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01.09 10:44

잿빛가루광대버섯

조회 수 96 추천 수 0 댓글 0
Extra Form
분류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Amanita griseofarinosa Hongo
과명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A%B4%91%EB%8C%80%EC%84%AF%EA%B3%BC%28Amanitaceae%29" target=_blank>광대섯과(Amanitaceae)</a>
속명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A%B4%91%EB%8C%80%EB%B2%84%EC%84%AF%EC%86%8D%28Amanita%29" target=_blank> 광대버섯속(Amanita)</a>
특징 소형∼중형. 회색 대(grỉseofarinonus) 버섯. 갓은 담회색 바탕에 회색 분질물이 덮여 있다. 대는 길고 표면에 회색 분질물이 덮여 있다.
자실체 갓은 폭 3∼6.5cm의 소형∼중형. 처음에는 둥근산형이다가 거의 평평하게 퍼지고 표면은 담회색의 바탕에 회색∼암 회갈색의 분질, 솜 모양의 외피막 파편이 촘촘하게 피복되어 있다. 흔히 각추상의 사마귀도 생기지만 소실되기 쉽다. 식독 불명.
주름살은 백색. 약간 촘촘하거나 약간 성기고 대에 떨어진 붙음. 날은 분상이다.
대는 길이7∼12(20)cm(굵기3∼8mm) 밑동은 다소 굵은데, 때에 따라서는 그 끝이 약간 뿌리모양으로 길어지는 경우도 있다. 표면은 회색, 분상의 솜 찌꺼기 모양이고 속이 차 있다. 고리도 회색. 분질∼면질인데 소실되기 쉽다.
포자 포자는 타원형∼아구형. 평활, 9.5∼11.5×7.5∼9.5㎛.
색상 담회색
발생계절 여름~가을
발생형태 여름∼가을. 활엽수 임내(참나무류 등) 지상에 발생.
분포 한국, 일본.
식용여부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konakaburitengutake06reb.jpg

 

konakaburitengutake06rec.jpg

 

konakaburitengutake06youkin.jpg

사진출처 : http://www.hedara.com/kinoko/konakaburitengutake/konakaburitengutake.htm

"

버섯크기 구분방법 _극소형: 2cm 이하. 소형: 2∼5(6)cm 정도. 중형: 5∼10(11)cm 정도. 대형: 10∼15(16)cm 정도. 거대형: 15cm 이상.
  1. 긴뿌리광대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Amanita longistipitata D.H. Cho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A%B4%91%EB%8C%80%EC%84%AF%EA%B3%BC%28Amanitaceae%29" target=_blank>광대섯과(Amanit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A%B4%91%EB%8C%80%EB%B2%84%EC%84%AF%EC%86%8D%28Amanita%29" target=_blank> 광대버섯속(Amanita)</a>
    특징 : 갓 표면이 거북등처럼 갈라지며 피라밋형 돌기가 형성된다. 대가 길다.
    자실체 : 갓은 폭 8cm 정도의 중형. 반구형, 표면은 거북등처럼 갈라지며, 피라밋형 돌기가 형성된다. 백색 또는 회백색, 거북등 모양 갈라진 피라밋형 돌기는 중앙 쪽이 크고 가장자리로 갈수록 작아지며 회흑색. 살은 백색. 식독 불명.
    주름살은 대에 떨어진 붙음, 백색∼회백색, 가루 같은 것이 있다. 고리는 백색, 잘 떨어진다.
    대는 길이전체 18cm, 굵기 0.8cm, 밑동이 땅속 깊게 묻혀 있고 부풀어졌다가 끝 쪽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면서 굽어 있다. 백색. 대의 속은 비어 있다. 지상부의 길이는 7.5cm 정도.

    포자 : 포자는 타원형, 아밀로이드 반응, 9∼12×6.5∼10㎛.
    색상 : 백색 또는 회백색
    발생계절 : 가을
    발생형태 : 가을. 혼효림 모래 섞인 땅에 단생.
    분포 : 한국.
    식용여부 :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한국균학회 균학용어편집위원회. 2013. 2013 한국의 버섯 목록. 576pp. 한국균학회.

    file
    Read More
  2. 환문광대버섯(흰반들광대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Amanita kotohiraensis Nagas. & Mitani.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A%B4%91%EB%8C%80%EC%84%AF%EA%B3%BC%28Amanitaceae%29" target=_blank>광대섯과(Amanit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A%B4%91%EB%8C%80%EB%B2%84%EC%84%AF%EC%86%8D%28Amanita%29" target=_blank> 광대버섯속(Amanita)</a>
    특징 : 중형~약간 대형으로 염소냄새가 많이 나는 독버섯이다
    자실체 : 갓은 크기 5~10㎝정도로 어릴 때는 공 모양에서 반원모양, 둥근 산 모양을 거쳐 편평하게 된다. 갓 표면은 윤기가 있어 반들거리는 백색의 바탕 위에 탈락하기 쉬운 백색의 외피막 파편이 덮여 있다. 살(조직)은 백색이다. 주름살은 옅은 백황색으로 자루에서 떨어져 붙은 주름살로 주름살 간격이 촘촘하고, 주름살 날은 가루모양이다. 자루는 길이 6~14㎝정도로 원기둥 모양이며, 자루 표면은 백색으로 막질의 인편으로 덮여 있다. 기부는 방추형에 가까운 둥근 모양이고, 외피막은 기부와 겹쳐 붙어 있으며 표면에는 3~5개의 고리무늬가 있다. 턱받이는 옅은 백황색으로 자루 위쪽에 달려있고, 막질이며, 탈락하기 쉽다.
    포자 : 포자는 7~10×5.5~6.5㎛로 광타원형~원통상 타원형이고, 아밀로이드이며, 포자문은 백색이다.
    색상 : 흰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 가을 소나무, 참나무 등이 많은 혼합림에서 군생한다.
    분포 : 한국, 중국, 일본
    식용여부 : 식독불명, 독성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진용주 등(유기범, 홍승범, 권순우, 김수진, 김성환, 석순자). 2015. 한국산 광대버섯속 Lepidella아속의 미기록종 보고. 한국균학회지 43(4) 216-223
    최호필. 2015. 버섯大도감. 890pp. 아카데미북

    file
    Read More
  3. 노란달걀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Amanita javanica (Corner & Bas) Oda, Tanaka & Tsuda > Amanita hemibapha subsp. javanica Corner & Bas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A%B4%91%EB%8C%80%EC%84%AF%EA%B3%BC%28Amanitaceae%29" target=_blank>광대섯과(Amanit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A%B4%91%EB%8C%80%EB%B2%84%EC%84%AF%EC%86%8D%28Amanita%29" target=_blank> 광대버섯속(Amanita)</a>
    특징 : 달걀버섯과 거의 유사한 모양이나 버섯 전체가 황색인 특징이 있다. 노란띠달걀버섯이라고도 했다. 학명이 바뀌었다.
    개나리광대버섯(독버섯)에 비해 크며 갓의 가장자리에 선명한 줄금이 보인다

    자실체 : 갓은 오렌지 황색∼황색이고 중앙은 다소 황토색이다. 방사상으로 선명한 줄금이 보인다.
    대는 길이갓보다 다소 연한 색 바탕에 오렌지색∼레몬색의 얼룩덜룩한 모양이 된다. 오렌지 황색 막질의 고리가 있다. 밑동에 주머니 모양 외피막이 있고 백색.

    포자 : 포자는 아구형. 평활, 7∼9×5∼7㎛.
    색상 : 오렌지 황색∼황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에서 가을 침엽수림이나 활엽수림에서 발생하며 흔히 군생.
    분포 : 한국, 일본, 자바.
    식용여부 : 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4. 일본광대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Amanita japonica Hongo ex Bas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A%B4%91%EB%8C%80%EC%84%AF%EA%B3%BC%28Amanitaceae%29" target=_blank>광대섯과(Amanit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A%B4%91%EB%8C%80%EB%B2%84%EC%84%AF%EC%86%8D%28Amanita%29" target=_blank> 광대버섯속(Amanita)</a>
    특징 : 갓은 암회색∼연한 회갈색, 각추형 돌기가 있고, 대는 뿌리모양 길고 방추형이다.
    자실체 : 갓은 폭 5.5∼8cm의 중형. 어릴 때는 구형이다가 둥근산형, 평평한 형이 되며, 가장자리 끝에는 외피막의 파편이 늘어져 있다. 표면은 암회색∼연한 회갈색(허연색)인데 각추형, 양탄자 털∼면질의 영존성 물질이 덮여 있다. 후에 갓 중심의 표피가 약간 거북껍질 모양으로 균열되면서 흰 바탕색이 들어난다. 그 결과 생장한 개체의 갓에 피복체가 산재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살은 백색. 변색하지 않는다. 식독 불명.
    주름살은 백색. 폭이 두꺼우며 촘촘하거나 약간 성기며 거의 대에 떨어진 붙음. 날 부분은 분상이다.
    대는 길이8∼17cm(굵기7∼23mm), 위쪽이 약간 가늘며 밑동은 긴 방추형∼곤봉형. 표면은 백색바탕에 아래쪽은 면질, 회색의 피복물이 몇 개의 불완전한 띠 모양으로 남게 되고, 위쪽은 면질∼섬유질의 회색 피복물이 연하게 덮여 있다.

    포자 : 포자는 타원형. 평활, 9∼10.5×5.5∼6.5㎛.
    색상 : 암회색∼연한 회갈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주로 소나무와 졸참나무 혼효림에 발생.
    분포 : 한국, 일본.
    식용여부 :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5. 이마제키광대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Amanita imazekii T. Oda, C. Tanaka & Tsuda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A%B4%91%EB%8C%80%EC%84%AF%EA%B3%BC%28Amanitaceae%29" target=_blank>광대섯과(Amanit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A%B4%91%EB%8C%80%EB%B2%84%EC%84%AF%EC%86%8D%28Amanita%29" target=_blank> 광대버섯속(Amanita)</a>
    특징 : 중형∼대형. 갓은 갈색∼회갈색. 또는 암갈색. 대의 위쪽에 백색 막질의 치마모양 고리가 있고, 밑동에 백색∼크림색의 큰 외피막 주머니가 있다.
    자실체 : 갓은 폭 6.5∼14cm의 중형∼대형. 갈색〜회갈색. 또는 암갈색. 어릴 때는 반구형이나 후에 둥근산형〜평평한 형이 된다. 후에 가장자리는 들어올려 지기도 하고, 짧은 줄무늬가 생기기도 한다.
    갓 표면에 백색 헝겊 모양의 외피막 잔존물이 붙어 있기도 하며, 탈락되기 쉽다. 살은 백색, 대의 윗부분은 6〜12mm 정도.
    주름살은 백색〜연한 크림색. 폭이 6〜12mm 정도로 넓은 편이고, 대에 떨어진 붙음. 매우 촘촘하며, 날은 분상〜약간 면모상.
    대는 14∼26cm(굵기8∼34mm), 백색∼연한 크림색. 위쪽으로 가늘어 진다. 처음에는 속이 차 있으나 후에 속이 빈다. 대의 위쪽에는 백색 고리가 있고, 막질이며, 치마 모양, 영존성. 대의 밑동에는 백색〜연한 크림색의 큰 외피막 주머니가 대를 감싸고 있다.

    포자 : 포자는 구형〜아구형. 평활, 투명, 비전분반응. 8.8∼10.8×8.4∼10.4㎛. 포자문은 백색.
    색상 : 회갈색, 암갈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소나무, 전나무, 참나무류 등 각종 침활엽수 임지내 토양에 단생 또는 군생한다.
    분포 : 한국, 일본.
    식용여부 :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Hae Jin Cho et al. 2015. Four New Species of Amanita in Inje County, Korea. Mycobiology 43(4): 408-412

    file
    Read More
  6. 흰돌기광대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Amanita hongoi Bas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A%B4%91%EB%8C%80%EC%84%AF%EA%B3%BC%28Amanitaceae%29" target=_blank>광대섯과(Amanit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A%B4%91%EB%8C%80%EB%B2%84%EC%84%AF%EC%86%8D%28Amanita%29" target=_blank> 광대버섯속(Amanita)</a>
    특징 : 중형∼대형. 갓은 허연색, 표면에 추 모양의 사마귀가 덮여 있고 대는 곤봉상, 대에 점상 갈색 사마귀들이 띠 모양 여러 줄 형성된다.
    자실체 : 갓은 폭 5∼17cm의 중형∼대형. 처음에는 반구형이다가 둥근산형, 평평하게 퍼진다. 마침내 중앙부가 약간 오목해 진다. 표면은 허연색이다가 연한 황갈색∼연한 갈색이 되고, 다수의 끝이 추 모양 뾰족한 사마귀(외피막의 파편, 높이는 2∼3mm)가 덮여 있다. 덮여있던 외피막 사마귀는 후에 탈락된다. 식독 불명.
    주름살은 백색∼크림색. 폭이 넓으며, 촘촘하고 대에 떨어진 붙음. 날 부분은 분상이다.
    대는 길이10∼15cm(상부 굵기2∼3cm, 아래쪽은 4∼4.5cm) 정도의 곤봉상으로 굵어지며 약간 갈색을 띤다. 둘레에는 나란히 많은 작은 사마귀들이 부착되어
    있고 속은 차 있다. 고리는 두꺼운 막질이고 대의 위쪽에 늘어져 있다. 크림색. 윗면에는 줄금이 있다.

    포자 : 포자는 난상 아구형. 평활, 11∼20㎛.
    색상 : 허연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졸참나무 등 활엽수림 지상에서 발생.
    분포 : 한국, 일본
    식용여부 :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7. 달걀버섯 (회색달걀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Amanita hemibapha (Berk. &Br.) Sacc. > Amanita hemibapha subsp. hemibapha (Berk. & Br.) Sacc.(달걀버섯) > Amanita hemibapha subsp. similis Corner & Bas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A%B4%91%EB%8C%80%EC%84%AF%EA%B3%BC%28Amanitaceae%29" target=_blank>광대섯과(Amanit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A%B4%91%EB%8C%80%EB%B2%84%EC%84%AF%EC%86%8D%28Amanita%29" target=_blank> 광대버섯속(Amanita)</a>
    특징 : 중형∼대형. 갓은 오렌지 적색, 대는 오렌지색, 대에 적황색 반문이 얼룩덜룩 띠 모양을 이룬다. 회색달걀버섯은 색깔에 차이가 있으나, 동일종에 포함되었다.
    자실체 : 갓은 폭 5∼10(12)m의 중형∼대형. 어릴 때는 계란모양이다가 둥근산형, 평평한 형이 되지만 간혹 가운데가 둥글게 돌출되기도 한다. 표면은 아름다운 적색
    ∼오렌지적색이고 평활하며 다소 점성이 있다. 가장자리는 방사상으로 명료한 줄금이 있다. 살은 연한 황색. 식용하나 유사한 버섯 중 독버섯이 있으므로 피하는 것이 좋다.
    주름살살 담황∼황색. 약간 촘촘하며 대에 떨어진 붙음.
    대는 길이10∼17cm(굵기0.6∼2cm), 위쪽이 약간 가늘며 표면은 오렌지색∼황색, 흔히 적황색의 반문이 얼룩덜룩한 띠 모양을 이룬다. 속이 차 있다. 위쪽에 적황색 막질의 고리가 있고, 밑동에는 백색이고 두꺼운 막질의 자루모양 외피막이 있다.

    포자 : 포자는 넓은 타원형∼아구형. 평활, 7.5∼10×6.5∼7.5㎛.
    색상 : 오렌지 적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참나무류 등 활엽수 임내 지상에 발생.
    분포 : 한국, 일본, 유럽.
    식용여부 : 식용, 독성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8. 구근광대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Amanita gymnopus Corner & Bas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A%B4%91%EB%8C%80%EC%84%AF%EA%B3%BC%28Amanitaceae%29" target=_blank>광대섯과(Amanit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A%B4%91%EB%8C%80%EB%B2%84%EC%84%AF%EC%86%8D%28Amanita%29" target=_blank> 광대버섯속(Amanita)</a>
    특징 : 갓은 크림색∼황토색. 표면에 담황색 막질 외피막 파편이 있다. 대는 크림색, 밑동이 크다.
    자실체 : 갓은 폭 8∼15cm의 중형∼대형. 어릴 때는 크고 둥근 밑동 위에 반구형의 작은 갓이 생기지만 둥근산형이다가 평평하게 퍼지고 결국에는 중앙부가 약간 오목해 진다. 표면은 점성이 없고 크림색이다가 후에 황토색을 띤다. 담황∼담갈색의 얇은 막질의 외피막 파편이 다수 부착된다. 가장자리 끝에는 외피막의 찌꺼기가 늘어진다. 살은 황백색. 상처를 받으면 연한 적갈색으로 변한다.
    주름살은 황토색. 상처를 받으면 약간 적갈색으로 변한다. 일종의 강한 냄새가 있다. 약간 촘촘하거나 약간 성기고 날은 분상이다.
    대는 길이8∼13cm(굵기1∼2cm), 밑동은 구근 모양으로 둥글고 크게 부풀어 있는데, 직경은 3∼4.5cm에 달한다. 크림색. 황백색의 막질 고리가 대의 상부에
    있거나 없다.

    포자 : 포자는 아구형∼넓은 타원형. 평활, 5.5∼7.5×5∼6.5㎛.
    색상 : 크림색∼황토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참나무류 등의 활엽수 임내 지상에 발생.
    분포 : 한국, 일본, 말레시아, 호주, 멕시코.
    식용여부 :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9. 청회색광대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Amanita griseoturcosa T. Oda, C. Tanaka & Tsuda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A%B4%91%EB%8C%80%EC%84%AF%EA%B3%BC%28Amanitaceae%29" target=_blank>광대섯과(Amanit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A%B4%91%EB%8C%80%EB%B2%84%EC%84%AF%EC%86%8D%28Amanita%29" target=_blank> 광대버섯속(Amanita)</a>
    특징 : 소형∼중형. 갓은 녹색∼회색을 띤 청색, 탈락하기 쉬운 백색 피막 부착. 탈락하기 쉬운 백색 막질의 큰 고리(턱받이)가 있고 밑동에 백색의 주머니 모양의 외피막이 있다
    자실체 : 갓은 폭 3∼11cm의 소형∼중형. 어릴 때는 반구형이다가 후에 둥근산형, 평평한 형이 되고 중앙부가 약간 오목해 진다. 표면은 다소 점성이 있다. 때에 따라서는 갓 표면이나 가장자리 끝에 외피막의 잔재물이 부착되는데, 생장하면서 소실된다. 녹색∼회색을 띤 청색, 중앙부가 진하다. 줄금은 없다. 살은 백색. 독버섯.
    주름살은 백색. 폭이 넓으며 촘촘하고 대에 떨어진 붙음이나 대를 향해 위로 치켜진다. 날 부분은 분상∼미세한 솜 찌꺼기 모양이다.
    대는 길이 5∼8cm(굵기4∼7mm), 표면은 백색이고 탈락하기 쉬운 백색의 큰 고리가 있다. 고리 아래쪽은 다소 거스름 모양을 띤다. 속은 거의 차 있다. 밑동은 배불뚝이 모양으로 부풀어 있고 다소 길며 백색 막질의 비교적 크고 깊은 주머니 모양 외피막에 쌓여 있다.

    포자 : 포자는 난형∼타원형. 평활, 7.5∼8.5(9.5)×4.5∼5.5(7)㎛.
    색상 : 회청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참나무류 등의 활엽수림이나 참나무류와 소나무 혼효림 지상에 난다. 맹독성 버섯이다. 드물다.
    분포 : 한국, 일본
    식용여부 : 맹독성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Hae Jin Cho et al. 2015. Four New Species of Amanita in Inje County, Korea. Mycobiology 43(4): 408-412

    file
    Read More
  10. 잿빛가루광대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Amanita griseofarinosa Hongo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A%B4%91%EB%8C%80%EC%84%AF%EA%B3%BC%28Amanitaceae%29" target=_blank>광대섯과(Amanit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A%B4%91%EB%8C%80%EB%B2%84%EC%84%AF%EC%86%8D%28Amanita%29" target=_blank> 광대버섯속(Amanita)</a>
    특징 : 소형∼중형. 회색 대(grỉseofarinonus) 버섯. 갓은 담회색 바탕에 회색 분질물이 덮여 있다. 대는 길고 표면에 회색 분질물이 덮여 있다.
    자실체 : 갓은 폭 3∼6.5cm의 소형∼중형. 처음에는 둥근산형이다가 거의 평평하게 퍼지고 표면은 담회색의 바탕에 회색∼암 회갈색의 분질, 솜 모양의 외피막 파편이 촘촘하게 피복되어 있다. 흔히 각추상의 사마귀도 생기지만 소실되기 쉽다. 식독 불명.
    주름살은 백색. 약간 촘촘하거나 약간 성기고 대에 떨어진 붙음. 날은 분상이다.
    대는 길이7∼12(20)cm(굵기3∼8mm) 밑동은 다소 굵은데, 때에 따라서는 그 끝이 약간 뿌리모양으로 길어지는 경우도 있다. 표면은 회색, 분상의 솜 찌꺼기 모양이고 속이 차 있다. 고리도 회색. 분질∼면질인데 소실되기 쉽다.

    포자 : 포자는 타원형∼아구형. 평활, 9.5∼11.5×7.5∼9.5㎛.
    색상 : 담회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활엽수 임내(참나무류 등) 지상에 발생.
    분포 : 한국, 일본.
    식용여부 :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11. 새싹광대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Amanita gemmata (Fr.) Bertill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A%B4%91%EB%8C%80%EC%84%AF%EA%B3%BC%28Amanitaceae%29" target=_blank>광대섯과(Amanit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A%B4%91%EB%8C%80%EB%B2%84%EC%84%AF%EC%86%8D%28Amanita%29" target=_blank> 광대버섯속(Amanita)</a>
    특징 : 소형∼중형. 갓은 연한 황색, 레몬색, 난황색 등, 어릴 때는 불규칙한 피막 잔존물이 붙고, 후에 부분적으로 남거나, 탈락. 밑동은 구근상∼다소 돌출된 턱모양. 색깔변화가 큰 편.
    자실체 : 갓은 폭 (3)4∼7(10)cm의 소형∼중형. 어릴 때는 반구형, 곧 둥근산형∼평평한 형이 되고 중앙이 다소 오목 들어가기도 하지만, 돌출되는 경우도 있다. 표면은 평활하고, 약간 점성이 있으며, 습할 때는 광택이 있고, 건조하면 견사상 광택이 있다. 연한 황색, 레몬색, 난황색 등이며, 어릴 때는 불규칙하게 백색의 피막 잔존물이 붙어 있다. 오래되면 부분적으로 남아 있거나 탈락해 버린다. 가장자리는 날카롭고 줄무늬가 있다. 살은 얇고, 백색, 표피층 아래는 황색이다. 독버섯.
    주름살은 백색. 폭이 넓고, 촘촘하며, 대에 떨어진 붙음. 날은 고르다.
    대는 길이6∼10cm(굵기6∼10mm), 원주형, 다소 밑동쪽으로 굵어지며, 구근형이다. 어릴 때는 속이 차 있으나, 후에는 속이 빈다. 백색 막질의 턱받이가 있지만 바로 탈락한다. 턱받이 위쪽은 백색∼연한 황색 끼를 띠며, 아래쪽은 백색, 세로로 섬유상이거나 다소 면모상이다. 밑동은 구근상이거나, 위쪽이 다소 돌출된 턱 모양을 이룬다.

    포자 : 포자는 아구형∼넓은 타원형. 평활, 투명, 8.9∼10.8×6.8∼8.7㎛. 포자문은 백색.
    색상 : 연한 황색, 레몬색, 난황색
    발생계절 : 봄~여름
    발생형태 : 늦은 봄∼가을. 활엽수 또는 침엽수 임지 내 다소 척박한 땅에 단생 또는 산생한다
    분포 : 한국, 중국, 유럽. 북미.
    식용여부 : 독성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반승언, 조덕현. 2012. 백두산의 고등균류상(1). 한국자연보존연구지 10(3-4): 193∼220. 한국자연보전협회

    file
    Read More
  12. 고동색우산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Amanita fulva Fr. > Amanita vaginata var. fulva (Schaeff.) Sacc.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A%B4%91%EB%8C%80%EC%84%AF%EA%B3%BC%28Amanitaceae%29" target=_blank>광대섯과(Amanit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A%B4%91%EB%8C%80%EB%B2%84%EC%84%AF%EC%86%8D%28Amanita%29" target=_blank> 광대버섯속(Amanita)</a>
    특징 : 소형∼중형. 우산버섯과 흡사하나 갓은 다갈색(고동색), 대는 연한 색. 고리가 없고 황갈색 외피막
    자실체 : 갓은 폭 4∼9cm의 소형∼중형. 어릴 때는 난형, 후에 둥근산형∼거의 평평한 형이 되고 중앙이 다소 오목해 지며 가운데 돌출이 생기기도 한다. 표면은 다갈색∼오렌지 갈색인데 주변은 방사상으로 홈선이 있다. 살은 백색. 식용.
    주름살은 백색. 폭이 약간 넓으며 촘촘하고 대에 떨어진 붙음.
    대는 길이7∼12cm(굵기7∼12mm), 갓보다 연한색이고 보통 평활하지만, 약간 면질의 거스름이 생기기도 한다. 고리가 없고 속이 비어 있다. 위쪽이 다소 가늘고 아래쪽으로 다소 굵어지지만 밑동이 크게 굵어지지 않고 황갈색 끼를 띠는 큰 주머니 모양의 외피막에 들어있다. 대는 자라면서 속이 빈다.

    포자 : 포자는 구형 평활, 9∼11㎛. 포자문은 백색.
    색상 : 고동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임내 토양이나 부근 초지에 난다. 흔하다.
    분포 : 거의 전 세계적
    식용여부 : 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13. 회흑색광대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Amanita fuliginea Hongo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A%B4%91%EB%8C%80%EC%84%AF%EA%B3%BC%28Amanitaceae%29" target=_blank>광대섯과(Amanit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A%B4%91%EB%8C%80%EB%B2%84%EC%84%AF%EC%86%8D%28Amanita%29" target=_blank> 광대버섯속(Amanita)</a>
    특징 : 거무칙칙한(fuligous)의 버섯. 갓은 암회색, 표면은 섬유상, 대는 갓보다 연한 색 고리는 회색. 지역에 따라 색깔 변화가 있다.
    자실체 : 갓은 폭 3∼5cm의 소형. 처음에는 계란 모양의 종형, 후에 둥근산형이다가 거의 평평하게 퍼지고 가장
    자리가 위로 치켜진다. 표면은 섬유상, 회색∼암회색. 중앙부는 거의 흑색이 되기도 한다. 때로는 회색이면서 중앙이 진하게 나타나기도 한다. 맹독버섯의 가능성이 있다.
    주름살은 백색. 촘촘하고 대에 떨어진 붙음.
    대는 길이6∼9cm(굵기4∼8mm), 갓보다 연한 색, 섬유상의 작은 인편이 덮여 있다. 밑동은 백색의 주머니모양 외피막이 감싸고 있다. 대의 위쪽에 막질의 고리가 있으며 회색을 띤다. 독버섯.

    포자 : 포자는 구형. 평활, 7.5∼9㎛.
    색상 : 회색∼암회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모밀잣밤나무, 가시나무 림에 발생.
    분포 : 한국, 일본
    식용여부 : 맹독성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14. 누더기광대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Amanita franchetii (Boud.) Fay. >Amanita aspera var. franchetii Boud.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A%B4%91%EB%8C%80%EC%84%AF%EA%B3%BC%28Amanitaceae%29" target=_blank>광대섯과(Amanit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A%B4%91%EB%8C%80%EB%B2%84%EC%84%AF%EC%86%8D%28Amanita%29" target=_blank> 광대버섯속(Amanita)</a>
    특징 : 갓은 연한 갈색, 표면에 유황색의 분질물이 점 모양 피복. 큰 막질 고리가 있고 밑동은 방추형. 지역에 따라 색깔 등에 차이가 있고, 변종도 있다.
    자실체 : 갓은 폭 4∼9cm의 중형. 처음에는 구형이다가 둥근산형∼평평한 형이 된다. 표면은 연한 갈색 또는 칙칙한 갈색인데 외피막의 잔재물인 유황색의 분질물이 피복되었다가 자라면서 갈라져 불규칙한 점모양 사마귀들이 촘촘하게 피복한다. 살은 백색. 벌레에게 파 먹히거나 상처받으면 갈색이 된다. 독버섯.
    주름살은 백색. 폭이 넓고 촘촘하며, 대에 띠붙음인데 다소 내리붙음이 되기도 한다.
    대는 길이길이5∼10cm(굵기10∼20mm), 백색∼크림색. 큰 막질의 고리를 가지고 있다. 밑동은 방추형이 고 유황색의 점 모양 외피막 잔재물이 둘러쳐 있다.

    포자 : 포자는 타원형. 평활, 투명, 8.2∼11.5×5.8∼7.8㎛. 포자문은 백색.
    색상 : 연한 갈색
    발생계절 : 가을
    발생형태 : 가을에 활엽수 임지에서 난다. 드물게 침엽수 임지에도 난다. 독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분포 : 한국, 일본, 유럽.
    식용여부 : 독성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15. 노란대광대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Amanita flavipes Imai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A%B4%91%EB%8C%80%EC%84%AF%EA%B3%BC%28Amanitaceae%29" target=_blank>광대섯과(Amanit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A%B4%91%EB%8C%80%EB%B2%84%EC%84%AF%EC%86%8D%28Amanita%29" target=_blank> 광대버섯속(Amanita)</a>
    특징 : 소형. 노란 대(flảvipes) 버섯. 갓은 황갈색 바탕에 황색 외피막 파편 피복. 주름살과 대는 담황색.
    자실체 : 갓은 폭 3∼6cm의 소형. 처음에는 거의 구형이지만, 둥근산형이다가 거의 평평하게 퍼지고 표면은 습할 때는 다소 점성이 있다. 황색을 띤 갈색∼황갈색. 주변은 황색인데, 유황색∼황색의 분질의 외피막 파편이 산포된다. 식독 불명
    주름살은 백색∼담황색. 약간 밀하며 대에 떨어진 붙음. 날은 분상.
    대는 길이6∼11cm(굵기7∼10mm), 속이 비어있다. 밑동 부분은 약간 구근상. 표면은 담황색이고 상부는 거의 백색이나 고리의 아래쪽은 황색의 분질물이 밀포되어 있다. 고리는 담황색. 막질이고 표면은 가는 줄금이 있다. 밑동은 선황색. 분질물이 구근부를 감싸고 있다. 때에 따라서는 불완전한 테두리모양을 만든다.

    포자 : 포자는 넓은 타원형. 평활, 8∼9×6∼7㎛.
    색상 : 황색을 띤 갈색∼황갈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활엽수 임지에 발생.
    분포 : 한국, 일본
    식용여부 :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16. 황변광대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Amanita flavescens (Gilb. & Lund.) Contu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A%B4%91%EB%8C%80%EC%84%AF%EA%B3%BC%28Amanitaceae%29" target=_blank>광대섯과(Amanit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A%B4%91%EB%8C%80%EB%B2%84%EC%84%AF%EC%86%8D%28Amanita%29" target=_blank> 광대버섯속(Amanita)</a>
    특징 : 소형~중형 황색의 오렌지색에서 황색의 변함, 주름살은 백색, 장자리는 강하게 아래로 말림
    자실체 : 갓은 4~8cm, 처음 종모양에서 둥근산모양으로 된다. 표면은 황색의 오렌지색에서 황색으로 된다. 가장자리는 강하게 아래로 말린다.
    주름살끝붙은주름살로 백색이다.
    대는 11~15.5cm, 굵기는 9.5~18.5mm로 가늘고 상하가 같은 굵기이고 오래되면 위쪽은 약간 백색으로 된다. 대주머니는 백색이고 조각 같은 막질이다. 살은 백색이고 부서지기 쉽다.

    포자 : 포자는 구형, 평활, 투명. 9~12㎛
    색상 : 오렌지색에서 황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숲속의 땅에 단생·군생
    분포 : 한국(백두산), 중국
    식용여부 :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조덕현. 2014. 백두산의 버섯도감①. 637pp. 한국학술정보

    file
    Read More
  17. 애우산광대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Amanita farinosa Schw.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A%B4%91%EB%8C%80%EC%84%AF%EA%B3%BC%28Amanitaceae%29" target=_blank>광대섯과(Amanit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A%B4%91%EB%8C%80%EB%B2%84%EC%84%AF%EC%86%8D%28Amanita%29" target=_blank> 광대버섯속(Amanita)</a>
    특징 : 소형, 갓은 갈색을 띤 회색. 같은 색의 분상물질 피복. 대는 백색, 미세한 회백색 분상물질이 피복. 지역에 따라 약간 형태적 차이를 보인다.
    자실체 : 갓은 폭 3∼6cm의 소형. 처음에는 거의 구형이지만, 둥근산형이다가 거의 평평하게 퍼지고 중앙이 다소 오목해 진다. 표면은 점성이 없고 회색∼갈회색 바탕에 같은 색 분상 물질이 덮여 있다. 가운데는 진하고 가장자리로는 방사상의 줄금이 보인다. 독버섯으로 기록되어 있다.
    주름살은 백색. 약간 성기고 대에 떨어진 붙음.
    대는 길이5∼8cm(굵기4∼6mm), 속이 비어있다. 표면은 거의 백색. 미세한 회백색의 분상의 물질이 피복되어 있다.

    포자 : 포자는 아구형 또는 넓은 타원형. 평활, 6.5∼8×4.5∼6.5㎛.
    색상 : 회색∼갈회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소나무, 참나무류 등의 나무 밑 점토질 토양에 발생.
    분포 : 한국, 일본, 중국, 북미, 뉴우기니, 뉴질랜드.
    식용여부 : 독성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18. 방추광대버섯(두꺼운광대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Amanita excelsa (Fr.) Bertill. > Amanita excelsa var. spissa (Fr.) Nev. & Poumarat > Amanita spissa (Fr.) P. Kumm.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A%B4%91%EB%8C%80%EC%84%AF%EA%B3%BC%28Amanitaceae%29" target=_blank>광대섯과(Amanit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A%B4%91%EB%8C%80%EB%B2%84%EC%84%AF%EC%86%8D%28Amanita%29" target=_blank> 광대버섯속(Amanita)</a>
    특징 : 중형. 갓은 회갈색, 회백색의 외피막 파편이 점 모양 덮여 있다. 대는 백색 바탕에 회갈색 인편이 밀포되어 있고 밑동은 흔히 방추형. 두꺼운광대버섯은 중복.
    자실체 : 갓은 폭 5∼10cm의 중형. 둥근산형이다가 거의 평평하게 퍼진다. 표면은 회갈색∼갈색. 회백색의 많은 외피막 파편이 점 모양 또는 분상으로 산포되어 있다. 유독버섯으로 기록되어 있다.
    주름살은 백색. 폭이 넓으며, 촘촘하고 대에 떨어진 붙음.
    대는 길이5∼12cm(굵기 10∼25mm), 위쪽이 가늘며 밑동은 흔히 방추형으로 굵어진다. 바탕색은 백색인데 회갈색의 가는 인편이 밀포되어 있거나 다소 얼룩덜룩한 모양으로 피복된다. 상부에는 백색의 막질 고리가 있고 부풀어 오른 밑동에는 솜 찌꺼기 모양의 외피막의 파편이 부착되어 있다.

    포자 : 포자는 넓은 타원형. 평활, 투명, 7.9∼11.2×5.8∼8.4㎛. 포자문은 백색.
    색상 : 회갈색∼갈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침엽수 또는 침활 혼효림의 임내 지상에서 발생.
    분포 : 북반구 온대 이북.
    식용여부 : 독성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반승언, 조덕현. 2012. 백두산의 고등균류상(1). 한국자연보존연구지 10(3-4): 193∼220. 한국자연보전협회

    file
    Read More
  19. 맛광대버섯(흰조각광대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Amanita esculenta Hongo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A%B4%91%EB%8C%80%EC%84%AF%EA%B3%BC%28Amanitaceae%29" target=_blank>광대섯과(Amanit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A%B4%91%EB%8C%80%EB%B2%84%EC%84%AF%EC%86%8D%28Amanita%29" target=_blank> 광대버섯속(Amanita)</a>
    특징 : 소형∼중형. 갓은 회갈색, 가장자리 줄금, 대는 연한 회색, 대에 회색 막질 고리가 있다. 밑동에 회색 막질 고리가 있거나, 또는 없다.
    자실체 : 갓은 폭 4∼12cm의 소형∼중형. 둥근산형이다가 거의 평평하게 퍼진다. 표면은 평활한데 회갈색∼암갈색. 때때로 갓 표면에 대형 백색의 막편(외피막의 파편)이 부착한다. 주변에는 방사상으로 줄금이 있다. 살은 백색, 식용(식용이라 하였으나, 치명적일 수도 있는 비슷한 독버섯이 많으므로 먹지 않는 것이 좋다).
    주름살은 백색. 폭이 넓으며, 약간 촘촘하고 대에 떨어진 붙음. 날은 회색분상.
    대는 길이6∼12cm(굵기0.6∼1.5cm), 연한 회색. 표면은 회색 섬유상의 작은 인편이 촘촘하게 피복되어 다소 얼룩덜룩한 느낌이 있다. 상부에는 회색 막질의 고리가 있다. 주머니는 탁한 백색이고 밑동에 밀착해 있거나 자루모양이다.

    포자 : 포자는 넓은 타원형. 평활, 10.5∼14×7∼8.5㎛.
    색상 : 연한 회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임내 지상에서 발생.
    분포 : 한국, 일본.
    식용여부 : 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이태수, 이지열. 2000. 한국 기록종 버섯 재정리 목록. 87pp. 임업연구원
    박완희, 이지현. 2011. 새로운 한국의 버섯. 454pp. 교학사

    file
    Read More
  20. 젖무덤광대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Amanita eliae Quél.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A%B4%91%EB%8C%80%EC%84%AF%EA%B3%BC%28Amanitaceae%29" target=_blank>광대섯과(Amanit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A%B4%91%EB%8C%80%EB%B2%84%EC%84%AF%EC%86%8D%28Amanita%29" target=_blank> 광대버섯속(Amanita)</a>
    특징 : 소형∼중형. 갓은 연어색〜가죽색을 띤 황토색에 허연색 외피막 잔존물이 붙어 있고, 쉽게 탈락한다.
    자실체 : 폭 4∼8cm의 소형∼중형. 어릴 때는 구형이나 후에 둥근산형〜평평한 형이 된다. 어릴 때는 버섯 전체가 허연색의 외피막으로 쌓여 있지만, 빠르게 외피막이 찢어지면서 사마귀 모양 갓 표면에 남게 되며, 또 쉽게 탈락이 된다. 갓이 완전히 퍼질 경우 갓 표면은 평활하고, 연어색〜가죽색을 띤 황토색, 가장자리 쪽은 다소 색이 연하거나 허연색이 된다. 가장자리에 줄금이 있다. 살은 허연색, 얇다.
    주름살은 백색. 폭이 넓으며 촘촘하고 대에 떨어진 붙음. 날에는 미세한 섬모가 있다.
    대는 8∼12cm(굵기10∼20mm), 원주형이나 위쪽이 다소 가늘다. 어릴 때는 속이 차 있으나 후에 속이 빈다. 대의 고리 위쪽은 백색〜연한 갈색끼를 띤 바탕에 백색 얼룩이 있다. 고리의 아래쪽은 백색〜연한 갈색끼를 띤 바탕에 세로로 허연색 섬유상이 된다. 밑동에는 작은 테두리가 있는 외피막 주머니가 땅속 깊게 박혀 있다. 고리는 허연색, 막질이고, 늘어져 있으며, 연약하게 붙어 있는데 쉽게 소실된다.

    포자 : 포자는 광타원형. 평활, 투명, 9.5∼13.2×6.1∼7.9㎛. 포자문은 백색.
    색상 : 연어색〜가죽색을 띤 황토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활엽수 임지, 활엽수림 벌채지, 활엽수 임지 가장자리 등에 단생 또는 군생한다.
    분포 : 한국, 유럽
    식용여부 : 독성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조덕현, 정재연. 2013. 우면산 일대의 균규상. 한국자연보존연구지 11권(1-2호).

    file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 124 Next
/ 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