상에 난다.
    분포 : 한국, 싱가폴, 중국.
    식용여부 :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Jin Sung Lee, C.M. Kim & H.B. Lee. 2014. Eight Previously Unreported Speces of Fungi Identified in Mt. Manggyeong, Korea. Kor. J. Mycol. 42(4): 344-348.

    file
    Read More
  3. 알광대버섯(줄무늬광대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Amanita phalloides (Fr.) Link > Amanita phalloides var. striatula Pk.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A%B4%91%EB%8C%80%EC%84%AF%EA%B3%BC%28Amanitaceae%29" target=_blank>광대섯과(Amanit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A%B4%91%EB%8C%80%EB%B2%84%EC%84%AF%EC%86%8D%28Amanita%29" target=_blank> 광대버섯속(Amanita)</a>
    특징 : 중형∼대형. 남성 성기(phalloỉdes) 버섯. 갓은 회녹색∼암올리브 갈색 등 색깔이 다양하다. 대는 백색, 밑동은 굵고 백색 주머니모양 외피막이 싸고 있다.
    자실체 : 갓은 폭 5∼12(15)cm의 중형∼대형. 어릴 때는 난형∼반구형이다가 후에 원추상 둥근산형∼둥근산형, 평평한 형이 된다. 표면은 털이 없이 평활, 습할 때는 약간 점성, 건조 시에는 광택이 있다. 색깔이 다양하다. 연한 황녹색, 암 올리브녹색 또는 올리브갈색 등으로 올리브색 끼를 띤다. 드물게는 표면에 백색 외피막 잔존물이 남기도 한다. 흔히 중앙이 다소 진하다. 껍질은 벗겨지기 쉽다. 살은 백색. 처음에는 구토, 설사, 복통 등이 일어나지만, 4∼7일 후 간의 비대, 황달, 위장 출혈 등이 나타나고 사망하기도 한다.
    주름살은 백색. 폭이 넓으며 촘촘하고 대에 떨어진 붙음.
    대는 길이5∼15(20)cm(굵기1∼2cm), 백색. 대의 표면에 거스름 모양 표면이 찢어져 들어난다. 때로는 평활한 것도 있다. 밑동은 공 모양 크고 굵으며(대 굵기의 2배 정도) 그 밑동을 백색 주머니모양 외피막이 싸고 있다. 대의 위쪽에 백색의 막상 고리가 있다. 오래된 것은 고리가 소실되기도 한다.

    포자 : 포자는 아구형∼넓은 타원형. 평활, 투명, 7.7∼10.1×6.7∼8.5㎛. 포자문은 백색.
    색상 : 회녹색∼암올리브 갈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활엽수 혼효림 특히 참나무류 혼효림 임지에 난다.
    분포 : 한국, 일본, 중국, 유럽, 북미, 아프리카.
    식용여부 : 맹독성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4. 사마귀광대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Amanita perpasta Corner & Bas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A%B4%91%EB%8C%80%EC%84%AF%EA%B3%BC%28Amanitaceae%29" target=_blank>광대섯과(Amanit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A%B4%91%EB%8C%80%EB%B2%84%EC%84%AF%EC%86%8D%28Amanita%29" target=_blank> 광대버섯속(Amanita)</a>
    특징 : 대형. 갓은 어릴 때 백색∼허연색, 후에 연한 황갈색, 비교적 큰 각추형의 사마귀가 전면에 피복된다. 대는 갓과 같은 색, 세로로 깊게 파인다.
    자실체 : 갓은 폭 10∼17cm의 대형. 어릴 때는 구형이다가 후에 둥근산형, 평평한 형이 된다. 어릴 때 표면은 백색∼허연색, 후에 연한 황갈색∼담갈색. 높이 2∼5mm 정도의 비교적 큰 담갈색∼갈색의 원추형∼각추형 사마귀가 전면에 산포되어 있고 가장자리 쪽으로는 다소 소형이다. 살은 백색이다가 후에 다소 황색 끼를 띤다. 단단하다. 식독 불명.
    주름살은 크림색. 폭이 매우 넓으며 촘촘하고 대에 떨어진 붙음. 날 부분은 분상이다.
    대는 길이10∼14cm(굵기10∼20mm), 갓과 같은 색이고 후에 적갈색을 띤다. 고리는 없고 밑동 쪽은 곤봉상이나 방추형으로 굵어져 있고 지름이 4∼5.5cm 정도이다. 흔히 세로로 깊고 오목하게 파인다. 대의 표면은 둘레를 따라서 다소 크거나 작은 갈색의 많은 인편이 피복된다. 속이 차 있다.

    포자 : 포자는 구형∼아구형. 평활, 7∼8×6∼7.5㎛.
    색상 : 백색∼허연색, 연한 황갈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참나무류 등의 활엽수 임지에 발생.
    분포 : 한국, 일본, 말레이시아.
    식용여부 :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5. 쇠마귀광대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Amanita parvipantherina Zhu L. Yang, Meiss & Oberw.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A%B4%91%EB%8C%80%EC%84%AF%EA%B3%BC%28Amanitaceae%29" target=_blank>광대섯과(Amanit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A%B4%91%EB%8C%80%EB%B2%84%EC%84%AF%EC%86%8D%28Amanita%29" target=_blank> 광대버섯속(Amanita)</a>
    특징 : 소형~중형 회색에서 황토색으로 되며 중앙은 갈색, 처를 받아도 변색하지 않는다.
    자실체 : 갓은 3.5~6cm, 처음 산모양에서 편평하게 되지만 가끔 중앙이 들어간다. 회색에서 황토색으로 되며 중앙은 갈색, 습할 시 점성이 있다. 사마귀 잔편은 오백색 또는 회색에서 황색으로 되며 중앙에 밀집되며 상처를 받아도 변색하지 않는다. 가장자리는 결절의 줄무늬선이 있다. 살은 백색이고 냄새는 불분명하다.
    주름살은 끝붙은주름살이고 백색으로 밀생하며 변두리는 미세한 털과 인편이 있다.
    대는 4~9cm, 굵기는 0.5~1cm로 원주형이나 위쪽으로 가늘며 오백색에서 황색 또는 회색의 대주머니 잔편이 있다. 턱받이는 위쪽에 있고 백색이며 막질이고 과립으로 덮인다. 꼭대기는 백색이고 섬유상에서 매끈해지며 속은 푸석푸석한 상태에서 빈다. 기부는 아구형 모양으로 부풀고 백색에서 퇴색한다. 대주머니는 둥근모양이며 대주머니 잔편은 과립으로 되며 작은 사마귀점이 있다.

    포자 : 포자는 광타원형 또는 아구형, 평활, 투명. 8.5~11.5×6.5~8.5㎛
    색상 : 회색~ 황토색
    발생계절 : 여름
    발생형태 : 여름 혼효림의 땅에 단생·속생
    분포 : 한국(백두산), 중국, 유럽
    식용여부 :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조덕현. 2014. 백두산의 버섯도감①. 637pp. 한국학술정보

    file
    Read More
  6. 노랑마귀광대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Amanita pantherina var. lutea Chiu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A%B4%91%EB%8C%80%EC%84%AF%EA%B3%BC%28Amanitaceae%29" target=_blank>광대섯과(Amanit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A%B4%91%EB%8C%80%EB%B2%84%EC%84%AF%EC%86%8D%28Amanita%29" target=_blank> 광대버섯속(Amanita)</a>
    특징 : 소형~중형, 갓은 연한 황색 또는 황갈색이고 각추상의 백색 인편이 있다
    자실체 : 갓은 3.5~7.5cm로 반구형 또는 편반구형에서 둥근산모양으로 되었다가 편평해진다. 표면은 연한 황색 또는 황갈색이고 각추상의 백색 인편이 있다. 가장자리에 줄무늬홈선이 있다. 살은 백색이다.
    주름살은 떨어진주름살(remote)이고 백색이며 밀생하고 포크형을 나타낸다.
    대는 6.5~9.5cm, 굵기는 0.8~1cm로 원주형이고 백색 또는 오백색이며 턱받이는 막질이며 하향이며 탈락하기 쉽다. 기부는 팽대하고 대주머니는 1~3개의 고리모양의 무늬가 있다.

    포자 : 포자의 크기는 8.5~10×6~7㎛로 아구형 또는 난원형이며 표면은 광택이 나고 매끄럽다.
    색상 : 연한 황색 , 황갈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활엽수 숲속에 군생
    분포 : 한국(백두산), 중국
    식용여부 : 맹독성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조덕현. 2014. 백두산의 버섯도감①. 637pp. 한국학술정보

    file
    Read More
  7. 마귀광대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Amanita pantherina (DC.) Krombh.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A%B4%91%EB%8C%80%EC%84%AF%EA%B3%BC%28Amanitaceae%29" target=_blank>광대섯과(Amanit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A%B4%91%EB%8C%80%EB%B2%84%EC%84%AF%EC%86%8D%28Amanita%29" target=_blank> 광대버섯속(Amanita)</a>
    특징 : 중형. 표범(pantherỉnus) 버섯. 갓은 암갈색, 회갈색∼올리브갈색, 전면에 백색 막질의 외피막 파편이 다수 피복. 대는 백색, 막질 고리가 있고 고리 아래쪽은 거스름 모양.
    자실체 : 갓은 폭 5∼10(12)cm의 중형. 어릴 때는 반구형이다가 후에 둥근산형, 평평한 형이 되고 중앙부가 약간 오목하게 된다. 표면은 어릴 때 암갈색, 후에 회갈색∼올리브갈색이 되고 주변부는 연한 색. 가장자리 끝에 미세한 방사상의 줄금이 나타나기도 한다. 전면에 백색 막질의 외피막 파편이 다수 피복되어 있다. 살은 백색. 자라면서 속이 비게 된다. 형태가 식용인 우산버섯과 비슷하나, 복통, 구토, 설사, 호흡곤란, 혼수상태 등이 유발되는 독버섯이다.
    주름살은 백색. 폭이 넓으며 촘촘하고 대에 떨어진 붙음.
    대는 길이9∼13cm(굵기10∼15mm), 백색. 위쪽에 막질의 고리가 있다. 고리 위쪽은 평활하나 아래쪽은 다소 너덜너덜한 거스름모양을 나타낸다. 밑동은 둥글게 부풀어 있으며 이 밑동의 위쪽에는 외피막의 잔재물이 한층 또는 여러 층의 테두리 모양으로 남아 있다.

    포자 : 포자는 타원형∼난형. 평활, 투명, 8.9∼11.5×7.0∼8.4㎛. 포자문은 백색.
    색상 : 암갈색, 회갈색∼올리브갈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침엽수림, 활엽수림 혼효림 등의 임지에서 많이 발생. 임지 부근의 초지에서도 발생.
    분포 : 북반구 온대 이북, 아프리카.
    식용여부 : 맹독성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8. 난포자광대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Amanita ovalispora Boed.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A%B4%91%EB%8C%80%EC%84%AF%EA%B3%BC%28Amanitaceae%29" target=_blank>광대섯과(Amanit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A%B4%91%EB%8C%80%EB%B2%84%EC%84%AF%EC%86%8D%28Amanita%29" target=_blank> 광대버섯속(Amanita)</a>
    특징 : 소형∼중형. 갓은 회색∼암회색, 때때로 백색 막질 외피막 잔존물, 가장자리는 줄무늬 홈선. 은색광대버섯 유사하나 회색∼암회색이고, 대가 비교적 가는 편으로 보이며, 식별에 어려움이 있다.
    자실체 : 갓은 폭 4∼7cm의 소형∼중형. 어릴 때는 반구형, 곧 둥근산형∼평평한 형이 되며, 때로는 중앙이 약간 오목해 진다. 표면은 회색∼암회색, 평활하고, 때때로 백색 막질의 외피막 잔존물이 덮여 있다. 가장자리는 줄무늬 홈선이 있다. 살은 백색.
    주름살은 백색, 후에 회색∼갈색으로 퇴색된다. 폭이 넓고, 촘촘하며, 대에 떨어진 붙음.
    대는 길이 길이 6∼10cm(굵기 6∼15mm), 원주형에 가깝지만 위쪽으로 약간 가늘어진다. 표면은 백색∼오백색이고 대의 위쪽은 흔히 백색 분상, 아래쪽은 면모상 털이 있다. 턱받이는 없고, 밑동에는 대주머니가 있고, 크기는 2∼4×1.2∼2.5cm이며, 표면은 백색∼오백색, 내측은 백색∼회색이다.

    포자 : 포자는 넓은 타원형∼타원형, 9∼11×7∼9㎛, 비전분반응.
    색상 : 회색∼암회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활엽수림 또는 침엽수림의 임지에 단생. 외생균근 형성.
    분포 : 한국(백두산), 중국, 인도네시아.
    식용여부 :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반승언, 조덕현. 2012. 백두산의 고등균류상(1). 한국자연보존연구지 10(3-4): 193∼220. 한국자연보전협회

    file
    Read More
  9. 회색귀신광대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Amanita onusta (Howe) Sacc.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A%B4%91%EB%8C%80%EC%84%AF%EA%B3%BC%28Amanitaceae%29" target=_blank>광대섯과(Amanit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A%B4%91%EB%8C%80%EB%B2%84%EC%84%AF%EC%86%8D%28Amanita%29" target=_blank> 광대버섯속(Amanita)</a>
    특징 : 버섯 전체가 회색의 솜털모양의 물질과 회백색의 각진 인편으로 덮이고 솜털이 갓 가장자리에서 늘어져 있는 모습은 음산한 느낌을 준다. 그 모습도 특이 하지만 긴 뿌리를 가지고 있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자실체 : 갓은 크기 4~7cm정도로 어릴 때는 반원모양에서 둥근 산 모양을 거쳐 편평하게 된다. 갓 표면은 회색 솜털모양의 물질과 각진 회백색의 인편이 혼재된 형태로 갓 전면에 덮여 있으며, 가장자리에는 솜털~거미집 모양의 물질이 붙어있다. 살(조직)은 백색이다. 주름살은 백색으로 자루에서 떨어져 붙은 주름살로 주름살 간격이 촘촘하고, 주름살 날은 가루모양이다. 자루는 길이 3.5~10cm정도로 자루 표면은 오랫동안 회색의 가루로 덮여 있어 매끈한 표면은 드러나지 않으며, 기부는 "긴뿌리광대버섯"보다 더 긴 뿌리모양이며, 표면에는 회백색 각진 모양의 돌기가 둘레로 둥글게 붙어 있다. 한마디로 지저분하다. 턱받이는 회백색의 거미집 모양으로 탈락하기 쉽다.
    포자 : 포자는 크기 8~11×4.5~7㎛이다. 타원형이며, 표면은 평활하고, 전분반응이며, 포자무늬는 백색이다.
    색상 : 회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침엽수림, 활엽수림 혼합림 내의 땅 위에 홀로 나거나 흩어져 난다.
    분포 : 한국, 유럽.
    식용여부 :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최호필. 2015. 버섯大도감. 890pp. 아카데미북

    file
    Read More
  10. 흰우산광대버섯((흰회색광대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Amanita nivalis Grev.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A%B4%91%EB%8C%80%EC%84%AF%EA%B3%BC%28Amanitaceae%29" target=_blank>광대섯과(Amanit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A%B4%91%EB%8C%80%EB%B2%84%EC%84%AF%EC%86%8D%28Amanita%29" target=_blank> 광대버섯속(Amanita)</a>
    특징 : 소형, 난형에서 종모양을 거쳐서 둥근산모양으로 되며 중앙은 둔하게 돌출 색깔은 처음 백색에서 회백색 또는 크림-회베이지색으로 되지만 불규칙한 백색도 있다
    자실체 : 갓은 2.5~5cm로 난형에서 종모양을 거쳐서 둥근산모양으로 되며 중앙은 둔하게 돌출한다. 표면은 밋밋하며 건조 시에 광택이 나고 습기가 있을 때는 미끈거리며 눌려 압축된 납작한 표피조각으로 덮여 있다. 색깔은 처음 백색에서 회백색 또는 크림-회베이지색으로 되지만 불규칙한 백색도 있다. 가장자리는 오랫동안 아래로 말리고 예리하며 줄무늬선이 있다. 살은 백색이고 얇으며 냄새는 없고 맛은 온화하다.
    주름살은 자루에 대하여 끝붙은주름살로 백색에서 크림-백색으로 되며 폭은 넓다. 가장자리는 미세한 솜털상이다.
    대는 4~7cm, 굵기는 7~15mm로 원통형, 꼭대기 쪽으로 약간 굵다. 속은 차 있다가 비게 된다. 표면은 백색에서 유백색이고 거의 밋밋하며 꼭대기는 때때로 가루상이며 기부는 부풀지 않는다. 대주머니는 막질로 싸여 있고 백색으로 부서지기 쉽다.

    포자 : 포자는 7.5~11.5×7~11㎛로 구형 또는 아구형이며 표면은 매끈하고 투명하다. 담자기는 막대모양으로 40~45×11~15㎛이고 4-포자성이다. 기부에 꺾쇠가 없다.
    색상 : 백색에서 회백색 또는 크림-회베이지색
    발생계절 : 여름
    발생형태 : 여름 숲속 또는 석회질의 땅에 단생·군생
    분포 : 한국, 중국, 유럽
    식용여부 : 독성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한국균학회 균학용어편집위원회. 2013. 2013 한국의 버섯 목록. 576pp. 한국균학회.
    조덕현. 2014. 백두산의 버섯도감①. 637pp. 한국학술정보

    file
    Read More
  11. 노란막광대버섯(신알광대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Amanita neoovoidea Hongo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A%B4%91%EB%8C%80%EC%84%AF%EA%B3%BC%28Amanitaceae%29" target=_blank>광대섯과(Amanit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A%B4%91%EB%8C%80%EB%B2%84%EC%84%AF%EC%86%8D%28Amanita%29" target=_blank> 광대버섯속(Amanita)</a>
    특징 : 중형. 갓은 백색, 표면에 황토색의 막 모양 피막 파편이 넓게 부착. 대는 백색, 분상∼솜찌끼 모양.
    자실체 : 갓은 폭 7∼10(12)cm의 중형. 처음에는 반구형이다가 후에 둥근산형, 평평한 형이 되고 중앙부가 약간 오목하게 된다. 표면은 습할 때는 점성이 있다. 백색인데 가루모양의 물질이 덮여 있고 때로는 담황토색의 막 모양의 외피막 파편이 넓게 붙어있기도 하며, 때로는 가장자리 끝에 백색의 외피막 잔재물이 너덜너덜하게 붙어 있다. 살은 백색. 공기에 닿아도 변색되지 않는다. 식독 불명.
    주름살은 백색∼연한 크림색. 폭이 넓으며 촘촘하고 대에 떨어진 붙음. 날 부분은 분상이다.
    대는 길이10∼13cm(굵기10∼15(20)mm), 표면은 분상∼솜 찌끼 모양이고 백색, 밑동은 곤봉상 또는 방추상으로 부풀어 있다.

    포자 : 포자는 타원형. 평활, 7∼9×5.5∼6㎛.
    색상 : 백색, 황토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혼효림에서 많이 발생. 때로는 절개지 토양에서도 발생.
    분포 : 한국, 일본.
    식용여부 :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이태수, 이지열. 2000. 한국 기록종 버섯 재정리 목록. 87pp. 임업연구원
    고철순, 석순자, 장현유. 2011. 우리산야의 자연버섯. 439pp. 푸른행복

    file
    Read More
  12. 광대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Amanita muscaria (L.) Lam. > Amanita muscaria (L.) Lam. var. muscaria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A%B4%91%EB%8C%80%EC%84%AF%EA%B3%BC%28Amanitaceae%29" target=_blank>광대섯과(Amanit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A%B4%91%EB%8C%80%EB%B2%84%EC%84%AF%EC%86%8D%28Amanita%29" target=_blank> 광대버섯속(Amanita)</a>
    특징 : 파리 잡는(muscảrius) 버섯. 갓은 주홍색 바탕에 백색의 점 모양 사마귀가 산재되어 있어서 어릿광대의 옷을 연상시키므로 광대버섯이란 이름을 붙었다.
    자실체 : 갓은 폭 6∼20cm의 중형∼초대형. 구형이나 반구형이다가 둥근산형, 평평한 형이 된다. 표면은 점성이 있고 밝은 주홍색. 오래되면 다소 오렌지황색으로 퇴색된다. 백색의 사마귀(외피막 파편)가 전면에 산재되며 생장하면 가장자리 끝에 줄금이 있다. 살은 백색. 표피의 바로 아래는 담황색. 독버섯. 무스카린, 이보덴산 등 많은 독성분을 함유하고 있어서, 환각, 정신착란, 시청각 장애 등 장애를 받으며, 24시간 정도 지속된다.
    주름살은 백색. 폭이 넓고 촘촘하며 대에 떨어진 붙음.
    대는 길이8∼20cm(굵기1∼3cm), 백색이고 대의 위쪽에는 막질의 백색 고리가 있다. 고리의 아래쪽은 다소 거스름 모양을 띤다. 밑동이 둥글게 부풀어 있고, 밑동의 위쪽은 외피막의 잔재물이 테 모양 부착되어 있다.

    포자 : 포자는 아구형∼넓은 타원형. 평활, 투명, 9.2∼11.6×6.4∼9.5㎛. 포자문은 백색.
    색상 : 밝은 주홍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침엽수와 활엽수의 혼효림, 자작나무림 등에서 발생. 매우 드물다.
    분포 : 북반 구 온대 이북, 호주, 뉴질랜드.
    식용여부 : 맹독성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13. 비듬마귀광대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Amanita multisquamosa Peck > Amanita pantherina var. multisquamosa (Pk.) Jenkins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A%B4%91%EB%8C%80%EC%84%AF%EA%B3%BC%28Amanitaceae%29" target=_blank>광대섯과(Amanit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A%B4%91%EB%8C%80%EB%B2%84%EC%84%AF%EC%86%8D%28Amanita%29" target=_blank> 광대버섯속(Amanita)</a>
    특징 : 중형. 둥근산형∼평평한 형. 표면은 백색, 중앙은 황백색. 표면에 백색의 막편 부착. 학명이 전의 학명으로 바뀌었다.
    자실체 : 갓은 폭 8∼10cm의 중형. 둥근산형이다가 차차 평평한 형이 되며 가운데가 오목해 지기도 한다. 표면은 백색∼담 백갈색, 중앙은 다소 진하거나 황백색. 백색의 막편이 부착되어 있다가 쉽게 탈락한다.
    주름살은 백색. 촘촘하며 대에 치붙음.
    대는 길이3.5∼13cm(굵기 0.4∼1.2cm), 표면에 백색의 미세한 인편이 있다. 아래쪽으로 약간 굵어지며 속은 비어 있다. 턱받이가 있으나 곧 탈락한다.

    포자 : 포자는 아구형. 평활, 8∼10×5.5∼8㎛. 포자문은 백색.
    색상 : 백색∼담 백갈색
    발생계절 : 여름
    발생형태 : 여름. 혼효림 내 토양에 군생.
    분포 : 한국, 미국.
    식용여부 : 독성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14. 회색광대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Amanita modesta Corner & Bas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A%B4%91%EB%8C%80%EC%84%AF%EA%B3%BC%28Amanitaceae%29" target=_blank>광대섯과(Amanit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A%B4%91%EB%8C%80%EB%B2%84%EC%84%AF%EC%86%8D%28Amanita%29" target=_blank> 광대버섯속(Amanita)</a>
    특징 : 중형. 편평반반구형이며 약간의 돌기 가 있고, 매끄럽다. 색상은 검푸른 암갈색에서 어두운 암갈 색 갓 끝부분에 밝은 색의 줄무늬가 있다.
    이 종은 확실하게 알려지기 전까지 치명적인 독성 을 가진 것으로 간주해야 한다는 보고가 있다

    자실체 : 갓은 직경 5~6cm로 편평반반구형이며 약간의 돌기 가 있고, 매끄럽다. 색상은 검푸른 암갈색에서 어두운 암갈색이고 선천적으로 갓 끝부분에 밝은 색의 줄무늬가 있다.
    대는 5∼6cm(굵기7∼8mm), 약간 원통형으로 육질은 흰색이다. 대의 기부는 손톱 형태의 질긴 막질로 둘러싸여 있다. 턱받이는 8~12 mm로 넓고, 미세한 줄무늬가 있다. 대 주머니는 흰색으로 쉽게 사라진다.

    포자 : 포자는 6.5~8.0 × (4.5~)5.0~5.5 μm [Q = (1.2~)1.27~1.5, Q = 1.43 ± 0.39], 넓은 타원형에서 타원형으로 아밀로이드 성이며, 무색 투명한 얇은 격벽으로 표면은 평활하다.
    담자기는 25~39 × 7~9 μm 크기로 곤봉형이며, 4개의 담자포자를 형성하고, 클램 프는 관찰되지 않았다. 담자뿔의 길이는 2.4~3.5 μm이다.

    색상 : 검푸른 암갈색~어두운 암갈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활엽수림 또 는 혼합림의 지상에 단생, 드물게 소수 군생하는 균근성균 류이다.
    분포 : 싱가포르, 한국 등 동아시아지역
    식용여부 : 맹독성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진용주 등(유기범, 홍승범, 권순우, 김수진, 김성환, 석순자). 2015. 한국산 광대버섯속 Lepidella아속의 미기록종 보고. 한국균학회지 43(4) 216-223

    file
    Read More
  15. 파리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Amanita melleiceps Hongo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A%B4%91%EB%8C%80%EC%84%AF%EA%B3%BC%28Amanitaceae%29" target=_blank>광대섯과(Amanit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A%B4%91%EB%8C%80%EB%B2%84%EC%84%AF%EC%86%8D%28Amanita%29" target=_blank> 광대버섯속(Amanita)</a>
    특징 : 소형, 갓은 갈색을 띤 황색, 표면에 백색 또는 황색을 띤 분질물이 산재한다. 예전에 농촌에서는 이 버섯을 으깬 후 밥에 섞어서 파리잡이 용으로 사용하였다
    자실체 : 갓은 폭 3∼6cm의 소형. 둥근산형이다가 평평한 형이 되며, 결국 중앙부가 약간 오목해 진다. 표면은 갈색을 띤 황색∼갈색을 띤 황토색이고 주변은 연한 색. 줄무늬가 있다. 표면에 백색∼연한 황색의 분질물이 다수 산재한다. 살은 연한 회백색. 독버섯. 여름철 밥과 섞어서 파리잡이용으로 쓴다.
    주름살은 백색. 폭이 넓고 약간 성기며 대에 떨어진 붙음.
    대는 길이3∼5cm(굵기4∼7mm), 위쪽이 약간 가늘며 밑동이 부풀어 있다. 표면은 백색∼담황색, 분상이고 속이 비어있다. 밑동은 굵고 허연색의 분질이 피복되어 있다. 고리는 없다.

    포자 : 포자는 넓은 타원형. 평활, 8.5∼12.5×6∼8.5㎛.
    색상 : 갈색을 띤 황색, 황토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소나무, 곰솔, 참나무류 등의 나무 밑에 사질과 점토질이 섞인 곳에 잘 발생. 매우 흔하다.
    분포 : 한국, 일본
    식용여부 : 독성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16. 긴주머니광대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Amanita manginiana Har. & Pat. > Amanita manginiana (Har. & Pat.) E.-J. Gilbert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A%B4%91%EB%8C%80%EC%84%AF%EA%B3%BC%28Amanitaceae%29" target=_blank>광대섯과(Amanit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A%B4%91%EB%8C%80%EB%B2%84%EC%84%AF%EC%86%8D%28Amanita%29" target=_blank> 광대버섯속(Amanita)</a>
    특징 : 갓은 밤색~갈색, 중앙은 볼록하고 인편 탈락하기 쉬운 갈색 피막 부착. 대는 백색 막질의 주머니모양 큰 고리(턱받이)가 있다.
    중국에서 식용한다고 알려졌지만 비슷한 독버섯과 혼동되기 쉬우므로 피하는 것이 좋다.

    자실체 : 갓은 너비 7-8cm, 어릴 때는 구형, 후에 둥근산형∼평평한 형이 되고 중앙은 볼록하고 탈락하기 쉬운 갈색 피막 부착. 표면은 밤색~갈색이고 흔히 중앙 쪽이 진하다. 살은 흰색에서 갈색이 된다.
    주름살은 백색. 폭이 넓고, 촘촘하며, 대에 떨어진 붙음. 날은 고르다.
    대는 길이 5-8 cm, 원통형 위쪽으로 가늘어 진다. 표면은 오렌지색을 띤 흰색이다. 위쪽에 치마 같은 백색의 막질의 주머니모양 큰 고리(턱받이)가 있다.

    포자 : 포자는 7 - 8 × 6 μm
    색상 : 밤색~갈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소나무류나 참나무류 등의 침.활엽수림에 발생.
    분포 : 한국, 중국, 호주
    식용여부 : 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Jin Sung Lee, C.M. Kim & H.B. Lee. 2014. Eight Previously Unreported Speces of Fungi Identified in Mt. Manggyeong, Korea. Kor. J. Mycol. 42(4): 344-348.

    file
    Read More
  17. 은색광대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Amanita mairei Foley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A%B4%91%EB%8C%80%EC%84%AF%EA%B3%BC%28Amanitaceae%29" target=_blank>광대섯과(Amanit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A%B4%91%EB%8C%80%EB%B2%84%EC%84%AF%EC%86%8D%28Amanita%29" target=_blank> 광대버섯속(Amanita)</a>
    특징 : 중형. 회색, 갈회색 때로는 올리브색 끼를 띤다. 줄무늬가 어릴 때는 짧은 편이나 후에 길게 나타나고 홈선이 된다. 대주머니가 매우 큰 편이다.
    자실체 : 갓은 폭 5∼9cm의 중형. 회색, 갈회색 때로는 올리브색 끼를 띤다. 어릴 때는 가장자리의 줄무늬는 짧은 편이나 후에는 줄무늬가 1/3 정도까지 나타나며, 홈선이 되기도 한다. 흔히 대주머니의 잔존물이 갓 표면에 큰 형태로 남아 있다. 식용하나 유사한 버섯 중 독버섯이 많으므로 피하는 것이 좋다.
    주름살은 처음에는 백색, 때로는 연한 분홍색 끼를 띠며, 후에는 다소 회색을 띤다. 폭은 5∼9mm, 촘촘하며 대에 떨어진 붙음이 된다.
    대는 길이길이 5∼9cm(굵기 10∼15mm), 밑동은 굵어져 있고, 백색의 큰 대주머니가 있다.

    포자 : 포자는 넓은 타원형, 타원형∼길죽한 형, 비 전분반응. 11.0∼14.0(17.5)×7.1∼10.0(11.5)㎛
    색상 : 회색, 갈회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 가을 소나무림 또는 소나무가 혼재된 임지의 토양에 단생 또는 산생.
    분포 : 한국, 일본, 유럽.
    식용여부 : 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한국균학회. 1978. 韓國말 버섯 이름 統一案. 韓國菌學會誌 2(1): 43∼55pp

    file
    Read More
  18. 큰배꼽광대버섯(신칭)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Amanita magniverrucata Thiers & Amm.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A%B4%91%EB%8C%80%EC%84%AF%EA%B3%BC%28Amanitaceae%29" target=_blank>광대섯과(Amanit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A%B4%91%EB%8C%80%EB%B2%84%EC%84%AF%EC%86%8D%28Amanita%29" target=_blank> 광대버섯속(Amanita)</a>
    특징 : 소형∼중형. 갓은 백색, 표면에 백색 원추형 사마귀가 밀집되어 피복. 대는 백색, 밑동은 방추형. 형태가 다소 다양하게 보인다.
    자실체 : 갓은 폭 4-13cm의 소형∼중형. 처음에는 둥근산형이다가 평평하게 퍼지며 표면은 어두운백색. 원추형∼각추형의 알갱이 모양 사마귀가 밀집되어 피복된다. 가장자리 끝에는 외피막의 잔재물이 붙기도 한다. 사마귀는 중심부는 대부분 크고 가장자리는 소형이다. 사마귀는 백색이거나 다소 회색∼갈색을 띤다. 살은 백색. 속이 차 있다. 식독 불명.
    주름살은 백색. 폭이 넓으며, 다소 촘촘하고 대에 떨어진 붙음이지만 주름살의 안쪽 끝은 다소 내리붙음.
    대는 길이 7-115mm(굵기10∼2.5mm), 백색. 표면은 점 모양 또는 분상의 회색∼갈색 물질이 피복되어 있다. 밑동은 방추형으로 현저히 굵다.
    포자는 긴 타원형. 평활, 5.5-8.3μ 8.1-12.7㎛.
    발생: . (분포)

    포자 : 포자는 긴 타원형. 평활,아밀로이드, 백색 , 5.5-8.3 x 8.1-12.7㎛.
    색상 : 어두운백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참나무류 등 활엽수임지에 발생
    분포 : 한국, 일본 북미
    식용여부 : 식독불명, 독성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이태수. 2014. 인터넷 “한국버섯”(한국 기록종버섯의 총정리: 2014. 9. 1 수정본)

    file
    Read More
  19. 회색가시광대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Amanita lutescens Hongo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A%B4%91%EB%8C%80%EC%84%AF%EA%B3%BC%28Amanitaceae%29" target=_blank>광대섯과(Amanit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A%B4%91%EB%8C%80%EB%B2%84%EC%84%AF%EC%86%8D%28Amanita%29" target=_blank> 광대버섯속(Amanita)</a>
    특징 : 소형. 갓은 회색, 표면에 암 갈회색의 점 모양 사마귀 피복. 대는 갓과 같은 색, 갈회색 분질물이 덮여있다. 주름살이 황백색이고, 절단하면 황변하는 특징이 있다.
    자실체 : 갓은 폭 3.5∼6cm의 소형. 둥근산형이다가 평평한 형이 되며, 결국 중앙부가 약간 오목해 진다. 표면은 회색. 점성이 없고 가루모양 이거나 점모양의 암 갈회색 사마귀들이 피복되어 있다. 전면이 분상으로 된 것도 있다. 줄금은 없고 가장자리 끝에는 외피막의 흔적이 붙어 있다. 살은 백색. 상처를 입으면 황색으로 변한다. 식독 불명.
    주름살는 황백색. 폭이 넓고 약간 성기며 대에 떨어진 붙음이지만 오래 되면 내리붙음 상이 되기도 한다.
    대는 길이3.5∼7cm(굵기4∼8mm), 위쪽이 약간 가늘며 고리의 위쪽은 백색, 아래쪽은 갈회색의 분질∼솜 모양의 작은 인편이 피복되어 있다. 다소 얼룩덜룩한 모양을 이루기도 한다. 고리는 대의 위쪽에 있으며, 백색이고 막질이다. 약간 영존성이다.

    포자 : 포자는 넓은 타원형. 평활, 9∼10.5×5.5∼6.5㎛.
    색상 : 회색, 암회갈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모밀잣밤나무, 가시나무, 떡갈나무, 소나무 및 졸참나무 림 등에 발생.
    분포 : 한국, 일본.
    식용여부 :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20. 긴골광대버섯아재비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Amanita longistriata Imai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A%B4%91%EB%8C%80%EC%84%AF%EA%B3%BC%28Amanitaceae%29" target=_blank>광대섯과(Amanit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A%B4%91%EB%8C%80%EB%B2%84%EC%84%AF%EC%86%8D%28Amanita%29" target=_blank> 광대버섯속(Amanita)</a>
    특징 : 중형. 갓은 그을음 색, 줄무늬가 있다. 대는 백색(때로는 흑갈색) 다소 긴 편, 위쪽에 백색 고리. 주름살은 백색, 후에 담홍색. 대가 가늘고 길며, 고리가 있다.
    자실체 : 갓은 폭 5∼10cm의 중형. 어릴 때는 원추형∼둥근산형이다가 평평한 형이 되며, 표면은 점성이 있다. 표면은 평활하며, 어릴 때는 담회갈색이다가 그을음 색(때로는 흑갈색이 된다) 흔히 주변은 연한 색. 긴 줄무늬가 방사상으로 있다. 살은 백색. 독버섯 위장 계의 중독을 일으킨다.
    주름살은 백색. 오래되면 약간 담홍색을 띤다.
    대는 길이10∼18cm(굵기8∼15mm), 위쪽이 약간 가늘며 표면은 백색(때로는 흑갈색으로도 된다), 거의 털이 없지만 간혹 솜털모양의 가는 인편이 존재한다. 속이 차 있거나 때로는 비어 있다. 고리는 위쪽에 있는데 백색, 폭이 넓고, 막질이다. 밑동에 막질의 주머니 모양 외피막이 있다.

    포자 : 포자는 광타원형∼아구형. 평활, 10∼14×7.5∼9.5㎛.
    색상 : 담회갈색, 흑갈색
    발생계절 : 여름
    발생형태 : 여름. 나무 밑의 초지나 모래땅에 난다.
    분포 : 한국, 일본.
    식용여부 : 독성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 124 Next
/ 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