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9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분류 자낭균문(Ascomycota) > 동충하초강(Sordariomycetes) > 동충하초아강(Hypocreomycetidae) > 동충하초목(Hypocreales)
학명 Isaria farinosa (Holmsk.) Fr. 꽃동충하초 > Paecilomyces farinosus (Holmsk.) Br. & G. Sm.
과명 동충하초과(Cordycipitaceae)
속명 꽃동충하초속(Isaria)(나방꽃동충하초속)
특징 높이 1∼4cm. 머리는 흰색∼회백색. 곤봉모양∼솜방망이 모양, 대는 불규칙한 원주형, 회백색. 번데기눈꽃동충하초, 번데기곤봉형눈꽃동충하초가 개칭됨(기준종).
자실체 자실체(자좌)는 땅 속 또는 부후목에 묻힌 나방 류(나비목)의 번데기에서 나온다. 자실체는 1개 또는 10여 개 까지 생긴다. 높이 1∼4cm.
결실부는 위쪽에 생기고 흰색∼회백색. 곤봉모양, 솜방망이 모양, 작은 덩어리 모양 또는 가루모양의 분생포자가 덮인다.
대(분생자병)는 불규칙한 원주형. 직경 1mm 정도. 회백색.
포자 포자는 분생포자, 타원형. 2∼2.7×1.5∼2㎛.
색상 흰색∼회백색
발생계절 여름~가을
발생형태 여름∼가을. 임내, 임도 주변, 부후목 등에 들어 있는 나방류의 번데기나, 나뭇가지 등에 붙어 있는 번데기에서 발생이 된다.
분포 한국, 일본, 중국, 대만
식용여부 약용
출전, 인용문헌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159202.jpg

 

159203.jpg

 

사진출처 : http://mushroomobserver.org/72458


버섯크기 구분방법 _극소형: 2cm 이하. 소형: 2∼5(6)cm 정도. 중형: 5∼10(11)cm 정도. 대형: 10∼15(16)cm 정도. 거대형: 15cm 이상.
  1. 매미꽃동충하초(매미나방꽃동충하초)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동충하초강(Sordariomycetes) > 동충하초아강(Hypocreomycetidae) > 동충하초목(Hypocreales)
    학명 : Isaria sinclairii (Berk.) Lloyd. > Cordyceps sinclairii Berk.
    과명 : 동충하초과(Cordycipitaceae)
    속명 : 꽃동충하초속(Isaria)(나방꽃동충하초속)
    특징 : 지상부 높이 1.5∼3cm. 머리는 긴 방추형, 표면에 요철이 많으며 흰색 가루모양. 대는 원주형, 연한 오렌지 황색. 매미류 번데기에서 나온다. 후에 매미나방동충하초라고도 함.
    자실체 : 자실체(자좌)는 땅 속에 묻힌 각종 매미류의 번데기에서 나온다. 자실체는 간혹 1개가 나오지만 흔히 2∼8개까지 나온다. 지상부의 높이는 1.5∼3cm. 전체 높이는 2∼4cm.
    결실부(머리)는 긴 방추형이고 표면에 요철이 많으며, 흰색 가루 모양의 분생자로 덮여있다.
    대는 원주형, 때로는 눌려 있다. 갈색을 띤 연한 오렌지황색. 밑동은 허연색, 기주에 직결되어 있다.

    포자 : 포자는 분생포자, 난형, 타원형, 방추형 등. 5∼9×2∼3㎛.
    색상 : 흰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초가을. 각종 활엽수나 상록활엽수림 또는 이들과 침엽수가 혼효된 임지의 땅 속에 묻힌 각종 매미류의 번데기에서 나온다.
    분포 : 한국, 일본 중국, 남미, 스리랑카, 호주, 뉴질랜드.
    식용여부 : 약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2. 나방눈꽃동충하초(눈꽃동충하초)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동충하초강(Sordariomycetes) > 동충하초아강(Hypocreomycetidae) > 동충하초목(Hypocreales)
    학명 : Isaria japonica Yasuda> Paecilomyces tenuipes (Peck) Samson > Cordyceps polyathra Möller
    과명 : 동충하초과(Cordycipitaceae)
    속명 : 꽃동충하초속(Isaria)(나방꽃동충하초속)
    특징 : 높이 2∼8cm. 대의 가지가 여러 갈래로 갈라져 그 끝에 흰색 눈꽃모양의 분생포자가 덮인다. 눈꽃동충하초라고도 하였음
    이 버섯의 완전세대는 짧은다발동충하초(Cordiceps takaomontana) 이다.
    <참고> 이 버섯은 Isaria tenuipes Peck로 1879년 기록되었고, 이후 Paecilomyces tenuipes (Peck) Samson으로 1974년 개칭되었다.
    한편 일본에서는 Isaria japonica Yasuda로 1915년 기록되었고, 오래 동안 이 버섯은 서로 다른 버섯으로 분류되어 왔다.
    그러나 김순한 외 7인의 “동충하초의 계통분류 및 시판 동충하초의 분류학적 위치”(생명과학회지 13:4, 2003)에서 DNA 분석 결과 동일종임이 밝혀졌고, 日本森林總合硏究所의 “森林生物圖鑑”에서도 ハナサナギタケ를 Paecilomyces tenuipes로 표기하고 있어서 이 두 버섯이 동일종이라고 명시하고 있다.

    자실체 : 자실체(자좌)는 땅 속 또는 부후목이나 나뭇가지, 낙엽 등에 묻혀 있는 나방 류(나비목)의 번데기에서 주로 나온다. 자실체는 드물게 단일체로 나오지만, 대부분 여러 개∼10 여개 이상까지 나온다. 높이 2∼8cm.
    결실부(머리) 가지는 여러 갈래로 불규칙하게 분지되며 그 분지된 끝에 흰색 눈꽃모양의 분상 분생포자가 덮인다.
    대(분생자병)는 나뭇가지 모양 분지되고 담황색, 직경 1∼3mm. 기주의 표면에는 백색 균사막이 덮이기도 한다.

    포자 : 포자는 분생포자, 중앙이 약간 잘록한 장타원형. 3.2∼5×1.4∼2㎛.
    색상 : 흰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땅 속 또는 부후목이나 나뭇가지, 낙엽 등에 묻혀 있는 나방 류의 번데기, 성충 또는 애벌레에서 발생.
    분포 : 한국, 일본, 중국, 네팔.
    식용여부 : 약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3. 꽃동충하초(번데기곤봉형눈꽃동충하초)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동충하초강(Sordariomycetes) > 동충하초아강(Hypocreomycetidae) > 동충하초목(Hypocreales)
    학명 : Isaria farinosa (Holmsk.) Fr. 꽃동충하초 > Paecilomyces farinosus (Holmsk.) Br. & G. Sm.
    과명 : 동충하초과(Cordycipitaceae)
    속명 : 꽃동충하초속(Isaria)(나방꽃동충하초속)
    특징 : 높이 1∼4cm. 머리는 흰색∼회백색. 곤봉모양∼솜방망이 모양, 대는 불규칙한 원주형, 회백색. 번데기눈꽃동충하초, 번데기곤봉형눈꽃동충하초가 개칭됨(기준종).
    자실체 : 자실체(자좌)는 땅 속 또는 부후목에 묻힌 나방 류(나비목)의 번데기에서 나온다. 자실체는 1개 또는 10여 개 까지 생긴다. 높이 1∼4cm.
    결실부는 위쪽에 생기고 흰색∼회백색. 곤봉모양, 솜방망이 모양, 작은 덩어리 모양 또는 가루모양의 분생포자가 덮인다.
    대(분생자병)는 불규칙한 원주형. 직경 1mm 정도. 회백색.

    포자 : 포자는 분생포자, 타원형. 2∼2.7×1.5∼2㎛.
    색상 : 흰색∼회백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임내, 임도 주변, 부후목 등에 들어 있는 나방류의 번데기나, 나뭇가지 등에 붙어 있는 번데기에서 발생이 된다.
    분포 : 한국, 일본, 중국, 대만
    식용여부 : 약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