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99 추천 수 0 댓글 0
Extra Form
분류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Amanita caesareoides Lj. N. Vassiljeva
과명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A%B4%91%EB%8C%80%EC%84%AF%EA%B3%BC%28Amanitaceae%29" target=_blank>광대섯과(Amanitaceae)</a>
속명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A%B4%91%EB%8C%80%EB%B2%84%EC%84%AF%EC%86%8D%28Amanita%29" target=_blank> 광대버섯속(Amanita)</a>
특징 이 버섯은 Hae Jin Cho 등(2015)이 Four New Species of Amanita in Inje County에 발표된 논문으로 전에 한국이나 일본, 중국 등에서 달걀버섯, Amanita hemibapha (Berk. & Br.) Sacc.와 동일종이라고도 기술한 경우도 있으나
indexfungorum에서는 이 2종을 전혀 다른 종으로 구분하고 있다. 이 종에 대해서는 검토가 필요
자실체 갓은 10∼14cm로 어릴 때는 달걀 모양에서 둥근 산 모양을 거쳐 편평하게 된다. 갓 표면은 선명한 오렌지 적색이고 가운데가 약간 볼록하고 가장자리에는 방사상의 홈파진 선이 있다.
살은 연한 황색이다. 주름살은 노란색색으로 자루에서 떨어진 주름살이고, 주름살 간격은 촘촘하다.
대는 7∼20cm로 위쪽으로 약간 가늘어지고 표면은 등색 또는 노란색으로 같은색 턱받이는 막질로 자루 위쪽에 달려있다. 속은 차 있다가 점차 비게 된다. 밑동에는 백색의 크고 두꺼운 외피막이 기부를 감싸고 있다.
포자 포자는 넓은 타원형~아구형, 평활, 백색. 8∼10㎛×6.5∼7.5㎛
색상 오렌지홍색
발생계절 여름~가을
발생형태 여름 ~ 가을 참나무숲 또는 혼효림의 땅 위에 단생~산생한다
분포 한국, 유럽, 북미
식용여부 식용
출전, 인용문헌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Hae Jin Cho et al. 2015. Four New Species of Amanita in Inje County, Korea. Mycobiology 43(4): 408-41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a_caesareoides_013.jpg

 

a_caesareoides_007.jpg

 

a_caesareoides_005.jpg

 

a_caesareoides_004.jpg

 

사진출처 : http://toolate.s7.coreserver.jp/kinoko/fungi/amanita_caesareoides/index.htm

"


버섯크기 구분방법 _극소형: 2cm 이하. 소형: 2∼5(6)cm 정도. 중형: 5∼10(11)cm 정도. 대형: 10∼15(16)cm 정도. 거대형: 15cm 이상.
  1. 붉은껍질광대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Amanita eijii Z.L. Yang > Amanita cokeri f. roseotincta Nagas. & Hongo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A%B4%91%EB%8C%80%EC%84%AF%EA%B3%BC%28Amanitaceae%29" target=_blank>광대섯과(Amanit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A%B4%91%EB%8C%80%EB%B2%84%EC%84%AF%EC%86%8D%28Amanita%29" target=_blank> 광대버섯속(Amanita)</a>
    특징 : 갓은 백색, 후에 중앙 쪽은 담갈색, 각추형 사마귀가 덮여 있다. 대는 백색∼담갈색, 거스름모양 돌기가 돌출. 전의 학명이 2002년 바뀌었다.
    자실체 : 갓은 폭 4∼8cm의 소형∼중형. 둥근산형이다가 거 의 평평하게 퍼진다. 표면에 각추형의 사마귀가 다수 흩어져 덮여 있다. 어릴 때는 백색이다가 후에 중앙부 쪽으로 담갈색이 된다. 사마귀는 갓의 중앙부가 크고 주변이 작다. 약간 영존성, 살은 백색인데 단단하다. 식독 불명.
    주름살은 백색∼연한 크림색. 폭이 넓으며, 촘촘하고 대에 떨어진 붙음, 날은 분상.
    대는 길이11∼15cm(굵기1∼1.3cm), 담갈색. 밑동은 방추형으로 부풀어 있고, 속이 차 있다. 하반부는 위로 치켜진 거스름 모양의 돌기가 다수 돌출되어 있다. 고리는 백색이다가 갈색을 띤다. 꼭지 부근에 두꺼운 막질로 되며, 영존성이다.

    포자 : 포자는 타원형∼넓은 난형. 평활, 8∼12×6∼8㎛.
    색상 : 백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소나무, 참나무류, 모밀잣밤나무 등 침,활엽수 임지에 난다.
    분포 : 한국, 일본, 중국
    식용여부 :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2. 황색주머니우산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Amanita crocea (Quél.) Sing. > Amanita vaginata var. crocea (Quél.) Gilb.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A%B4%91%EB%8C%80%EC%84%AF%EA%B3%BC%28Amanitaceae%29" target=_blank>광대섯과(Amanit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A%B4%91%EB%8C%80%EB%B2%84%EC%84%AF%EC%86%8D%28Amanita%29" target=_blank> 광대버섯속(Amanita)</a>
    특징 : 소형∼중형. 갓은 오렌지 황색∼오렌지 황토색, 대는 연한 색, 대 표면에 거스름 모양 털이 많이 생긴다. 지역에 따라 색깔 차이가 있다.
    자실체 : 갓은 폭 4∼10(12)cm의 소형∼중형. 어릴 때는 원추형이다가 후에 둥근산형, 평평한 형이 되고 중앙이 오목해 진다. 표면은 오렌지 황색∼오렌지 황토색, 중앙이 다소 진하다. 가장자리에 미세한 홈선이 생긴다. 살은 백색. 표피 아래는 약간 오렌지색을 띤다. 식용한다고 기록되어 있으나, 유사한 독버섯과 혼동되므로 피하는 것이 좋다.
    주름살은 백색. 폭이 약간 넓으며 촘촘하고 대에 치붙음 또는 대에 떨어진 붙음.
    대는 길이10∼15cm(굵기10∼20mm), 갓과 같은 색이거나 다소 연하며 표면에 거스름 모양의 미세한 털이 많이 생긴다. 밑동은 굵어지지 않고 갓 색깔을 약간 띤 백색의 큰 덮게막에 들어있다.

    포자 : 포자는 구형. 평활, 9∼12㎛. 포자문 허연색.
    색상 : 오렌지황색∼오렌지황토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자작나무 등 활엽수 임내 토양에 난다.
    분포 : 한국, 유럽.
    식용여부 : 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3. 애광대버섯(흰애광대버섯, 갈색애광대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Amanita citrina Pers. > Amanita citrina (Schaeff.) Pers. var. citrina > Amanita citrina var. alba (Gill.) Rea > Amanita citrina var. grisea (Hongo) Hongo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A%B4%91%EB%8C%80%EC%84%AF%EA%B3%BC%28Amanitaceae%29" target=_blank>광대섯과(Amanit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A%B4%91%EB%8C%80%EB%B2%84%EC%84%AF%EC%86%8D%28Amanita%29" target=_blank> 광대버섯속(Amanita)</a>
    특징 : 소형∼중형. 레몬(cỉtrinus) 버섯. 갓은 레몬 색, 표면에 황갈색 외피막 잔존물이 붙어 있다. 대에 담황갈색 막질 고리가 있고 밑동은 공 모양 구근상. 흰애광대버섯과 갈색애광대버섯은 동일종으로 포함되었고, 색깔의 변화가 큰 편이다.
    자실체 : 갓은 폭 3∼8cm의 소형∼중형. 처음에는 반구형이다가 둥근산형, 평평하게 퍼진다. 표면은 유황색, 레몬색, 갈색을 띤 황색 등이며 흔히 탁한 황색, 탁한 백색 또는 연한 회색으로 퇴색된다. 표면에 불규칙한 황색∼황갈색 외피막 잔존물이 붙어 있다. 독버섯.
    주름살은 백색. 폭이 넓으며, 촘촘하고 대에 떨어진 붙음.
    대는 길이5∼12cm(굵기0.5∼1.2cm), 다소 가늘며 위쪽으로 가늘다. 표면은 백색∼연한 황색. 밑동은 공모양의 구근상이다. 대의 위쪽에는 담황색 막질의 고
    리가 있고 밑동에는 외피막이 유착되어 탁한 백색을 띤다.

    포자 : 포자는 아구형. 평활, 투명, 8∼10.4×7∼8.8㎛. 포자문은 백색.
    색상 : 유황색, 레몬색, 갈색을 띤 황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임내 지상에서 발생. 흔하다. 독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분포 : 북반구 온대지역, 호주.
    식용여부 : 독성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4. 큰우산광대버섯(큰우산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Amanita cheelii P.M. Kirk > Amanita vaginata var. punctata (Cleland & Cheel) Gilb.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A%B4%91%EB%8C%80%EC%84%AF%EA%B3%BC%28Amanitaceae%29" target=_blank>광대섯과(Amanit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A%B4%91%EB%8C%80%EB%B2%84%EC%84%AF%EC%86%8D%28Amanita%29" target=_blank> 광대버섯속(Amanita)</a>
    특징 : 우산버섯과 흡사한 모양이나 크기가 매우 큰 버섯이다. 전에는 우산버섯의 변종으로 분류되었으나, 2013년 P.M. Kirk에 의해서 다른 종으로 개정되었다.
    자실체 : 갓은 5-12cm 정도. 대는 13-20cm 정도로 매우 길다. 대는 땅속에 깊게 묻히고 대의 표면은 암회갈색 미분상의 얼룩얼룩한 무늬가 있다. 독버섯(?)으로 추정되고 있다.
    포자 : 포자는 구형. 평활, 10∼12㎛.
    색상 : 암회갈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활엽수 임내 토양이나 부근 초지에 난다. 가끔 보인다
    분포 : 한국, 일본, 호주, 뉴질랜드.
    식용여부 : 독성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5. 점박이광대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Amanita ceciliae (Berk. & Br.) Bas > Amanita inaurata Secr. ex Gill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A%B4%91%EB%8C%80%EC%84%AF%EA%B3%BC%28Amanitaceae%29" target=_blank>광대섯과(Amanit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A%B4%91%EB%8C%80%EB%B2%84%EC%84%AF%EC%86%8D%28Amanita%29" target=_blank> 광대버섯속(Amanita)</a>
    특징 : 중형∼대형. 갓은 황갈색∼암갈색, 회흑색 면질 외피막 파편이 다수 부착. 대는 회색의 인편이 덮인다.
    자실체 : 갓은 폭 5∼15cm의 중형∼대형. 처음에는 반구형. 후에 둥근산형∼평평하게 퍼진다. 표면은 황갈색∼암갈색. 주변부는 연한 색. 약간 점성이 있다. 회백색∼회흑색 면질의 외피막 파편이 다수 부착된다. 가장자리는 방사상으로 줄금이 있다. 살은 연한 회색. 무르다.
    주름살은 백색. 폭이 넓으며, 날 부분은 회색 분상이고 다소 촘촘하고 대에 떨어진 붙음. 날은 분상이다.
    대는 길이9∼15cm(굵기1∼2cm), 다소 가늘고 길며, 위쪽이 가늘다. 표면은 회색의 점상∼섬유상 작은 인편이 촘촘하게 덮여 있다. 속이 비어 있다.

    포자 : 포자는 구형. 평활, 투명, 10.4∼14.1×9.7∼14.0㎛. 포자문은 백색.
    색상 : 황갈색∼암갈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참나무류 등 활엽수 임지에 발생.
    분포 : 북반구 온대.
    식용여부 :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6. 달걀광대버섯아재비(잠칭)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Amanita caesareoides Lj. N. Vassiljeva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A%B4%91%EB%8C%80%EC%84%AF%EA%B3%BC%28Amanitaceae%29" target=_blank>광대섯과(Amanit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A%B4%91%EB%8C%80%EB%B2%84%EC%84%AF%EC%86%8D%28Amanita%29" target=_blank> 광대버섯속(Amanita)</a>
    특징 : 이 버섯은 Hae Jin Cho 등(2015)이 Four New Species of Amanita in Inje County에 발표된 논문으로 전에 한국이나 일본, 중국 등에서 달걀버섯, Amanita hemibapha (Berk. & Br.) Sacc.와 동일종이라고도 기술한 경우도 있으나
    indexfungorum에서는 이 2종을 전혀 다른 종으로 구분하고 있다. 이 종에 대해서는 검토가 필요

    자실체 : 갓은 10∼14cm로 어릴 때는 달걀 모양에서 둥근 산 모양을 거쳐 편평하게 된다. 갓 표면은 선명한 오렌지 적색이고 가운데가 약간 볼록하고 가장자리에는 방사상의 홈파진 선이 있다.
    살은 연한 황색이다. 주름살은 노란색색으로 자루에서 떨어진 주름살이고, 주름살 간격은 촘촘하다.
    대는 7∼20cm로 위쪽으로 약간 가늘어지고 표면은 등색 또는 노란색으로 같은색 턱받이는 막질로 자루 위쪽에 달려있다. 속은 차 있다가 점차 비게 된다. 밑동에는 백색의 크고 두꺼운 외피막이 기부를 감싸고 있다.

    포자 : 포자는 넓은 타원형~아구형, 평활, 백색. 8∼10㎛×6.5∼7.5㎛
    색상 : 오렌지홍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 ~ 가을 참나무숲 또는 혼효림의 땅 위에 단생~산생한다
    분포 : 한국, 유럽, 북미
    식용여부 : 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Hae Jin Cho et al. 2015. Four New Species of Amanita in Inje County, Korea. Mycobiology 43(4): 408-412

    file
    Read More
  7. 흰오뚜기광대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Amanita castanopsidis Hongo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A%B4%91%EB%8C%80%EC%84%AF%EA%B3%BC%28Amanitaceae%29" target=_blank>광대섯과(Amanit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A%B4%91%EB%8C%80%EB%B2%84%EC%84%AF%EC%86%8D%28Amanita%29" target=_blank> 광대버섯속(Amanita)</a>

    자실체 : 갓은 폭 3.5∼7.5cm의 소형∼중형. 처음에는 둥근산형이다가 평평하게 퍼지며 표면은 백색. 원추형∼각추형의 알갱이 모양 사마귀가 밀집되어 피복된다. 가장자리 끝에는 외피막의 잔재물이 붙기도 한다. 사마귀는 중심부는 대부분 크고 가장자리는 소형이다. 사마귀는 백색이거나 다소 회색∼갈색을 띤다. 살은 백색. 속이 차 있다. 식독 불명.
    주름살은 백색. 폭이 넓으며, 다소 촘촘하고 대에 떨어진 붙음이지만 주름살의 안쪽 끝은 다소 내리붙음.
    대는 길이7∼8cm(굵기1∼1.5cm), 백색. 표면은 점 모양 또는 분상의 회색∼갈색 물질이 피복되어 있다. 밑동은 방추형으로 현저히 굵다.

    포자 : 포자는 긴 타원형. 평활, 8.5∼12×5.5∼7㎛.
    색상 : 백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참나무류 등 활엽수임지에 발생.
    분포 : 한국, 일본.
    식용여부 :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8. 민달걀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Amanita caesarea (Scop.) Pers.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A%B4%91%EB%8C%80%EC%84%AF%EA%B3%BC%28Amanitaceae%29" target=_blank>광대섯과(Amanit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A%B4%91%EB%8C%80%EB%B2%84%EC%84%AF%EC%86%8D%28Amanita%29" target=_blank> 광대버섯속(Amanita)</a>
    특징 : 갓은 선명한 오렌지색, 가장자리에 미세한 줄금이 있다. 대는 황색, 막질의 황색 고리가 있다. 식용이지만 개나리광대버섯 등 비슷한 독버섯이 있어 피해야 한다.
    자실체 : 갓은 폭 6∼18cm의 중형∼대형. 처음에는 달걀모양이거나 반구형이다가 둥근산형으로 퍼진다. 선명한 오렌지적색. 오래되면 다소 퇴색하거나 황색 끼가 많아진다. 표면은 평활, 약간 점성이 있다. 가장자리에는 미세한 줄금이 있다. 살은 허연색. 표피층 밑은 황색 끼를 띤다. 식용.
    주름살은 황색. 촘촘하고 대에 떨어진 붙음, 어떤 것은 홈붙음.
    대는 길이5∼12cm(굵기 7(9)∼25mm), 황색. 큰 막질의 황색 고리가 부착되어 있다. 밑동 쪽으로 다소 굵으며 백색의 큰 주머니가 피복하고 있다.

    포자 : 포자는 넓은 타원형. 평활, 투명, 8.4∼11×6.1∼7.9㎛. 포자문은 백색.
    색상 : 선명한 오렌지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활엽수임지, 특히 참나무류 임지에 난다.
    분포 : 한국, 중국, 유럽.
    식용여부 : 식용, 독성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9. 갈색점박이광대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Amanita brunnescens Atk.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A%B4%91%EB%8C%80%EC%84%AF%EA%B3%BC%28Amanitaceae%29" target=_blank>광대섯과(Amanit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A%B4%91%EB%8C%80%EB%B2%84%EC%84%AF%EC%86%8D%28Amanita%29" target=_blank> 광대버섯속(Amanita)</a>
    특징 : 중형∼대형. 갓은 진한 갈색, 올리브색 또는 회색, 중앙이 진하고 가장자리가 연하다. 때로는 허연색 바탕에 얼룩덜룩한 모양으로 갈색이 나타난다. 밑동 위쪽이 요철형. 이 버섯은 색깔과 형태변화가 매우 크지만, 밑동이 구근형이고 또 밑동 위쪽이 요철형인 특징으로 외형상 구분한다.
    자실체 : 갓은 폭 5∼15cm의 중형∼대형. 처음에는 반구형, 후에 무딘 둥근산형∼평평한 형이 되며, 중앙이 돌출된다. 진한 갈색, 올리브색 또는 회색, 중앙이 진하고 가장자리가 연하다. 때로는 허연색 바탕에 얼룩덜룩한 모양으로 갈색이 나타난다. 표면에 암색의 섬유상 무늬가 있다. 습할 때는 점성이 있고 평활하다(변종인 var. pallida는 백색∼크림색인 경우도 있다). 살은 백색이나 자르면 천천히 적갈색으로 변하고, 단단하다.
    주름살은 처음에는 백색, 후에 적갈색으로 퇴색된다. 폭이 넓고, 촘촘하며, 대에 떨어진 붙음.
    대는 길이 길이 5∼15cm(굵기 10∼20mm), 밑동이 부풀어 있고, 둥근 모양의 구근을 가지고 있는데, 이 구근은 흔히 위쪽 끝 부분이 수직적으로 갈라진다. 구근의 색깔은 오백색 또는 오염된 모양의 갈색 점상을 띠기도 한다. 대의 위쪽에 고리가 붙기도 하는데, 쉽게 탈락한다

    포자 : 포자는 구형, 평활, 전분반응. 8∼10×9.5∼12㎛. 포자문은 백색.
    색상 : 진한 갈색, 올리브색 또는 회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활엽수 임지, 특히 참나무류 임지 내에 난다.
    분포 : 한국, 중국, 미국.
    식용여부 : 독성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반승언, 조덕현. 2012. 백두산의 고등균류상(1). 한국자연보존연구지 10(3-4): 193∼220. 한국자연보전협회

    file
    Read More
  10. 흑갈색광대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Amanita brunneofuliginea Z.L. Yang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A%B4%91%EB%8C%80%EC%84%AF%EA%B3%BC%28Amanitaceae%29" target=_blank>광대섯과(Amanit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A%B4%91%EB%8C%80%EB%B2%84%EC%84%AF%EC%86%8D%28Amanita%29" target=_blank> 광대버섯속(Amanita)</a>
    특징 : 중형∼대형. 흑갈색∼갈흑색, 중앙이 진하고 가장자리 쪽으로 연해진다. 가장자리에 줄무늬 홈선이 있다. 대는 위쪽이 백색∼허연색, 아래쪽이 회색. 주머니가 있다.
    자실체 : 갓은 폭 5∼14cm의 중형∼대형. 둥근산형∼얕은 둥근산형이 되며, 흔히 중앙이 약간 돌출된다. 연한 흑갈색∼갈흑색, 중앙이 진하고 가장자리 쪽으로 연해진다. 가장자리는 뚜렷한 줄무늬 홈선이 있다. 갓 위에 외피막 잔존물이 백색 또는 오백색으로 반점이나 막 모양으로 남아 있다. 살은 백색.
    주름살은 백색, 폭이 넓고, 촘촘하며, 대에 떨어진 붙음. 주름살 사이의 짧은 주름살이 사각형 모양이다.
    대는 길이길이 8∼22cm(굵기는 17∼27mm). 거의 원주형이며, 고리는 없고, 위쪽은 백색∼허연색, 아래쪽은 회색 끼를 띤다. 속이 비었고, 밑동에 구근 모양은 생기지 않고, 2.5∼7cm 높이의 주머니 모양 백색∼오백색 막질로 덮여 있다.

    포자 : 포자는 아구형∼넓은 타원형. 평활, 비전분반응. 10.5∼13×9.5∼12㎛. 포자문은 백색.
    색상 : 흑갈색∼갈흑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고산지대 혼효림의 임지에 단생.
    분포 : 한국, 중국.
    식용여부 :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반승언, 조덕현. 2012. 백두산의 고등균류상(1). 한국자연보존연구지 10(3-4): 193∼220. 한국자연보전협회

    file
    Read More
  11. 긴독우산광대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Amanita bisporigera Atk.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A%B4%91%EB%8C%80%EC%84%AF%EA%B3%BC%28Amanitaceae%29" target=_blank>광대섯과(Amanit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A%B4%91%EB%8C%80%EB%B2%84%EC%84%AF%EC%86%8D%28Amanita%29" target=_blank> 광대버섯속(Amanita)</a>
    특징 : 소형∼중형. 갓은 백색, 대가 가늘고 길며 위쪽에 백색 늘어진 막질 고리가 있다.
    자실체 : 갓은 폭 3∼10cm의 소형∼중형. 둥근산형이다가 평평한 형∼오목한 형이 된다. 백색, 때때로 중앙에 갈색 끼가 있다. 표면은 평활하고 습할 때 다소 점성이 있다. 살은 백색. 맹독성이어서 잘못 먹으면 사망.
    주름살은 백색. 대에 치붙음 또는 떨어진 붙음. 촘촘하다.
    대는 길이6∼14cm(굵기 5∼18mm), 가늘고 길다. 속이 차 있고 위쪽으로 가늘다. 백색, 표면은 흔히 미세한 솜털이 있고 밑동에는 다소 부풀어 있거나 작은 공 모양 부풀어 있고 백색 대주머니가 있다. 대의 꼭지 가까이 백색 막질 고리가 늘어져 있거나 눌려 붙어 있다.

    포자 : 포자는 구형. 평활, 투명, 아밀로이드. 7.8∼9.6×7∼9㎛. 포자문은 백색.
    색상 : 백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활엽수 또는 침엽수 임지에 단생하거나 때로는 균환을 만들기도 한다.
    분포 : 한국, 미국.
    식용여부 : 맹독성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12. 줄무늬광대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Amanita battarrae (Boud) Bon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A%B4%91%EB%8C%80%EC%84%AF%EA%B3%BC%28Amanitaceae%29" target=_blank>광대섯과(Amanit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A%B4%91%EB%8C%80%EB%B2%84%EC%84%AF%EC%86%8D%28Amanita%29" target=_blank> 광대버섯속(Amanita)</a>
    특징 : 중형. 둥근산형∼평평한 형, 중앙에 둔한 돌출, 후에 오목해진다. 황갈색, 회갈색∼올리브갈색. 우산버섯 비슷하나 색깔이 진하고 가장자리 줄무늬가 심하다.
    자실체 : 갓은 폭 7∼10(12)cm의 중형. 어릴 때는 원추형이나 곧 둥근산형∼평평한 형이 되고, 후에 중앙에 둔한 돌출이 생기고 가운데가 오목해 진다. 표면은 평활, 방사상으로 미세한 눌려 붙은 섬유가 있다. 황갈색, 회갈색∼올리브갈색. 줄무늬가 갓의 1/3 정도까지 생기기도 한다. 가장자리는 다소 연하고 둔하다. 살은 백색, 중앙은 두껍고 가장자리는 얇다. 식독 불명.
    주름살은 허연색, 폭이 넓고 촘촘하며 대에 떨어진 붙음. 날 쪽으로는 갈색을 띤다.
    대는 길이10∼13cm(굵기 1∼1.2cm), 원주형, 밑동 쪽으로 점차적으로 굵어진다. 부러지기 쉽고 어릴 때는 속이 차 있으나 후에 속이 빈다. 표면은 연한 황토색 바탕에 회갈색∼적갈색 얼룩진 반점이 덮여 있다. 꼭지는 미세한 적갈색 분상, 밑동은 칙칙한 백색의 막질 주머니가 있다.

    포자 : 포자는 구형∼아구형. 평활, 투명, 9.6∼15.3×9.4∼14㎛. 포자문은 백색.
    색상 : 황갈색, 회갈색∼올리브갈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침엽수 또는 활엽수 임지 토양에 난다.
    분포 : 한국, 유럽, 북미
    식용여부 :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13. 노란가루광대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Amanita aureofarinosa D.H. Cho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A%B4%91%EB%8C%80%EC%84%AF%EA%B3%BC%28Amanitaceae%29" target=_blank>광대섯과(Amanit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A%B4%91%EB%8C%80%EB%B2%84%EC%84%AF%EC%86%8D%28Amanita%29" target=_blank> 광대버섯속(Amanita)</a>
    특징 : 황금분말(aureofarínosus) 버섯. 갓은 황색, 중앙에 적색을 띤다. 표면에 황색 분말 피복.
    자실체 : 갓은 폭 7~8cm의 중형. 가운데가 붉으면서 전체적으로 노란색이다. 가장자리에는 줄금이 있고, 가운데는 약간 오목하며 적색을 띤다. 표면에 황색 분말이 피복되어 있다. 식독 불명.
    주름살은 대에 떨어진 붙음으로 약간 촘촘하고 폭은 0.7∼0.8cm. 주름살은 백색이지만 날은 노랗고 가루가 부착되어 있다.
    대는 길이11cm(굵기 1.5cm) 정도. 밑동이 굵다. 노란색의 인편과 가루가 있고 대주머니는 없다. 대의 속은 비어 있고 백색. 마르면 버섯 전체가 연한 노란 색을 띤다.

    포자 : 포자는 광타원형∼아구형. 평활, 7.5∼10×5∼6㎛.
    색상 : 노란색
    발생계절 : 여름
    발생형태 : 여름. 숲속의 벌채를 위해 만든 도로 모래땅 등에 단생.
    분포 : 한국
    식용여부 :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한국균학회 균학용어편집위원회. 2013. 2013 한국의 버섯 목록. 576pp. 한국균학회.

    file
    Read More
  14. 백황색광대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Amanita alboflavescens Hongo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A%B4%91%EB%8C%80%EC%84%AF%EA%B3%BC%28Amanitaceae%29" target=_blank>광대섯과(Amanit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A%B4%91%EB%8C%80%EB%B2%84%EC%84%AF%EC%86%8D%28Amanita%29" target=_blank> 광대버섯속(Amanita)</a>
    특징 : 백색이다가 황색이 되는(alboflavẻscens) 버섯. 갓은 백색, 분상이다가 연한 황색이 된다. 점모양 또는 막질의 허연색 외피막 파편 부착. 밑동은 방추형.
    자실체 : 갓은 폭 4∼6.5cm의 소형∼중형. 둥근산형이다가 평평하게 퍼진다. 표면은 분상이고 거의 백색이다가 후에 연한 황색이 된다. 허연색∼황색의 점 모양 또는 막질의 크고 작은 외피막 파면이 부착된다. 가장자리 끝에는 외피막의 일부가 붙어 있기도 한다. 살은 백색. 상처를 받으면 강한 오렌지황색으로 변한다. 식독 불명.
    주름살은 허연색이나 크림색. 상처를 받으면 황색으로 변한다. 날 부분은 분상이다.
    대는 길이5∼7cm(굵기8mm), 밑동은 방추형∼도란형 표면은 갓과 같은 색이다. 점모양의 작은 인편이 덮여 있고 꼭지 부분은 분상이다. 속이 차 있다. 고리는 막질인데 떨어지기 쉽다. 외피막은 대부분 대의 팽대부에 유착되어 있다.

    포자 : 포자는 긴 타원형. 평활, 8∼12×4.5∼6.5㎛.
    색상 : 백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에 참나무류 임지의 나무 밑에 발생.
    분포 : 한국, 일본.
    식용여부 :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15. 양파광대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Amanita abrupta Peck > Amanita sphaerobulbosa Hongo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A%B4%91%EB%8C%80%EC%84%AF%EA%B3%BC%28Amanitaceae%29" target=_blank>광대섯과(Amanit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A%B4%91%EB%8C%80%EB%B2%84%EC%84%AF%EC%86%8D%28Amanita%29" target=_blank> 광대버섯속(Amanita)</a>
    특징 : 소형∼중형. 심하게 돌출된(abruptus) 밑동을 가진 버섯. 갓은 백색, 작은 알갱이 모양 사마귀가 무수히 부착된다. 대의 밑동은 구형으로 돌출된 특징이 있다.
    자실체 : 갓은 폭 3∼7cm의 소형∼중형. 어릴 때는 반구형, 후에 둥근산형∼거의 평형하게 퍼진다. 표면은 백색. 때에 따라서는 다소 연한 갈색을 띠는 것도 있다. 작은 알갱이 모양의 사마귀들이 다수 부착되어 있고 탈락하기 쉽다. 어릴 때는 가장자리에 피막의 파면 잔재물이 붙어 있기도 한다. 살은 백색. 펜친산 등 독성물질을 함유한 독버섯.
    주름살는 백색. 폭이 넓으며 촘촘하고 날 부분은 분상, 대에 떨어진 붙음.
    대는 길이8∼14cm(굵기6∼8mm), 백색, 밑동은 구형 또는 구근상으로 심하게 돌출, 팽대되어 있다.

    포자 : 포자는 구형∼아구형. 평활, 7∼8.5㎛.
    색상 : 백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에 참나무류와 혼합된 혼효림의 지상에 발생.
    분포 : 한국, 일본, 북미.
    식용여부 : 맹독성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16. No Image

    새둥지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Nidula niveotomentosa (Henn.) Lloyd > Nidularia niveotomentosa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C%A3%BC%EB%A6%84%EB%B2%84%EC%84%AF%EA%B3%BC%28Agaricaceae%29 target=_blank>주름버섯과(Agaric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C%83%88%EB%91%A5%EC%A7%80%EB%B2%84%EC%84%AF%EC%86%8D%28Nidula%29" target=_blank>새둥지버섯속(Nidula)</a>
    특징 : 폭 4∼8mm. 어릴 때는 흰색 털이 덮여있고, 성숙하면 소주잔 모양, 상단에 털이 밀생하며, 황갈색∼적갈색 소피자가 들어난다.
    자실체 : 자실체는 어릴 때 흰색의 털이 덮여 있고 아구형이나 성숙하면 위쪽이 열리면서 소주잔 모양으로 바닥이 다소 좁은 형태가 된다. 폭 4∼8mm, 높이 5∼10mm 정도. 각피는 1층, 내측은 평활, 담갈색. 광택이 있다.
    소피자는 황갈색∼적갈색의 바둑돌 모양이고 직경은 0.5∼0.8mm로 작은 편이다.

    포자 : 포자는 넓은 타원형. 평활, 투명, 벽이 두껍다. 6∼9×4∼6㎛.
    색상 : 흰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부후목 껍질, 썩은 가지, 썩은 막대기 등에 군생
    분포 : 전 세계적
    식용여부 : 비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17. 주름찻잔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Cyathus striatus (Huds.) Willd.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C%A3%BC%EB%A6%84%EB%B2%84%EC%84%AF%EA%B3%BC%28Agaricaceae%29 target=_blank>주름버섯과(Agaric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C%A3%BC%EB%A6%84%EC%B0%BB%EC%9E%94%EB%B2%84%EC%84%AF%EC%86%8D%28Cyathus%29" target=_blank>주름찻잔버섯속(Cyathus)</a>
    특징 : 폭 5∼8mm. 팽이모양, 황갈색 털이 덮였다가 위가 열리면서 소피자가 노출. 내벽은 세로로 주름 잡혀 있다. 어릴 때는 다소 길쭉한 형태이다.
    자실체 : 자실체는 팽이모양∼거꾸로 된 원추형, 각피는 3층으로 되어 있어서 외피는 황갈색∼암갈색의 거친 털로 덮여 있으며, 성숙하면 점차 머리 부분이 벌어지면서 머리 부분의 흰색의 내피가 들어났다가 이 내피도 탈락하고 내부의 알 모양의 소피자가 들어난다. 자실체는 높이 5∼12mm, 지름 5∼8mm 정도. 각피의 내벽 표면은 연한 회색, 흑색 등 다양하다. 광택이 있고 세로로 홈이 파여져 있는 특징이 있다.
    소피자는 회색, 갈색∼흑갈색. 지름은 1∼2mm, 소피자 끈으로 내벽에 부착되어 있다.

    포자 : 포자는 타원형∼도토리모양. 평활, 투명, 벽이 두껍다. 17∼18×7∼8.5㎛.
    색상 : 황갈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유기질이 많은 지상의 죽은 잔가지, 굵은 가지, 그루터기 껍질 등에 난다.
    분포 : 전 세계적
    식용여부 : 비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18. 좀주름찻잔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Cyathus stercoreus (Schw.) De Toni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C%A3%BC%EB%A6%84%EB%B2%84%EC%84%AF%EA%B3%BC%28Agaricaceae%29 target=_blank>주름버섯과(Agaric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C%A3%BC%EB%A6%84%EC%B0%BB%EC%9E%94%EB%B2%84%EC%84%AF%EC%86%8D%28Cyathus%29" target=_blank>주름찻잔버섯속(Cyathus)</a>
    특징 : 폭 4∼6mm. 역원추형 컵 모양, 외피는 황갈색 거친 털이 밀생. 민둥한 각피 내측에 오백색∼흑색의 소피자가 있다.
    자실체 : 자실체는 거꾸로 된 원추형의 컵 모양 또는 깔때기 모양. 폭 4∼6mm, 높이 5∼10mm 정도. 어릴 때는 외피에 쌓여 있으나, 성숙하면 머리 부분이 벌어지고, 막질 내피가 덮였다가 탈락된다. 때로는 별 모양으로 찢어지기도 한다.
    각피는 3층인데 외피는 황갈색∼갈색의 거친 털이 밀생하고, 중피(中皮)는 가죽질, 다갈색∼흑갈색. 성숙하면 탈락한다. 내피는 백회색. 평활하다.
    소피자는 오백색∼흑색의 직경 1∼2mm, 렌즈모양, 은색의 각피의 내측에 접착되어 있다. 각피의 내측에 주름은 없다. 소피자는 보통 30∼35개가 내벽에 부착되어 있다.

    포자 : 포자는 아구형. 평활, 투명, 벽이 두껍고, 내부에 알갱이가 들어있다. 18∼23×15∼20㎛.
    색상 : 황갈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초여름∼가을. 퇴비, 썩은 돗자리, 왕겨, 잔가지 등에 군생.
    분포 : 전 세계.
    식용여부 : 비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19. 회색주름찻잔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Cyathus olla (Batsch) Pers.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C%A3%BC%EB%A6%84%EB%B2%84%EC%84%AF%EA%B3%BC%28Agaricaceae%29 target=_blank>주름버섯과(Agaric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C%A3%BC%EB%A6%84%EC%B0%BB%EC%9E%94%EB%B2%84%EC%84%AF%EC%86%8D%28Cyathus%29" target=_blank>주름찻잔버섯속(Cyathus)</a>
    특징 : 높이 5∼10mm. 성숙하면 팽이모양∼깔때기모양, 외피는 황토갈색∼회갈색. 내부 표면은 회백색∼회색, 10개 정도의 회색 소피자가 끈과 연결되어 있다.
    자실체 : 자실체는 어릴 때 난형∼원주형, 후에 팽이모양∼깔때기 모양, 가장자리가 바깥쪽으로 다소 휜다. 높이 5∼10mm, 폭은 갓과 비슷하다. 어릴 때는 외피에 싸여 있으나, 성숙하면서 윗부분이 평평해지고, 허연색을 띤 막질(epiphragm)이 들어나 찢어진다. 외피는 눌려 붙은 털이 피복되거나, 거의 평활. 황토갈색∼회갈색. 내부 표면은 회백색∼회색(오래되면 거의 흑색), 평활하지만 가장자리 쪽으로는 다소 굴곡이 있다. 각피는 3층으로 되어 있다.
    소피자는 찻잔 바닥에 약 10개 정도, 회갈색의 렌즈 모양. 직경 2∼2.5mm, 개개의 소피자는 소피자 끈으로 내벽에 부착되어 있고, 내부에 포자가 들어 있다.

    포자 : 포자는 타원형. 평활, 어릴 때는 벽이 두껍고, 투명, 9∼12×5.5∼7㎛.
    현미경적 특성은 낭상체는 없다. 담자기는 가는 곤봉형, 40×7㎛. 2∼4개의 담자뿔이 있고, 밑동에는 연결꺽쇠가 있다.

    색상 : 황토갈색∼회갈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흔히 임내 토양에 나며, 드물게 식물체 유기물이나 목질에 단생 또는 군생
    분포 : 한국, 유럽.
    식용여부 : 비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이태수. 2014. 인터넷 “한국버섯”(한국 기록종버섯의 총정리: 2014. 9. 1 수정본)

    file
    Read More
  20. 찻잔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Crucibulum laeve (Huds.) Kambly > Crucibulum vulgare Tul. & C. Tul.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C%A3%BC%EB%A6%84%EB%B2%84%EC%84%AF%EA%B3%BC%28Agaricaceae%29 target=_blank>주름버섯과(Agaric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C%B0%BB%EC%9E%94%EB%B2%84%EC%84%AF%EC%86%8D%28Crucibulum%29" target=_blank>찻잔버섯속(Crucibulum)</a>
    특징 : 폭 4∼8mm. 위가 넓고 아래가 좁은 찻잔모양, 황색∼황토색의 겉껍질 위쪽 탈락, 내부는 크림색∼황토색 등. 안에 소피자가 있고 크림색. 소피자는 끈이 있다.
    자실체 : 자실체는 어릴 때 구형 또는 난형, 후에 아래가 좁고 위가 넓은 찻잔 모양이 된다. 폭 4∼8mm, 높이 5∼10mm 정도. 어릴 때는 황색∼황토색의 쌀겨모양 털이 덮여 있으나, 겉껍질의 윗 부분이 탈락되고, 후에 갈색∼흑갈색이 된다. 찻잔 내부는 민둥하며 크림색∼황토색을 띤다.
    겉껍질(epiphragm)은 내외 두 층으로 되어 있으며 자랄 때는 찻잔을 덮고 있는데, 자실체가 성숙하게 되면 먼저 바깥층이 탈락하며 백색의 내층만 남게 되었다가 이것도 곧 탈락하게 된다. 그 속에는 알과 같은 소피자가 들어있다.
    소피자(peridioles)는 크림색, 크기 1∼1.5mm의 알갱이 모양, 이들의 소피자는 각기 끈과 같은 실에 연결되어 있다. 후에 소피자가 터지면서 포자가 비산된다.

    포자 : 포자는 타원형. 평활, 투명, 7∼10×3.5∼5㎛.
    색상 : 황색∼황토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숲속, 오솔길 등에서 나뭇가지나 풀줄기 또는 부후목 등에 줄지어 총생.
    분포 : 한국, 일본, 대만, 유럽, 북미, 중미, 호주
    식용여부 : 비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 124 Next
/ 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