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12.09 10:00

꼬마주름버섯

조회 수 137 추천 수 0 댓글 0
Extra Form
분류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Agaricus diminutivus Peck
과명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C%A3%BC%EB%A6%84%EB%B2%84%EC%84%AF%EA%B3%BC%28Agaricaceae%29 target=_blank>주름버섯과(Agaricaceae)</a>
속명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C%A3%BC%EB%A6%84%EB%B2%84%EC%84%AF%EC%86%8D%28Agaricus%29 target=_blank>주름버섯속(Agaricus)</a>
특징 작은(diminutívus) 버섯. 작은 편이며, 백색 바탕에 압착된 적갈색 인편 피복.
자실체 갓은 폭 1∼4cm 정도의 극소형∼소형. 둥근산형 또는 원추상 둥근산형이다가 평평한 형이 되며 약간 중앙이 돌출되거나 평평하다. 표면은 건조하고 백색, 표면에 압착된 적갈색∼흑갈색의 견사상 인편이 덮여 있다. 살은 허연색, 변색되지 않는다. 식용 미상. 주름살은 백색이다가 복숭아색∼갈색을 띠고 후에 암갈색. 촘촘하며 대에 떨어진 붙음. 대는 길이3∼5cm(굵기3∼7mm), 위쪽으로 가늘어지고 밑동은 약간 부풀어 있다. 백색 혹은 황색을 띤다. 오래되거나 상처를 받으면 갈색을 띤다. 털이 없거나 표층에서 생긴 견사상의 솜털이 있다. 속이 차있다.
포자 타원∼난형. 평활, 벽이 두꺼우며 갈색 끼가 있다. 6.5∼7×4.5∼5.5㎛.
색상 흰색, 미색
발생계절 가을
발생형태 가을에 임지 내 낙엽사이나 나무 밑에 난다.
분포 한국, 일본, 북미.
식용여부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

c093eca85ca2c0e3fe29847cd169d3cd.jpg

사진출처 : http://linnet.geog.ubc.ca/ShowDBImage/ShowStandard.aspx?index=19188

"


버섯크기 구분방법 _극소형: 2cm 이하. 소형: 2∼5(6)cm 정도. 중형: 5∼10(11)cm 정도. 대형: 10∼15(16)cm 정도. 거대형: 15cm 이상.
  1. 꼬마주름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Agaricus diminutivus Peck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C%A3%BC%EB%A6%84%EB%B2%84%EC%84%AF%EA%B3%BC%28Agaricaceae%29 target=_blank>주름버섯과(Agaric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C%A3%BC%EB%A6%84%EB%B2%84%EC%84%AF%EC%86%8D%28Agaricus%29 target=_blank>주름버섯속(Agaricus)</a>
    특징 : 작은(diminutívus) 버섯. 작은 편이며, 백색 바탕에 압착된 적갈색 인편 피복.
    자실체 : 갓은 폭 1∼4cm 정도의 극소형∼소형. 둥근산형 또는 원추상 둥근산형이다가 평평한 형이 되며 약간 중앙이 돌출되거나 평평하다. 표면은 건조하고 백색, 표면에 압착된 적갈색∼흑갈색의 견사상 인편이 덮여 있다. 살은 허연색, 변색되지 않는다. 식용 미상. 주름살은 백색이다가 복숭아색∼갈색을 띠고 후에 암갈색. 촘촘하며 대에 떨어진 붙음. 대는 길이3∼5cm(굵기3∼7mm), 위쪽으로 가늘어지고 밑동은 약간 부풀어 있다. 백색 혹은 황색을 띤다. 오래되거나 상처를 받으면 갈색을 띤다. 털이 없거나 표층에서 생긴 견사상의 솜털이 있다. 속이 차있다.
    포자 : 타원∼난형. 평활, 벽이 두꺼우며 갈색 끼가 있다. 6.5∼7×4.5∼5.5㎛.
    색상 : 흰색, 미색
    발생계절 : 가을
    발생형태 : 가을에 임지 내 낙엽사이나 나무 밑에 난다.
    분포 : 한국, 일본, 북미.
    식용여부 :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2. 광양주름버섯(꼬마주름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Agaricus dulcidulus Schulz. (Agaricus. purpurellus (Møller) Møller)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C%A3%BC%EB%A6%84%EB%B2%84%EC%84%AF%EA%B3%BC%28Agaricaceae%29 target=_blank>주름버섯과(Agaric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C%A3%BC%EB%A6%84%EB%B2%84%EC%84%AF%EC%86%8D%28Agaricus%29 target=_blank>주름버섯속(Agaricus)</a>
    특징 : 소형. 갓은 백색의 바탕에 적자색∼적갈색 또는 흑갈색의 섬유상 인편 피복. 꼬마주름버섯이라고도 했음.
    자실체 : 갓은 폭 1.5∼4.5cm 정도의 극소형∼소형. 처음에는 난형이다가 후에 둥근산형, 평평한 형이 되며 가운데가 다소 돌출된다. 표면은 거의 백색 바탕에 적자색∼적갈색 또는 흑갈색의 섬유상 또는 가는 인편이 피복되어 있고, 중앙부에 밀집된다. 살은 백색이나 대부분 후에 황색을 띤다. 독은 없지만 식용가치가 없다.
    주름살은 백색이다가 살구색 후에 회갈색이 된다. 촘촘하며 대에 떨어진 붙음.
    대는 길이3.5∼6cm(굵기3∼6mm), 아래쪽으로 굵어지고 밑동은 때에 따라 약간 구근상이다. 작은 막질의고리가 있고 그 아래쪽은 면질의 가는 인편이 덮여 있지만 평활하다. 처음에는 백색이나 손으로 만지면 황색∼오렌지 갈색으로 변한다.

    포자 : 타원형. 평활, 4∼6(7.5)×2.5∼3.5㎛.
    색상 : 적갈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주로 침엽수림내의 지상에 발생.
    분포 : 거의 세계적
    식용여부 : 비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3. 음란주름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Agaricus iimpudicus (Rea) M. Lge.(구 학명:Agaricus variegans Møll. )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C%A3%BC%EB%A6%84%EB%B2%84%EC%84%AF%EA%B3%BC%28Agaricaceae%29 target=_blank>주름버섯과(Agaric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C%A3%BC%EB%A6%84%EB%B2%84%EC%84%AF%EC%86%8D%28Agaricus%29 target=_blank>주름버섯속(Agaricus)</a>
    특징 : 암갈색의 비늘이 덮이고 살은 백색, 고리도 백색, 대의 표면은 백색∼허연색으로 거의 비늘이 없다.
    자실체 : 갓은 폭 5∼12cm의 중형∼대형. 어릴 때는 반구형, 후에 둥근산형∼평평한 형이 된다. 표면은 암갈색의 섬유상 인편이 다소 두껍게 압착 피복되고 미세하게 갈라진다. 살은 두껍고 백색, 절단 시 변색되지 않거나 다소 변색되기도 한다. 식용한다. 주름살은 처음에는 백색, 후에는 암갈색이 된다. 폭이 넓고 촘촘하며 대에 떨어진 붙음. 대는 5∼14cm, 백색∼허연색, 고리는 백색, 고리 아래쪽은 인편이 거의 없이 평활하다. 밑동이 다소 굵다. 대를 절단해도 변색하지 않는다.
    포자 : 타원형. 평활, 암갈색, 5.3∼5.8×3.3∼3.6㎛.
    색상 : 암갈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임내 지상에 발생.
    분포 : 한국, 중국, 유럽.
    식용여부 : 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4. 붉은끼주름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Agaricus langei (Møll. & Schaeff.) Maire(구 학명:Agaricus langei (Møll.) Møll.)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C%A3%BC%EB%A6%84%EB%B2%84%EC%84%AF%EA%B3%BC%28Agaricaceae%29 target=_blank>주름버섯과(Agaric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C%A3%BC%EB%A6%84%EB%B2%84%EC%84%AF%EC%86%8D%28Agaricus%29 target=_blank>주름버섯속(Agaricus)</a>
    특징 : 중형. 표면은 녹슨 갈색∼밤갈색 인편이 피복, 대는 분홍색 끼를 띠고 만지면 분홍색을 띤다.
    자실체 : 갓은 폭 5∼10(15)cm의 중형. 어릴 때는 반구형이나 후에 둥근산형∼평평한 형이 된다. 표면은 어릴 때 평활하고, 녹슨 갈색∼밤갈색, 후에 점차 표면이 얕게 갈라져 방사상으로 미세한 녹슨 갈색의 섬유상 인편이 전면에 피복되고 그 사이로 연한 색깔의 살이 들어나기도 한다. 가장자리는 날카롭다. 살은 백색이나 자르면 점차 적색으로 변한다. 식용하며 맛이 좋다.
    주름살은 어릴 때는 연한 분홍색, 오래 분홍색을 띠나 오래되면 암자갈색이 된다. 대에 떨어진 붙음. 폭은 좁은 편, 촘촘하다.
    대는 8∼12(20)cm(굵기 0.7(1.5)∼3cm), 원주형, 밑동은 굵어지지 않는다. 어릴 때는 속이 차 있으나 후에 속이 빈다. 고리 아래쪽의 표면은 백색이나 분홍색 끼가 있고 만지면 분홍색을 띤다. 고리 위쪽은 백색∼연한 분홍색. 고리는 백색.

    포자 : 타원형. 평활, 벌꿀 갈색, 벽이 두껍다. 5.8∼9.4×3.7∼5㎛. 포자문은 암자갈색.
    색상 : 갈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침엽수 임지 또는 침활 혼효림지 지상에 단생 또는 군생한다.
    분포 : 한국, 유럽
    식용여부 : 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5. 뿌리주름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Agaricus lanipes (Møll. & Schaeff.) Sing.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C%A3%BC%EB%A6%84%EB%B2%84%EC%84%AF%EA%B3%BC%28Agaricaceae%29 target=_blank>주름버섯과(Agaric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C%A3%BC%EB%A6%84%EB%B2%84%EC%84%AF%EC%86%8D%28Agaricus%29 target=_blank>주름버섯속(Agaricus)</a>
    특징 : 중형. 갓은 흑갈색, 흔히 가장자리가 찢어진다. 대의 밑동에 뿌리모양 균사속이 있다.
    자실체 : 갓은 폭 5∼10cm의 중형. 처음에는 둥근산형이나 후에 중앙이 오목해지고 표면이 다소 울퉁불퉁해 진다. 암갈색∼초콜릿갈색 흔히 가장자리가 찢어지고 편편한 인편이 가장자리 쪽에 흔히 생긴다. 살은 백색이나 갓의 밑 부분이나 대의 가장자리에 갈색을 띤다. 식용하며 맛이 좋다.
    주름살은 처음에는 연한 분홍색, 후에 암갈색이 된다. 대에 떨어진 붙음이고 촘촘하다.
    대는 4∼6cm(굵기 2∼3.5cm), 땅딸막한 모양, 중앙이 굵고 밑동 쪽으로 가늘어지다가 밑동 끝에는 허연색∼갈색의 뿌리모양 균사속이 붙는다(때로는 밑동 쪽으로 굵어지는 것도 있다). 고리 위쪽은 백색, 아래쪽은 갈색을 띠며, 손으로 만지면 녹슨색이 된다.

    포자 : 타원형. 평활, 5.5∼6.5×3.5∼4.0㎛.
    색상 : 갈색, 흑갈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늦가을. 활엽수 임내 지상 또는 거름 준 목초지 등에 발생.
    분포 : 한국, 유럽.
    식용여부 : 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6. 광비늘주름버섯(노란대주름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Agaricus moelleri Wasser > Agaricus praeclaresquamosus Freeman(노란대주름버섯))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C%A3%BC%EB%A6%84%EB%B2%84%EC%84%AF%EA%B3%BC%28Agaricaceae%29 target=_blank>주름버섯과(Agaric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C%A3%BC%EB%A6%84%EB%B2%84%EC%84%AF%EC%86%8D%28Agaricus%29 target=_blank>주름버섯속(Agaricus)</a>
    특징 : 소형∼중형. 허연색의 갓 표면에 갈회색∼흑색을 띤 미세한 섬유상 인편이 덮여 있는 특징이 있다. 대는 가늘고 긴 편이며, 막질 고리의 아랫면은 솜찌꺼기 모양.
    자실체 : 갓은 4∼10cm 정도의 소형∼중형. 처음에는 반구형이다가 둥근산형, 평평한 형이 된다. 표면은 갈회색∼거의 흑색인 섬유상 인편이 덮여 있다. 바탕색은 허연색이지만 가운데는 인편이 집중되어 회흑색을 나타낸다. 살은 백색이지만 밑동 부근은 상처를 받으면 황변한다.
    주름살은 백색이다가 후에 살구색, 초콜릿색이 된다. 폭이 넓고 촘촘하며 대에 떨어진 붙음.
    대는 7∼12cm(굵기5∼10mm), 가늘고 길며 밑동은 구근상으로 부풀어 있다. 표면은 백색이고 다소 광택이 있다. 고리는 위쪽에 있고 백색의 막질인데 하면은 약간 솜 찌꺼기 모양이다.

    포자 : 타원형. 평활, 꿀밀 갈색, 포자막이 두껍다. 5.3∼6.2×3.5∼4.3㎛.
    색상 : 흰색, 흑갈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임지 내의 지상에 발생. 유럽에서는 독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잘못 먹으면 구토 등을 한다.
    분포 : 한국, 일본, 중국, 유럽, 북아메리카.
    식용여부 : 독성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이태수, 이지열. 2000. 한국 기록종 버섯 재정리 목록. 87pp. 임업연구원
    박완희, 이지현. 2011. 새로운 한국의 버섯. 454pp. 교학사

    file
    Read More
  7. 애기흰주름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Agaricus niveolutescens Huijsm.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C%A3%BC%EB%A6%84%EB%B2%84%EC%84%AF%EA%B3%BC%28Agaricaceae%29 target=_blank>주름버섯과(Agaric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C%A3%BC%EB%A6%84%EB%B2%84%EC%84%AF%EC%86%8D%28Agaricus%29 target=_blank>주름버섯속(Agaricus)</a>
    특징 : 소형. 백색∼크림황색. 어릴 때는 간혹 외피막 잔존물이 붙은다. 대는 원주형이나 밑동이 구근상으로 다소 굵어지기도 한다.
    자실체 : 갓은 폭 2∼4cm의 소형. 어릴 때는 반구형, 후에 둥근산형∼평평한 형이 된다. 때때로 둔한 돌출이 되기도 한다. 표면은 어릴 때 백색, 평활, 둔하다. 오래 되거나 손으로 만지면 크림색∼황색 끼를 띠며, 미세하게 솜털모양 털이 나 있다. 가장자리는 날카롭고 고르다. 어릴 때는 간혹 외피막 잔존물이 붙기도 한다. 살은 백색, 자르면 약간 황색 끼를 띤다. 식용.
    주름살은 처음에는 라일락회색, 후에 자주색∼암갈색. 대에 떨어진 붙음, 촘촘하다.
    대는 2.5∼4cm(굵기 4∼6mm), 원주형, 밑동이 구근상으로 다소 굵어지기도 한다. 어릴 때는 속이 차 있으나 후에 속이 빈다. 대의 고리 위쪽은 평활, 백색, 고리 아래쪽은 다소 솜털모양, 손으로 만지거나 오래되면 황색 끼를 띤다. 고리는 막상이고 영존성, 백색이다가 황색이 된다.

    포자 : 넓은 타원형. 평활, 회갈색, 벽이 두껍다. 4.5∼5.7×3.2∼4.1㎛.
    색상 : 흰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침엽수 또는 활엽수 임지의 가장자리 부근에 단생, 산생 또는 군생한다.
    분포 : 전세계적
    식용여부 : 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8. 틈주름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Agaricus pampeanus Speg.
    과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EC%A3%BC%EB%A6%84%EB%B2%84%EC%84%AF%EA%B3%BC%28Agaricaceae%29 target=_blank>주름버섯과(Agaricaceae)</a>
    속명 : <a href=/xe/?act=&mid=mushroom&vid=&ruleset=searchBeluxe&category_srl=&search_target=extra_vars4&search_keyword=%EC%A3%BC%EB%A6%84%EB%B2%84%EC%84%AF%EC%86%8D%28Agaricus%29 target=_blank>주름버섯속(Agaricus)</a>
    특징 : 소형∼대형. 갓은 백색, 건조하면 표면이 틈 모양 갈라지는 특성이 있다. 어릴 때는 가장자리에 백색 외피막 파편이 붙기도 한다.
    자실체 : 갓은 폭 4∼13(15)cm의 소형∼대형. 어릴 때는 반구형, 곧 평평한 형이 되며, 가장자리가 물결모양이 되기도 한다. 표면은 어릴 때 평활하나 후에 건조하면 틈이 갈라지며, 백색. 오래 되면 눌려 붙은 갈색 인편이 생기기도 한다. 가장자리는 오래 동안 안쪽으로 감겨 있으며, 어릴 때는 백색의 외피막 파편이 붙기도 한다. 살은 백색, 중앙이 두껍다. 자르면 연한 회색을 띠다가 연한 적색을 띤다. 식용하지 않는다.
    주름살은 처음에는 연한 살구색을 띤 분홍 색, 후에 자흑색이 된다. 매우 촘촘하고 대에 떨어진 붙음, 날은 고르다.
    대는 3∼6cm(굵기 1.5∼3cm), 원주형, 가끔 밑동 쪽으로 가늘어 지거나 약간 곤봉상이 되기도 한다. 속이 차 있고 표면은 백색, 오래 되면 갈색을 띤다. 미세한 섬유상, 고리는 섬유상∼솜털모양, 흔히 빈약하다.

    포자 : 타원형. 평활, 회갈색, 벽이 두껍고 발아공이 있다. 8.8∼10.8×5.3∼6.3㎛.
    색상 : 흰색
    발생계절 : 봄~가을
    발생형태 : 봄~가을 풀밭, 목초지, 부식질이 많은 땅 등에 단생 또는 산생한다.
    분포 : 한국, 유럽.
    식용여부 : 비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file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Next
/ 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